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542A -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542A
KR20190129542A KR1020180054350A KR20180054350A KR20190129542A KR 20190129542 A KR20190129542 A KR 20190129542A KR 1020180054350 A KR1020180054350 A KR 1020180054350A KR 20180054350 A KR20180054350 A KR 20180054350A KR 20190129542 A KR20190129542 A KR 20190129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asket
pyrrolidone
weight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248B1 (ko
Inventor
김홍일
Original Assignee
한국자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자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09D9/005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containing organic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함에 따라,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사용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도막과 가스켓, 오링의 잔여물, 금형의 사출 성형 시 발생되는 탄화물의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어 사용성 및 휴대성이 우수한,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PAINT FILM OR GASKET WITH AEROSOL TYPE}
본 발명은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로 건물, 건축 자재, 휴대폰, 자동차 부품 소재, 반도체 소재, 금속 소재, 철재 소재 등 각종 소재의 표면에는 내약품성, 내부식성, 방청성,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페인트를 비롯한 접착제, 에나멜(enamel),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으로 도막을 형성한다. 또한, 각종 소재의 결합 부위 또는 연결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오링 등이 적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각종 소재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도막과 가스켓, 오링 등의 잔여물의 제거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페인트 등으로 형성된 도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종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휘발성 박리유기용제와 혼합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페인트 등의 도막을 박리하는 방법, 각종 소재의 표면에 고압수, 드라이아이스 펠렛, 모래 등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페인트 등의 도막을 제거 또는 박리하는 방법, 각종 소재에 화학약품을 처리하는 용매 디핑(dipping), 페인트 제거제 분사 등의 화학약품처리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휘발성 박리유기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막의 두께가 두껍거나 부착성이 높은 경우 페인트 등의 도막이 충분히 박리 되지 않으며, 고압수, 드라이아이스 펠렛, 모래 등을 고속으로 분사하는 방법은 소재의 표면 손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설비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매 디핑의 경우 소재를 반드시 파쇄하여야 하며, 디핑 시간 대비 페인트 등 도막의 박리 정도가 높지 않아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페인트 제거제는 주로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를 포함하고 있어, 환경 오염을 발생시킴에 따라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페인트를 비롯한 도막의 제거 또는 박리 효과가 우수한 제거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536호에서는 유화제 18 ~ 23 중량%, 분산제 3 ~ 7 중량%, 용해제 30 ~ 45 중량%, 침투제 10 ~ 17 중량% 및 점도 조절제 19 ~ 24 중량%를 포함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도 페인트, 코팅 수지재료에 크게 제한되지 않고, 간단한 조건만으로도 신속하고도 우수한 박리 효과를 나타내는,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를 포함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의 경우, 종래에 비해 페인트 박리 효과가 낮으며 다양한 형태 또는 성분으로 이루어진 도막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페인트 등 도막의 제거만 가능할 뿐 가스켓, 오링, 탄화물 등의 잔여물 제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5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포함하지 않고도 도막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가스켓, 오링 등의 잔여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1,1-Dichloro-1-fluoroethane); 1-에틸-2-피롤리디논(1-ethyl-2-pyrrolidinone),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1-(2-Hydroxyethyl)-2-pyrrolidinone) 및 라우릴 피롤리돈(Lauryl Pyrrolidone)을 포함하는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1,1,1,2-Tetrafluoroethane)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0 ~ 50 중량%, 상기 피롤리돈계 화합물 15 ~ 40 중량%,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1 ~ 7 중량%,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0.1 ~ 5 중량% 및 상기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25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롤리돈계 화합물은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침투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침투제는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리튬 및 수산화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알칼리성의 침투제를 0.1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포함하는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함에 따라,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사용 없이도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 일 수 있다.
또한, 페인트, 에나멜, 접착제, 바니쉬, 각종 수지 등으로 형성된 도막 뿐 아니라 가스켓, 오링의 잔여물과 금형의 사출 성형 시 발생되는 탄화물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어로졸 타입으로서 사용성 및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어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2의 (1)에서 실시예 2에 의한 도막의 박리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1)에서 실시예 2에 의해 도막이 박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도막'은 목재, 금속, 콘크리트, 유리, 타일, 벽돌 등의 기재에 도장된 것으로, 페인트, 에나멜, 접착제, 바니쉬, 락카, 셀락, 와니스,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 공지된 모든 종류의 도료 또는 수지로 형성된 도막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가스켓(Gasket)'은 금속 가스켓, 비금속 가스켓, 금속과 비금속이 혼합된 가스켓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가스켓을 의미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는 도막 또는 가스켓을 녹이거나 도막 또는 가스켓을 기재로부터 박리시켜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1,1-Dichloro-1-fluoroethane); 1-에틸-2-피롤리디논(1-ethyl-2-pyrrolidinone),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1-(2-Hydroxyethyl)-2-pyrrolidinone) 및 라우릴 피롤리돈(Lauryl Pyrrolidone)을 포함하는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1,1,1,2-Tetrafluoroethane)을 포함함에 따라,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사용 없이도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과가 우수한, 친환경적인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페인트, 에나멜, 접착제, 바니쉬, 각종 수지 등의 도막 뿐 아니라 가스켓, 오링의 잔여물과 금형의 사출 성형 시 발생되는 탄화물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어로졸 타입으로서 사용성 및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어 제거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좁은 틈, 이음새 등 손에 닿기 어려운 부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1,1-Dichloro-1-fluoroethane)은 할로알케인(holoalkane)계열의 불연성 물질로서, 본 실시예의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을 30 ~ 50 중량%, 바람직하게 34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40 ~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을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각 성분들의 혼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을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이 묽어져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기 어렵고,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부착성이 저하되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피롤리돈계 화합물은 1-에틸-2-피롤리디논(1-ethyl-2-pyrrolidinone),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1-(2-Hydroxyethyl)-2-pyrrolidinone) 및 라우릴 피롤리돈(Lauryl Pyrrolidone)을 포함한다. 상기된 1-에틸-2-피롤리디논(1-ethyl-2-pyrrolidinone),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및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1-(2-Hydroxyethyl)-2-pyrrolidinone)는 세정 효과를 향상시키며, 라우릴 피롤리돈(Lauryl Pyrrolidone)는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 ~ 2 : 0.1 ~ 1 : 0.5 ~ 1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 0.5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정한 제거 능력과 제거 대상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을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15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며,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기 어렵고,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부착성이 저하되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는 결합제, 유화안정제, 점도증가제, 피막형성제 등의 역할을 한다. 특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는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성물이 제거 부위에 충분히 부착되어 제거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0.1 ~ 7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3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조성물이 제거 부위에 충분히 부착되지 못해,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조성물이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기 어려우며, 겔 상태의 제형을 갖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과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는 계면활성제로, 알파-도데실-오메가-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으로도 불린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형을 안정화시키며,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각 성분의 혼용성이 저하되고,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이 묽어지고, 부착성이 저하되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1,1,1,2-Tetrafluoroethane)은 HFC-134, Norflurane 등으로 불리는 불연성 가스이다. 또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은 공기와 혼합되어, 대기압 및 최대 100 ℃ 의 온도에서 인화성이 없으며, 주로 가정용 냉동 및 자동차 에어컨 용 고온 냉매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불연성 가스로 본 실시예의 조성물이 에어로졸 형태로 형성되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25 ~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8 ~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3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2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에어로졸 형태로 형성되기 어려워, 분사성 및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을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에어로졸 형태로 형성되기 어렵고, 광범위한 영역에 사방으로 뒤기듯이 분사됨에 따라,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분사성 및 분산성이 저하됨에 따라,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율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리튬 및 수산화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침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침투제는 알칼리성 물질로서, 도막의 결합을 끊어 균열 또는 틈을 발생시켜 본 실시예의 조성물이 도막의 내부까지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막 또는 가스켓의 제거 효율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침투제로는 수산화 리튬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침투제를 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침투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침투제의 효과가 거의 없어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 효율의 향상이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침투제를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고, 석출, 응집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에어로졸 타입으로의 분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포함된 알칼리성 침투제에 의해 도막 또는 가스켓 뿐 아니라 재료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유화제, 안정화제, 팽윤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피막제, 촉매제, 용매제, 금속이온봉쇄제, 가소제, 소포제, 경화지연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에어로졸 타입으로, 분사되어 제거 대상에 부착 내지 접착된 후, 도막 또는 가스켓을 용해시키고 박리시켜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상세히, 도막을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에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분사한 다음, 약 1 ~ 10분 동안 방치하여 조성물이 스며들도록 하고, 마르기 직전에 브러쉬 등으로 도막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으로 표면을 닦아주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은 (1)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제 1 혼합물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제 2 혼합물에 상기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용기 내에 제 3 혼합물을 투입한 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를 충진함으로써, 에어로졸 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250 ~ 400 rpm 속도의 교반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된 일련의 제조 공정은 상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3
상온의 반응기에 표 1[단위 : 중량%]에 조성에 따라,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 2 혼합물에 표 2[단위 : 중량비]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된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용기 내에 투입한 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를 충진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혼합물이 제조를 위해 약 250 ~ 400 rpm의 속도로 계속해서 교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의 수산화칼슘은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혼합한 다음에, 추가로 혼합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7 40 40
피롤리돈계 화합물 30 25 25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2 2 2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3 1 1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28 32 31
수산화 리튬 - - 1
단위 : 중량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1-에틸-2-피롤리디논 1 1 1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2 2 2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0.5 0.5 0.5
라우릴 피롤리돈 1 1 1
실시예 4 내지 6
하기 표 3의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에틸-2-피롤리디논 1 1 1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 3 0.1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1 1 3
라우릴 피롤리돈 1 2 3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11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단, 비교예 11의 경우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25 55 45 25
피롤리돈계 화합물 30 15 10 45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2 2 2 2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3 3 3 3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40 25 40 25
수산화 리튬 - - - -
단위 : 중량%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7 30 37 30
피롤리돈계 화합물 30 30 30 30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 10 2 2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3 3 - 10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30 27 31 28
수산화 리튬 - - - -
단위 : 중량%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45 30 34
피롤리돈계 화합물 30 20 25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2 2 2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3 3 1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20 45 31
수산화 리튬 - - 7
비교예 12
피롤리돈 화합물 대신 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메틸렌 클로라이드 90 중량% 및 메탄올 1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 에어로졸 타입의 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어 분사되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의 경우, 에어로졸 타입으로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실험을 진행하지 않았다.
○ : 안개모양으로 균일하게 분사됨
△ : 분사되나, 응집 또는 액체 방울 형성
Ⅹ : 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
분사성 분사성
실시예 1 비교예 5
실시예 2 비교예 6
실시예 3 비교예 7
실시예 4 비교예 8
실시예 5 비교예 9
실시예 6 비교예 10
비교예 1 비교예 11
비교예 2 비교예 12
비교예 3 비교예 13 -
비교예 4
표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분사성이 우수한 에어로졸 형태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0 ~ 50 중량%, 피롤리돈계 화합물 15 ~ 40 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1 ~ 7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0.1 ~ 5 중량%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25 ~ 40 중량%의 함량을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10의 경우에는, 분사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의 경우 에어로졸 형태로 형성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 13의 경우에는 가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분사성의 평가가 불가하였다.
실험예 2 : 페인트 제거(박리력)평가
(1)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의 제거 평가
가로 10 cm, 세로 10 cm 및 두께 2 cm의 기재(철재)을 준비 한 다음, 기재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를 이용하여 도막(가로 10 cm, 세로 10 cm, 두께 : 0.1 cm)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막이 형성된 상면 전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조성물 각각을 10 회 분무(1회 10초 분무)한 후, 10 분간 방치하였다. 이 후, 스크레이퍼로 박리된 페인트를 제거하였다. 한편, 비교예 13의 경우에는 동량을 도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재의 면적에 대해 제거된 페인트의 면적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으며, 100 %에 가까울수록 페인트 제거율이 높은 것이다. 이때,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이용한 페인트 제거 상태를 도 1 및 2에 도시하였다.
제거율(%) 제거율(%)
실시예 1 88 비교예 5 10
실시예 2 94 비교예 6 45
실시예 3 98 비교예 7 22
실시예 4 79 비교예 8 41
실시예 5 62 비교예 9 35
실시예 6 66 비교예 10 44
비교예 1 42 비교예 11 63
비교예 2 33 비교예 12 85
비교예 3 14 비교예 13 86
비교예 4 31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제거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2 내지 13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종래의 제거제와 유사하거나 높은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4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제거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11을 비교하면, 침투제를 포함하되, 이를 과량 포함할 경우에는 오히려 제거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상기 실험예 2의 (1)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시예 2에 의해 페인트가 박리되는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보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적용할 경우 시편으로부터 페인트가 박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
(2) 일액형 에폭시 접착제의 제거 평가
가로 10 cm, 세로 10 cm 및 두께 2 cm의 기재(철재)을 준비 한 다음, 기재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일액형 에폭시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막(가로 10 cm, 세로 10 cm, 두께 : 0.1 cm)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막이 형성된 상면 전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조성물 각각을 10 회 분무(1회 10초 분무)한 후, 10 분간 방치하였다. 이 후, 스크레이퍼로 박리된 에폭시 접착제를 제거하였다. 한편, 비교예 13의 경우에는 동량을 도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재의 면적에 대해 제거된 접착제의 면적을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으며, 100 %에 가까울수록 페인트 제거율이 높은 것이다.
제거율(%) 제거율(%)
실시예 1 89 비교예 5 12
실시예 2 94 비교예 6 51
실시예 3 99 비교예 7 25
실시예 4 75 비교예 8 44
실시예 5 63 비교예 9 42
실시예 6 66 비교예 10 40
비교예 1 38 비교예 11 70
비교예 2 31 비교예 12 86
비교예 3 13 비교예 13 90
비교예 4 30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에폭시 접착제의 제거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2 내지 13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종래의 제거제와 유사하거나 높은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4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제거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11을 비교하면, 침투제를 포함하되, 이를 과량 포함할 경우에는 오히려 제거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예 2의 (1) 및 (2)를 보면,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 에폭시 등의 종류와 관계 없이, 우수한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가스켓 제거 평가
압연 강판(가로 150 mm, 세로 70 mm, 두께 0.8 mm)의 표면에 실리콘 액상 가스켓(스리본드 TB1101)을 도포한 후, NBR(Nitrile rubber) 소재의 가스켓(오자와 물산 : OZAWA)을 놓고, 약 2 kg의 추를 올려 실온에서 약 6개월 동안 방치하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시험체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조성물의 수에 맞게 준비하였다.
약 6 개월이 지난 후, 가스켓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조성물을 10 회 분무(1회 10초 분무)한 다음 10 분간 방치하는 과정을 총 3회 반복하였으다. 이 후 스크레이퍼로 가스켓을 긁어내어 박리되는 가스켓을 제거하였다.
가스켓이 제거된 면적을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여, 표 8에 나타내었으며, ○ 일 때의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함을 의미한다.
○ : 압연 강판의 표면에 잔여 가스켓이 거의 없는 경우
△ : 압연 강판의 표면에 가스켓의 일부(절반 이하)가 남은 경우
Ⅹ : 압연 강판의 표면에 가스켓의 절반 이상이 남은 경우
제거 정도 제거 정도
실시예 1 비교예 5
실시예 2 비교예 6
실시예 3 비교예 7
실시예 4 비교예 8
실시예 5 비교예 9
실시예 6 비교예 10
비교예 1 비교예 11
비교예 2 비교예 12
비교예 3 비교예 13
비교예 4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가스켓의 제거가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2 내지 13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종래의 제거제와 유사하거나 높은 제거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4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피롤리돈계 화합물을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제거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11을 비교하면, 침투제를 포함하되, 이를 과량 포함할 경우에는 오히려 제거율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1,1-Dichloro-1-fluoroethane);
1-에틸-2-피롤리디논(1-ethyl-2-pyrrolidinone),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1-(2-Hydroxyethyl)-2-pyrrolidinone) 및 라우릴 피롤리돈(Lauryl Pyrrolidone)을 포함하는 피롤리돈계 화합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1,1,1,2-Tetrafluoroetha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30 ~ 50 중량%, 상기 피롤리돈계 화합물 15 ~ 40 중량%,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1 ~ 7 중량%,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0.1 ~ 5 중량% 및 상기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25 ~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롤리돈계 화합물은
1-에틸-2-피롤리디논,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 1-(2-하이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및 라우릴 피롤리돈을 1 : 0.1 ~ 2 : 0.1 ~ 2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침투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침투제는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리튬 및 수산화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알칼리성의 침투제를 0.1 ~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KR1020180054350A 2018-05-11 2018-05-11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KR102067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50A KR102067248B1 (ko) 2018-05-11 2018-05-11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50A KR102067248B1 (ko) 2018-05-11 2018-05-11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542A true KR20190129542A (ko) 2019-11-20
KR102067248B1 KR102067248B1 (ko) 2020-01-16

Family

ID=6872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350A KR102067248B1 (ko) 2018-05-11 2018-05-11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5490A (ja) * 1995-05-31 1996-12-10 Yuho Chem Kk ペイント剥離剤
JP2002114633A (ja) * 2000-09-29 2002-04-16 Shiseido Co Ltd エアゾール組成物
KR2007001311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배선 형성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152536B1 (ko) 2010-02-26 2012-06-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217332A (ja) * 2014-05-15 2015-12-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膜剥離方法及び塗膜剥離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5490A (ja) * 1995-05-31 1996-12-10 Yuho Chem Kk ペイント剥離剤
JP2002114633A (ja) * 2000-09-29 2002-04-16 Shiseido Co Ltd エアゾール組成物
KR2007001311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배선 형성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152536B1 (ko) 2010-02-26 2012-06-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217332A (ja) * 2014-05-15 2015-12-0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膜剥離方法及び塗膜剥離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48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8049A (en) Clear paint booth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CN101724311B (zh) 用于飞机铝合金蒙皮脱漆处理的脱漆剂
US5494702A (en) Protective solvent free liquid masking compounds and related method
CN101130647A (zh) 脱漆剂
CN111621185A (zh) 一种可喷涂无溶剂型双组份聚氨酯腻子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100014866A (ko) 비-voc 코팅제의 적용 방법
KR102067248B1 (ko) 에어로졸 타입의 도막 또는 가스켓 제거용 조성물
KR100833274B1 (ko) 속건성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280524C (zh) 隧道防水方法和隧道防水结构
JP2000507295A (ja) 無溶剤の二成分可剥性塗料
CN107868729B (zh) 一种脱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19158A (zh) 一种高效环保无毒水性脱漆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2119157B1 (ko) 철 및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916891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a coating from a surface
CN1492007A (zh) 一种脱漆剂及制备方法
RU2548072C1 (ru) Мастика кровельная и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ая "жидкая резина elemenт"
US8025741B2 (en) Method of reusing stripping compounds
CN104530804A (zh) 一种高强力的抗裂腻子膏
CN112662097A (zh) 一种水溶性阻燃防护膜的制备
JP4793552B2 (ja) 剥離剤組成物
US5618578A (en) Protective solvent free liquid masking compounds and related method
CN104369490B (zh) 多彩柔性砖的制备方法
JP2554921B2 (ja) コンクリート製貯槽の保護塗装方法
JP6389437B2 (ja) 塗膜剥離剤を用いた防水層の除去方法
KR20150102352A (ko) 속건성 수성 에어로졸 스프레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