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65A -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65A
KR20190129665A KR1020180110511A KR20180110511A KR20190129665A KR 20190129665 A KR20190129665 A KR 20190129665A KR 1020180110511 A KR1020180110511 A KR 1020180110511A KR 20180110511 A KR20180110511 A KR 20180110511A KR 20190129665 A KR20190129665 A KR 20190129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ackage
substrate
conductive layer
heat dissipation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055B1 (ko
Inventor
권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TW10811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78249B/zh
Priority to CN201910336915.2A priority patent/CN110473839A/zh
Priority to US16/397,278 priority patent/US11075138B2/en
Priority to EP19172606.6A priority patent/EP3567628B1/en
Publication of KR2019012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65A/ko
Priority to US17/384,863 priority patent/US202103588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2Bases or plates or solder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7/108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50Peripheral circuit reg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01L2224/0237Disposi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01L2224/02379Fan-ou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53Bump and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수동 소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1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방열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제1 열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 및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높이의 합은 상기 실장된 제1 수동 소자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는 상기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Semiconductor package system}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보다 구체적으로 방열 구조체가 제공된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집적회로 칩을 전자제품에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구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반도체칩을 실장하고 본딩 와이어 내지 범프를 이용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도체 패키지가 고속화 및 고용량화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소모 전력의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열적 특성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적 특성이 향상된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수동 소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1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방열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제1 열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 및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높이의 합은 상기 실장된 제1 수동 소자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는 상기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은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 상에 실장되고, 제1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1 반도체칩은 로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상면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의 상기 상면 상에 실장된 수동 소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및 상기 방열 구조체의 하면과 각각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열전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층들은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 상에 제공된 제1 열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도층은 상기 열전도층들 중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고, 제1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1 반도체칩은 로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수동 소자; 상기 제1 패키지, 상기 제2 패키지, 및 상기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제1 열전도층;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제2 열전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전도층은 상기 제2 열전도층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열전도층의 상면은 상기 수동 소자의 상면보다 더 높을 레벨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키지 시스템 동작 시, 제1 반도체 패키지는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열전도층의 두께는 제2 열전도층의 두께 및 제3 열전도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열전도층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제1 반도체 패키지의 열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패키지 시스템은 향상된 동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d는 도 1c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도 1c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g는 도 1a의 Ⅲ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에 대응된다.
도 1h는 도 1e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i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2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d는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2e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수동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의 C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이다.
도 5c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 패드들 및 도전 단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 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을 설명한다.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은 패키지 시스템이거나 또는 상기 패키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일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d는 도 1c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도 1c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은 기판(500),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제3 반도체 패키지(300), 제1 수동 소자(400), 방열 구조체(600), 및 제1 열전도층(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 패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이 기판(5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전 단자들(550)이 기판(500)의 하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전 단자들(550)은 솔더볼들, 범프들, 및 필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단자들(550)은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로직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들(150)이 기판(500) 및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연결 단자들(150)을 통해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기판(500) 내의 배선들(5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들(150)은 솔더볼,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제1 연결 단자들(150)의 높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높이는 기판(500)의 상면(500a)과 수직한 방향에서 측정된 상기 구성 요소의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들(150)의 피치는 도전 단자들(550)의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1 반도체 패키지(100)와 다른 종류의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들(250)이 기판(500)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2 연결 단자들(250)을 통해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들(250)은 솔더볼,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들(250)의 피치는 도전 단자들(550)의 피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는 제2 연결 단자들(250)의 높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반도체 패키지들(200)의 개수 및 평면적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가 기판(5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및 각 제2 반도체 패키지(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과 다른 종류의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도 1a와 같이 단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도 1b와 같이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반도체 패키지들(300)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들(300)의 개수 및 평면적 배열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에 제약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단수의 제3 반도체 패키지(300)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3 연결 단자들(350)이 도 1c와 같이, 기판(500) 및 제3 반도체 패키지(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3 연결 단자들(350)을 통해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단자들(350)은 솔더볼,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 단자들(350)의 피치는 도전 단자들(550)의 피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는 제3 연결 단자들(350)의 높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는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과 평면적 관점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는 인덕터, 저항기, 및 캐패시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d와 같이 제1 연결 단자부들(401)이 기판(500) 및 제1 수동 소자(400) 사이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부들(401)은 예를 들어, 솔더,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는 제1 연결 단자부들의 높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장된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는 제1 연결 단자부들(401)의 높이(H41) 및 실장되기 이전의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0)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는 기판(500)의 상면(500a)과 제1 수동 소자(400)의 최상부면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제1 수동 소자들(40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들(400)의 개수 및 평면적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단수의 제1 수동 소자(400)에 대해 기술한다. 도 1d를 제외한 도면들에 있어서, 간소화를 위해 제1 연결 단자부들(401)을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열 구조체(600)가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및 제1 수동 소자(4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은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를 향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상의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상의 하면(600b), 제3 반도체 패키지(300) 상의 하면(600b), 및 제1 수동 소자(400) 상의 하면(60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 상에 별도의 가공이 생략되어, 방열 구조체(600)의 제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트렌치의 형성 또는 돌출부의 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물질은 금속(예를 들어,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 등) 또는 탄소 함유 물질(예를 들어, 그래핀, 그라파이트, 및/또는 탄소 나노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단일 금속층 또는 적층된 복수의 금속층들이 방열 구조체(600)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열 구조체(600)는 히트 싱크(heat sink) 또는 히트파이프(heatpi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방열 구조체(600)는 수냉(water cool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제1 방열 구조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구조체(610)는 기판(500)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및 방열 구조체(6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 및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을 포함할 수 있다. 열 인터페이스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머 및 열전도성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입자들은 폴리머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동작 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열전도층(71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은 실장된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제공되더라도,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및 방열 구조체(6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열전도층(720)이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방열 구조체(6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열전도층(720)은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 및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열전도층(720)은 예를 들어, 열 인터페이스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동작 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에서 발생한 열은 제2 열전도층(72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열전도층(730)이 제3 반도체 패키지(300) 및 방열 구조체(6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열전도층(730)은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 및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3 열전도층(730)은 예를 들어, 열 인터페이스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 동작 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에서 발생한 열은 제3 열전도층(730)을 통해 제3 반도체 패키지(300)로 전달될 수 있다.
패키지 시스템(1) 동작 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많은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제3 반도체 패키지(300), 및 제1 수동 소자(400)보다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열적 특성은 제2 및 제3 반도체 패키지들(200, 300)의 열적 특성보다 패키지 시스템(1)의 동작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열적 특성이 향상될수록, 패키지 시스템(1)의 동작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은 방열 구조체(600)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가 감소할수록,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구조체(600)로 더 빠르게 방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과 접촉하는 열전도층들의 두께들 중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여기에서, 열전도층들은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층들은 도 2a 내지 도 2d에서 후술할 도전성 접착 패턴들(7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예를 들어, 제2 열전도층(720)의 두께(A2) 및 제3 열전도층(730)의 두께(A3)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 구조체(600)로 보다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패키지 시스템(1)은 향상된 동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소자(43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소자(430)는 수정 발진기(Crystal Oscillator)와 같은 오실레이터 또는 실시간 클럭(real-time cloc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e와 같이 도전 연결 단자(403)가 전자 소자(430) 및 기판(500)의 상면(500a) 사이에 더 제공되어, 전자 소자(430) 및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장된 전자 소자(430)의 높이(H5)는 도전 연결 단자(403)의 높이(H5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장된 전자 소자(430)의 높이(H5)는 예를 들어, 도전 연결 단자(403)의 높이(H51) 및 실장되기 이전의 전자 소자(430')의 높이(H50)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은 실장된 전자 소자(430)의 높이(H5)보다 더 클 수 있다. 전자 소자(430)가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제공되더라도,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발생된 열이 제1 열전도층(71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소자(430)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e를 제외한 도면들에 있어서, 간소화를 위해 도전 연결 단자(403)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의 전기적 연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도 1c와 같이, 기판(500)의 배선(505)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제3 반도체 패키지(300), 및 도전 단자들(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기판(500)의 배선(505)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3 반도체 패키지(300), 및 도전 단자들(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기판(500)의 배선(505)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도전 단자들(5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언더필막(160)이 기판(500) 및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사이의 갭에 제공되어, 제1 연결 단자들(150)을 밀봉할 수 있다. 제2 언더필막(260)이 기판(500)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사이의 갭에 제공되어, 제2 연결 단자들(250)을 밀봉할 수 있다. 제3 언더필막(360)이 기판(500) 및 제2 반도체 패키지(200) 사이의 갭에 제공되어, 제3 연결 단자들(350)을 밀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언더필막들(160, 260, 360)은 에폭시계 폴리머와 같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언더필막들(160, 260, 360)이 제공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연결 단자들(150, 250, 350)의 접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내지 제3 언더필막들(160, 260, 36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댐(dam) 구조물(590)이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더 제공될 수 있다. 댐 구조물(590)은 제3 반도체 패키지(300)와 제1 수동 소자(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 구조물(590)은 액상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500)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층들 중 최상부층은 솔더 레지스트 물질과 같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 댐 구조물(590)은 상기 기판(500)의 최상부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댐 구조물(590)은 기판(500)의 최상부층과 경계면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댐 구조물(590)은 기판(500)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 구조물(590)은 제1 내지 제3 언더필막들(160, 260, 36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댐 구조물(590)의 높이는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댐 구조물(590)의 배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 구조물(590)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및 제1 수동 소자(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댐 구조물(590)은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1 수동 소자(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댐 구조물(590)은 도 1a와 같이,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댐 구조물들(590)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각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f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f의 설명에 있어서, 도 1a, 도 1b, 및 도 1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f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a)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10), 제1 반도체칩(120), 및 제1 몰딩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쇄회로기판(PCB)이 기판(5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재배선층이 기판(5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이 제1 기판(110) 상에 플립칩 실장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 및 제1 기판(110) 사이에 연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들은 솔더볼,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은 시스템 온 칩(SOC), 로직 칩,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은 로직 회로 및 메모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20)은 디지털 집적 회로(IC), 무선 초고주파 집적 회로(RFIC), 및 입출력 회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제1 반도체칩(12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이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되어, 제1 반도체칩(120)을 덮을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은 제1 반도체칩(120)의 측면 및 상면을 덮어, 제1 반도체칩(120)을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은 제1 몰딩막(13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은 에폭시계 몰딩 컴파운드와 같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은 제1 기판(110) 및 제1 반도체칩(120) 사이의 갭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언더필 패턴이 제1 기판(110) 및 제1 반도체칩(120) 사이의 갭에 채워질 수 있다. 언더필 패턴은 비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비전도성 필름을 열압착(Thermal Compression)하는 방법 또는 캐필러리 언더필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제1 연결 단자들(150)의 높이, 제1 기판(110)의 높이, 및 제1 몰딩막(130)의 높이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2 기판(210), 제2 반도체칩(220), 및 제2 몰딩막(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재배선층이 기판(5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칩(220)은 제1 반도체칩(120)과 다른 종류의 반도체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칩(220)은 메모리칩으로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칩은 DRAM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칩은 SRAM, MRAM, 및/또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제2 반도체칩(22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칩(220)은 플립칩 방식 또는 본딩 와이어 방식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칩(220)이 플립칩 실장되는 경우, 별도의 언더필 패턴이 제2 기판(210) 및 제2 반도체칩(220) 사이의 갭에 채워질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복수 개의 제2 반도체칩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단수의 제2 반도체칩(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몰딩막(230)은 제2 반도체칩(220)의 측면 및 상면을 덮어, 제2 반도체칩(220)을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은 제2 몰딩막(23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몰딩막(230)은 제2 반도체칩(220)의 측면을 덮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은 제2 몰딩막(230)의 상면 및 상기 제2 몰딩막(230)에 의해 노출된 제2 반도체칩(22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몰딩막(230)은 에폭시계 폴리머와 같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는 제2 연결 단자들(250)의 높이, 제2 기판(210)의 높이, 및 제2 몰딩막(23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3 기판(310), 제3 반도체칩(320), 및 제3 몰딩막(330)을 포함할 수 있다. 재배선층 또는 인쇄회로기판이 제3 기판(3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배선층이 제3 기판(310)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팬 아웃 패널 레벨 패키지(Fan-out panel level package) 또는 팬 아웃 패널 웨이퍼 레벨 패키지(Fan-out wafer level package)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반도체칩(320)은 제1 반도체칩(120) 및 제2 반도체칩(220)과 다른 종류의 반도체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반도체칩(320)은 전력 관리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를 포함하여, 전력 관리 칩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제3 반도체칩(320)에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몰딩막(330)이 제3 기판(310) 상에 제공되어, 제3 반도체칩(320)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은 제3 몰딩막(33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몰딩막(330)은 제3 반도체칩(320)의 측면을 덮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은 제3 몰딩막(330)의 상면 및 상기 제3 몰딩막(330)에 의해 노출된 제3 반도체칩(32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몰딩막(330)은 에폭시계 폴리머와 같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는 제3 연결 단자들(350)의 높이, 제3 기판(310)의 높이, 및 제3 몰딩막(330)의 높이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형성은 캐리어 기판 상에 제3 반도체칩(320)을 제공하는 것, 제3 반도체칩(320)을 덮는 제3 몰딩막(330)을 형성하는 것, 캐리어 기판을 제거하여, 제3 반도체칩(320)의 하면을 노출시키는 것, 및 상기 노출된 제3 반도체칩(320)의 하면 및 상기 몰딩막의 하면 상에 재배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배선층은 제3 기판(310)일 수 있다.
도 1g는 도 1a의 Ⅲ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에 대응된다. 도 1h는 도 1g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이하의 설명들에 있어서,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함께 참조한다.
도 1g 및 도 1h를 참조하면, 제1 마커(marker)(139)가 제1 몰딩막(13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커(139)는 제1 몰딩막(130)의 상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마커(139)는 제1 몰딩막(130)의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마커(139)는 제1 몰딩막(130)의 일면 상에 리세스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마커(139)의 형성은 제1 몰딩막(130)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커(139)가 제1 반도체칩(120) 상에 형성되는 경우 마커의 형성 과정에서 제1 반도체칩(120)이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렉이 제1 반도체칩(120) 상에 또는 제1 반도체칩(1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마커(139)가 제1 몰딩막(130) 상에 제공됨에 따라, 제1 마커(139)의 형성 과정에서 제1 반도체칩(12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커(139)는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및 표시할 수 있다. 도 1g 내지 도 1i를 제외한 도면들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제1 마커(139)를 생략하여 도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형성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상에 제공한 후, 상기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되기 이전의 열 인터페이스 물질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형성 과정에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의 엣지 영역 상의 열 인터페이스 물질이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측면(100c)으로 흘러내리더라도,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의 센터 영역 상의 열 인터페이스 물질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의 센터 영역과 방열 구조체(600) 사이의 갭을 양호하게 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센터 영역의 제1 열전도층(710)의 상면(710a)은 열전도층(710)의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몰딩막(130)이 제공되므로, 제1 반도체칩(120)은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센터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도층(710)의 형성 과정에서 열 인터페이스 물질이 일부 흘러내리더라도.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반도체칩(120)의 열을 제1 방열 구조체(610)로 양호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이 제1 마커(139)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열전도층(710)은 제1 마커(139)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2 열전도층(720)이 제2 몰딩막(230)의 상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열전도층(720)의 형성은 앞서 제1 열전도층(710)의 형성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제2 열전도층(720)의 형성 과정에서 열 인터페이스 물질이 일부 흘러내리더라도, 제2 열전도층(720)은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의 센터 영역과 방열 구조체(600) 사이의 갭을 양호하게 채울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센터 영역은 제2 반도체칩(220)이 제공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반도체칩(220)에서 발생한 열이 제2 열전도층(72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양호하게 방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마커가 제2 몰딩막(230) 상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제2 마커는 제2 몰딩막(230)의 리세스된 부분일 수 있다.
제3 열전도층(730)이 제3 몰딩막(33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열전도층(730)의 형성은 앞서 제1 열전도층(710)의 형성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제3 열전도층(730)의 형성 과정에서 열 인터페이스 물질이 일부 흘러내리더라도. 제3 열전도층(730)은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의 센터 영역과 방열 구조체(600) 사이의 갭을 양호하게 채울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센터 영역은 제3 반도체칩(320)이 제공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열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마커가 제3 몰딩막(330) 상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제3 마커는 제3 몰딩막(330)의 리세스된 부분일 수 있다.
도 1i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1g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도 1g 및 도 1i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10), 제1 반도체칩(120), 및 제1 몰딩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은 제1 반도체칩(120)의 측면을 덮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은 제1 몰딩막(130)의 상면 및 상기 제1 몰딩막(130)에 의해 노출된 제1 반도체칩(12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노출된 제1 반도체칩(100)의 상면은 제1 열전도층(710)과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칩(10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열전도층(71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칩(100)의 방열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2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b)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및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은 앞서 도 1a 내지 도 1i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접지 패드(510G)는 기판(500)의 상면(500a)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전 단자들(550) 중 적어도 하나는 접지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접지 전압이 접지 단자 및 기판(500)를 통해 접지 패드(510G)에 인가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제2 방열 구조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는 바디 부분(621) 및 다리 부분(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바디 부분(621)은 앞서 도 1a 내지 도 1c에서 설명한 제1 방열 구조체(610)와 유사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은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바디 부분(621)의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디 부분(621)은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1 수동 소자(400)의 상면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은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바디 부분(621)의 하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은 바디 부분(621)의 엣지 영역 및 기판(5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은 바디 부분(62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a와 같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1 수동 소자(400)는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과 이격될 수 있다. 다리 부분(622)은 평면적 관점에서 기판(500)의 엣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는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는 전기 전도성을 가져,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의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차폐시킬 수 있다. 전자기 간섭이란 전기적 요소로부터 방사 또는 전도되는 전자기파가 다른 전기적 요소의 수신/송신 기능에 장애를 유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방열 구조체(620)에 의해,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및 제1 수동 소자(400)의 동작이 다른 패키지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또는 다른 패키지에 의해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접착 패턴들(741, 742)이 기판(500)과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 사이에 제공되어, 제2 방열 구조체(620)를 기판(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착 패턴들(741, 742)은 도전성 접착 패턴(741) 및 절연성 접착 패턴(7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패턴(741)은 접지 패드(510G)와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는 도전성 접착 패턴(741)을 통해 접지 패드(510G)와 접속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 내에 일정량 이상의 전하가 축적되면, 상기 전하가 방열 구조체(600)로부터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 요소로 흘러들어가 상기 전기 전도성 구성 요소를 손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는 제1 내지 제3 반도체칩들(120, 220, 320) 내의 집적 회로들과 배선들, 제1 내지 제3 기판들(110, 210, 310) 내의 배선, 제1 내지 제3 연결 단자들(350), 및 기판(500) 내의 배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접착 패턴(741)에 의해 제2 방열 구조체(620)에 접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열 구조체(620)는 정전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에 의한 패키지 시스템(1b)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성 접착 패턴(742)은 기판(500)과 방열 구조체(6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구조체(600)는 기판(500)과 절연되어, 전기적 쇼트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패턴(741)의 두께(A5)는 절연성 접착 패턴(74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의 높이(B)는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보다 낮을 수 있다. 이 때, 다리 부분(622)의 높이(B)는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내측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패턴(741)은 다리 부분(622)의 하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접착 패턴들(741, 742)의 두께(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 패턴(741)의 두께(A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가 작으므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발생한 열이 제1 열전도층(71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더욱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d는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c)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제2 방열 구조체(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열 구조체(620)는 바디 부분(621) 및 다리 부분(6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패턴(741)이 접지 패드(510G) 및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다리 부분(622) 사이에 제공되어, 제2 방열 구조체(620) 및 접지 패드(510G)와 접속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예와 달리 별도의 절연성 접착 패턴(742)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도전성 접착 패턴(741)의 두께(A5)보다 작을 수 있다.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및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은 앞서 도 1a 내지 도 1i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e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2e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d)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및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은 앞서 도 1a 내지 도 1e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방열 구조체(600)는 제1 방열 구조체(610), 제2 방열 구조체(620), 및 방열층(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구조체(610)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 방열 구조체(610)는 제2 방열 구조체(6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열 구조체(620)는 앞서 도 2a 내지 2d에서 설명한 제2 방열 구조체(6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열 구조체(620)는 바디 부분(621) 및 다리 부분(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 구조체(610)의 너비는 제2 방열 구조체(62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더 넓을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패턴(741)이 접지 패드(510G) 및 제1 방열 구조체(6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연성 접착 패턴(742)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방열층(630)은 제1 방열 구조체(610) 및 제2 방열 구조체(6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방열층(630)은 예를 들어,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3a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e)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10), 제1 반도체칩(120), 및 제1 몰딩막(130)에 더하여, 제1 접착층(141)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도 구조체(140)는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열전도 구조체(140)는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서 설명한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열전도 구조체(140)는 금속층,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열전도 구조체(140)는 수냉(water cool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41)은 제1 몰딩막(130)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41)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동작 시, 제1 반도체칩(12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접착층(141)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를 통해 제1 열전도층(7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은 제1 열전도 구조체(14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제1 연결 단자들(150)의 높이, 제1 기판(110)의 높이, 제1 몰딩막(130)의 높이, 제1 접착층(141)의 높이,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몰딩막(130)의 상면이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 또는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보다 더 낮은 레벨에 제공되더라도, 제1 접착층(141)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의 제공에 의해,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 및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보다 클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제2 열전도층(720)의 두께(A2) 및 제3 열전도층(730)의 두께(A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열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기판(500), 제1 및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는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 내지 도 2e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3b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f)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제1 반도체 패키지(100), 및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2 기판(210), 제2 반도체칩(220), 및 제2 몰딩막(230)에 더하여, 제2 접착층(241)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전도 구조체(240)는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열전도 구조체(240)는 금속층,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241)이 제2 몰딩막(230)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접착층(241)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동작 시, 제2 반도체칩(220)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2 접착층(241)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를 통해 제2 열전도층(7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상면은 제2 열전도 구조체(24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는 제2 연결 단자들(250)의 높이, 제2 기판(210)의 높이, 제2 몰딩막(230)의 높이, 제2 접착층(241)의 높이,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가 제2 열전도층(720)의 두께(A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3 기판(310), 제3 반도체칩(320), 및 제3 몰딩막(330)에 더하여, 제3 접착층(341)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열전도 구조체(340)는 열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 열전도 구조체(340)는 금속층, 히트 싱크, 또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착층(341)이 제3 몰딩막(330)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접착층(341)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동작 시, 제3 반도체칩(320)에서 발생하는 열은 제3 접착층(341)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를 통해 제3 열전도층(7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상면은 제3 열전도 구조체(34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는 제3 연결 단자들(350)의 높이, 제3 기판(310)의 높이, 제3 몰딩막(330)의 높이, 제3 접착층(341)의 높이,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의 높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가 제3 열전도층(730)의 두께(A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열전도층(720)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가 생략되고, 제2 열전도층(720)이 도 1d와 같이 제2 몰딩막(23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열전도층(730)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가 생략되고, 제3 열전도층(730)이 제3 몰딩막(33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3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a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3c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g)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730), 및 방열 구조체(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도 3a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기판(110), 제1 반도체칩(120), 제1 몰딩막(130), 제1 접착층(141),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각각 도 3b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2 기판(210), 제2 반도체칩(220), 제2 몰딩막(230), 제2 접착층(241),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3 기판(310), 제3 반도체칩(320), 제3 몰딩막(330), 제3 접착층(341),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 및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보다 클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제2 열전도층(720)의 두께(A2) 및 제3 열전도층(730)의 두께(A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
도 4a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도 4b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h, 1i)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 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패키지 시스템(1h)은 제2 열전도층(7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은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200)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도 4b와 같이, 패키지 시스템(1i)은 제3 열전도층(73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은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300)의 높이(H3)보다 클 수 있다.
도 4c는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로, 도 2c의 Ⅰ-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c 및 도 4c를 참조하면, 패키지 시스템(1j)은 기판(500),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제1 내지 제3 열전도층들(710, 720, 730), 및 방열 구조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는 제2 열전도층(720)의 두께(A2) 및 제3 열전도층(730)의 두께(A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4 열전도층(740)이 제1 수동 소자(400)와 방열 구조체(600) 사이에 제공되어, 제1 수동 소자(400)의 상면 및 방열 구조체(600)의 하면(600b)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4 열전도층(740)은 열 인터페이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동 소자(400)에서 발생한 열은 제4 열전도층(740)을 통해 방열 구조체(6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는 실장된 제1 수동 소자(400)의 높이(H4)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면은 제1 수동 소자(400)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가 제4 열전도층(740)의 두께(A4)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열전도층(720) 또는 제3 열전도층(73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방열 구조체(610) 및 제2 방열 구조체(62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층(630)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 접착층(141) 및 제1 열전도 구조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패키지(200)는 제2 접착층(241) 및 제2 열전도 구조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제3 접착층(341) 및 제3 열전도 구조체(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수동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의 C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이다. 도 5c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 패드들 및 도전 단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의 Ⅳ영역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5d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 패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a,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반도체 모듈(10)은 보드(1000) 및 패키지 시스템(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이 보드(1000)로 사용될 수 있다. 도전 패드들(1500)이 보드(1000)의 상면(1000a)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전 패드들(1500)은 보드(1000)의 내부 배선들(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드(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보드(1000)의 내부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설명한 패키지 시스템(1)이 보드(1000) 상에 실장되어, 반도체 모듈(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d의 패키지 시스템(1a), 도 2a 및 도 2b의 패키지 시스템(1b), 도 2c 및 도 2d의 패키지 시스템(1c), 도 2e의 패키지 시스템(1d), 도 3a의 패키지 시스템(1e), 도 3b의 패키지 시스템(1f), 도 3c의 패키지 시스템(1g), 도 4a의 패키지 시스템(1h), 도 4b의 패키지 시스템(1i), 또는 도 4c의 패키지 시스템(1j)이 보드(1000) 상에 실장되어, 반도체 모듈(10)이 형성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 1a 내지 도 1c의 패키지 시스템(1)이 보드(1000) 상에 실장된 반도체 모듈(10)에 관하여 도시 및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키지 시스템(1)의 실장은 도전 단자들(550)이 보드(1000)를 향하도록 패키지 시스템(1)을 보드(1000) 상에 제공하는 것 및 상기 도전 단자들(550)을 도전 패드들(1500)과 접속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단자들(550)의 피치는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는 규격화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는 JEDEC 표준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는 비교적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는 0.65mm이상일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3 반도체 패키지(300)가 보드(1000) 상에 직접 실장되는 경우, 제1 연결 단자들(150)의 피치(P1), 제2 연결 단자들(250)의 피치(P2), 및 제3 연결 단자들(350)의 피치(P3) 각각은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반도체 패키지(100),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3 반도체 패키지(300)는 기판(500)을 통해 보드(1000)와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단자들(150)의 피치(P1), 제2 연결 단자들(250)의 피치(P2), 및 제3 연결 단자들(350)의 피치(P3)가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에 제약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들(150)의 피치(P1)는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단자들(150)의 피치(P1)는 0.4mm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단자들(150)이 보다 밀집하여 제공되어,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평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들(250)의 피치(P2) 및 제3 연결 단자들(350)의 피치(P3) 각각은 도전 패드들(1500)의 피치(P4)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단자들(250)의 피치(P2) 및 제3 연결 단자들(350)의 피치(P3) 각각은 0.4mm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반도체 패키지(200) 및 제3 반도체 패키지(3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이 소형화되므로,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사이의 거리들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사이의 전기적 신호 통로의 길이들이 감소할 수 있다. 패키지 시스템(1)의 동작 속도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420)가 보드(1000)의 하면(1000b)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이 보드(1000) 및 제2 수동 소자(420) 사이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420)는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을 통해 보드(1000)와 접속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은 예를 들어, 솔더, 필라, 범프, 또는 볼그리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된 제2 수동 소자(420)의 높이(H6)는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의 높이(H6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장된 제2 수동 소자(420)의 높이(H6)는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의 높이(H61)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장된 제2 수동 소자(420)의 높이(H6)는 제2 연결 단자부들(402)의 높이(H61) 및 실장되기 이전의 제1 수동 소자(420')의 높이(H60)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실장된 제2 수동 소자(420)의 높이(H6)는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100)의 높이(H1) 및 제1 열전도층(710)의 두께(A1)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실장된 제2 수동 소자(420)의 높이(H6)가 크더라도, 제2 수동 소자(420)는 기판(500)을 통해 패키지 시스템(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420)는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420)는 평면적 관점에서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중 상기 하나와 평면적 관점에서 중첩되거나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동 소자(420)와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중 상기 하나 사이의 신호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모듈(10)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4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동 소자들(420)의 높이들(H6)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2 수동 소자들(4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도전 단자들(550) 및 하부 패드들(540)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부 패드들(540)은 기판(500)의 하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패드들(540)은 연결 패드(541) 및 테스트 패드(542)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시스템(1)의 제조 과정 또는 패키지 시스템(1)이 모듈(10) 기판(500)에 실장되기 이전에, 패키지 시스템(1)의 전기적 특성이 평가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특성의 평가는 테스트 패드(54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미도시)가 테스트 패드(542)와 접촉하여, 제1 내지 제3 반도체 패키지들(100, 200, 300), 제1 수동 소자(400), 및 전자 소자(4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 및 연결 관계가 평가될 수 있다. 이후, 도전 단자들(550)이 형성되고, 상기 패키지 시스템(1)이 보드(10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c와 같이, 도전 단자들(550)은 제1 단자(551) 및 제2 단자(552)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551)는 연결 패드(541)의 하면 상에 제공되어, 연결 패드(541) 및 어느 하나의 도전 패드(1500)와 접속할 수 있다. 제1 단자(551)는 패키지 시스템(1)을 보드(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단자(551)는 신호 전달의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단자(552)는 테스트 패드(542)의 하면 상에 제공되어, 테스트 패드(542)와 접속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단자(552)는 접지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접지 전압이 보드(1000) 및 제2 단자(552)를 통해 패키지 시스템(1)에 전달될 있다. 다른 예로, 제2 단자(552)는 더미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자(552)는 보드(1000) 내의 내부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2 단자(552)는 패키지 시스템(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d와 같이, 제2 단자(도 5c의 552)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테스트 패드(542)는 보드(1000)와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언더필 물질이 보드(1000) 및 테스트 패드(542) 사이의 갭에 더 채워질 수 있다. 언더필 물질은 절연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1 수동 소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1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방열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제1 열전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 및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높이의 합은 상기 실장된 제1 수동 소자의 높이보다 더 크고,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는 상기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큰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방열 구조체 사이에 제공된 제2 열전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열전도층의 두께보다 더 작은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층 및 상기 제2 열전도층은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는 제1 기판, 제1 반도체 칩, 및 제1 몰딩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칩은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1 몰딩막 상에 제공된 제1 열전도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딩막의 상면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보다 낮은 레벨에 제공된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제2 기판, 제2 반도체칩, 제2 몰딩막, 및 상기 제2 몰딩막 상에 제공된 제2 열전도 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 상에 제공된 접지 패턴; 및
    상기 접지 패턴 및 상기 방열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도전성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구조체는:
    상기 기판의 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바디 부분
    상기 바디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바디 부분 사이에 제공된 다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구조체는 상기 도전성 접착 필름을 통해 상기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두께는 상기 도전성 접착 패턴의 두께보다 더 작은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하면 상에 제공된 보드;
    상기 기판 및 상기 보드와 접속하는 도전 단자들; 및
    상기 보드의 하면 상에 실장된 제2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실장된 제2 수동 소자의 높이는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큰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사이에 개재된 제1연결 단자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 단자들의 피치는 상기 도전 단자들의 피치보다 더 작은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2.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 상에 실장되고, 제1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1 반도체칩은 로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상면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의 상기 상면 상에 실장된 수동 소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및
    상기 방열 구조체의 하면과 각각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열전도층들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도층들은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 상에 제공된 제1 열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도층은 상기 열전도층들 중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는 상기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보다 더 큰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는:
    제1 기판, 상기 제1 반도체칩이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반도체칩을 덮는 제1 몰딩막; 및
    상기 제1 몰딩막 상에 제공된 제1 열전도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된 제1 반도체 패키지의 높이 및 상기 제1 열전도층의 두께의 합은 상기 실장된 수동 소자의 높이보다 더 큰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들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의 상면 상에 제공된 제2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전력 반도체칩 또는 메모리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고, 제1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제1 반도체 패키지, 상기 제1 반도체칩은 로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반도체 패키지;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수동 소자;
    상기 제1 패키지, 상기 제2 패키지, 및 상기 수동 소자 상에 제공된 방열 구조체;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제1 열전도층;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제2 열전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열전도층은 상기 제2 열전도층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열전도층의 상면은 상기 수동 소자의 상면보다 더 높을 레벨에 제공된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제3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3 반도체 패키지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방열 구조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제3 열전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열전도층은 상기 제3 열전도층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제2 기판, 제2 반도체칩, 및 제2 몰딩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칩은 상기 제1 반도체칩과 다른 종류인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KR1020180110511A 2018-05-11 2018-09-14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KR10260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12061A TWI778249B (zh) 2018-05-11 2019-04-08 半導體封裝系統
CN201910336915.2A CN110473839A (zh) 2018-05-11 2019-04-25 半导体封装系统
US16/397,278 US11075138B2 (en) 2018-05-11 2019-04-29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EP19172606.6A EP3567628B1 (en) 2018-05-11 2019-05-03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US17/384,863 US20210358831A1 (en) 2018-05-11 2021-07-26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05 2018-05-11
KR20180054305 2018-05-11
KR20180054307 2018-05-11
KR1020180054307 2018-05-11
KR20180054304 2018-05-11
KR1020180054304 2018-05-11
KR1020180055081 2018-05-14
KR20180055081 2018-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65A true KR20190129665A (ko) 2019-11-20
KR102607055B1 KR102607055B1 (ko) 2023-11-30

Family

ID=6872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11A KR102607055B1 (ko) 2018-05-11 2018-09-14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7055B1 (ko)
TW (1) TWI77824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7413A1 (en) * 2021-05-13 2022-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s With Multiple Types of Underfill and Method Forming The Same
US11600607B2 (en) 2019-01-17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multiple power management semiconductor pack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2634A1 (en) * 2013-03-06 2014-09-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20150108628A1 (en) * 2013-08-02 2015-04-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es with Thermal Interface Material on the Sidewalls of Stacked Dies
US20150170989A1 (en) * 2013-12-16 2015-06-18 Hemanth K. Dhavaleswarapu Three-dimensional (3d) integrated heat spreader for multichip packages
US20160233141A1 (en) * 2015-02-09 2016-08-11 J-Devic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549B2 (ja) * 2008-10-30 2013-03-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子装置
JP5165017B2 (ja) * 2010-03-18 2013-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の冷却構造
US9735082B2 (en) * 2013-12-04 2017-08-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3DIC packaging with hot spot thermal management fea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2634A1 (en) * 2013-03-06 2014-09-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20150108628A1 (en) * 2013-08-02 2015-04-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es with Thermal Interface Material on the Sidewalls of Stacked Dies
US20150170989A1 (en) * 2013-12-16 2015-06-18 Hemanth K. Dhavaleswarapu Three-dimensional (3d) integrated heat spreader for multichip packages
US20160233141A1 (en) * 2015-02-09 2016-08-11 J-Devic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0607B2 (en) 2019-01-17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multiple power management semiconductor packages
US20220367413A1 (en) * 2021-05-13 2022-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s With Multiple Types of Underfill and Method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055B1 (ko) 2023-11-30
TW202005048A (zh) 2020-01-16
TWI778249B (zh)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5138B2 (en)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US11658090B2 (en)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US10546844B2 (en) Stack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ck package
US1056632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electronic package
TWI778236B (zh) 半導體裝置
KR20140057982A (ko)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US20150017763A1 (en) Microelectronic Assembly With Thermally and Electrically Conductive Underfill
KR102607055B1 (ko)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KR20190089514A (ko) 반도체 패키지
US11776866B2 (en) Semiconductor module heatspreading lid having integrated separators for multiple chips
US11600607B2 (en)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multiple power management semiconductor packages
KR102654893B1 (ko)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KR102607109B1 (ko)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CN113496966A (zh) 电子封装件
US11244885B2 (en) Semiconductor package system
KR20200090093A (ko) 반도체 모듈
KR102667427B1 (ko)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US20230046098A1 (en)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stiffener
KR20200033131A (ko) 반도체 패키지 시스템
TW516197B (en) Heat sink structure of semiconductor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