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823A -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823A
KR20190128823A KR1020180053005A KR20180053005A KR20190128823A KR 20190128823 A KR20190128823 A KR 20190128823A KR 1020180053005 A KR1020180053005 A KR 1020180053005A KR 20180053005 A KR20180053005 A KR 20180053005A KR 20190128823 A KR20190128823 A KR 2019012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iving space
unit
vib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중
김종민
류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인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인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인트리
Priority to KR102018005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823A/ko
Publication of KR2019012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거인이 주거할 수 있는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에 주거인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는 센싱유닛과,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연결되며, 상기 센싱유닛을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주거인의 재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센싱유닛을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주거인의 퇴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센싱유닛을 이용하여 주거공간에서의 주거인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여 주거인이 주거공간에서 퇴실할 경우, 가전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가전기기의 제어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공간에 주거인의 입실여부에 따라 가전기기를 작동시키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있는 가전제품, 컴퓨터, 정보단말기 등을 전력선, 전화선, 무선 등의 물리적 매체를 통하여 상호 연결한 것을 말한다. 홈 네트워크가 완성되면 많은 일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외부인이 방문한 경우, 거실에서 시청하고 있는 텔레비젼 화면을 통하여 얼굴을 확인하고 텔레비젼 리모콘을 사용하여 문을 열어줄 수 있다. 또한, 거실에 있는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영화를 침실에 있는 텔레비젼을 통하여 볼 수도 있으며, 공부방에 있는 PC화면도 텔레비젼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거하는 주거공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주거공간의 환경에 적합하게 가전기기를 작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전제품이 마련된 주거공간에서 퇴실할 때에, 각 가전제품마다 단말기를 통해 개별적으로 정지신호를 입력해야하므로 번거럽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7336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거공간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주거공간에 주거인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여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주거하는 주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주거공간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센싱유닛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유닛에서 획득된 환경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가전기기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와, 상기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량이 기설정된 위험먼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온습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를 작동시킨다.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는 재실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실감지부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재실감지부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재실감지부는 상기 주거공간의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를 구비한다.
상기 재실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마련된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가구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를 감지하는 가구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신호 판별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되되, 상기 가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되되, 상기 가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미감지된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로 판별한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진동감지센서들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 내에 발생한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여 진동 발생원이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패턴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판별부는 상기 패턴 분석부에서 진동 발생원이 사람으로 판별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패턴분석부에서 진동 발생원이 동물로 판별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로 판별한다.
한편, 상기 재실감지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주거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센싱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주거공간 내의 환경정보를 토대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주거공간의 상태에 따라 가전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센싱유닛을 이용하여 주거공간에서의 주거인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여 주거인이 주거공간에서 퇴실할 경우, 가전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가전기기의 제어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주거하는 주거공간(15)에 설치되며, 상기 주거공간(15)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센싱유닛(110)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유닛(110)에서 획득된 환경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30)과,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거공간(15)에 설치된 가전기기(16)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140)과, 상기 입력모듈(14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16)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구비한다.
센싱유닛(110)은 상기 주거공간(15) 내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115)와, 상기 주거공간(15)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15)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116)와, 상기 주거공간(15)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는 재실감지부(117)를 구비한다.
먼지센서(115)는 주거공간(15)의 벽면에 고정되어 주거공간(15) 내의 먼지량을 측정한다. 온습도 센서(116)는 먼지센서(115)에 인접되게 주거공간(15)의 벽면에 고정되어 주거공간(15)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먼지센서(115) 및 온습도 센서(116)는 측정된 주거공간(15)의 먼지량,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 및 통신모듈(130)에 전송한다.
재실감지부(117)는 주거공간(15) 내에 설치된 다수의 진동감지센서(111) 및 복수의 가구 감지 센서(112)와, 진동감지센서(111) 및 가구 감지 센서(11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113)를 구비한다.
진동감지센서(111)는 다수개가 주거공간(15)의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감지센서(111)는 사용자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진동 발생 유무, 진동의 세기, 진동 발생 주기 등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진동감지센서(111)는 발생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 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감지센서(111)는 감지정보를 신호 판별부(113)에 전송한다.
가구 감지 센서(112)는 상기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15)에 마련된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가구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를 감지한다. 상기 가구 감지 센서(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쇼파의 안착부 또는 사용자의 눕는 침대의 매트에 설치되며, 가구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이 적용된다. 가구 감지 센서(112)는 감지정보를 신호 판별부(113)에 전송한다.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 및 가구 감지 센서(112)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주거공간(15)에서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한다. 즉,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면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판별정보를 제어유닛(120) 및 통신모듈(130)에 전송한다.
한편,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되면, 가구 감지 센서(112)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한다. 즉,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된 상태에서, 가구 감지 센서(112)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침대나 쇼파에 장시간 눕거나 앉아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판별정보를 제어유닛(120) 및 통신모듈(130)에 전송한다.
한편,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에서 진동이 미감지되고, 가구 감지 센서(112)에서도 사용자의 무게가 미감지된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유지될 경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퇴실 상태로 판별하고, 판별정보를 제어유닛(120) 및 통신모듈(130)에 전송한다.
통신모듈(130)은 주거공간(15) 내부에 설치되며, Wi-Fi, WLAN, 블루투스(Blue Tooth), UWB, 지그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한다. 통신모듈(130)은 센서유닛 즉, 먼지센서(115), 온습도 센서(116)에서 측정된 정보 및 재실감지부(117)의 신호 판별부에서의 판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통신모듈(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입력모듈(140)은 주거공간(15)에 재실 중인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120)에 가전기기(16)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음성입력부 및 음성 인식부를 구비한다.
음성입력부는 주거공간(15)에 마련된 탁자와 같은 가구에 설치되며, 주거공간(15) 내의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적용된다. 음성입력부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식부로 출력한다.
음성 인식부는 음성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에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알고리즘 또는 음성 인식 엔진(speech recognition engine)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입력부에서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한편, 음성 인식부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6)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에는 가전기기(16)를 제어하는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음성 인식부는 가전기기(16)의 종류를 지시하는 지시어와, 각 가전기기(16)의 종류에 따른 작동에 관한 다수의 명령어와, 각 지시어 및 명령어에 대응되는 가전기기(16)의 제어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음성 인식부는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중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일예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주거공간(15) 내의 온도를 인지하고, 사용자가 '에어컨을 켜줘'라고 말하면,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고, 음성 인식부는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서 '에어컨', '켜줘'라는 지시어 및 명령어를 검출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제어신호들 중 상기 지시어 및 명령어에 대응되는 에어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한편, 입력모듈(14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통화기능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가전기기(16)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신모듈(130)로 전송하고, 통신모듈(130)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가전기기(16)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거공간(15)에 설치된 가전기기(16)에 연결되며, 입력모듈(14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가전기기(16)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센싱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주거공간(15)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16)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센싱유닛(110)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센서(115)에서 감지된 상기 주거공간(15) 내의 먼지량이 기설정된 위험먼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주거공간(15)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15)에 설치된 가전기기(16)들 중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20)는 먼지센서(115)에서 감지된 주거공간(15) 내의 먼지량이 위험먼지량 미만으로 감소될 경우, 공기청정기를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온습도 센서(116)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15)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주거공간(15)에 설치된 가전기기(16)들 중 공기 조화기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부(120)는 재실감지부(117)의 신호 판별부(113)에서 제공되는 판별정보에 따라 가전기기(16)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신호 판별부(113)에서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되면, 가전기기(16)들을 작동시키고, 신호 판별부(113)에서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퇴실 상태로 판별되면, 가전기기(16)들을 정지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은 센싱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주거공간(15) 내의 환경정보를 토대로 가전기기(16)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주거공간(15)의 상태에 따라 가전기기(1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100)은 센싱유닛(110)을 이용하여 주거공간(15)에서의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가 주거공간(15)에서 퇴실할 경우, 가전기기(16)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가전기기(16)의 제어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실감지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재실감지부(150)는 상기 진동감지센서(111)들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15) 내에 발생한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여 진동 발생원이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패턴 분석부(151)를 더 구비한다.
이때, 패턴 분석부(151)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의 세기, 진동 발생 지점들의 위치 관계, 진동 발생 주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패턴 분석부(151)는 주거공간(15) 내에 진동발생시 진동감지센서(111)들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토대로 진동 패턴을 분석한다. 이때, 패턴 분석부(151)는 진동감지센서(111)들의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진동의 세기, 진동 발생 지점들의 위치 관계, 진동 발생 주기 등의 정보를 산출한다. 다음, 패턴 분석부(151)는 산출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진동 발생원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판별하고, 판별된 정보를 신호 판별부(113)에 제공한다.
이때, 신호 판별부(113)는 패턴 분석부(151)에서 판별된 정보를 토대로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한다. 즉,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111)로부터 진동이 감지되고, 상기 패턴 분석부(151)에서 진동 발생원이 사람으로 판별되면, 상기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판별된 정보를 제어유닛(120)에 전송한다.
한편, 신호 판별부(113)는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패턴 분석부(151)에서 진동 발생원이 동물로 판별되면, 주거공간(15)에 사용자의 퇴실 상태로 판별하고, 판별된 정보를 제어유닛(120)에 전송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재실감지부(150)는 주거공간(15) 내에 발생된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여 진동발생원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판별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재실에 따라 가전기기(16)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재실감지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주거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는 재실판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에너지를 가하여 그 대상물에 가해진 에너지의 투과, 흡수, 반사 등에 의해 변형된 에너지를 받아 신호를 검출하는 능동 센서(activesensor)와, 대상물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를 취하는 수동 센서(passive sensor) 둘 다 적용 가능하다. 이때, 적외선 센서는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110: 센싱유닛
111: 진동감지센서
112: 가구 감지 센서
113: 신호 판별부
120: 제어유닛
151: 패턴 분석부

Claims (9)

  1. 사용자가 주거하는 주거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주거공간에 대한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센싱유닛;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유닛에서 획득된 환경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환경정보를 인지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가전기기의 작동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량이 기설정된 위험먼지량 이상일 경우, 상기 주거공간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온습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를 작동시키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 인식부;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판별하는 재실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실감지부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재실감지부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이 판별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감지부는 상기 주거공간의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주거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다수의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주거공간에 마련된 가구에 설치되어 상기 가구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를 감지하는 가구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판별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되되, 상기 가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해 진동이 미감지되되, 상기 가구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미감지된 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로 판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감지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들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거공간 내에 발생한 진동의 패턴을 분석하여 진동 발생원이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별하는 패턴 분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판별부는 상기 패턴 분석부에서 진동 발생원이 사람으로 판별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패턴분석부에서 진동 발생원이 동물로 판별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퇴실로 판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감지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주거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주거공간에 사용자의 재실 상태로 판별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180053005A 2018-05-09 2018-05-09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KR20190128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05A KR20190128823A (ko) 2018-05-09 2018-05-09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05A KR20190128823A (ko) 2018-05-09 2018-05-09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23A true KR20190128823A (ko) 2019-11-19

Family

ID=687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05A KR20190128823A (ko) 2018-05-09 2018-05-09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8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08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336Y1 (ko) 2002-08-30 2002-12-11 (주) 에어다임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336Y1 (ko) 2002-08-30 2002-12-11 (주) 에어다임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08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855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US9384751B2 (en) User authentication of voice controlled devices
US9842489B2 (en) Waking other devices for additional data
CN105659179B (zh) 用于与hvac控制器相交互的设备和方法
US9734827B2 (en) Electr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099922A (zh) 用于为能够利用人的呼吸控制设备的微电机系统检测器处理信号的方法和系统
KR2019007164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홈 어플라이언스 및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
US20210005191A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of home appliance
CN113739366A (zh) 家电设备和异常处理系统
JP2021169924A (ja)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28823A (ko)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EP3715545A1 (en) Automatic washstand control system
KR20160004851A (ko)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활용하는 제어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US10109182B1 (en) Voice command conversion
KR20190065094A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음성 인식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203093B1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JP2010098900A (ja) 電力監視装置
KR20080069340A (ko)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별 건강 환경 자동 조성방법 및 시스템
KR20070000023A (ko)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135993A (ko)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08331B1 (ko) Io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제어 단말 및 방법
EP3653093A1 (en) Voice control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particularly for a cooking appliance
JP7218232B2 (ja) 通知システム
KR102389710B1 (ko) 상황인지를 통한 레거시 가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WO2022102171A1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