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67U -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 Google Patents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67U
KR20170001667U KR2020160004485U KR20160004485U KR20170001667U KR 20170001667 U KR20170001667 U KR 20170001667U KR 2020160004485 U KR2020160004485 U KR 2020160004485U KR 20160004485 U KR20160004485 U KR 20160004485U KR 20170001667 U KR20170001667 U KR 20170001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synthetic resin
wood
support frame
compa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권
Original Assignee
윤효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권 filed Critical 윤효권
Priority to KR2020160004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67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목재 계상 벌통을 적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합성수지벌통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 몸체 상단부의 연약한 돌출 구조를 제거하고, 목재 게상 벌통과의 결합부위의 지지프레임 구조를 강화하여, 가벼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을 사용하더라도, 합성수지 구조의 계상형 벌통 상에 목재 벌통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Compatible double-beehive for beehive using wood}
본 고안은 목재 계상 벌통을 적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합성수지 벌통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벌통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벌통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 등의 취급이 어렵고, 별도의 보온, 방습 및 방음 장치들이 구비됨에 따라 관리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며, 주위 환경의 오염 등으로 벌들의 수명이 단축되고 벌꿀의 생산량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래서, 상기의 목재로 된 벌통 대신 합성수지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벌통도 있었으나, 이는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워 운반 등이 용이한 반면, 벌집 등이 안착될 때 벌통이 쉽게 파손되고, 벌이 합성수지를 쉽게 파먹고 구멍을 뚫어 이탈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여, 벌통의 수명이 단축되며, 벌통의 외부에서 설탕물 등의 먹이를 공급함에 따른 취급 및 관리가 불편하고, 벌통 내부의 습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들도 있었을 뿐 아니라, 비가 오면 벌통 내로 빗물이 스며들거나, 계절에 따라 벌통의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벌들이 출입하다 이동된 장소까지 따라오지 못하여 벌의 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꿀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 등도 발생하였다.
특히, 벌통 내에 꿀벌이 꿀을 안착시키는 소비(artificiaㅣ beehive) 구조물과 벌통의 규격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그 사이즈를 외적으로 증가시키기는 어려우며, 이에 합성수지재 재질의 벌통은 그 강도의 한계로 적층형 구조로 적층을 하는 등의 형태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 형 계상형 벌통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목재형 벌통의 무거운 중량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계상형 벌통 구조는 상하 모두 합성수지 구조로 구현되는 벌통으로 적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벌통의 구조는 내부에 소비 구조물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벌통 몸체(20, 30)과 상부에 통풍구(11, 12)가 마련되는 덮개(10), 꿀벌에 설탕 등의 먹이를 공급하는 급여장치(60), 벌 이동통로(35)의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 계상형 벌통 구조의 하부 벌통의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현재 벌통에 수용되는 소비(20)의 구조물은 국제 규격으로 그 폭과 높이가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벌통 전체의 크기도 국제규격에 따라 표준화되어 변경이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합성수지을 소재로 이용하는 벌통 구조에서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얇은 두께를 가지면 파손되기가 쉬워,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두꺼운 내벽(10) 구조로 구현하고, 테두리 상부에 플라스틱으로 프레임(30)을 배치하여 보강을 하는 구조로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만 구현되는 상하층의 벌통 구조에는 적용 가능하나, 하부에 합성수지 벌통 구조를 적용하고, 상부에 기존의 목재형 벌통구조를 계상형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된다.
도 3은 목재 계상 벌통(200)을 상부에 적층하고, 하부에 기존의 합성수지 벌통(100)을 배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120)의 말단부(125)가 걸리는 부분에는 프레임(130)이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상부에 목재형 벌통(기존에 일반적인 구조)은 내측 폭(b)과 외측폭(a) 모두 국제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는 하부의 합성수지형 벌통(100)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합성수지형 벌통(100)의 경우 내구성 강화를 위해 측벽면을 두껍게 말들 수 밖에 없으며, 상부에 프레임 구조를 구현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의 한계로 인해, 목재형 벌통(100)을 상부에 적층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목재형 벌통(100)의 규격을 변형할 수 없기 때문이며, 제작된 목재형 벌통하단부와 합성수지형 벌통의 프레임의 단차부의 구조가 서로 대응되지 않아 상호 호환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033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 몸체 상단부의 연약한 돌출 구조를 제거하고, 목재 계상 벌통과의 결합부위의 지지프레임 구조를 강화하여, 가벼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을 사용하더라도,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 상에 목재 계상 벌통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벌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방향으로 내측에 소비가 배치되는 제1측면부(110)와, 상기 제1측면부(110)와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제2측면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벌통 몸체(100), 상기 제1측면부(110)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단차가 마련되는 단차부(115), 상기 단차부의 상면의 방항에서 끼움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단차부(115)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합성수지가 내삽되지 않는 구조의 결착부(142)를 포함하는,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 몸체 상단부의 연약한 돌출 구조를 제거하고, 목재 계상 벌통과의 결합부위의 지지프레임 구조를 강화하여, 가벼운 합성수지 구조의 벌통을 사용하더라도, 목재 계상 벌통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국제규격이 정해진 벌통 구조의 국제규격 범위 내에서, 합성수지의 측면부의 두께를 얇게 구현하면서도,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강화하여 상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계상형 벌통 구조의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계상형 벌통 구조의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는 계상형 벌통 구조와 상부에 적층되는 목재 계상 벌통 간의 호환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벌통 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은 제1방향으로 내측에 소비가 배치되는 제1측면부(110)와, 상기 제1측면부(110)와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S)을 마련하는 제2측면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벌통 몸체와, 상기 제1측면부(110)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단차가 마련되는 단차부(115a), 상기 단차부의 상면의 방항에서 끼움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단차부(115)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합성수지가 내삽되지 않는 구조의 결착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는 합성수지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재재료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 구조는 도 3의 종래의 벌통몸체(100)의 구조에서 상부 테두리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소비(120)의 말단부(125)가 걸리는 부분에 단차를 이루는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프레임구조(130)가 장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구조(130)은 정해진 규격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폭을 확보하기 위해, 테두리 부분의 합성수지를 절단하여 단차 구조를 만들고, 거기에 상기 프레임구조(130)이 끼움결합 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프레임구조(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합성수지 내삽부분(115)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이 쉽게 되게 되는바, 강도의 확보가 어렵고, 도 3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목재 계상 벌통을 적층하기 어려운 구조로 호환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의 구조에서는, 도 4의 (b)와 같은 구조로 합성수지 내삽부분(115)를 제거하고, 도 4의 (c)와 같은 프레임 구조(이하, '지지프레임(140)'이라 한다.)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단차부(115a)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합성수지가 내삽되지 않는 구조의 결착부(142)가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115a)의 높이와 폭을 줄이고, 목재 계상 벌통의 하부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영역을 합성수지 없이 프레임 구조로만 대응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기존의 도 4(a)에서의 합성수지 내삽부분(115)을 제거하여 목재형 벌통 하부의 결합부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확보하고, 이러한 목재형 벌통 하부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의 결착부(142)는 합성수지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구현한다. 이는 도 4(a)에서의 합성수지 내삽부분(115)의 두께(A)가 결착부(142)의 두께(B) 만큼 얇아지는 결과로 귀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4d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차부(115a)의 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는 내부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1면부(144) 및 제2면부(145)와, 상기 제1면부(144) 및 제2면부(145)가 연결되는 상면부(146), 및 상기 상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목재 계상 벌통의 하부의 단차형 결합부와 대응하는 결착부(142)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착부(142) 전부를 플라스틱 성형물로 충진하여 더욱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착부(142)의 내부구조를, 내부에 일정한 칸막이를 구현하여 격실구조로 구현하는 격벽구조의 공간이 구현되도록 형성되거나, 비어있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식구조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더욱 가벼운 경량화를 함과 동시에 강도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이러한 본 고안의 호환구조를 구현한 이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념도이다.
즉, 도 5의 (a)와 같은 구조에서는, 목재 계상 벌통(210)의 말단의 결합부(215)가 프레임의 상면에 닿게 되어 안정적인 안착이 어려우며, 쉽게 합성수지가 부러지게 되며, 상호 내벽의 두께 차로 인해 호환이 어려운 구조이다.
이에, 도 5의 (b)의 본 고안의 구조에서는, 지지프레임(140)의 구조를 기존 돌출 부분의 합성수지 구조를 제거하여 목재형 벌통(210)의 말단의 결합부(215)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동시에 지지프레임(140)의 내부 부분에 합성수지를 제거하고, 플라스틱 성형물로 충진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결착부를 마련하게 하여 목재 계상 벌통과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는, 지지프레임(140)이 구현되는 내벽(110A')의 두께(D)가 기존의 내벽 두께(C)에 비해 현저하게 얇게 구현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3의 구조에서, 소비가 배치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장착되는 상기 제1측면부(110)의 두께가, 상기 제2측면부의 두께보다 얇게 구현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두께를 얇게 가져가는바, 경량화가 가능하고, 동시에 강도를 기존 제품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의 구조를 통해 목재형 벌통과 호환이 가능한 계상형 벌통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벌통몸체
110: 제1측면부
115, 115a: 단차부
140: 지지프레임
142: 결착부

Claims (4)

  1. 제1방향으로 내측에 소비가 배치되는 제1측면부(110)와, 상기 제1측면부(110)와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제2측면부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벌통 몸체(100);
    상기 제1측면부(110)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단차가 마련되는 단차부(115a);
    상기 단차부의 상면의 방항에서 끼움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단차부(115a)의 상부면에 돌출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합성수지가 내삽되지 않는 구조의 결착부(142)를 포함하는,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단차부(115a)의 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는 내부 수용홈을 구비하는 제1면부(144) 및 제2면부(145);
    상기 제1면부(144) 및 제2면부(145)가 연결되는 상면부(146);
    상기 상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목재 계상 벌통의 하부의 단차형 결합부와 대응하는 결착부(142);
    를 구비하는 구조의,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142)의 내부는 합성수지물이 충진된 충진구조로 구현되는,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142)의 내부는, 격벽구조의 공간이 구현되도록 형성되거나, 비어있는 구조로 구현되는,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KR2020160004485U 2016-08-03 2016-08-03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KR201700016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85U KR20170001667U (ko) 2016-08-03 2016-08-03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85U KR20170001667U (ko) 2016-08-03 2016-08-03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67U true KR20170001667U (ko) 2017-05-12

Family

ID=5871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85U KR20170001667U (ko) 2016-08-03 2016-08-03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102A (ko) 2018-05-11 2019-11-21 박정균 접이식 계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33Y1 (ko) 2002-05-14 2002-08-30 서재선 탁상 드릴링머신의 작업대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33Y1 (ko) 2002-05-14 2002-08-30 서재선 탁상 드릴링머신의 작업대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102A (ko) 2018-05-11 2019-11-21 박정균 접이식 계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368B2 (ja) 給餌装置
US10202230B2 (en) Animal litter box package body
CA2882142C (en) Injection molded tray for blood collection tubes
EP2335901A2 (de) Faltbehälter zum Transport von eisgekühlten Gütern
KR20170001667U (ko) 목재 계상 벌통 호환 합성수지 벌통
USD941024S1 (en) Transport storage box and lid in combination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KR200450172Y1 (ko) 조립식 벌통
CZ32109U1 (cs) Kombi box na přepravu a skladování zboží
KR101394949B1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CN204872190U (zh) 自由呼吸抗震防碎禽蛋托
KR200486389Y1 (ko) 조립식 원통용기
KR101499152B1 (ko) 포장박스
KR102091711B1 (ko) 조립식 벌통
JP4575122B2 (ja) 保冷容器
JP5135391B2 (ja) マグロを収容した保冷容器の輸送方法
JP4714793B2 (ja) 保冷容器
KR102597295B1 (ko)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
JP4719816B2 (ja) 保冷容器
KR200418062Y1 (ko) 적층이 용이한 합성수지 어상자
KR102091981B1 (ko)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강화한 접이식 계상형 벌통
CN203975431U (zh) 一种木桶结构
CN210634922U (zh) 一种奶粉盒
JP3143254U (ja) スペーサー
KR102546084B1 (ko) 가금류 콘테이너 측면 패널, 가금류 콘테이너 그리고 가금류 콘테이너 및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측면 패널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