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85A - 게인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게인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85A
KR20190129385A KR1020180053931A KR20180053931A KR20190129385A KR 20190129385 A KR20190129385 A KR 20190129385A KR 1020180053931 A KR1020180053931 A KR 1020180053931A KR 20180053931 A KR20180053931 A KR 20180053931A KR 20190129385 A KR20190129385 A KR 2019012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nsor
light source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871B1 (ko
Inventor
김장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트로
Priority to KR102018005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8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161Ratio method, i.e. Im/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인측정장치를 위하여, 일단에 제1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광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게인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ga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게인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인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관에서는 영사기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면서 스크린 상에 이미지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크린 상의 이미지는 스크린 전방(前方)에 위치한 관찰자에 의해 시인된다. 이 과정에서 관찰자가 스크린 상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이미지의 휘도가 사전설정된 값 이상이 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영사기 같은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높아지면 된다. 하지만 영사기와 같은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높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에, 스크린 자체의 특성 역시 관찰자의 시인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관찰자의 시인성과 관련된 스크린의 특성을 정확하게 계량화하여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인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에 제1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광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광원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제2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광원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동시에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광원에서 상기 제2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2광원에서 상기 제2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2센서로 반사시키고, 동시에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1센서의 제1쌍과, 상기 제2광원 및 상기 제2센서의 제2쌍 사이에 위치하는 광차폐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에 제1개구를 갖고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제2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각각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제1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상기 제2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측정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원에서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과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개구를 향하는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키고, 동시에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개구를 향하는 광을 상기 제2센서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되,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개구 방향의 제1반사면과 상기 제2개구 방향의 제2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반사면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반사면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광차폐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인측정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게인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게인측정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게인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원통형 프레임(100)을 갖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원통형 프레임(100)의 (-z 방향) 하측에 위치한 손잡이부(200)도 가질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x 방향) 일단에 개구(101)를 갖는다. 그리고 게인측정기는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된 광원(120)과 센서(130)를 구비한다.
광원(120)은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일단의 개구(101)를 향해 광(L1)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0)은 예컨대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광원(120)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센서(130)는 개구(101)로부터의 광(L1')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30)는 포토다이오드 또는 전하결합소자(C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20)과 센서(130)는 상술한 것들 이외의 다른 전자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120)과 센서(130)는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한 내부플레이트(110) 상에 위치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내부플레이트(110)는 광원(120)과 센서(130)에 인가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이들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센서(130)가 감지한 광(L1')의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개구(101)의 반대편인 (-x 방향)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인측정장치는 제1스위치(211)와 제2스위치(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스위치(211)와 제2스위치(21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20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감싸쥔 상태에서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게인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플레이트(RP)로 게인측정장치의 개구(101)를 차폐한다. 기준플레이트(RP)는 검사대상인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기에 앞서 기준이 되는 플레이트로서, 특정 반사율을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라 함은 반드시 견고한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크린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스위치(211)를 클릭하여 제1스위치(211)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광원(120)에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향해 광(L1)을 방출한다. 기준플레이트(RP)로 게인측정장치의 제1개구(101)가 차폐된 상태이기에, 광원(120)에서 방출된 광(L1)은 기준플레이트(RP)에서 반사되어 센서(130)를 향하게 된다. 센서(130)는 광원(120)에서 방출되어 기준플레이트(RP)에서 반사된 후 센서(130)에 입사한 광(L1')을 감지하여 휘도를 측정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한다. 물론 센서(130)는 입사하는 광(L1')의 휘도에 대한 정보를 단지 실시간으로 획득하기만 하고, 센서(130)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평균값을 결정한 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으로 게인측정장치의 개구(101)를 차폐한다. 타겟플레이트(TP)는 게인을 측정할 검사대상인 타겟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라 함은 반드시 견고한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크린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스위치(212)를 클릭하여 제2스위치(212)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광원(120)에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향해 광(L1)을 방출한다.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으로 게인측정장치의 개구(101)가 차폐된 상태이기에, 광원(120)에서 방출된 광(L1)은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에서 반사되어 센서(130)를 향하게 된다. 센서(130)는 광원(120)에서 방출되어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에서 반사된 후 입사한 광(L1')을 감지하여 휘도를 측정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한다. 물론 센서(130)는 입사하는 광(L1')의 휘도에 대한 정보를 단지 실시간으로 획득하기만 하고, 센서(130)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을 획득한 후, 제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획득한다. 이 최종값이 게인측정장치가 측정한 게인 값이 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이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게인측정장치의 일부분인 디스플레이부(300)가 이러한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준플레이트(RP)로 게인측정장치의 개구(101)를 차폐한 상태에서 획득한 제1평균값인 기준휘도가 14.50 fL로 측정되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으로 게인측정장치의 개구(101)를 차폐한 상태에서 획득한 제2평균값인 측정휘도가 34.22 fL로 측정되어,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값인 게인 값이 2.36인 것이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이용하면 검사대상인 스크린의 게인 값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인측정장치는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광학부(140)는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광(L1)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사전설정된 방향으로 광(L1)이 향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120)에서 방출된 광(L1)이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진행되도록, 광학부(140)가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광(L1)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광원(120)에서 방출되는 광(L1)의 최초 진행 방향 자체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을 향한다면, 이 경우에는 광학부(140)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광원(120)은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센서(13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광원(120)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기준플레이트(RP)나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에서 광(L1)이 반사될 시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하기에, 광원(120)에서 방출된 광(L1)이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에서 반사된 후 반사광의 대부분 센서(130)를 향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게인 값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이다. 따라서 제1평균값을 구할 시의 광원(120)에서의 광(L1)의 강도가 제2평균값을 구할 시의 광원(120)에서의 광(L1)의 강도와 동일/유사하다면, 정확한 게인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제1평균값을 구한 직후 제2평균값을 구하므로, 제1평균값을 구할 시의 광원(120)에서의 광(L1)의 강도가 제2평균값을 구할 시의 광원(120)에서의 광(L1)의 강도와 동일/유사하다. 따라서 정확하게 게인 값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가 제1스위치(211)와 제2스위치(2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게인측정장치는 1개의 스위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게인측정장치를 온 상태로 작동시킨 후 스위치를 처음 누를 시에는 기준플레이트(RP)에 대한 제1평균값을 획득하는 과정이고, 이후 스위치를 다시 누를 시에는 타겟플레이트(TP)에 대한 제2평균값을 획득하는 과정인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이 순서를 변경하여, 제어부는, 게인측정장치를 온 상태로 작동시킨 후 스위치를 처음 누를 시에는 타겟플레이트(TP)에 대한 제2평균값을 획득하는 과정이고, 이후 스위치를 다시 누를 시에는 기준플레이트(RP)에 대한 제1평균값을 획득하는 과정인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 근방의 선단부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사산/나사골(10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준플레이트(RP)는 단순한 플레이트 형상이 아니라,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물론 뚜껑 형상의 기준플레이트(RP)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나사골(100a)에 대응하는 나사산/나사골을 가져, 기준플레이트(RP)는 원통형 프레임(10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 기준플레이트(RP)가 뚜껑 형상을 갖기에, 평상시에 원통형 프레임(100)에 체결되어 원통형 프레임(100)의 뚜껑 역할을 하면서 그 내부의 광원(120)이나 센서(13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스크린의 게인 값을 측정할 시에는, 기준플레이트(RP)가 원통형 프레임(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게인측정장치를 작동시켜 제1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후 뚜껑 형상의 기준플레이트(RP)를 원통형 프레임(100)으로부터 탈착시키고 스크린 등과 같은 타겟플레이트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게인측정장치를 작동시켜 제2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따라 최종적인 게인 값을 구할 수 있다.
물론 기준플레이트(RP)는 이처럼 원통형 프레임(100)에 나사결합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지만, 그 외의 방법으로 원통형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준플레이트(RP)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일단에 경첩(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첩의 작용을 통해 기준플레이트(RP)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할 수도 있고, 기준플레이트(RP)가 원통형 프레임(100)에 대해 경첩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개방하며, 그 상태에서 타겟플레이트(TP)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 근방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체(100b)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스크린 등과 같은 타겟플레이트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게인측정장치를 작동시켜 제2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따라 최종적인 게인 값을 구한다. 따라서 타겟플레이트와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 사이에 빈 틈이 존재하지 않도록 완벽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 탄성체(100b)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기에, 타겟플레이트로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를 차폐할 시, 타겟플레이트와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 사이가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에도, 탄성체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플레이트(RP) 및/또는 스크린 등과 같은 타겟플레이트(TP)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게인측정장치를 작동시켜 제1평균값 및/또는 제2평균값을 구할 시, 기준플레이트(RP) 및/또는 타겟플레이트(TP)와 원통형 프레임(100)의 개구(101) 사이에 빈 틈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들을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와 상이한 점은, 원통형 프레임(100)이 (+x 방향) 일단에 개구(101)를 갖는 것 외에 그 반대측인 (-x 방향) 타단에도 개구(102)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일단에 위치한 개구(101)를 제1개구(101)라 하고, 그 반대측인 (-x 방향) 타단에 위치한 개구(102)를 제2개구(102)라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제1광원(121), 제1센서(131), 제2광원(122) 및 제2센서(132)를 구비한다. 제1광원(121)과 제1센서(131)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에서 설명한 광원(120)과 센서(130)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광원(121)은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일단의 제1개구(101)를 향해 광(L1)을 방출할 수 있다. 제1센서(131)는 제1광원(121)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제1개구(101)로부터의 광(L1')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센서(131)는 제1광원(121)에서 방출된 광(L1)이 제1개구(101)를 차폐한 물질에서 반사되어 제1센서(131)로 입사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광원(122)은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일단의 제1개구(101)가 아닌, 일단의 반대편인 (-x 방향) 타단의 제2개구(102)를 향해 광(L2)을 방출할 수 있다. 제2센서(132)는 제2광원(122)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하며, 제2개구(102)로부터의 광(L2')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센서(132)는 제2광원(122)에서 방출된 광(L2)이 제2개구(102)를 차폐한 물질에서 반사되어 제2센서(132)로 입사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광원(122)과 제2센서(132)는 제1광원(121)과 제1센서(131)와 동일 및/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데, 제1센서(131)가 감지한 광(L2)의 휘도와 제2센서(132)가 감지한 광(L2')의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게인측정장치는 스위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21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20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 등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인측정장치는 렌즈를 포함하는 제1광학부(141)와 제2광학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광학부(141)와 제2광학부(142)는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에서 방출되는 광(L1, L2)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사전설정된 방향으로 광(L1, L2)이 향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에서 방출된 광(L1, L2)이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와 제2개구(102)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들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들을 향해 진행되도록, 제1광학부(141)와 제2광학부(142)가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에서 방출되는 광(L1, L2)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에서 방출되는 광(L1, L2)의 최초 진행 방향 자체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와 제2개구(102)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들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들을 향한다면, 이 경우에는 제1광학부(141)와 제2광학부(142)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은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광원(121), 제2광원(122),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는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한 내부플레이트(110) 상에 위치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내부플레이트(110)는 제1광원(121), 제2광원(122),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에 인가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이들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플레이트(110)는 제1광원(121)과 제1센서(131)의 제1쌍과, 제2광원(122)과 제2센서(132)의 제2쌍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쌍과 제2쌍 사이에서의 광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광차폐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의 게인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는 기준플레이트(RP)로 차폐하고,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2개구(102)는 검사대상인 스크린 등의 타겟플레이트(TP)로 차폐한다. 기준플레이트(RP)는 검사대상인 스크린의 게인을 측정하기에 앞서 기준이 되는 플레이트로서, 특정 반사율을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라 함은 반드시 견고한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크린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타겟플레이트(TP)는 게인을 측정할 검사대상인 타겟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라 함은 반드시 견고한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크린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210)를 클릭하여 스위치(210)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제1광원(121)에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를 향해 광(L1)을 방출한다. 기준플레이트(RP)로 게인측정장치의 제1개구(101)가 차폐된 상태이기에, 제1광원(121)에서 방출된 광(L1)은 기준플레이트(RP)에서 반사되어 제1센서(131)를 향하게 된다. 제1센서(131)는 제1광원(121)에서 방출되어 기준플레이트(RP)에서 반사된 후 제1센서(131)에 입사한 광(L1')을 감지하여 휘도를 측정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한다. 물론 제1센서(131)는 입사하는 광(L1')의 휘도에 대한 정보를 단지 실시간으로 획득하기만 하고, 제1센서(131)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동시에,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제2광원(122)에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2개구(102)를 향해 광(L2)을 방출한다. 타겟플레이트(TP)로 게인측정장치의 제2개구(102)가 차폐된 상태이기에, 제2광원(122)에서 방출된 광(L2)은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에서 반사되어 제2센서(132)를 향하게 된다. 제2센서(132)는 제2광원(122)에서 방출되어 타겟플레이트(TP)의 측정대상면에서 반사된 후 제2센서(132)에 입사한 광(L2')을 감지하여 휘도를 측정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한다. 물론 제2센서(132)는 입사하는 광(L2')의 휘도에 대한 정보를 단지 실시간으로 획득하기만 하고, 제2센서(132)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제어부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을 획득한 후, 제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획득한다. 이 최종값이 게인측정장치가 측정한 게인 값이 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이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를 2번 클릭하지 않고 1번의 클릭만으로 게인 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측정대상인 스크린의 게인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처럼,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 근방의 선단부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사산/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플레이트(RP)는 단순한 플레이트 형상이 아니라,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뚜껑 형상의 기준플레이트(RP)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나사골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져, 기준플레이트(RP)가 원통형 프레임(10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 및/또는 제2개구(102)근방에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탄성체가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주부를 따라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게인측정장치 자체의 오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와 제2개구(102)를 모두 동일한 플레이트로 차폐한 상태에서 스위치(210)를 클릭하면, 제1센서(131)에서 획득한 값을 통해 결정된 제1평균값과 제2센서(132)에서 획득한 값을 통해 결정된 제2평균값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해야 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가 결정한 게인 값은 1에 근접한 값이 나와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제1개구(101)와 제2개구(102)를 모두 동일한 플레이트로 차폐한 상태에서 스위치(210)를 클릭함으로써, 제1광원(121), 제2광원(122), 제1센서(131) 및 제2센서(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와 상이한 점은, 반사부(150)를 더 구비한다는 점과, 광원(120)의 위치와 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경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는 1개의 광원(120)을 구비하며, 이 광원(120)에서 (+z 방향으로) 방출된 광은 반사부(150)에 의해 반사되어, 원통형 프레임(100)의 (+x 방향) 일단의 제1개구(101)와 (-x 방향) 타단의 제2개구(102) 각각을 향해 진행된다. 물론 제1센서(131)는 제1개구(101)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고, 제2센서(132)는 제2개구(102)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그 외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이나 역할, 측정스위치의 구성이나 역할, 게인측정장치의 그 외의 구성이나 기능 등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인측정장치의 경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제1개구(101)를 차폐하여 반사부(150)에서 반사되어 제1개구(101)를 향하는 광을 제1센서(131)로 반사시키고, 동시에 측정대상면이 제2개구(102)를 차폐하여 반사부(150)에서 반사되어 제2개구(102)를 향하는 광을 제2센서(132)로 반사시킨다. 이처럼 하나의 광원(120)에서 방출된 광을 이용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동시에, 제1센서(131)로부터 기준플레이트에서 반사된 광의 휘도를 처리한 제1평균값과, 제2센서(132)로부터 타겟플레이트의 측정대상면에서 반사된 광의 휘도를 처리한 제2평균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을 획득함에 있어서 광원의 불균일함에 기인한 오차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수치를 게인 값으로 확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120)과 반사부(15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에서 벗어나 위치하되, 광원(120)과 반사부(15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의 (-z 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반사부(150)는 제1개구(101) 방향의 제1반사면과 제2개구(102) 방향의 제2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131)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제1반사면의 위치에 대략 대칭인 곳에 위치하고, 제2센서(132)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을 기준으로 제2반사면의 위치에 대략 대칭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부(150)의 제1면은, 제1개구(101)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반사시키고, 반사부(150)의 제2면은 제2개구(102)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축(CA)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는 원통형 프레임(100) 내부에 위치한 내부플레이트(110) 상에 위치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내부플레이트(110)는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에 인가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이들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플레이트(110)는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센서(131)와 제2센서(132) 사이에서의 광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광차폐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101: 개구
110: 내부플레이트 120: 광원
130: 센서 200: 손잡이부
211: 제1스위치 212: 제2스위치
3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일단에 제1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광원;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인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키는, 게인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키는, 게인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는, 게인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게인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제2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광원;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게인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측정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을 결정하고, 동시에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광원에서 상기 제2개구를 향해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인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2광원에서 상기 제2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2센서로 반사시키고, 동시에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제1광원에서 상기 제1개구를 향해 방출된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키는, 게인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며,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광원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는, 게인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게인측정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1센서의 제1쌍과, 상기 제2광원 및 상기 제2센서의 제2쌍 사이에 위치하는 광차폐판을 더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
  13. 일단에 제1개구를 갖고 상기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에 제2개구를 갖는, 속이 빈 원통형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각각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제1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
    상기 제2개구로부터의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한 광의 휘도와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휘도를 처리한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측정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광원에서 광을 방출하면서,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1평균값과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한 휘도의 제2평균값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평균값을 제1평균값으로 나눈 최종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게인측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시, 기준플레이트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개구를 향하는 광을 상기 제1센서로 반사시키고, 동시에 측정대상면이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여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개구를 향하는 광을 상기 제2센서로 반사시키는, 게인측정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위치하되,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개구 방향의 제1반사면과 상기 제2개구 방향의 제2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반사면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반사면의 위치에 대칭인 곳에 위치하는, 게인측정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제2개구를 차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만나는 지점을 향해 광을 반사시키는, 게인측정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광차폐판을 더 구비하는, 게인측정장치.
KR1020180053931A 2018-05-10 2018-05-10 게인측정장치 KR10206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31A KR102063871B1 (ko) 2018-05-10 2018-05-10 게인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31A KR102063871B1 (ko) 2018-05-10 2018-05-10 게인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85A true KR20190129385A (ko) 2019-11-20
KR102063871B1 KR102063871B1 (ko) 2020-01-08

Family

ID=6872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931A KR102063871B1 (ko) 2018-05-10 2018-05-10 게인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8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410A (ja) * 2000-05-16 2001-11-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シートの評価方法及び輝度測定装置
JP2006295845A (ja) * 2005-04-14 2006-10-26 Sanyo Electric Co Ltd 映像信号処理回路
JP5213078B2 (ja) * 2008-10-31 2013-06-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投射画像輝度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85318A (ja) * 2012-10-26 2014-05-12 Glory Ltd 蓄光標識用の輝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JP2017026633A (ja) * 2009-05-01 2017-02-02 エックストラリス・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粒子検出器の改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410A (ja) * 2000-05-16 2001-11-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シートの評価方法及び輝度測定装置
JP2006295845A (ja) * 2005-04-14 2006-10-26 Sanyo Electric Co Ltd 映像信号処理回路
JP5213078B2 (ja) * 2008-10-31 2013-06-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投射画像輝度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6633A (ja) * 2009-05-01 2017-02-02 エックストラリス・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粒子検出器の改良
JP2014085318A (ja) * 2012-10-26 2014-05-12 Glory Ltd 蓄光標識用の輝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871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593B2 (ja) タッチプローブに対してビジョンシステムを校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596333B (zh) Means for measuring a film with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measuring method thereof
US8581892B2 (en)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EP2435893A1 (en) Optical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JP2011002240A (ja) 三次元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2018037334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ctive brightness depth calculation for object tracking
TWI496057B (zh) 光學觸控系統及觸控偵測方法
US20110267315A1 (en) Apparatus with position detection function
US9122355B2 (en) Indication member, optical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with input function
JP2018036255A (ja) レンズ測定装置及びレンズ測定装置用指標板
US20150042618A1 (en) Optical touch system and touch display system
KR102063871B1 (ko) 게인측정장치
US20100072372A1 (en) Remote sensing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ame
KR102043241B1 (ko) 편광측정장치
US20180116506A1 (en) Eye track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e module thereof
TWI359371B (en) Optical displacement detection apparatus and optic
JP3964079B2 (ja) 座標入力装置
JP7001612B2 (ja) 対象物の少なくとも1つの既定点の3d座標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0282463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TWI518575B (zh) 光學觸控模組
TWI661231B (zh) 頭戴式顯示裝置
US20200329561A1 (en) Spacer for Surface Mountable Electronic Components
TWI529587B (zh) Optical touch device and its touch method
TWI595253B (zh) 可用來判斷參考物件或光源相對位置的光學偵測裝置
JPH1097376A (ja) 視線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