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31A -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31A
KR20190130331A KR1020180054840A KR20180054840A KR20190130331A KR 20190130331 A KR20190130331 A KR 20190130331A KR 1020180054840 A KR1020180054840 A KR 1020180054840A KR 20180054840 A KR20180054840 A KR 20180054840A KR 20190130331 A KR20190130331 A KR 2019013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uct
wind direction
slide
ai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331A/ko
Publication of KR2019013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에어벤트는: 공기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덕트부와, 덕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노브부와, 덕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노브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풍향조절부 및 일측은 덕트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풍향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에어벤트{SLIDE TYPE AIR VEN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안내하는 댐퍼와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 사이에 틈이 발생됨을 차단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조시스템이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냉기나 온기를 자동차 실내에 토출 하기 위해 에어벤트가 구비된다.
차량용 에어벤트는, 덕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댐퍼와, 댐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노브(knob)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노브(knob)가 회전됨에 따라 댐퍼가 연동하여 에어벤트가 닫히거나 열리며 공기 배출량이 조절된다.
종래에는 덕트와 댐퍼 사이에 발생된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여 송풍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안내하는 댐퍼와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 사이에 틈이 발생됨을 차단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는: 공기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덕트부와, 덕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노브부와, 덕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노브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풍향조절부 및 일측은 덕트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풍향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덕트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부가 양측에 구비되는 덕트몸체부 및 가이드부의 일측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기 위한 홈부를 덕트몸체부의 내측에 형성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홈부는 덕트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풍향조절부는, 노브부의 이동으로 회전되며 좌우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윙부재 및 덕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윙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내측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및 일측은 덕트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제1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는 사각형의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는, 상하 방향으로 풍향을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와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부 사이에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풍향조절부와 덕트부 사이로 공기가 누설됨을 차단하므로 공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의 구조에서 전면커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상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직진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하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의 구조에서 전면커버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상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직진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가 하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1)는, 공기가 이동되는 내측통로(15)를 구비하는 덕트부(10)와, 덕트부(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W)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노브부(20)와, 덕트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노브부(2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풍향조절부(30) 및 일측은 덕트부(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풍향조절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부(10)는 공기가 이동되는 내측통로(15)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10)는 덕트몸체부(12)와 안내홈부(17)를 포함한다.
덕트몸체부(12)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13)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부(14)가 양측에 구비된다. 덕트몸체부(12)의 입구부(13)를 통해 내측통로(15)로 유입된 공기는 풍향조절부(30)를 통과한 후 덕트몸체부(12)의 출구부(14)를 통해 덕트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덕트몸체부(12)는 직사각형 단면의 내측통로(15)를 구비하거나 원형이나 타원형의 내측통로(15)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통로(15)의 단면적을 추가로 증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안내홈부(17)와 입구부(13) 사이에 위치하는 덕트몸체부(12)의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안내홈부(17)는 가이드부(4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기 위한 홈부를 덕트몸체부(12)의 내측에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홈부(17)는 덕트몸체부(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일 실싱예에 따른 덕트몸체부(12)의 내측에는 직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내측통로(15)가 위치하며, 덕트몸체부(12)도 직사각형의 덕트 형상이다.
이러한 덕트몸체부(12)의 내측에 설치되는 안내홈부(17)는 가이드부(40)가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직선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덕트몸체부(1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된 안내홈부(17)는, 덕트몸체부(12)의 출구부(14)를 향한 일측은 막혀 있으며 입구부(13)를 향한 타측은 개방된 상태이다. 전면커버(18)는 덕트몸체부(12)의 전방에 결합되며 덕트몸체부(12)의 출구부(1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노브부(20)는 덕트부(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W)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브부(20)는 노브연결부재(22)를 통해 노브회전축(24)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봉 형상인 노브회전축(24)은 풍향조절부(30)의 윙부재(32)에 연결되어 윙부재(32)를 좌우 방향(W)으로 회전시킨다.
노브부(20)는 사용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노브부(20)와 노브회전축(24)은 노브연결부재(22)에 의해 연결되어 조작력이 전달된다.
풍향조절부(30)는 덕트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노브부(2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므로 좌우 방향(W)으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부(30)는 윙부재(32)와 내측케이스(34)와 제1돌기부재(36)를 포함한다.
윙부재(32)는 노브부(20)의 이동으로 회전되며, 좌우 방향(W)으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복수의 윙부재(32)는 판이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링크로 연결되어 같이 좌우 방향(W)으로 회전된다. 또한 윙부재(32)는 노브회전축(24)이나 노브연결부재(22)에 연결되어 노브부(2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내측케이스(34)는 덕트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윙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케이스(34)는 사각관 형상이며, 이러한 내측케이스(34)의 내측에 복수의 윙부재(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내측케이스(34)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재(36)는 덕트부(10)에 구비된 제1안내홈부(50)를 따라 이동된다. 제1돌기부재(36)는 가이드부(40)와 연결되는 내측케이스(3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된다. 덕트몸체부(12)와 마주하는 내측케이스(34)의 상하 양측면에서 돌출된 제1돌기부재(36)는 덕트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1안내홈부(50)를 따라 이동된다.
노브부(20)의 좌우 방향(W) 이동으로 윙부재(32)가 좌우 방향(W)으로 회전되며 풍향을 조절하는 구성은 에어벤트를 설계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부(40)는 덕트부(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을 상하 방향(V)으로 조정한다. 가이드부(40)의 일측은 안내홈부(17)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풍향조절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부(40)는 상하 한 쌍을 이루며 풍향조절부(30)에 연결되며, 풍향조절부(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같이 이동되며 가이드부(40)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방향(V)으로 가이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0)는 제1가이드(42)와 제2가이드(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가이드(42)는 내측케이스(34)의 상측과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가이드(44) 일측은 덕트부(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제2가이드(44)의 타측은 제1가이드(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42)와 제2가이드(44)는 사각형의 판 형상이다.
제1가이드(4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풍향조절부(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가이드(42)는 제1돌기부재(36)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힌지부품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제2가이드(44)도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일측은 안내홈부(17)의 내측에 삽입되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가이드(42)와 제2가이드(44)는 고무소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안내홈부(17)와 제2가이드(44)의 사이에는 윤활유를 도포하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부드러운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0)의 설치로, 덕트부(10)를 따라 풍향조절부(30)로 이동되는 공기가 덕트부(10)와 풍향조절부(30)의 사이로 누설됨을 차단하여 유량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0)는 최소한 1회 이상 꺾이는 링크 구조이므로, 풍향조절부(30)가 상하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40)의 링크가 꺾이면서 공기의 이동을 상하로 안내한다.
그리고 가이드부(40)의 내측에는 별도의 장애물이 없으며, 가이드부(40) 전체가 상하 방향(V)으로 이동되며 공기의 상하 방향(V) 이동을 안내하므로, 공기 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앞뒤로 움직이면서 공기의 상하 흐름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1가이드(42)와 제2가이드(4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가이드(42)와 풍향조절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1가이드(42)와 제2가이드(44)가 앞뒤 및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관절 역할을 수행한다.
제1가이드(42)부(40)는 풍향조절부(30)의 제1돌기부재(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돌기부재(36)는 덕트부(10)의 내측에 구비된 곡선 형상의 제1안내홈부(5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제2가이드(44)는 제1가이드(42)에 구비된 제2돌기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제2돌기부재(43)는 덕트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안내홈부(6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에어벤트(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에어벤트(1)가 직진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노브부(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가이드(44)는 안내홈부(17)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가이드(44)에 힌지 연결된 제1가이드(42)도 덕트부(10)의 가운데에 위치한 풍향조절부(30)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덕트부(10)의 입구부(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40)와 풍향조절부(3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수평방향으로 토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에어벤트(1)가 상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노브부(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노브부(20)의 동작에 의해 풍향조절부(30)는 하측으로 이동되며, 풍향조절부(30)에 연결된 제1가이드(42)의 상측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덕트부(10)의 입구부(13)로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42)에 의해 풍향조절부(30)가 설치된 하측으로 안내된 후 풍향조절부(30)를 통과하며 다시 상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에어벤트(1)가 하향 풍향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노브부(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노브부(20)의 동작에 의해 풍향조절부(30)는 상측으로 이동되며, 풍향조절부(30)에 연결된 제1가이드(42)의 하측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덕트부(10)의 입구부(13)로 유입된 공기는 제1가이드(42)에 의해 풍향조절부(30)가 설치된 상측으로 안내된 후 풍향조절부(30)를 통과하며 다시 하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방향(V)으로 풍향을 안내하는 풍향조절부(30)와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덕트부(10) 사이에 가이드부(40)가 설치되어 풍향조절부(30)와 덕트부(10) 사이로 공기가 누설됨을 차단하므로 공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V)으로 풍향을 조절하는 가이드부(40)의 내측에 별도의 장애물이 없으므로 단면적 확보를 통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통기 저항이 감소되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부(10)와 풍향조절부(30)의 사이에 관절형 링크인 가이드부(40)가 설치되므로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여 덕트부(10)의 차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10: 덕트부 12: 덕트몸체부
13: 입구부 14: 출구부
15: 내측통로 17: 안내홈부
18: 전면커버 20: 노브부
22: 노브연결부재 24: 노브회전축
30: 풍향조절부 32: 윙부재
34: 내측케이스 36: 제1돌기부재
40: 가이드부 42: 제1가이드
43: 제2돌기부재 44: 제2가이드
50: 제1안내홈부 60: 제2안내홈부
W: 좌우 방향 V: 상하 방향

Claims (6)

  1. 공기가 이동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노브부;
    상기 덕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노브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풍향조절부; 및
    일측은 상기 덕트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상기 풍향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부가 양측에 구비되는 덕트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되기 위한 홈부를 상기 덕트몸체부의 내측에 형성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덕트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노브부의 이동으로 회전되며 좌우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윙부재; 및
    상기 덕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윙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측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및
    일측은 상기 덕트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측은 상기 제1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는 사각형의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KR1020180054840A 2018-05-14 2018-05-14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KR20190130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40A KR20190130331A (ko) 2018-05-14 2018-05-14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40A KR20190130331A (ko) 2018-05-14 2018-05-14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31A true KR20190130331A (ko) 2019-11-22

Family

ID=6873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40A KR20190130331A (ko) 2018-05-14 2018-05-14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3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CN11330636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通风装置
KR20220142235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CN113306361A (zh) * 2020-02-26 2021-08-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通风装置
CN113306361B (zh) * 2020-02-26 2024-02-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通风装置
KR20220142235A (ko)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0331A (ko) 슬라이드형 에어벤트
EP3142876B1 (en)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EP1787836B1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261175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4406214A (en) Bypass passageway construction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EP360493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US20180038613A1 (en) Air conditioner
KR20180050695A (ko) 플로어-스탠딩 에어 컨디셔너
KR20190034731A (ko) 에어벤트의 노브 일체형 댐퍼 개폐 장치
KR20200074913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CN103994502A (zh) 空调柜机
US6146265A (en) Vehicle air outlet assembly
KR20190120073A (ko) 차량용 공기 통풍구
CN211195781U (zh) 用于将不同方向的气流引导到车辆内部的通气孔
CN101073979B (zh) 车辆空调组件
KR100699599B1 (ko) 에어덕트용 댐퍼의 결합구조
CN112177952A (zh) 风机结构及空调器
JP2015123834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3056894A (ja) ダクト構造
CN112303727A (zh) 空调室内机
KR102053041B1 (ko) 기계식 조립형 정풍량 댐퍼
CN205351518U (zh) 空调器
KR20220046663A (ko) 에어컨
KR102289922B1 (ko) 양방향 송풍기
CN213775734U (zh) 风机结构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