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102A - 접이식 계상 - Google Patents

접이식 계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102A
KR20190130102A KR1020180054255A KR20180054255A KR20190130102A KR 20190130102 A KR20190130102 A KR 20190130102A KR 1020180054255 A KR1020180054255 A KR 1020180054255A KR 20180054255 A KR20180054255 A KR 20180054255A KR 20190130102 A KR20190130102 A KR 2019013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resent
phase
folding means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392B1 (ko
Inventor
박정균
Original Assignee
박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균 filed Critical 박정균
Priority to KR102018005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하고, 특히 이웃한 두 개의 벽체를 접힘 수단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계상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는 접어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게 하여 한 번에 많은 수의 계상을 운반하거나 좁은 공간에 더 많은 계상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접힘 수단으로 연결한 두 개의 벽체 가장자리에 차광막을 설치하므로, 벽체 사이로 빛이나 바람 등이 계상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쾌적한 양봉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두 개의 벽체를 연결하는 접힘 수단으로, 경첩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 등을 이용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구입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계상{FOLDING SUPER}
본 발명은 접이식 계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벽체로 이루어져서 마주하는 양면을 개방한 형태로 이루어진 계상을 제작할 때, 이웃한 두 개의 벽체를 접힘 수단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과 운반할 때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하는 데 사용하는 벌통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부가 막힌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한 상부를 덮개 등으로 막아서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한 단상(10)과, 이 단상(10) 위에 올려놓고 여러 단으로 쌓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을 개방한 계상(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계상(20)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7196호
계상용 보강프레임 및 그 보강프레임이 적용된 계상형 벌통에 관한 것으로, 계상 하단에 결합하는 사각 구조의 보강프레임을 구성하되, 보강프레임은 지지부의 양단에 내벽부와 외벽부가 수직 상부로 각각 돌출하고, 외벽부 하부로 하부돌출부가 지지부에 대해 수직 돌출되며, 그 하부돌출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안착부가 일체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단을 감싸는 보강채널을 결합한 벌통, 하단의 보강프레임과 상단을 감싸는 보강채널을 결합한 계상, 뚜껑이 순차로 조립된 계상형 벌통을 구성하여, 보강프레임과 보강채널에 의해서 사용 과정에서 외력이나 부딪힘에도 상하단이 보호되어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양봉에 사용할 수 있는 계상형 벌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1667호
목재 계상 벌통을 적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합성수지벌통구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 몸체 상단부의 연약한 돌출 구조를 제거하고, 목재 계상 벌통과의 결합부위의 지지프레임 구조를 강화하여, 가벼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을 사용하더라도, 합성수지 구조의 계상형 벌통 상에 목재 벌통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3121호
양봉사육에 있어서 노령화, 고령화로 인해 무게 노동력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줄이고 현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 할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려고 지렛대 효과를 이용함이다. 계상분리 조립 작업을 할때 일반적으로 한다면 수평대의 끝부분에 힘이 모여 자연스럽게 분리, 조립하기보다는 반 강제적인 실행이 될수 있기에. 벌들의 스트레스와 소요를 많이 줄이기 위해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 수평유지조절 장치이다 분리할 때 힘을 분산시켜 쉽게 분리되고 분해 상태에서도 작업이 쉽게 수평을 유지함으로 짧은 시간에 안정적이며 많은 양도 작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계상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 벌통은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므로, 단상 위에 올려놓는 계상과 이와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제작해야 한다.
(2) 이에, 하나의 계상이 차지하는 공간은 벌통 하나의 크기와 같으므로, 한정된 공간에 계상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1ton 트럭과 같이 소형으로 운반할 때는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계상에 한계가 있다.
(3) 또한, 겨울철과 같이 벌통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계상을 보관해야 하는 데, 이처럼 보관할 때도 벌통 크기의 계상을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 장소가 커지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7196호 (공개일 : 2017.05.04)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1667호 (공개일 : 2017.05.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3121호 (공개일 : 2017.06.2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통상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하고, 특히 이웃한 두 개의 벽체를 접힘 수단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계상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는 접어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게 하여 한 번에 많은 수의 계상을 운반하거나 좁은 공간에 더 많은 계상을 보관할 수 있게 한 접이식 계상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접힘 수단으로 연결한 두 개의 벽체 가장자리에 차광막을 설치하므로, 벽체 사이로 빛이나 바람 등이 계상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쾌적한 양봉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접이식 계상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두 개의 벽체를 연결하는 접힘 수단으로, 경첩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 등을 이용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구입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접이식 계상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은,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하되,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하며, 개방한 한쪽에는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 바깥 면의 가장자리에 플랜지(120)를 덧대어 다른 계상 위에 올려놓고 끼울 수 있게 하고, 개방한 다른 한쪽에는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의 바깥 면에 걸림 턱(130)을 갖춘 계상 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는, 이웃한 가장자리에 접힘 수단(140)을 갖춰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접힘 수단(140)은, 경첩 또는,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을 띠 형태로 형성하여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이웃한 두 개의 가장자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벽체(110a, 110b, 110c, 110d)의 이웃하여 접히는 가장자리의 바깥 면에는, 각각 차광망(111)을 부착하여 계상 본체(110) 안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광망(111)은, 부직포, PE 차광막,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마주하는 양쪽 면을 개방하고 이웃한 벽체를 접힘 수단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하나의 접이식 계상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2)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을 운반할 때 기존 계상과 비교하여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개수를 세 배 이상 늘릴 수 있고, 또한 계상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보관 면적도 운반할 때와 같이 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3) 또한, 이러한 접힘 수단으로 경첩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계상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구입해서 벽체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또한, 이러한 접힘 수단이 부서지거나 망가지더라도 주변에서 접힘 수단을 대체할 수 있는 재질을 구해서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5) 한편, 이웃한 벽체를 연결한 가장자리 부분에 차광막을 설치하므로, 햇빛이나 빗물 등이 계상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양봉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이때, 차광막은 계상의 바깥에서 벽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계상을 자주 접거나 펼치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7) 이러한 차광막으로 부직포나 PE 차광막, 또는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 등 차광 효과가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단상 위에 계상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상 위에 계상을 올려놓기 전의 분해한 단면도이고, (b)는 단상 위에 계상을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계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계상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계상의 사용 전후를 보여주는 평면도로, (a)는 계상을 사용하려고 펼친 상태를, (b)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 또는 운반하려고 접는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계상의 구성 전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이식 계상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하는 계상 본체(1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웃한 두 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는 접힘 수단(140)으로 연결하여 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하나의 접이식 계상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을 운반할 때는 한 번에 많은 개수의 접이식 계상을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할 때도 좁은 공간에 많은 개수의 접이식 계상을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연결하는 접힘 수단(140)으로, 경첩 또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구입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상 본체>
계상 본체(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한다. 이때, 이웃한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는 직각을 이루며, 이웃한 가장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접힘 수단(140)을 통해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서로 마주하는 양쪽 면을 개방한 형태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계상 본체(110)에는, [도 3]과 같이,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 외부에 플랜지(120)를 덧대어 형성한다. 이때, 플랜지(120)는 폭의 절반 부분이 계상 본체(110)의 개방한 한쪽에 밀착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이 계상 본체(110) 밖으로 돌출하게 덧대어 장착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을 단상에 올려놓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상 위에 올려놓을 때, 단상이나 접이식 계상의 상부 부분이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에 장착한 플랜지(120)로 둘러싸인 부분에 끼워지게 하여 위로 여러 단을 쌓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계상 본체(110)에는, [도 3]과 같이,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 외부에 걸림 턱(130)을 덧대어 형성하되, 걸림 턱(130)은 계상 본체(110)의 개방한 다른 한쪽에 장착한다. 이때, 걸림 턱(130)은 상술한 플랜지(120)로 둘러싸인 부분에 끼워지는 계상 본체(110)가 더는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 걸쳐지게 하여 여러 단으로 쌓을 수 있게 하는 턱을 말한다.
<접힘 수단>
접힘 수단(14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계상 본체(110)를 구성하는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이때, 접힘 수단(140)은 계상 본체(110)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가 되도록 네 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연결 고정하여 접을 있게 할 때 사용한다.
특히, 상기 접힘 수단(140)은, [도 4(a)]와 같이, 이웃한 두 개의 벽체(110a, 110d)를 직각이 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장착한다. 예를 들어, 이웃한 두 개의 벽체(110a, 110d)를 직각이 되게 배치하되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 부분에 접힘 수단(140)을 장착함으로써, 2개의 벽체(110a, 110d)가 직각 상태이면서도 [도 4(b)]와 같이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힘 수단(140)은 이웃한 두 개를 연결하여 서로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힘 수단(140)으로는, 경첩이나,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을 띠 형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첩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계상을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이나 이송할 때는 접힘 수단을 패널 형태로 접어서 운반하거나 이송하므로 한 번에 많은 개수의 계상을 운반할 수 있고, 특히 보관할 때도 좁은 공간에 많은 개수의 계상을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이식 계상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차광막(111)의 구성을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 구성인 차광막(111)에 관해서는 설명한다.
차광막(111)은, [도 5]와 같이, 이웃한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접힘 수단(140)으로 연결한 부분의 바깥 면에 장착한다. 이때, 차광막(111)은, 예시적으로 이웃한 두 개의 벽체(110a, 110d)를 펼쳤을 때 서로 마주하거나, 접었을 때 같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면에 각각 스크루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계상 본체(110)를 자주 접었다가 펼치더라도 이 차광막(111)이 쉽게 파손되거나 찢어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차광막(111)은 햇빛이 계상 본체(110)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차광막(111)으로는 부직포, PE 차광막,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접힘 수단으로 계상 본체를 조립함에 따라 연결 부분에서 계상 본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햇빛을 미리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계상 본체 안으로 햇빛이 들어감에 따라 양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해결할 수 있게 된다.
110 : 계상 본체
110a, 110b, 110c, 110d : 벽체
111 : 차광막
120 : 플랜지
130 : 걸림 턱
140 : 접힘 수단

Claims (4)

  1.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하되,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하며, 개방한 한쪽에는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 바깥 면의 가장자리에 플랜지(120)를 덧대어 다른 계상 위에 올려놓고 끼울 수 있게 하고, 개방한 다른 한쪽에는 각 벽체(110a, 110b, 110c, 110d)의 바깥 면에 걸림 턱(130)을 갖춘 계상 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4개의 벽체(110a, 110b, 110c, 110d)는,
    이웃한 가장자리에 접힘 수단(140)을 갖춰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상.
  2. 제1항에서,
    상기 접힘 수단(140)은,
    경첩 또는,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을 띠 형태로 형성하여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이웃한 두 개의 가장자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벽체(110a, 110b, 110c, 110d)의 이웃하여 접히는 가장자리의 바깥 면에는,
    각각 차광망(111)을 부착하여 계상 본체(110) 안으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상.
  4. 제3항에서,
    상기 차광망(111)은,
    부직포, PE 차광막, 유연성 재질이나 고무 그리고 실리콘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상.
KR1020180054255A 2018-05-11 2018-05-11 접이식 계상 KR10208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55A KR102080392B1 (ko) 2018-05-11 2018-05-11 접이식 계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55A KR102080392B1 (ko) 2018-05-11 2018-05-11 접이식 계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102A true KR20190130102A (ko) 2019-11-21
KR102080392B1 KR102080392B1 (ko) 2020-02-25

Family

ID=6869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55A KR102080392B1 (ko) 2018-05-11 2018-05-11 접이식 계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83Y1 (ko) * 2002-06-03 2002-08-27 윤지훈 계상형 벌통
KR200472753Y1 (ko) * 2013-11-26 2014-05-22 서정국 접이식 소비판 수납상자
KR20170047196A (ko) 2017-04-11 2017-05-04 윤효권 계상용 보강프레임 및 그 보강프레임이 적용된 계상형 벌통
KR20170001667U (ko) 2016-08-03 2017-05-12 윤효권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KR20170073121A (ko) 2015-12-18 2017-06-28 강성균 계상분리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83Y1 (ko) * 2002-06-03 2002-08-27 윤지훈 계상형 벌통
KR200472753Y1 (ko) * 2013-11-26 2014-05-22 서정국 접이식 소비판 수납상자
KR20170073121A (ko) 2015-12-18 2017-06-28 강성균 계상분리기기
KR20170001667U (ko) 2016-08-03 2017-05-12 윤효권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KR20170047196A (ko) 2017-04-11 2017-05-04 윤효권 계상용 보강프레임 및 그 보강프레임이 적용된 계상형 벌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392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821B2 (en) Four-device-in-one splash-and-drip-eliminating gazebo, comprising self-ventilating anti-mosquito top-roof system, splash-drip-eliminating bottom-roof system, leaf-filtering gutter-spout post system, multi-purpose multi-configuration panel system, and height-adjustable base system
CA2595094C (en) Beehive lid
US9930869B2 (en) Stackable package and system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honeybees
US20100269874A1 (en) Elevated tent system
KR101925714B1 (ko) 계상용 보강프레임 및 그 보강프레임이 적용된 계상형 벌통
US2804083A (en) Portable foldable enclosure
FR2938573A1 (fr) Abri pour bassin d&#39;agrement notamment pour piscine
US10791701B2 (en) Collapsible sound reducing pet container
KR101535604B1 (ko)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KR102080392B1 (ko) 접이식 계상
FR2588598A1 (fr) Cabine d&#39;isolement
KR101503648B1 (ko)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KR101573382B1 (ko) 텐트형 해먹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JP2018046767A (ja) ミツバチ巣箱防護器
HUT72261A (en) Emergency shelter
KR20120004846A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KR102159309B1 (ko) 발포수지재 벌통
KR102414570B1 (ko) 벌통 전개용 거치 구조물
KR200474103Y1 (ko)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CA2444132C (en) Adapter for converting an animal enclosure into a self encased pet crate
US1522815A (en) Bird house
KR102470310B1 (ko) 재난 원터치 파티션
KR200412823Y1 (ko) 양봉용 소초광
JP6226598B2 (ja) グレーチングの害虫移動防止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