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844A -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844A
KR20190128844A KR1020180053073A KR20180053073A KR20190128844A KR 20190128844 A KR20190128844 A KR 20190128844A KR 1020180053073 A KR1020180053073 A KR 1020180053073A KR 20180053073 A KR20180053073 A KR 20180053073A KR 20190128844 A KR20190128844 A KR 2019012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ag
present
contact
drain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136B1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61M1/0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61M1/00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9Drainage containers not being adapted for subjection to vacuum, e.g. ba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7Materials having sensing or indicating function, e.g. indicating a pressure incr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외과수술 후 체내에서 배액되는 물질의 성상(Quality)를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술 후 환자 체내에 내삽되는 배액관과 상기 배액관과 연결된 배액주머니를 포함하는 배액 시스템으로, 상기 배액주머니 내에는 상기 배액 주머니의 배액과 접촉하여 상기 배액의 성상을 나타내는 표지자(indicator)가 상기 배액 주머니 내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SMART FUNCTIONAL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외과수술 후 체내에서 배액되는 물질의 성상(Quality)를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후 일반적으로 체내에서 배출되는 배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액관과 배액주머니가 환자에게 연결된다.
특히, 배액의 성상으로부터 수술 후 환자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데, 현재 배액관은 이상배액의 징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없고, 징후가 발생하더라도 배액물질의 검사실 검사를 통해야만 합병증의 진단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3555호는 실시간으로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체액)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는데, 체액을 수집한 배뇨액 주머니를 별도로 본체에 연결하여 체액의 정량 및 정성 분석을 하는 것이어서 서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즉각적인 체액의 성상, 예를 들어 pH 등을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배액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0883555 B1(2009.02.17.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외과수술 후 체내에서 배액되는 물질의 성상(Quality)를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술 후 환자 체내에 내삽되는 배액관과 상기 배액관과 연결된 배액주머니를 포함하는 배액 시스템으로, 상기 배액주머니 내에는 상기 배액 주머니의 배액과 접촉하여 상기 배액의 성상을 나타내는 표지자(indicator)가 상기 배액 주머니 내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지자(indicator)는 상기 배액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표지물질이 내부에 도포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주머니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개방되어 상기 표지물질이 상기 배액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상은 상기 배액의 p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액 주머니는 적어도 상기 표지자가 구비된 영역에서는 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주머니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표지자 각각은 각각의 독립된 성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배액 주머니 또는 배액관에 배액과 접촉하여 배액의 성상을 나타내는 표지자를 마련함으로써, 외과수술 후 체내에서 배액되는 물질의 성상을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이상물질이 배액시 직관적인 진단이 가능하여 즉각적인 처치가 가능하고, 수술 합병증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후 환자 체내에 내삽되는 배액관(2)과 상기 배액관(2)과 연결된 배액주머니(1)를 포함하는 배액 시스템으로, 상기 배액주머니(1) 내에는 상기 배액 주머니(1)의 배액(1a)과 접촉하여 상기 배액(1a)의 성상을 나타내는 표지자(indicator)(3)가 상기 배액 주머니(1) 내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장에서 즉각적인 배액(1a)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배액(1a)의 성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자(indicator)(3)는 상기 배액(1a)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물질이며, 예를 들어 pH의 경우 pH에 따라 색이 가변되는 메틸오렌지 등의 물질이 상기 표지자(3)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형광을 비추었을때에 색이 가변되는 물질 등도 가능하며, 적어도 현장에서 즉각적인 시각적 확인이 가능한 모든 방식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배액량이 미량인 경우 실질적으로 배액(1a)과의 접촉이 늦어질 수 있다는 문제와, 원하는 시간때의 배액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발생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의료진이 배액 주머니(1)를 문지르는 것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하여 내부에 표지된 표지물질을 배액과 원하는 때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자(3)는 상기 배액(1a)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표지물질(3a)이 내부에 도포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주머니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개방되어 상기 표지물질(3a)이 상기 배액(1a)과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액(1a)의 일부 미량만 있는 경우라도,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배액주머니(1)의 표지자(3) 부분을 사용자가 배액(1a)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문지르는 경우, 주머니 형태의 표지자(3)가 터짐으로써 나오게 되는 표지물질(3a)이 배액(1a)과 반응하여 색이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표지자(3)는 상기 배액관(2)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의료진은 배액관(2)에서의 색 변화에 따라 배액의 성상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액 주머니(1)는 적어도 상기 표지자(3)가 구비된 영역에서는 투명 재질이며, 상기 표지자(3)는 상기 배액주머니(1)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표지자(3) 각각은 각각의 독립된 성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배액 주머니 1a : 배액
2 : 배액관 3 : 표지자
3a : 표지물질

Claims (7)

  1. 수술 후 환자 체내에 내삽되는 배액관과 상기 배액관과 연결된 배액주머니를 포함하는 배액 시스템으로,
    상기 배액주머니 내에는 상기 배액 주머니의 배액과 접촉하여 상기 배액의 성상을 나타내는 표지자(indicator)가 상기 배액 주머니 내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지자(indicator)는 상기 배액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과 접촉하여 색이 변화되는 표지물질이 내부에 도포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주머니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개방되어 상기 표지물질이 상기 배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상은 상기 배액의 p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액 주머니는 적어도 상기 표지자가 구비된 영역에서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지자는 상기 배액주머니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표지자 각각은 각각의 독립된 성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시스템.
KR1020180053073A 2018-05-09 2018-05-09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KR10211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73A KR102112136B1 (ko) 2018-05-09 2018-05-09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73A KR102112136B1 (ko) 2018-05-09 2018-05-09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44A true KR20190128844A (ko) 2019-11-19
KR102112136B1 KR102112136B1 (ko) 2020-05-18

Family

ID=6877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73A KR102112136B1 (ko) 2018-05-09 2018-05-09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3B1 (ko) * 1999-05-14 2007-03-0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화학적 인디케이터, 이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기 시스템
KR100883555B1 (ko) 2005-11-15 2009-02-17 한메딕스 주식회사 체액의 정량 및 정성 분석장치
US8062234B2 (en) * 2004-06-24 2011-11-22 University College Cardiff Consultants Limited Ph sensor
KR101333956B1 (ko) * 2005-08-02 2013-11-27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의약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산소 지시약
KR101774292B1 (ko) * 2016-03-25 2017-09-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배액주머니
WO2018058077A1 (en) * 2016-09-23 2018-03-2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rinary catheter bacterial dete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3B1 (ko) * 1999-05-14 2007-03-0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화학적 인디케이터, 이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기 시스템
US8062234B2 (en) * 2004-06-24 2011-11-22 University College Cardiff Consultants Limited Ph sensor
KR101333956B1 (ko) * 2005-08-02 2013-11-27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의약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산소 지시약
KR100883555B1 (ko) 2005-11-15 2009-02-17 한메딕스 주식회사 체액의 정량 및 정성 분석장치
KR101774292B1 (ko) * 2016-03-25 2017-09-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배액주머니
WO2018058077A1 (en) * 2016-09-23 2018-03-2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rinary catheter bacterial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136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3679A (zh) pH指示剂装置和制剂
JP4576384B2 (ja) 診断用テスト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Reiss et al. Telemonitoring of left-ventricular assist device patients—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ATE303100T1 (de) Mit positionsanzeigeeinrichtung versehene verschliessungsvorrichtung für die arterienwand
NO993536L (no) Fluid-innretning for medisinske diagnoser
US11161117B2 (en) Apparatus for testing a liquid specimen
ATE516752T1 (de) Probenröhrchen zur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insbesondere blut
US5360013A (en) Method and device for qualitative detection of blood in urine
Atahan et al. Can occult cystobiliary fistulas in hepatic hydatid disease be predicted before surgery?
KR20190128844A (ko) 스마트 기능성 배액 시스템
CA2937489A1 (en) Material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female urethra
CN110218769A (zh) 用于lamp或rt-lamp的整合一体式多联试纸条
CN206434630U (zh) 一种肝胆外科引流装置
US11534091B2 (en) Syringe for obtaining a target volume of blood
CN209784025U (zh) 一种病理标本固定瓶
US20190369125A1 (en) Sample container with integrated test strip
CN109556840A (zh) 一种用于真空辅助乳腺旋切系统的穿刺旋切针测试方法
JP2018532520A (ja) とりわけ滑液用の採取分析装置
CN104390838A (zh) 医用微小组织固定瓶
CN210844379U (zh) 一种呕吐袋
JP5140620B2 (ja) 液体試料の貯留装置および液体試料の測定方法
CN218106456U (zh) 可识别引流液性状引流袋
Nayak et al. Modern day guidelines for post lobectomy chest tube management
CN219579695U (zh) 动脉转流装置
CN208060296U (zh) 肛肠吻合器压力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