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65A -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65A
KR20190129265A KR1020180053642A KR20180053642A KR20190129265A KR 20190129265 A KR20190129265 A KR 20190129265A KR 1020180053642 A KR1020180053642 A KR 1020180053642A KR 20180053642 A KR20180053642 A KR 20180053642A KR 20190129265 A KR20190129265 A KR 2019012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aft
flange
sprock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705B1 (ko
Inventor
송종태
김환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주)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주)서광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18005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7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이 연결된 스텝체인이 결합되는 체인 스프라켓; 상기 체인 스프라켓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에 클램핑 결합되는 슬리브 유닛;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의 외면에 일체 형성되며 비상 제동 유닛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ESCALATOR HAVING EMERGENCY BRAKE}
본 발명은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사람(또는 화물)이 탑승한 발판(스텝)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사람을 위아래 층으로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이다.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이동 속도 및 방향 제어 상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의 속도가 공칭 또는 정격속도보다 일정한 값 이상을 초과하거나, 터미널 기어와 구동 모터를 연결하는 구동 체인의 파단이 발생하거나, 운전지령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역주행이 발생하거나, 감속기 고장으로 메인 브레이크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사고를 대비하여, 에스컬레이터는 비상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급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비상 브레이크를 이루는 구성은 터미널 기어에 연결된 회전 샤프트에 대해 나사 결합된다. 그에 의해, 회전 샤프트에는 미세 크랙이 발생하고, 반복적인 진동에 의해 피로(fatigue) 파괴가 진행할 수 있다. 이는 회전 샤프트의 파손 및 그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의 붕괴라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상 제동을 위한 구성을 설치함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에 대한 탭핑을 요구하지 않게 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비상 제동을 위한 구성의 개수를 줄여서 관련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는, 스텝이 연결된 스텝체인이 결합되는 체인 스프라켓; 상기 체인 스프라켓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에 클램핑 결합되는 슬리브 유닛;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의 외면에 일체 형성되며 비상 제동 유닛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은, 상기 회전 샤프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회전 샤프트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를 관통 체결되는 체결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밀착부 각각에서 돌출하여 단일체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의 밀착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밀착부 각각은, 그들이 서로에 대해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 중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에 체인 연결되는 제동 스프라켓; 및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연동되어,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상기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은,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증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동 스프라켓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유닛 및 상기 회전 샤프트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증속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는, 스텝이 연결된 스텝체인이 결합되는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 서로 하나의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의 중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를 구비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랜지 유닛;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중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슬리브 유닛;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의 외면에 일체 형성되며, 비상 제동 유닛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 유닛은, 상기 제1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을 관통하여 그들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중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커버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커버 플랜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에 의하면, 비상 제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슬리브 유닛은 회전 샤프트에 대한 탭핑 없이 회전 샤프트를 클램핑하는 구조로서 설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회전 샤프트가 슬리브 유닛의 설치에 의해 강도 면에서 약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나아가, 슬리브 유닛에는 샤프트 스프라켓이 일체 형성되어, 그를 별도로 제작하여 슬리브 유닛에 설치하는 등의 경우에 비해 요구되는 부품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스프라켓에 비해 제동 스프라켓의 직경을 작게 하고 제동 스프라켓과 브레이크 사이에 증속기를 배치함에 의해서는, 회전 샤프트의 비상 제동을 위한 토크의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작은 브레이크로도 회전 샤프트를 효과적으로 제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100)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100)의 일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슬리브 유닛(13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리브 유닛(130)이 회전 샤프트(120)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200) 중 요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100)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100)의 일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100)는, 체인 스프라켓(110), 회전 샤프트(120), 슬리브 유닛(130), 샤프트 스프라켓(140), 비상 제동 유닛(150), 구동 모터(160), 터미널 기어(170), 감지 유닛(180), 및 마운팅 브라켓(190)을 포함할 수 있다.
체인 스프라켓(110)은 스텝 체인(C)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스텝 체인(C)에는 사람이 밟는 발판(스텝)(미도시)이 설치된다. 체인 스프라켓(110)이 회전함에 따라서 스텝 체인(C)은 스텝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체인 스프라켓(11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스텝 체인(C)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0)는 체인 스프라켓(110)의 중심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회전 샤프트(120)는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110)에 각각 연결되어 그들이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하게 한다.
슬리브 유닛(130)은 회전 샤프트(120)에 클램핑 결합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슬리브 유닛(130)은 회전 샤프트(120)를 감싸는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게서 분리되면서 회전 샤프트(120)를 감싸도록 회전 샤프트(120)에 설치되게 된다.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는 결합 부재(139)에 의해 회전 샤프트(120)에 클램핑 결합된다. 그에 의해, 슬리브 유닛(130)을 회전 샤프트(120)에 결합시킬 때, 회전 샤프트(120)에 나사 구멍을 가공(탭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샤프트 스프라켓(140)은 슬리브 유닛(130)에 일체 형성되어 비상 제동 유닛(150)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스프라켓(140)는 슬리브 유닛(130)의 외면에 슬리브 유닛(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원형의 톱니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샤프트 스프라켓(140)을 슬리브 유닛(130)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게 된다.
비상 제동 유닛(150)은 체인 스프라켓(110)의 통제되지 않는 회전(과속 회전, 역방향 회전)에 따른 스텝의 이상 작동 시에 회전 샤프트(120)의 회전을 비상 제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비상 제동 유닛(150)은, 제동 스프라켓(151), 브레이크(153), 및 증속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동 스프라켓(151)은 샤프트 스프라켓(140)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제동 체인(152)에 의해 샤프트 스프라켓(140)에 연결된다. 제동 스프라켓(151)은 샤프트 스프라켓(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153)는 제동 스프라켓(151)에 연동되어 제동 스프라켓(151)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브레이크(153)로는, 예를 들어 디스크 브레이크가 채용될 수 있다. 제동 스프라켓(151)과 브레이크(153) 사이에는 증속기(15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증속기(155)의 입력축은 제동 스프라켓(151)과 연결되고, 증속기(155)의 출력축은 브레이크(15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터(160)는 스텝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 모터(160)는 메인 브레이크가 맞물려 있어서, 구동 모터(160)의 작동 시에는 메인 브레이크가 구동 모터(160)에 대한 제동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구동 모터(160)의 출력축에는 구동 스프라켓(161)이 설치된다. 구동 스프라켓(161)에는 구동 체인(165)이 감겨지게 된다.
터미널 기어(170)는 구동 모터(160)의 구동 스프라켓(161)과 구동 체인(165)에 의해 연결된다. 터미널 기어(170)는 회전 샤프트(120)에 연결되어, 터미널 기어(170)의 회전에 따라 회전 샤프트(120) 및 그에 연결된 체인 스프라켓(1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터미널 기어(170)는 구동 모터(160)에 대응하여,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110) 중 하나 측에만 설치될 수 있다.
감지 유닛(180)은 회전 샤프트(120)에 대해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12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 샤프트(12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에 대한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 유닛(미도시)은 비상 제동 유닛(1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마운팅 브라켓(190)은 슬리브 유닛(130) 또는 회전 샤프트(120)에 대해 결합되어, 증속기(155)가 설치되는 대상이 되는 구성이다. 마운팅 브라켓(190)은 제1 브라켓(191)과 제2 브라켓(1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91)은 슬리브 유닛(130)을 감싸도록 슬리브 유닛(130)에 결합되고 증속기(155)가 그의 입력축 측에서 결합되는 대상이 된다. 제1 브라켓(191)은 메인 플레이트(192)와, 링 홀더(193), 및 체결 부재(195)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92)는 회전 샤프트(120)에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메인 플레이트(192)의 일 단부는 슬리브 유닛(130)에 대응해서 곡선형 외면을 갖는다. 이러한 메인 플레이트(192)의 일 단부에 대응하여, 링 홀더(193)는 그 일 단부와 함께 원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체결 부재(195)는 링 홀더(193) 측에서 메인 플레이트(192)를 향해 박히는 볼트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브라켓(191)은 슬리브 유닛(130)를 클램핑하여 슬리브 유닛(130){및 회전 샤프트(120)}에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제2 브라켓(196)은 제1 브라켓(191)과 달리 회전 샤프트(120)를 클램핑하도록 결합되나, 대체로 구성은 제1 브라켓(191)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제2 브라켓(196)은 메인 플레이트(197)와, 링 홀더(198), 그리고 체결 부재(199)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브라켓(191)과 제2 브라켓(196)을 설치할 때에도, 슬리브 유닛(130)이나 회전 샤프트(120)에 탭핑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10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구동 모터(160)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메인 브레이크는 구동 모터(160)를 제동하는 상태가된다.
에스컬레이터(100)가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메인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를 해제하고 구동 모터(160)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 모터(160)의 출력은 구동 스프라켓(161)과 구동 체인(165)을 거쳐서 터미널 기어(170)를 회전시키게 된다. 터미널 기어(170)의 회전에 의해, 터미널 기어(170)에 회전 샤프트(12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110)은 역시 회전하게 된다. 체인 스프라켓(110)의 회전에 의해 그에 연결된 스텝 체인(C)이 구동되고, 그 결과 스텝 체인(C)에 연결된 스텝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이용자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100)의 작동 중에, 구동 모터(160)의 고장으로 구동 모터(160)의 출력이 과해지거나 구동 체인(165)이 끊어질 수 있다. 이는 회전 샤프트(120)가 정격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거나 설정된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는 감지 유닛(180)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감지 유닛(180)으로부터 이러한 감기 결과를 입력받은 경우에, 비상 브레이크(153)를 작동시킨다. 브레이크(153)에서 발생된 제동력은 제동 브라켓(151)과 제동 체인(152)을 통해 샤프트 스프라켓(140)에 전달되어, 슬리브 유닛(130) 및 회전 샤프트(120)의 회전에 반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에 의해, 회전 샤프트(120)가 제동된다.
이때, 제동 브라켓(151)과 브레이크(153) 사이에 증속기(155)가 개입됨에 의해 브레이크(153)에서 감당해야 할 제동력의 토크를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제동 체인(152)이 샤프트 스프라켓(1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에 의해서도, 회전 샤프트(120)의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153)가 감당해야 할 토크를 보다 낮출 수 있다. 그 결과로, 적정 용량의 브레이크(153)를 통해서도 회전 샤프트(12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제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슬리브 유닛(13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슬리브 유닛(130)은, 앞서 설명한 바대로,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 보강 리브(138), 그리고 결합 부재(139)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 커버(131)는, 대체로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절반의 부분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그에 의해, 제1 커버(131)의 중앙부는 회전 샤프트(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회전 샤프트(120)에 밀착되는 밀착부(132)일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0)가 봉 형상을 가짐에 의해, 밀착부(132)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 스프라켓(140)은 밀착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위치하여, 제1 커버(131){나아가, 슬리브 유닛(130)}은 샤프트 스프라켓(14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샤프트 스프라켓(140)에 걸리는 제동력에 의해 슬리브 유닛(130)이 회전 샤프트(120)에 대해 비틀리지 않게 한다.
밀착부(132)의 양 측부에서는 플랜지부(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회전 샤프트(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대체로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강 리브(138)는 플랜지부(133) 및 밀착부(132)에서 각각 돌출하여 단일체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 부분이다. 보강 리브(138)는 회전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35)는 앞서 설명한 제1 커버(131)와 대체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그에 따라, 제2 커버(135)도 밀착부(136), 플랜지부(137), 그리고 보강 리브(138)를 가지게 된다.
결합 부재(139)는 제1 커버(131)의 플랜지부(133)와 제2 커버(135)의 플랜지부(137)를 관통 체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 부재(139)로는 체결 피스,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슬리브 유닛(130)이 회전 샤프트(120)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가 접촉된 경우에, 그들은 접촉면(132a, 136a)를 가진다.
이러한 접촉면들(132a 및 136a)에 대하여, 제1 커버(131)의 플랜지부(133)와 제2 커버(135)의 플랜지(137)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면들(132a 및 136a)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밀착부(132, 136)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의해, 결합 부재(139)가 제1 커버(131)의 플랜지부(133)와 제2 커버(135)의 플랜지부(137)를 결합하는 경우에, 이들 플랜지부들(133 및 137)은 결합 부재(139)에 의해 가까워지면서 접촉면들(132a 및 136a)이 서로 압착되게 하는 토크를 유발한다. 그 결과, 제1 커버(131)와 제2 커버(135)는 서로 간에 보다 밀착되면서 회전 샤프트(120)에 견고하게 클램핑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다른 형태의 에스컬레이터(200)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200) 중 요부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20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100)의 체인 스프라켓(110), 샤프트 스프라켓(140), 비상 제동 유닛(150), 구동 모터(160), 터미널 기어(170), 감지 유닛(180), 및 마운팅 브라켓(190)은 대체로 동일하게 포함한다. 다만,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200)은, 회전 샤프트(121) 및 플랜지 유닛(225), 슬리브 유닛(2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회전 샤프트(121)는 제1 샤프트(222)와 제2 샤프트(223)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222)와 제2 샤프트(223)는 서로 하나의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들은 각각 체인 스프라켓(110, 도 1 참조)의 중심에 연결된다.
플랜지 유닛(225)은 제1 샤프트(222)와 제2 샤프트(223)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유닛(225)은 제1 샤프트(2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226)와, 제2 샤프트(22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227)를 포함한다. 플랜지(226 및 227)는 샤프트(222 및 22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간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플랜지 유닛(225)은 또한 체결 부재(228)를 더 가질 수 있다. 체결 부재(228)는 제1 플랜지(226), 제2 플랜지(227), 나아가 슬리브 유닛(230)을 관통하여 그들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는 구성이다.
슬리브 유닛(230)은 제1 샤프트(222)와 제2 샤프트(223) 중 하나로서, 예를 들어 제2 샤프트(22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유닛(230)은 플랜지(226 및 227)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 유닛(230)은 제1 커버(231)와 제2 커버(235)를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231)와 제2 커버(235)는 전체적으로 관체 형상을 이루어서, 제2 샤프트(223)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버(231)와 제2 커버(235)의 외면에는, 제2 샤프트(2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샤프트 스프라켓(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231)와 제2 커버(235) 각각은 제2 샤프트(223)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32 및 236), 그리고 그들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버 플랜지(233 및 237)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랜지(233 및 237)는 제1 커버(231) 및 제2 커버(235)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체결 부재(228)는 제1 플랜지(226)와 제2 플랜지(227), 그리고 커버 플랜지(233 및 237)를 관통하여 이들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볼트는 제1 플랜지(226)와 제2 플랜지(227)를 체결하는 역할에 더하여, 커버 플랜지(233 및 237)까지도 플랜지(226 및 227)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리브 유닛(230)에는 샤프트 스프라켓(240)이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슬리브 유닛(230)은 그의 커버 플랜지(233 및 237)가 플랜지(226 및 227)에 체결됨에 의해 회전 샤프트(221)에 나사 결합될 일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 에스컬레이터 110: 체인 스프라켓
120,221: 회전 샤프트 225: 플랜지 유닛
130,230: 슬리브 유닛 140,240: 샤프트 스프라켓
150: 비상 제동 유닛 160: 구동 모터
170: 터미널 기어 180: 감지 유닛
190: 마운팅 브라켓

Claims (15)

  1. 스텝이 연결된 스텝체인이 결합되는 체인 스프라켓;
    상기 체인 스프라켓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에 클램핑 결합되는 슬리브 유닛;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의 외면에 일체 형성되며 비상 제동 유닛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은,
    상기 회전 샤프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회전 샤프트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히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의 밀착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밀착부 각각은,
    그들이 서로에 대해 접촉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 중 하나는,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가 서로 이격 배치되게 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커버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를 관통 체결되는 체결 피스를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밀착부 각각에서 돌출하여 단일체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에 체인 연결되는 제동 스프라켓; 및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연동되어,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상기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동 유닛은,
    상기 제동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증속기를 더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스프라켓은,
    상기 샤프트 스프라켓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인,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유닛 및 상기 회전 샤프트 중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증속기가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3. 스텝이 연결된 스텝체인이 결합되는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
    서로 하나의 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체인 스프라켓의 중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를 구비하는 회전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랜지 유닛;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중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슬리브 유닛;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의 외면에 일체 형성되며, 비상 제동 유닛으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유닛은,
    상기 제1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슬리브 유닛을 관통하여 그들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유닛은,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 중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유닛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커버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커버 플랜지에 관통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KR1020180053642A 2018-05-10 2018-05-10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KR10209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42A KR102091705B1 (ko) 2018-05-10 2018-05-10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42A KR102091705B1 (ko) 2018-05-10 2018-05-10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65A true KR20190129265A (ko) 2019-11-20
KR102091705B1 KR102091705B1 (ko) 2020-03-20

Family

ID=6872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42A KR102091705B1 (ko) 2018-05-10 2018-05-10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38A (ko) * 2020-08-31 2022-03-08 (주)에이치피엔알티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505A (en) * 1990-10-25 1992-10-27 Rexnord Corporation Guide ring
KR101438075B1 (ko) * 2014-06-09 2014-09-12 (주)미주하이텍 에스컬레이터용 완속 제동 장치
KR101608038B1 (ko) *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505A (en) * 1990-10-25 1992-10-27 Rexnord Corporation Guide ring
KR101438075B1 (ko) * 2014-06-09 2014-09-12 (주)미주하이텍 에스컬레이터용 완속 제동 장치
KR101608038B1 (ko) *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738A (ko) * 2020-08-31 2022-03-08 (주)에이치피엔알티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705B1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1125B2 (ja) くさび・ソケット終端装置、引張クランプ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269289B2 (ja) 自己ロック式ボルト締めファスナ
CN108025725B (zh) 用于机动车的制动力放大器
US20030085391A1 (en) Winch
JP2007016993A (ja) ハブを介してモータ軸とギアとを連結するクランプ
EP3326953B1 (en) Retrofitting an elevator machine with primary and secondary braking
CN112118941A (zh) 包括制动组件的机器人关节
KR20190129265A (ko)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EP0878434B1 (en) Hand operated chain block
WO2013111691A1 (ja) 補助モータ付き手動巻上機
US6659429B2 (en) Self-locking reduction device
WO2002053940A2 (en) Mounting system for speed reducers
SE508605C2 (sv) Lyftblock av hävarmstyp
KR20190050930A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EP3336372B1 (en) A mixer comprising a clamping sleeve assembly
US5765961A (en) Adapt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shaft-carried speed reducer
US6176797B1 (en) Adaptor for power transmission in a pulley and shaft
KR20190109047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의 스프로켓 설치구조
US7111523B1 (en) Rotational power transmitting drive component with improved acoustic and assembly characteristics
EP4238921B1 (en)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or escalator system
US20040041137A1 (en) Self-locking reduction device
KR100686582B1 (ko) 정, 역회전이 자유로운 윈치장치
KR20200144321A (ko) 전동부스터장치
CN110342385A (zh) 一种自动扶梯及自动人行道的夹持式附加制动装置
US2390875A (en) Attaching means for sheaves,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