KR20190131030A -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030A
KR20190131030A KR1020197027612A KR20197027612A KR20190131030A KR 20190131030 A KR20190131030 A KR 20190131030A KR 1020197027612 A KR1020197027612 A KR 1020197027612A KR 20197027612 A KR20197027612 A KR 20197027612A KR 20190131030 A KR20190131030 A KR 2019013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hardware device
function
pairing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283B1 (ko
Inventor
쇼자부로 시마다
가즈토시 가시모토
싯다르트 비제이 필라이
신타로 이타모토
Original Assignee
비비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비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Toy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각적인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페어링부(101)는,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와의 페어링을 행한다. 프로그램 제작부(10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제작을 행한다. H 파트 공급부(121)는 H 파트를, S 파트 공급부(122)는 S 파트를 각각 프로그램 제작부(102)에 공급한다. 파트 결합부(123)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각종 H 파트 및 각종 S 파트를 결합한다. 프로그램 실행부(103)는, 프로그램 저장부(500)로부터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105)는, 프로그램 실행부(103)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를 통해 베이직 코어(2)에 송신시킨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아이의 교육을 목적으로 한 조립식 완구의 제공은, 널리 보급되어 있고, 관련된 기술은 수많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간단한 배선이나 프로그래밍에 의해 조립식 완구를 구축할 수 있는 조립 블록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연령이 낮은 사용자라도, 복잡한 작업이나 조작을 행하지 않고, 조립식 완구를 구축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0898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각 조립 블록은, 기존의 프로그램에 의해 단일로 제어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조립식 완구의 동작이나 제어의 자유도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예컨대, 전술한 특허문헌 1의 기술만으로는, 각 조립 블록의 각각의 기능을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는 없었다.
환언하면, 전술한 특허문헌 1의 기술만으로는, 각 조립 블록의 각각의 기능을 조합한다고 하는 고도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복잡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시각적인 조작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복잡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수단과,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수단과,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의 상태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각적인 조작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복잡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직 코어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직 코어 및 기능 모듈이 접속된 상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사용자 단말, 도 3의 베이직 코어 및 도 4의 기능 모듈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 처리에 관한 상태의 천이를 도시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 처리 시에, 사용자에게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 처리 시에, 사용자에게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며 도 8과는 상이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접속 상태 인식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의 도 12와는 상이한 예의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각적인 조작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복잡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다.
사용자는, 프로그램 제작용으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프로그램 제작 화면」이라고 부름)에 표시된 각종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는,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된 특정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정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하드웨어 파트」 또는 「H 파트」라고 부름) 및 특정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정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소프트웨어 파트」 또는 「S 파트」라고 부름)을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들 아이콘을 임의로 이동(예컨대, Drag And Drop 등)시킴으로써, 각종 아이콘을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프로그램은, 예컨대, 조립식의 완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용이한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구조나 작성 방법을 아이에게 배우게 하기 위한 교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1)과, m개의 베이직 코어(2-1 내지 2-m)(m은 1 이상의 임의의 정수값)와, m개의 기능 모듈(3-1 내지 3-m)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은, 베이직 코어(2-1 내지 2-m)의 각각과, 각종 방식, 예컨대 NFC(등록 상표)(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각종 방식으로 통신을 행한다.
한편, 이하, 베이직 코어(2-1 내지 2-m)의 각각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베이직 코어(2)」라고, 기능 모듈(3-1 내지 3-m)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기능 모듈(3)」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베이직 코어(2)란, 후술하는 기능 모듈(3)과 접속하여 사용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NFC(등록 상표)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1)과의 페어링을 행한다.
사용자 단말(1)은, 미리 정해진 베이직 코어(2-K)와 페어링을 행함으로써, 베이직 코어(2-K)(K는, 1 내지 m 중 임의의 정수값)와, 베이직 코어(2-K)와 접속된 미리 정해진 기능 모듈(3-K)을 인식한다.
기능 모듈(3-K)이란, 예컨대, 온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 버저 등의 조작 기구, 모터나 선풍기 등의 구동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전술한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K)와의 페어링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직 코어(2-K)에 접속된 기능 모듈(3-K)의 동작을 적어도 수반하는 프로그램의 제작 시에,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K)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을 행할 필요가 있다.
페어링이란, 단적으로 말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에, 베이직 코어(2-K) 및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기능 모듈(3-K)의 종별이나 접속 상태 등을 인식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사용자 단말(1)에서는, 기능 모듈(3-K)의 종별이나 접속의 상태 등을 인식하면, 접속된 기능 모듈(3-K)에 대응하는 H 파트가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은, 태블릿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21)와, ROM(Read Only Memory)(22)과, RAM(Random Access Memory)(23)과, 버스(2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25)와, 터치 조작 입력부(26)와, 표시부(27)와, 입력부(28)와, 기억부(29)와,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30)와,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와, 통신부(32)와, 드라이브(33)와, 리무버블 미디어(34)를 포함하고 있다.
CPU(21)는, ROM(2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29)로부터 RAM(2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23)에는, CPU(2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21), ROM(22) 및 RAM(23)은, 버스(2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2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에는, 터치 조작 입력부(26), 표시부(27), 입력부(28), 기억부(29),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30), 통신부(32) 및 드라이브(3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도 설치되어 있다.
터치 조작 입력부(26)는, 예컨대 표시부(27)에 적층되는 정전 용량식 또는 저항막식(감압식)의 위치 입력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를 검출한다.
표시부(27)는,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프로그램 제작에 관한 화상 등,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조작 입력부(26)와 표시부(27)에 의해, 터치 패널이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28)는, 각종 하드웨어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기억부(29)는, 하드 디스크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30)는, 예컨대, NFC(등록 상표)의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는, NFC(등록 상표)의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여, 페어링을 행한다.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는, 예컨대, Bluetooth(등록 상표)의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을 포함함)를, Bluetooth(등록 상표)의 규격에 따른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송신한다.
통신부(32)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30) 및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인터넷 등을 통해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33)는,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드라이브(33)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34)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33)에 의해 리무버블 미디어(34)로부터 읽어내어진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29)에 인스톨된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34)는, 기억부(29)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정보도, 기억부(2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직 코어(2)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베이직 코어(2)는, 미리 정해진 하드웨어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베이직 코어(2)는, CPU(41)와, ROM(42)과, RAM(43)과, 버스(44)와,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45)와,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46)와, 접속부(47)와, 전원부(48)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직 코어(2)의 구성 중, CPU(41), ROM(42), RAM(43), 버스(44),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45),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46)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1)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부(47)는,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기능 모듈(3)]와의 접속을 행한다.
또한, 접속부(47)는, 모듈 간 통신부(51)와, 모듈 간 전력 전달부(52)를 포함한다.
모듈 간 통신부(51)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의 규격에 따른 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모듈 간 전력 전달부(52)는, 후술하는 전원부(48)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기능 모듈(3)]에, 전력을 전달한다.
전원부(48)는, 전지 등의 배터리이다. 전원부(48)는, 베이직 코어(2)에 전력을 공급하고, 모듈 간 전력 전달부(52)를 통해, 적절히, 기능 모듈(3)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능 모듈(3)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능 모듈(3)은, 미리 정해진 하드웨어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기능 모듈(3)은, CPU(61)와, ROM(62)과, RAM(63)과, 버스(64)와, 접속부(67)와, 기능 하드웨어(68)와, 전력 공급부(69)를 포함하고 있다.
기능 모듈(3)의 구성 중, CPU(61), ROM(62), RAM(63), 버스(64), 및 접속부(67)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1) 혹은 베이직 코어(2)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기능 모듈(3)에도, 베이직 코어(2)와 마찬가지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기능 하드웨어(68)는, 예컨대, 온도 센서나 버저이고, 각각의 기능 모듈이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하드웨어 등이다.
즉, 사용자가 제작한 프로그램은, 기능 하드웨어(68)가 적절히 그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실제의 하드웨어 상에 반영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실행에는, 2종류의 실행 방법이 존재한다. 즉,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에서만 가상적으로 실행하는 종류를, 「시뮬레이션에 의한 실행」이라고 부른다. 한편,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 하드웨어(68) 등을 동작시키는 종류를, 「실제 기기에 의한 실행」이라고 부른다.
전력 공급부(69)는, 모듈 간 전력 전달부(72)를 통해 취득한 전력, 또는 외부의 전원[예컨대 도 5의 배터리 유닛(BU)]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기능 모듈(3)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베이직 코어(2-E)(E는, 1 내지 m 중 임의의 정수값) 및 기능 모듈(3-E)의 접속 형태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직 코어(2-E) 및 기능 모듈(3-E)이 접속된 상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베이직 코어(2-E), 기능 모듈(3-E) 및 배터리 유닛(PP)이 예시되어 있다.
베이직 코어(2-E)에는, 배터리 유닛(BU)[예컨대, 후술하는 도 6의 전원부(48)], 시리얼 포트(SP)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BT)[예컨대, 후술하는 도 6의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46)]가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 유닛(BU)은, 예컨대, 전지 등의 배터리이고, 베이직 코어(2-E)나 기능 모듈(3-E)에 전력을 공급한다.
시리얼 포트(SP)는, 베이직 코어(2-E)와 다른 하드웨어 등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접속 커넥터)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베이직 코어(2-E)에는, 시리얼 포트(SP)가 포함되고, 기능 모듈(3-E)에는, 시리얼 포트(PS)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직 코어(2-E)와 기능 모듈(3-E)은, 이 2개의 시리얼 포트(SP, PS)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BT)는, 다른 하드웨어 등과 미리 정해진 규격[예컨대, Bluetooth(등록 상표)]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IC 카드 등이 탑재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1)과, 근거리 무선 통신부(BT)를 포함한 베이직 코어(2-E)는, Bluetooth(등록 상표)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는, 베이직 코어(2-E)에도 송신된다. 더 말하자면, 베이직 코어(2-E)에서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를 취득하고, 또한, 그 결과를, 기능 모듈(3-E)에 송신한다.
또한, 기능 모듈(3-E)은, 타이어(T)[예컨대, 도 4의 기능 하드웨어(6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 모듈(3-E)은, 베이직 코어(2-E)로부터 송신되어 온 전술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를 취득한다. 도 5의 예의 기능 모듈(3-E)은,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에 따라, 타이어(T)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도 5의 예에서는, 기능 모듈(3-E)에는, 배터리 유닛(PP)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터리 유닛(PP)은, 외부 전원으로서 기능 모듈(3-E)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직 코어(2)의 전원부(48)(도 3) 등으로부터, 기능 모듈(3-E)에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면, 배터리 유닛(PP)은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의 각종 하드웨어와 각종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프로그램 제작 처리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프로그램 제작 처리란, 베이직 코어(2)에 접속된 기능 모듈(3)을 1개 이상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
이 프로그램 제작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1),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적 구성을 갖고 있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 단말(1),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의 기능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CPU(21)에 있어서는, 페어링부(101)와, 프로그램 제작부(102)와, 프로그램 실행부(103)와, 표시 제어부(104)와, 통신 제어부(105)가 기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의 기억부(29)의 일 영역에는, 프로그램 제작부(102)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500)와, 각종 S 파트가 저장되어 있는 S 파트 DB(Soft ware Parts Data Base)(6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직 코어(2)의 CPU(41)에 있어서는, 페어링부(201)와, 단말 통신 제어부(202)와, 기능 모듈 통신 제어부(203)와, 주제어부(204)가 기능한다.
또한, 기능 모듈(3)의 CPU(61)에 있어서는, 주제어부(241)와, 기능 발휘부(242)가 기능한다.
사용자 단말(1)의 페어링부(101)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와의 페어링을 행한다. 한편, 이 페어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NFC(등록 상표)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행해지지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고, 임의의 방식의 통신으로 행해져도 좋다.
또한, 페어링부(101)에는, 접속 확인부(111)가 설치된다. 접속 확인부(111)는,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한 베이직 코어(2) 및 그것에 접속된 기능 모듈(3)의 종별이나 접속의 상황을 확인한다.
한편, 접속 확인부(111)에 확인된 기능 모듈(3)의 종별이나 접속의 상황은,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된다.
프로그램 제작부(10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접수하여, 실제로 프로그램의 제작을 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제작부(102)에는, H 파트 공급부(121)와, S 파트 공급부(122)와, 파트 결합부(123)와, 확정부(124)가 설치된다.
H 파트 공급부(121)는, 페어링부(101)에 의해 페어링이 행해진 베이직 코어(2)에 접속되어 있는 기능 모듈(3)의 종별에 대응하는 H 파트를,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한다.
S 파트 공급부(122)는, 적절히, S 파트 DB(600)로부터 S 파트를 추출하고,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한다.
파트 결합부(123)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각종 H 파트 및 각종 S 파트를 결합한다.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결합된 각종 H 파트 및 S 파트로 지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확정부(124)는, 사용자에게 제작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정하고, 그 제작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저장부(500)에 저장한다.
프로그램 실행부(103)는, 프로그램 저장부(5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가 실행을 바라는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실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실행부(103)에는, 시뮬레이션부(131)와, 실제 기기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시뮬레이션부(131)는, 사용자에게 제작된 프로그램에 의해,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을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프로그램 실행부(103)에 의해 추출된 프로그램을 가상적으로 실행한다.
즉, 시뮬레이션부(131)는, 실제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지 등을 체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한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표시부(27)에 표시된다.
실제 기기부(132)는, 사용자에게 제작된 프로그램에 의해,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을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프로그램 실행부(103)에 의해 추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프로그램 실행부(103)는, 제작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커맨드 등)를, 베이직 코어(2) 및 기능 모듈(3)에 송신하여, 기능 모듈(3)에 기능을 발휘시킨다.
한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표시부(27)에 표시될 뿐만이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 제어부(105)에 의해 베이직 코어(2)에 송신된다.
표시 제어부(104)는, 전술한 각종 정보 등을 표시부(27)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105)는, 프로그램 실행부(103)의 실제 기기부(132)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를 통해 베이직 코어(2)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등을 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31)는, Bluetooth(등록 상표)의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베이직 코어(2)의 페어링부(201)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를 통해,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을 행한다.
여기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45)는, 베이직 코어(2)에 있어서 시스템과 독립되어 있다. 그래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45)에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46)의 접속 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가 미리 기록되어 있고, 페어링부(201)는, 그 MAC 어드레스를 읽어들여, 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한 사용자 단말(1)과의 페어링을 실현하고 있다.
단말 통신 제어부(202)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1)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46)를 통해 취득하기 위한 제어 등을 실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으로 기능을 발휘시키는 기능 모듈(3)은, 미리 정해진 베이직 코어(2)와 접속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적어도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있어서,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은, 접속부(47)와 접속부(6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적어도 프로그램의 실행 시로 한 것은,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의 접속은, 베이직 코어(2)와 사용자 단말(1)과의 페어링과는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페어링 전에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의 접속이 이루어져 있어도 좋으나, 페어링 후에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의 접속이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 기능 모듈(3)로부터 자신의 유니크 ID가 사용자 단말(1)에 송신됨으로써, 사용자 단말(1)은 그 기능 모듈(3)이 무엇인지(어떠한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후에 기능 모듈(3)을 베이직 코어(2)로부터 떼어낼 수도 있다. 그때에는, 베이직 코어(2)는, 기능 모듈(3)이 떨어진 것을 사용자 단말(1)에 통지한다. 사용자 단말(1)은, UI(후술하는 도 8의 사용자 표시 화면 등)에 떨어진 취지를 표시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1)은, 미리 정해진 기능 모듈(3)이 베이직 코어(2)로부터 떼내어진 경우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 모듈(3)에 대응하는 H 파트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UI에 있어서 비표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페어링 후의 기능 모듈(3)의 핫스와프가 실현되고 있다. 즉,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페어링을 일단 해 버리면, 나중에는 베이직 코어(2)에 대한 기능 모듈(3)의 빼고 꽂음만으로 충분하다. 이 빼고 꽂음의 상태는, 사용자 단말(1) 상의 UI에서도 추종된다.
어떻든 간에,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베이직 코어(2)의 기능 모듈 통신 제어부(203)는, 접속부(47)를 통해 접속된 기능 모듈(3)과의 통신의 제어를 실행한다.
예컨대, 기능 모듈 통신 제어부(203)는, 후술하는 주제어부(204)에서 출력된 동작 지시 등을 기능 모듈(3)에 송신한다.
주제어부(204)는, 베이직 코어(2)에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의 주된 제어를 실행한다.
예컨대, 주제어부(204)는, 단말 통신 제어부(202)에서 취득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3)의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동작 지시 등을 출력한다.
기능 모듈(3)의 주제어부(241)는, 기능 모듈(3)에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의 주된 제어를 실행한다.
예컨대, 베이직 코어(2)로부터 송신되어 온 동작 지시를, 접속부(67)를 통해, 취득한다.
기능 발휘부(242)는, 주제어부(241)에서 취득된 동작 지시를, 기능 하드웨어(68)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즉, 기능 발휘부(242)는, 주제어부(241)에서 취득된 동작 지시를 기능 하드웨어(68)에 실행시킴으로써, 기능 모듈(3)의 기능을 발휘시킨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전력 공급부(69)는, 모듈 간 전력 전달부(72)를 통해 취득한 전력을 기능 모듈(3)에 공급하는 모습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예컨대 도 5의 배터리 유닛(BU)]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기능 모듈(3)에 공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 처리에 관한 상태의 천이를 도시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각 상태는, 하나의 타원형으로 도시되어 있고, 각각의 상태는, SP를 포함하는 부호에 의해 판별된다.
하나의 상태로부터 하나의 상태로의 상태 천이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하, 「상태 천이 조건」이라고 부름)이 만족되면 실행된다.
이러한 상태 천이 조건은, 도 7에 있어서는, 하나의 상태로부터 하나의 상태로의 천이를 나타내는 화살표에, A를 포함하는 부호를 붙여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가 기본의 상태가 된다.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를 근접시킴으로써 페어링을 행한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근접된다란, NFC(등록 상표)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데 유효한 거리이며, 일반적으로 10 ㎝ 정도의 거리까지 근접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를 10 ㎝ 정도의 거리까지 근접시킴으로써, 상태 천이 조건(A1)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페어링 상태(SP2)로 천이한다. 이에 의해, H 파트 공급부(121)는, H 파트를 표시 제어부(104)를 통해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페어링 후,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태 천이 조건(A2)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로 다시 천이한다.
페어링 상태(SP2)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실행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3)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로 천이한다.
그리고, 아까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를 근접시킴으로써, 상태 천이 조건(A4)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페어링 상태(SP2)로 다시 천이한다.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에 있어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작성이 종료되어,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시하는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실행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12)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로 천이한다.
한편,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 있어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추가나 변경을 소망한 경우,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제작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13)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로 천이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상태와 실제 기기 상태 2가지의 상태가 존재한다.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 있어서, 이들 2가지의 상태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시뮬레이션 버튼 등)를 누름으로써, 각각의 상태에서의, 상태 천이 조건(A10 또한 A11)을 만족시킨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상태와 실제 기기 상태는, 적절히, 천이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행 후,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실행 캔슬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5)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휴지(休止) 상태(SP4)로 천이한다.
그리고, 휴지 상태(SP4)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실행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6)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실행 상태(SP3)로 천이한다.
휴지 상태(SP4)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제작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버튼 등)를 누르면 상태 천이 조건(A7)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로 천이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작 상태(SP1)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조작자(도시하지 않은 프로그램 제작 캔슬 버튼 등)를 누르면, 천이 조건(A8)이 만족된다.
그러면, 상태는, 휴지 상태(SP4)로 천이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링 상태(SP2)와 휴지 상태(SP4)에 대해서는, 직접 천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의 표시부(27)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제작 화면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사용자 단말(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 제작 처리에 대해, 사용자에게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좌측 절반에는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화면(이하, 「사용자 표시 화면」이라고 부름)이, 우측 절반에는 실제로 제작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각종 하드웨어의 모식도(이하, 「하드웨어 모식도」라고 부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의 (a)는 사용자 단말(1)에, 어느 베이직 코어(2)의 페어링도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8의 (a)의 하드웨어 모식도를 보면, 사용자 단말(1)에는, 베이직 코어(2-O) 및 기능 모듈(3-O)(O는, 1 내지 m 중 임의의 정수값)과, 베이직 코어(2-P) 및 기능 모듈(3-P)(P는, 1 내지 m 중 O 이외의 임의의 정수값)의 어느 것도 페어링되어 있지 않다.
한편, 기능 모듈(3-O)은, 누름 버튼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기능 모듈(3-P)은, 버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a)의 사용자 표시 화면을 보면,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DA)과 H 파트 표시 영역(DHA)에는 아이콘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S 파트 표시 영역(DSA)에는, 타이머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b)는 사용자 단말(1)과, 기능 모듈(3-O)이 접속된 베이직 코어(2-O)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또한, 사용자 단말(1)과, 기능 모듈(3-P)이 접속된 베이직 코어(2-P)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b)의 사용자 표시 화면을 보면, 페어링이 이루어진 기능 모듈(3-O)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의 아이콘 및 기능 모듈(3-P)에 대응하는 버저의 아이콘이 H 파트 표시 영역(DHB)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c)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c)의 사용자 표시 화면을 보면,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DC)에는,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누름 버튼의 아이콘, 타이머(2s), 버저의 아이콘이 순서대로 표시되고, 각각의 아이콘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사용자 표시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시인하면서, 각종 H 파트 및 각종 S 파트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아이콘이 지정하는 내용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8의 (c)의 하드웨어 모식도를 보면, 동 도면의 사용자 표시 화면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 결과로서, 누름 버튼[기능 모듈(3-O)]이 눌리면, 그 2초 후에, 버저[기능 모듈(3-P)]가 울린다고 하는 동작이 실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사용자 단말(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 제작 처리에 대해, 사용자에게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며 도 8의 예와는 상이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화면, 즉 사용자 표시 화면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사용자 표시 화면을 보면,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DD)에는, H 파트로서, 좌측에는 버튼의 아이콘(HB)이 표시되고, 우측에는 풀 컬러 LED의 아이콘(HL)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사이에는, S 파트로서, 타이머의 아이콘(ST), 및 슬라이더의 아이콘(SSR, SSG, SSB)이 표시되어 있다. 타이머의 아이콘(ST), 및 슬라이더의 아이콘(SSR, SSG, SSB)의 각각은, 입력측에는 아이콘(HB)이 접속되고, 출력측에는 아이콘(HL)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타이머의 아이콘(ST)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는 S 파트이다. 환언하면, 타이머의 아이콘(ST)은, 0 또는 1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S 파트이다.
이에 대해, 슬라이더의 아이콘(SSR, SSG, SSB)은, 0 내지 255 사이의 임의의 수치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S 파트이다. 환언하면, 슬라이더의 아이콘(SSR, SSG, SSB)은,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S 파트이다.
이와 같이, S 파트는, 아날로그 신호 등의 다종다양한 정보를 입출력 정보로서 취급할 수 있다. H 파트도, 대응하는 기능 모듈(3)이 아날로그 신호 등의 다종다양한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으면, 그것에 대응하여 아날로그 신호 등의 다종다양한 정보를 입출력 정보로서 취급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사용자 표시 화면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누름 버튼(도시하지 않은 기능 모듈)이 눌리면, 미리 정해진 기간 경과 후에, 슬라이더의 아이콘(SSR, SSG, SSB)의 각각의 출력값이 R값, G값, B값의 각각으로서 LED(도시하지 않은 기능 모듈)에 전달되기 때문에, 그 R값, G값, B값으로 특정되는 컬러로 LED가 점등된다고 하는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기능 모듈(3-O) 및 기능 모듈(3-P)로서, 누름 버튼과 버저가 채용되고 있으나, 기능 모듈(3)이 발휘하는 기능은 특별히 전술한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수법이 채용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몇 가지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체예이고, 도 5 및 도 8과는 상이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보면, 기능 모듈(M1)로서, 프로펠러 부착 로켓의 장난감이 채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0의 (a)의 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H1)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버튼이 눌리면, 10초간의 카운트다운 후에 프로펠러가 회전한다고 하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어 실행되고 있다.
한편, 기능 모듈(M1)과 접속된 베이직 코어(B1)나 카운트다운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 모듈(MC)(예컨대, 스피커 등)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컨대, 기능 모듈(M1)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b)를 보면, 기능 모듈(M1)로서, 전차의 장난감이 채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0의 (b)의 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H2)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버튼이 눌리면, 사람의 소리 등에 반응하여, 전차가 발차한다고 하는 프로그램이 제작되어 실행되고 있다.
한편, 도 10의 (b)에서는 도 10의 (a)와 마찬가지로, 기능 모듈(M2)과 접속된 베이직 코어(B2)나 소리를 파악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 모듈(MA)(예컨대, 음성 센서)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컨대, 기능 모듈(M2)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많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히 아이의 교육용의 조립식 완구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이여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제작한 프로그램에 따라, 실제 기기에 의해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이는 싫증나지 않고, 프로그램의 제작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에게 즐기면서 프로그램의 제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아이는, 일반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곤란한 프로그램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지 않은 베이직 코어(2)와 사용자 단말(1)과의 페어링을 해 두면, 기능 모듈(M1, M2) 등 기능 모듈(3)은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고, 그 착탈의 상태도 프로그램 제작 화면에 반영된다. 따라서, 아이는, 하드웨어의 설계도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에 대해, 보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종 H 파트나 각종 S 파트를 조합함으로써, 각종 아이콘에 지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이 각각의 프로그램의 입출력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순한 트리거 정보뿐만이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등의 다종다양한 정보를 입출력 정보로서 취급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는, 온도 센서에 의해 취득된 정보(예컨대, 온도가 15도)를,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 등의 정보로서 출력하여, 프로그램의 제작에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디지털 신호의 정보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복잡한 정보 처리여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접속 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접속 인식 처리란,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된 베이직 코어(2)에 접속되는 기능 모듈(3)을 사용자 단말(1)이 인식하여, 상기 기능 모듈(3)의 각 접속 상태를, 사용자 단말(1)에 표시시키는 일련의 처리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접속 상태 인식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1)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8과 마찬가지로, 좌측 절반에는, 사용자 표시 화면(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화면)이, 우측 절반에는, 하드웨어 모식도(실제로 제작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각종 하드웨어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 표시 화면과 하드웨어 모식도의 도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2 및 도 13도 동일하다.
도 11의 (a)는 하드웨어 모식도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과, 기능 모듈(3-1, 3-2)이 접속된 베이직 코어(2)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기능 모듈(3-1, 3-2)의 각각은, 버튼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의 (a)의 사용자 표시 화면의 H 파트 표시 영역에는, 페어링이 이루어진 베이직 코어(2)에 접속된 기능 모듈(3-1, 3-2)의 아이콘(버튼으로 표시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1의 (a)의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프로그램 작성은 아직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표시 화면의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11의 (b)는 하드웨어 모식도에 의하면, 도 11의 (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과, 기능 모듈(3-1, 3-2)이 접속된 베이직 코어(2)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b)의 사용자 표시 화면의 H 파트 표시 영역에는, 페어링이 이루어진 베이직 코어(2)에 접속된 기능 모듈(3-1, 3-2)의 아이콘(버튼으로 표시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11의 (b)의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프로그램 작성이 행해지고 있고, 사용자 표시 화면의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에는, 기능 모듈(3-1)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의 출력측에는, 「사운드 정답」이라고 하는 아이콘이 접속되어 있고, 기능 모듈(3-2)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의 출력측에는, 「텍스트 낭독 안녕하세요」라고 하는 아이콘이 접속되어 있다.
도 11의 (b)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기능 모듈(3-1)의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사운드로서 「정답」이 실제로 출력되고, 또한, 기능 모듈(3-2)의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안녕하세요」라고 하는 텍스트가 낭독되게 된다.
도 11의 (c)는 하드웨어 모식도에 의하면, 도 11의 (b)의 상태 후에 어떠한 원인으로,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된 베이직 코어(2)와, 기능 모듈(3-1, 3-2)이 절단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c)의 상태에서는, 사용자 표시 화면의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에는, 기능 모듈(3-1)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이 소거되고, 동일 위치에 「절단」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기능 모듈(3-2)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이 소거되고, 동일 위치에 「절단」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란,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된 베이직 코어(2)에 대해, 일단 절단된 후에 재차 접속된 기능 모듈(3)을 사용자 단말(1)이 인식하여, 상기 기능 모듈(3)의 각 접속 상태를 회복시켜, 사용자 단말(1)에 표시시키는 일련의 처리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가 행해지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표시 화면의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에는, 절단의 상태[도 11의 (c)의 상태]로 표시된 「절단」을 나타내는 2개의 아이콘이 소거되고, 각각의 동일 위치에, 기능 모듈(3-1, 3-2)의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버튼의 아이콘의 표시가 부활한다.
여기서, 접속 상태가 회복된 동일종(버튼 등)의 기능 모듈(3)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예컨대 도 12의 예에서는, 버튼의 2개의 기능 모듈(3-1, 3-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드웨어 부품과 관련지어야 할지에 대해, 그 조합이 복수 존재하는 점이 문제가 된다.
이 점에 있어서, 예컨대, 기능 모듈(3)(하드웨어 부품)과 소프트웨어 부품이 프로그램에 있어서 관련지어져 있었던 경우에, 사용자 단말(1)은, 그 기능 모듈(3)(하드웨어 부품)에 대해 일의적으로 식별 가능한 부호를 기억시켜 두고, 기능 모듈(3)의 접속 상태가 회복된 경우에, 상기 부호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부품과의 관련지음을 자동으로 회복시켜도 좋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의 도 12와는 상이한 예의 처리 시에, 도 2의 사용자 단말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예의 재접속 관련지음 처리에서는, 사용자 단말(1)과 페어링된 베이직 코어(2)에 대해, 일단 절단된 후에 재차 접속된 기능 모듈(3-1, 3-2)이 사용자 단말(1)에 의해 인식되고, 상기 기능 모듈(3-1, 3-2)의 각 접속 상태의 회복 시에, 그 회복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킨다.
즉, 도 13의 하드웨어 모식도에 의하면, 접속 상태가 회복된 기능 모듈(3)이 복수 대 존재하는 경우[도 13의 예에서는, 기능 모듈(3-1, 3-2)이라고 하는 2대가 존재하는 경우], 그 회복을 사용자에게 확인시키는 대상의 기능 모듈(3)[도 13의 예에서는 기능 모듈(3-1)]은, LED를 점등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그 대상을 확실히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표시 화면의 프로그램 제작 시 표시 영역에 있어서, 대상의 기능 모듈(3)[도 13의 예에서는 기능 모듈(3-1)]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에 근접하도록 확인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이 확인 다이얼로그에는, 예컨대 「플러그를 접속한 브랜치는 지금 LED가 점등되어 있는 버튼입니까? 예 아니요」라고 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에 대해, 「예」 또는 「아니요」의 선택 조작을 할 수 있다.
「예」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능 모듈(3-1)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의 출력측에 대한, 「사운드 정답」이라고 하는 아이콘의 접속(관계지음)이 회복된다.
한편, 기능 모듈(3-2)측의 접속의 회복은, 마찬가지로, 기능 모듈(3-2)의 LED를 표시시키면서, 상기 기능 모듈(3-2)에 대응하는 버튼의 아이콘에 근접하도록 확인 다이얼로그를 표시시켜도 좋다. 혹은, 기능 모듈(3-1)의 접속의 회복과 동시에, 기능 모듈(3-2)의 접속을 자동적으로 회복시켜도 좋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즉, 제어 장치[사용자 단말(1)]와, 상기 제어 장치[사용자 단말(1)]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2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사용자 단말(1)] 및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 장치[사용자 단말(1)]와 페어링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와 통신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를 조합하여 실행시키는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마다 관련짓는 처리 관련지음 단계와,
상기 처리 관련지음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관련지어진 상기 2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와 상기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가 절단된 것을 검지하는 통신 상태 검지 단계와,
상기 통신 상태 검지 단계에서 상기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가 절단된 것이 검지된 상기 2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가, 상기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베이직 코어(2)]와의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가 회복된 경우에, 관련지어져 있던 처리마다, 상기 2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기능 모듈(3)]의 어느 것과 관련지을지에 대해 확인을 행하는 관련지음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1)과 베이직 코어(2)의 페어링은, NFC(등록 상표)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페어링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한하지 않고, 어떠한 수단에 의해 페어링을 행해도 좋다.
더 말하자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1)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규격에 따른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작한 프로그램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한하지 않고,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직 코어(2)의 수와 기능 모듈(3)의 수를 모두 m으로 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베이직 코어(2)의 수와 기능 모듈(3)의 수는, 동일해도 상관없고, 또한, 상이해도 상관없다.
즉, 1대의 베이직 코어(2)에 대해, s대(s는 1 이상의 임의의 정수값)의 기능 모듈(3)을 접속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환언하면, 도 6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정보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어떠한 기능 블록을 이용할 것인지는 특별히 도 4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블록의 존재 장소도, 도 6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여도 좋다.
또한, 하나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좋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편입되어 있는 컴퓨터여도 좋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예컨대 서버 외에 범용의 스마트폰이나 퍼스널 컴퓨터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시하지 않은 리무버블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이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편입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을 환언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각종 각양의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수단[예컨대, 도 6의 프로그램 실행부(103)]과,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수단[예컨대, 도 6의 페어링부(101)과,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의 상태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예컨대, 도 6의 접속 확인부(111)]
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이면 충분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제작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용이한 조작(아이콘을 조합하여 연결시키는 등)에 의해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1: 사용자 단말 2: 베이직 코어
3: 기능 모듈 21: CPU
27: 표시부 30: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31: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41: CPU
45: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46: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47: 접속부 48: 전원부
51: 모듈 간 통신부 52: 모듈 간 전력 전달부
61: CPU 67: 접속부
68: 기능 하드웨어 69: 전력 공급부
71: 모듈 간 통신부 72: 모듈 간 전력 전달부
101: 페어링부 102: 프로그램 제작부
103: 프로그램 실행부 104: 표시 제어부
105: 통신 제어부 111: 접속 확인부
121: H 파트 공급부 122: S 파트 공급부
123: 파트 결합부 124: 확정부
131: 시뮬레이션부 132: 실제 기기부
201: 페어링부 202: 단말 통신 제어부
203: 기능 모듈 통신 제어부 204: 주제어부
241: 주제어부 242: 기능 발휘부
500: 프로그램 저장부 600: S 파트 DB

Claims (10)

  1.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수단과,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수단과,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의 상태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
    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상기 제어 장치 내에서 가상적으로 실행하는 시뮬레이션 수단과,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하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제로 실행하는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인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부품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상기 제어 장치 내에서 발휘시키는 소프트웨어 부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부품 중에서, 2개 이상의 부품을 조합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2개 이상의 부품의 조합을 확정하는 확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실행 수단은, 상기 확정부에 의해 확정된 상기 2개 이상의 부품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인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부품을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인 제어 장치.
  6.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단계와,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실행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단계와,
    상기 제어 실행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의 상태를 제시하는 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실행 단계와,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제어 실행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단계와,
    상기 제어 실행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의 상태를 제시하는 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8.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 중 세트를 형성하는 것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이 될 때,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 중 세트를 형성하는 것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이 될 때,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하는 기능과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는 기능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갖는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1개 이상의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 중 세트를 형성하는 것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세트를 복수 조합하여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이 될 때, 미리 정해진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의 페어링을 실행하는 페어링 실행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97027612A 2017-02-24 2018-02-21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86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4019 2017-02-24
JP2017034019 2017-02-24
PCT/JP2018/006178 WO2018155483A1 (ja) 2017-02-24 2018-02-21 制御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030A true KR20190131030A (ko) 2019-11-25
KR102286283B1 KR102286283B1 (ko) 2021-08-04

Family

ID=6325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612A KR102286283B1 (ko) 2017-02-24 2018-02-21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24196B2 (ko)
EP (1) EP3588270B1 (ko)
JP (1) JP6959976B2 (ko)
KR (1) KR102286283B1 (ko)
CN (1) CN110462584B (ko)
SG (1) SG11201907828XA (ko)
TW (1) TWI778023B (ko)
WO (1) WO2018155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1187B2 (ja) * 2018-06-20 2021-04-21 Vivita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20095532A (ja) * 2018-12-13 2020-06-18 Vivita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CN111684414A (zh) * 2019-04-29 2020-09-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可视化编程控制装置、可编程控制的设备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编程控制系统
CN113542852B (zh) * 2021-07-13 2023-03-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与外部设备快速配对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85A (ja) 1996-10-09 1998-04-28 Syst Watt:Kk 組立ブロック及び組立式玩具システム
US20170052678A1 (en) * 2014-05-15 2017-02-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299A (ja) * 2000-06-21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開発手段及び実行手段
US7756485B2 (en) * 2006-11-13 2010-07-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wireless mode indicators
US20090005071A1 (en) * 2007-06-28 2009-01-01 Apple Inc. Event Triggered Content Presentation
WO2009047225A1 (en) * 2007-10-11 2009-04-16 Lego A/S A toy construction system
US8874093B2 (en) * 2007-12-13 2014-10-28 Motorola Mobility Llc Scenarios creation system for a mobile device
JP4886063B2 (ja) * 2009-12-04 2012-02-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状態報知装置、状態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76991B2 (en) * 2010-01-13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chanisms and systems for enabling, transmitting and maintaining interactivity features on mobile device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JP5873671B2 (ja) * 2011-09-16 2016-03-01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5930777B2 (ja) 2012-03-05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90297A (ko) * 2012-12-20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방법 및 장치
US9052891B2 (en) * 2013-05-14 2015-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larative configuration and execution of card content management operations for trusted service manager
CN104219374A (zh) * 2013-06-04 2014-12-17 李旭阳 基于下一代智能手机的人机交互系统
KR102147686B1 (ko) * 2013-06-21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장치 및 방법
US20150220246A1 (en) * 2014-02-05 2015-08-06 Rollin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hysical Structures for Pest Control
TWM489679U (en) * 2014-05-23 2014-11-11 Genius Toy Taiwan Co Ltd Wireless remote-control toy
CN204134197U (zh) * 2014-08-07 2015-02-04 深圳市捷通语音电子有限公司 智能玩具系统
JP6149822B2 (ja) 2014-08-21 2017-06-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88777B1 (ko) * 2014-09-22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JP6425600B2 (ja) * 2015-03-30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854654B2 (en) * 2016-02-03 2017-12-26 Pqj Cor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of a programmable lighting fixture with embedded memo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85A (ja) 1996-10-09 1998-04-28 Syst Watt:Kk 組立ブロック及び組立式玩具システム
US20170052678A1 (en) * 2014-05-15 2017-02-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283B1 (ko) 2021-08-04
CN110462584A (zh) 2019-11-15
JP6959976B2 (ja) 2021-11-05
WO2018155483A1 (ja) 2018-08-30
TW201835869A (zh) 2018-10-01
EP3588270B1 (en) 2022-06-01
US11024196B2 (en) 2021-06-01
SG11201907828XA (en) 2019-09-27
TWI778023B (zh) 2022-09-21
JPWO2018155483A1 (ja) 2020-01-16
US20190378433A1 (en) 2019-12-12
EP3588270A1 (en) 2020-01-01
CN110462584B (zh) 2022-11-25
EP3588270A4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1030A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N106485956A (zh) 一种演示电子设备功能的方法、装置和智能终端
US20180277015A1 (en) Adaptive assembly guidance system
KR101843831B1 (ko) 쪼물락 코딩 블록
EP3338411A1 (e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interoperability testing device
US9798834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3D model
KR102447077B1 (ko) 정보 처리 장치
KR102410923B1 (ko) Ar 기술을 책에 적용한 코딩 교육 기반의 ar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131107B2 (en) Telepresence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JP202303297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90120855A (ko) 피지컬 소프트웨어 코딩교육장치
JP2022084961A (ja) 情報処理装置
US20040072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y using web
EP38957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317195B1 (ko) 가상현실 체험학습 시스템의 가상현실 포토북 생성방법
Sun Through Case Study of Smart Lock to Explore Natural Interaction in MR based Smart Home Controller
JP202303297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Daghameen et al. Alphabets Learning Game Using Video Projection Mapping
TW201124906A (en) Interactive system
CN115631323A (zh) Ar导览系统及ar导览方法
JPWO2019111604A1 (ja) 第1の情報処理装置、第2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40135883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다용도 로봇 플랫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