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752A -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752A
KR20190130752A KR1020180055245A KR20180055245A KR20190130752A KR 20190130752 A KR20190130752 A KR 20190130752A KR 1020180055245 A KR1020180055245 A KR 1020180055245A KR 20180055245 A KR20180055245 A KR 20180055245A KR 20190130752 A KR20190130752 A KR 20190130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ater
absorbing member
moisture
water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이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용 filed Critical 이기용
Priority to KR102018005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752A/ko
Publication of KR2019013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1)의 내부 또는 싱크대(1)의 밑에 배치되며,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싱크대(1)에서 누수되는 물을 흡수하는 수분흡수부재(10); 및 상기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되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하는 누수감지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모듈(20)은, 상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30); 상기 수분감지센서(30)로부터 수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0);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30) 및 스피커(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누수감지기{Water leakage sensor for a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누수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서 누수되는 것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에는 일반적으로 주방이 구비되고 이 주방에는 싱크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면에 개수대가 구비되고 이 개수대의 후방에 급수전이 설치된다. 그리고 싱크대의 개수대 하측에는 개수대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급수전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설치되며, 개수대 하측은 개폐도어에 의해 평상시에는 은폐된다.
그런데 요리를 할 때 식자재를 세척하거나 설거지를 하는 등 주방일은 매일 여러 차례 하기 때문에 물이 반복적으로 많이 사용되므로, 배관의 노후 또는 수압 등으로 인해 싱크대의 급수관 및 배수관의 연결부위 등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싱크대의 급수관과 배수관은 개폐도어에 의해 은폐되어 있는 개수대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싱크대의 외부에서는 누수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가 없어 장시간 방치하게 됨으로써 2차 피해를 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2차 피해의 예로는 누수가 싱크대 밑으로 흘러가서 목재로 이루어진 마룻바닥이 썩거나, 누수가 싱크대 내부에 고이면 목재로 이루어진 싱크대가 부식되거나 또는 싱크대의 개수대 하측에 수납된 물품들이 침수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음식물처리기를 싱크대의 개수대 하측에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음식물처리기의 전선에 누수된 물이 유입되면서 누전 등으로 인해 기기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싱크대의 누수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장시간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1)의 내부 또는 싱크대(1)의 밑에 배치되며,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싱크대(1)에서 누수되는 물을 흡수하는 수분흡수부재(10); 및 상기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되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하는 누수감지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모듈(20)은, 상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30); 상기 수분감지센서(30)로부터 수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0);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30) 및 스피커(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분흡수부재(10)는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대(1)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싱크대(1)의 내부 또는 밑으로 누수되는 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싱크대(1)의 누수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싱크대(1)의 누수를 장시간 방치하여 발생되는 2차 피해 즉, 마룻바닥 부식, 싱크대 부식, 침수, 누전 등으로 인한 기기고장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싱크대용 누수감지기는 누수감지모듈(20)이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된 형태이므로, 수분흡수부재(10)의 면적을 넓게 하여 싱크대(1)의 내부 또는 밑의 넓은 수평면적을 커버함에 따라 누수의 염려가 있는 보다 넓은영역을 단일의 감지기를 이용하여 누수감지 및 알람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수분흡수부재(10)가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됨으로써, 수분흡수부재(10)가 수분이 흡수된 상태에서도 표면에는 물기가 없기 때문에 목재인 마룻바닥(6)이나 싱크대(1)의 부식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파지가 용이하여 교체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누수감지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누수감지기의 설치상태 및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누수감지기는 싱크대(1)에서 누수된 물을 흡수하는 수분흡수부재(10) 및 이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누수감지모듈(20)을 포함한다. 이때, 싱크대(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면에 개수대(2)가 구비되고, 이 개수대(2)의 후방에 급수전(3)이 설치된다. 또한 개수대(2)의 하측에는 개수대(2)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4) 및 급수전(3)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5)이 설치된다.
상기 수분흡수부재(10)는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싱크대(1)에서 누수된 물을 흡수한다. 여기서, 싱크대(1)에서 누수된 물은 개수대(2)와 배수관(4)의 연결부위나 급수관(5)과 벽면 또는 급수전(3)과의 연결부위 등에서 누수된 물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수분흡수부재(10)는 싱크대(1)의 내부 즉, 개수대(2)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싱크대(1) 밑의 마룻바닥(6)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위치에서 누수된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흡수부재(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흔히 사용되는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수분흡수부재(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수분 흡수력이 우수하고 큰 압력이 작용하지 아니하고서는 수분을 방출하지 않아서 기저귀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분흡수부재(10)에 수분이 흡수되더라도 수분흡수부재(10)의 표면에는 물기가 없기 때문에, 수분흡수부재(10)가 놓인 마룻바닥(6)에는 물기가 형성되지 않아서 목재인 마룻바닥(6)의 부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수분흡수부재(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교체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누수감지모듈(20)은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되어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것으로, 수분감지센서(30), 스피커(40) 및 배터리(50)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감지센서(30)는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물을 감지하며, 수분이 감지되면 수분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스피커(40)는 수분감지센서(30)로부터 수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때, 스피커(40)에는 수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제어신호가 인쇄된 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어 별도의 제어부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50)는 수분감지센서(30)와 스피커(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이러한 누수감지모듈(20)은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되는 하나의 케이스(21)의 일측 및 타측에 수분감지센서(30) 및 스피커(40)가 작동회로 등으로 연결 구비되고,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배터리(50)가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21)에는 스피커(4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는 리셋버튼(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누수감지기는 도 1과 같이 싱크대(1)의 밑에 배치시키는데 마룻바닥(6)에 올려놓되 누수발생이 좀 더 유력한 배수관(4)과 근접되게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누수감지기는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싱크대의 개수대 하측의 내벽 등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편의성이 향상되며 브래킷, 브래킷 설치용 나사 등의 부품 등이 요구되지 않아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싱크대(1)의 급수관(5)이나 배수관(4)의 연결부위 등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된 물은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수분감지센서(30)는 싱크대(1)의 바닥판(6)에 올려진 수분흡수부재(10)의 저면과 근접되게 위치되어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물을 보다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감지센서(30)가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면, 스피커(40)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싱크대(1)의 외부에 위치한 사람에게 누수가 발생된 것을 알려주게 되므로,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싱크대(1)의 내부 또는 싱크대(1)의 밑으로 누수된 것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누수감지모듈(20)을 수분흡수부재(10)에 착탈되도록 하여 수분흡수부재(10)만 교체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싱크대 2 : 개수대
4 : 배수관 5 : 급수관
10 : 수분흡수부재 20 : 누수감지모듈
30 : 수분감지센서 40 : 스피커
50 : 배터리 22 : 리셋버튼

Claims (2)

  1. 싱크대(1)의 내부 또는 싱크대(1)의 밑에 배치되며,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싱크대(1)에서 누수되는 물을 흡수하는 수분흡수부재(10); 및
    상기 수분흡수부재(10)에 매입되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하는 누수감지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모듈(20)은,
    상기 수분흡수부재(10)로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30);
    상기 수분감지센서(30)로부터 수분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0);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30) 및 스피커(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부재(10)는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를 포함하는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KR1020180055245A 2018-05-15 2018-05-15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KR20190130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45A KR20190130752A (ko) 2018-05-15 2018-05-15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45A KR20190130752A (ko) 2018-05-15 2018-05-15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52A true KR20190130752A (ko) 2019-11-25

Family

ID=6873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245A KR20190130752A (ko) 2018-05-15 2018-05-15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97B1 (ko) * 2022-09-08 2023-02-23 블루에이션 주식회사 주방싱크대 급수 시설 누수 감지 통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197B1 (ko) * 2022-09-08 2023-02-23 블루에이션 주식회사 주방싱크대 급수 시설 누수 감지 통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824B2 (en) Sanitary automatic water leakage detection and shut-off apparatus
US7124772B1 (en) Laundry room and appliance mat
US8416089B1 (en) Leak detecting tray device
US4804947A (en) Water sensing apparatus
US20070063856A1 (en) Monitoring system for drain pipes and plumbing fixtures
US9245438B2 (en) Water leak detector for a pipe having a retention reservoir
WO2010132118A2 (en) Protective mat
JP2017145658A (ja) 水洗式便器
AU2018292398B2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KR20190130752A (ko) 싱크대용 누수감지기
CA2912207C (en) Toilet usage sensing system
GB227255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oding from a water using appliance
NO336923B1 (no) Lekkasjesikringsmodul
JP2015104626A (ja) トイレ用設備
JP2004184101A (ja) 床下漏水検知装置
KR10114348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2015008802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CA2375037C (en) Sump pump and moisture alarm
KR200264930Y1 (ko) 천정용 누수인식 보조기구
KR100965307B1 (ko) 경광 누수감지기
JP2001061684A (ja) 洗面化粧台・流し台における漏水防止装置
TWM499876U (zh) 衛浴設備之防溢及警報裝置
CN211070126U (zh) 一种应用于化学抑尘系统的设备柜
JP2017153685A (ja) 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