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09A -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09A
KR20190129409A KR1020180054008A KR20180054008A KR20190129409A KR 20190129409 A KR20190129409 A KR 20190129409A KR 1020180054008 A KR1020180054008 A KR 1020180054008A KR 20180054008 A KR20180054008 A KR 20180054008A KR 20190129409 A KR20190129409 A KR 2019012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conveyor
fixing
casing
convey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732B1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7292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12940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로텍
Priority to KR102018005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케이싱과;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안착된 라이너; 및 상기 라이너의 상부로 위치된 컨베이어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라이너 고정부로 구비되고, 상기 라이너 고정부는 체결 나사홈을 갖는 지지편이 컨베이어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나사홈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 관통홀을 갖는 고정편이 볼트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 나사홈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편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라이너의 상부가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면에 라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라이너의 상단이 고정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고정편으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라이너가 내측으로 찌그러드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마모가 진행되는 것을 막아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LINER FIXING DEVICE FOR SCREW CONVEYOR}
본 발명은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라이너가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프(Trough) 또는 케이싱(Casing)에 구비된 스크류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운반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스크류 컨베이어라 하고, 단순보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축의 휨 및 편심 변형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연속 운전이 가능한 가운데 이송 용적율이 큰 특징으로 인하여 하수종말처리장, 쓰레기 소각장, 도축장 등의 환경시설에 설치되어 하수슬러지를 운반,처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는 케이싱과 스크류 사이에 케이싱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고, 일정 기간 이용시 스크류와의 마찰작용으로 인하여 라이너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라이너에 발생된 마모는 확인하기 어려워 주기적으로 교환시켜 주었다.
라이너가 접착제에 의하여 완전 결합된 상태로 있을 경우, 라이너 교환을 위하여 기존 라이너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7611호(2005.04.25)의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및 그 라이너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 사용에 따른 라이너 마모시 교환주기를 육안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케이싱 결합부위로 연계되어 결합되는 라이닝 설치구조가 간소화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접착제 및 기타 부착수단의 사용이 배제되도록 하였으나, 라이너를 덮개의 지지턱으로 눌러줌으로서 마모된 라이너가 더 눌려지는 원인으로 인하여 라이너의 마모된 부분이 내측으로 찌그러 들어 마모가 더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이너의 상부 양측으로 고정편이 형성된 경우, 라이너에 고정편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7611호(2005.04.25)
본 발명은 라이너가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면에 착탈 가능한 가운데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운영 및 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케이싱(100)과;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 하부에 안착된 라이너(200); 및
상기 라이너(200)의 상부로 위치된 컨베이어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된 라이너 고정부(300)로 구비되고,
상기 라이너 고정부(300)는 체결 나사홈(311)을 갖는 지지편(310)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나사홈(3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 관통홀(321)을 갖는 고정편(320)이 볼트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체결 나사홈(3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상기 지지편(310)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라이너(200)의 상부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310)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용접(W) 또는 볼팅(B)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310)은
하단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안착된 라이너(200) 상단에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320)은
하단이 라이너(200)의 상단 보다 더 낮은 형태를 갖는 연장 가압부(322)가 형성됨으로서 가이더(200)의 상단 내측이 가압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 가압부(322)는
외측면에 가압돌부(3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20)은
상단에 걸림턱(32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310)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 걸려지며, 하단에 가압턱(325)이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200)의 내측 상부가 가압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케이싱의 내면에 라이너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라이너의 상단이 고정볼트의 조임력을 받는 고정편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라이너가 내측으로 찌그러드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마모가 진행되는 것을 막아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라이너의 상부가 단순히 절단된 형태를 가짐으로서 라이너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비용이 지출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는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면에 라이너(200)가 착탈 가능하게 용이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로 안착된 라이너(200)의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면을 향하여 일부가 눌려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은 내,외부가 차단되도록 하는 가운데 내부로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투입구(I)를 통해 투입된 이송물질이 배출구(O)를 통해 용이하게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상부가 개방된 U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라이너(200)의 설치와 분리 및 스크류(40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평판형태를 갖는 커버(110)가 탈착 가능하게 덮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별도의 U형태를 갖는 보강리브(120)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의 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라이너(2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이 하부 내측 및 측면 일부에 맞대어지는 U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단이 수평으로 절단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이너(200)는 종래와 동일하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무색 필름지(210) 및 색소가 함유된 컬러 필름지(220)를 각각 개별적인 부품구조로 구비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대칭되는 면적구조를 갖도록 절개함으로서 무색 필름지(210)는 마모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컬러 필름지(220)는 컬러표시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컬러 필름지(220)가 노출될 경우, 마모로 인하여 라이너(200)의 교체 시기가 왔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라이너(200)의 내부로는 종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스크류(400)가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400)는 구동모터(M)와 감속기(DE)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 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라이너 고정부(300)는 라이너(200)의 상단 부분이 위치되는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조여지는 고정편(320)으로 라이너(200)의 상단 일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라이너 고정부(300)는 체결 나사홈(311)을 갖는 지지편(310)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에 맞대어져 용접(W)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체결 나사홈(3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 관통홀(321)을 갖는 고정편(320)이 지지편(310)과 분리된 상태에서 볼트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체결 나사홈(3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상기 지지편(3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편(310)에 의하여 라이너(200)의 상부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면에 지지편(310)의 외측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지지편(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W)으로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의 확대도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지지편(310)이 볼트(B)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B)는 컨베이어 케이싱(100)에 단순한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암나사홈이 지지편의 외측면에 형성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관통홀을 관통한 볼트가 암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310)은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고정편(320)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310)의 하단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안착된 라이너(200) 상단에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얹혀지거나, 안착되는 라이너(200)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로 라이너(20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라이너(200)의 일측 상부가 일측으로 위치된 지지편(310)의 하부에 맞대어지도록 한 후 이어 라이너(200)의 타측 상부가 타측으로 위치된 지지편(310)의 하부에 맞대어지게 삽입하는 것으로 라이너(200)가 컨베이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편(320)은 고정볼트(330)가 체결 나사홈(311)에 나사 체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력을 이용하여 라이너(200)의 외측면이 외측으로 즉,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면으로 밀착되거나, 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단순 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320)은 고정볼트(330)가 관통되는 가운데 고정볼트(330)의 볼트머리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볼트 관통홀(3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볼트(330)의 볼트머리가 볼트 관통홀(321)의 가장자리로 직접 맞대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와셔(Wa)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320)은 하단이 라이너(200)의 상단 보다 더 낮은 형태를 갖는 연장 가압부(322)가 형성됨으로서 단순히 고정볼트(330)만 조이는 것으로 연장 가압부(322)에 의하여 가이더(200)의 상단 내측이 외부를 향하여 가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는 먼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면으로 위치된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곳에 체결 나사홈(311)을 갖는 지지편(310)의 외측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W)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곳이라 함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라이너(200)가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라이너(200)의 상단에 지지편(310)의 하단이 얹혀지는 위치이다.
다음,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로 라이너(2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라이너(200)의 일측 상단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 일측으로 구비된 지지편(310)의 하부에 일치되게 삽입되도록 한 후 라이너(200)의 타측 상단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 타측으로 구비된 지지편(310)의 하부에 일치되도록 한다.
다음, 고정편(32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321)을 지지편(310)에 형성된 체결 나사홈(311)에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와셔(Wa)가 끼워진 고정볼트(330)가 볼트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체결 나사홈(311)에 체결되도록 조임으로서 고정편(320)의 하부로 형성된 연장 가압부(322)가 라이너(200)의 상단 내측을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을 향하여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로 구비된 모든 지지편(310)에 고정편(320)이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라이너(200)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라이너(200)를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면으로 고정하는 고정편(320)의 하부로 형성된 연장 가압부(322)가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가압돌부(32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장 가압부(322)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압돌부(323)가 라이너(200)의 내측 표면이 소정 깊이로 삽입됨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가압력 또는 조임력이 낮아지더라도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가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라이너(200)를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면으로 고정하는 고정편(320)의 하부로 형성된 연장 가압부(322)가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걸림턱(324)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단에 가압턱(325)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턱(324)이 상기 지지편(310)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 걸려짐으로서 고정볼트(330)가 체결 나사홈(311)에 삽입되기 이전에 고정편(320)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볼트(33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압턱(325)이 라이너(200)의 내측 표면이 소정 깊이로 삽입됨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가압력 또는 조임력이 낮아지더라도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컨베이어 케이싱
200:라이너
300:라이너 고정부
310:지지편
311:체결 나사홈
320:고정편
321:볼트 관통홀
330:고정볼트

Claims (6)

  1. 컨베이어 케이싱(100)과;
    상기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 하부에 안착된 라이너(200); 및
    상기 라이너(200)의 상부로 위치된 컨베이어 케이싱(100) 내부에 구비된 라이너 고정부(300)로 구비되고,
    상기 라이너 고정부(300)는 체결 나사홈(311)을 갖는 지지편(310)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 나사홈(3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 관통홀(321)을 갖는 고정편(320)이 볼트 관통홀(321)을 관통하여 체결 나사홈(3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30)에 의하여 상기 지지편(310)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라이너(200)의 상부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310)은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용접(W) 또는 볼팅(B)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310)은
    하단이 컨베이어 케이싱(100)의 내부에 안착된 라이너(200) 상단에 일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20)은
    하단이 라이너(200)의 상단 보다 더 낮은 형태를 갖는 연장 가압부(322)가 형성됨으로서 가이더(200)의 상단 내측이 가압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가압부(322)는
    외측면에 가압돌부(3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20)은
    상단에 걸림턱(32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310)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 걸려지며, 하단에 가압턱(325)이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200)의 내측 상부가 가압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KR1020180054008A 2018-05-11 2018-05-11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KR10209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08A KR102099732B1 (ko) 2018-05-11 2018-05-11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08A KR102099732B1 (ko) 2018-05-11 2018-05-11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09A true KR20190129409A (ko) 2019-11-20
KR102099732B1 KR102099732B1 (ko) 2020-04-13

Family

ID=6872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08A KR102099732B1 (ko) 2018-05-11 2018-05-11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23B1 (ko) * 2020-06-10 2021-06-07 이성주 스크루 컨베이어
KR102564693B1 (ko) 2023-03-23 2023-08-08 주식회사 씨앤지 라이너 수명을 연장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85B1 (ko) * 2021-05-31 2023-10-17 (주)진평 분진방지용 u형 스크류 컨베이어
KR102589907B1 (ko) * 2021-05-31 2023-10-17 (주)진평 U형 스크류 컨베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108Y1 (ko) * 1994-06-01 1998-04-14 김만제 콘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스커트(skirt)용 고무판 고정장치
JPH11314729A (ja) * 1998-04-30 1999-11-16 Toyota Motor Corp スパイラルコンベア
KR20050037611A (ko)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및 그 라이너의 제조방법
CN107150884A (zh) * 2016-03-02 2017-09-12 宜都中起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无轴螺旋输送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108Y1 (ko) * 1994-06-01 1998-04-14 김만제 콘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스커트(skirt)용 고무판 고정장치
JPH11314729A (ja) * 1998-04-30 1999-11-16 Toyota Motor Corp スパイラルコンベア
KR20050037611A (ko)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및 그 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0584529B1 (ko) * 2003-10-20 2006-05-30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의 제조방법
CN107150884A (zh) * 2016-03-02 2017-09-12 宜都中起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无轴螺旋输送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23B1 (ko) * 2020-06-10 2021-06-07 이성주 스크루 컨베이어
KR102564693B1 (ko) 2023-03-23 2023-08-08 주식회사 씨앤지 라이너 수명을 연장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32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409A (ko)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 고정장치
US6883737B2 (en) Device for processing materials
KR100574602B1 (ko) 고액 분리 장치
US4874082A (en) Conveyor skirt board, clamp and mounting arrangement
RU2740888C2 (ru) Облиц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элементов к опо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US20180154599A1 (en) Device for Dewatering Feedstock That Is Pourable or Free-Flowing
US6832691B2 (en) Magnetic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DE19752538C1 (de) Schlackenbrecher
KR890012736A (ko) 초음파 진동 절삭장치
CN102149483B (zh) 筛子固定装置
KR20070008746A (ko) Pbt 핀틀체인 절단전기검출식 전체 비금속 슬러지수집장치
DE502004008033D1 (de) L zu recyclingzwecken
US20110168528A1 (en) Flight Bar with Replaceable End
AU2017201248B2 (en) Wear protection cap
US11143306B1 (en) Self-aligning seal
KR100584529B1 (ko)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용 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2020198B1 (ko) 무주축 스크류 컨베이어
BR9809399B1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supervisço do grau de desgaste de uma rosca de vedaÇço que transporta um material plastificado.
MY137935A (en) Wear part for gyratory crush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132428A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濾板構造
DE102017009105B4 (de) Zerkleinerungsmaschine
KR101645160B1 (ko) 램씰 조립구조를 갖는 비례제어 피스톤펌프
KR200401730Y1 (ko)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JP3112726U (ja) ボルト防錆構造及び破砕機
US10138067B2 (en) Jackladder flight member with replaceable or rotatable wear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6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208

Effective date: 2023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