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428A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8428A KR20190128428A KR1020180052605A KR20180052605A KR20190128428A KR 20190128428 A KR20190128428 A KR 20190128428A KR 1020180052605 A KR1020180052605 A KR 1020180052605A KR 20180052605 A KR20180052605 A KR 20180052605A KR 20190128428 A KR20190128428 A KR 20190128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gas
- damper
- flow path
- bypass
- pass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 및 상기 메인 팬과 상기 흡착모듈 사이의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개폐하는 메인 유로 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 행사장, 다양한 제조공정 및 자동차 도장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동시에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구동이 가능하고,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하고, 에너지의 회수가 효율적이며, 처리장치의 내부의 유해가스가 밖으로 누설된 염려가 없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나 LCD 생산공정 중에 발생되는 폐가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 과불화화합물(PFC), 부틸아세테이트와 2-엑토시에틸 아세테이트 등의 PR 공정(photo resist)에서 첨가되는 물질, 수분 및 기타 이물질, 즉 파티클 등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유해대기물질, 악취의 원인 물질로 호흡기관의 장애, 발암성 등 인체에 대한 유해성과 함께 광화학 반응을 통한 스모그의 형성, 악취발생, 도시 오존농도의 상승 등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흡착처리법, 촉매열산화법, 축열산화에 의한 방법이 있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33353호에 공지된, 종래의 회전식 열교환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에서는 배기되는 공기 중 기내측으로 역류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실내공기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는 클리닝 섹터를 가진 로터리형 열교환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회전형 열교환기의 흡입영역과 배출영역의 경계부위에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분이 정화되어 흡입영역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클리닝 섹터를 구비하여 열교환기가 배출영역에서 흡입영역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 매체 내부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교환기 내에 유해성분을 흡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소재가 없으며, 클리닝하는 방법 또한 클리닝 섹터의 한쪽 면을 막고 다른 면을 배기팬으로 나가는 유로와 통기시켜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열교환기 내의 갇힌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성분과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처리하는 방법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연속적인 구동으로 유해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유해가스 처리시설의 하류에 메인 팬이 배치되어서 유해가스 처리시설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외부의 가스가 유입되어 처리 효율이 저하되고, 유해가스 처리시설의 유지 보수 시에 메인 팬을 정지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메인 팬을 정지하게 되면, 공정의 기류가 멈추게 되고 생산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흡착제에 농축된 VOC를 탈착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탈착된 VOC는 촉매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VOC의 흡착 및 탈착과정에서 에너지를 줄이고, 연속구동이 가능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VOC 제거 시에 누설을 방지하고, VOC 제가 장비의 유지보수 시에 생산 공정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팬이 흡착모듈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 및 상기 메인 팬과 상기 흡착모듈 사이의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개폐하는 메인 유로 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및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팬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흡착모듈에서 배출된 정화가스가 유동되는 정화가스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정화가스 배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홉착모듈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흡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저장섹터를 가지는 회전 카트리지, 상기 복수의 저장섹터가 유해성분이 공급되는 흡착모듈,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유해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모듈의 순서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통된 흡착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기설정된 회전 각만큼 회전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흡착모듈의 흡착제에 흡착된 유해가스를 탈착하는 탈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모듈에서의 탈착은 상기 흡착제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 및 상기 메인 팬과 상기 흡착모듈 사이의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거나, 일정 압력 이상에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에어 필터,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뎀퍼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VOC 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하기 않고, 연속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회전 카트리지가 흡착모듈과 탈착모듈을 순환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정지 시에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연속 작동을 위해 복수 개의 장비를 병렬로 연결할 필요가 없고, 흡착 카트리지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흡착제를 탈착하고, 촉매모듈에서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다시 재활용하고, 흡착제에서 유해성분을 탈착하는 데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용하므로, 에너지가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흡착덕트 내에 회전 카트리지를 배치하고, 회전 카트리지의 일부 저장섹터를 흡착덕트와 밀폐하는 탈착덕트가 흡착덕트 내에 배치되므로, 작은 공간에도 설비를 배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흡착덕트 내부가 양압 상태로 유지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서 VOC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여서, 유기 화합물 제거 장치의 유지 또는 보수 중에 유로를 전환시켜서, 공정의 내부 기류에 변화를 최소화하고, 공정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상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일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VOC 제거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또는 보수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찹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상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일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VOC 제거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또는 보수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찹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의 개념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의 상부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의 일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의 타 측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은 VOC 등의 유해성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배기가스 내에 함유된 유해성분을 흡착제(71)로 흡착한 후, 정화가스를 배출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12),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연결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14) 및 메인 팬(14)과 흡착모듈 사이의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개폐하는 메인 유로 뎀퍼(8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1)은 바이패스 유로(15), 바이패스 뎀퍼(82), 제어부(200), 마이크로 웨이브, 촉매모듈(60),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착모듈은 오염원과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공급하고, 내부에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공간이 배치된다. 흡착 모듈은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연결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한다.
예를 들면, 흡착모듈은 회전 카트리지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연결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통해 공급되고, 내부에 회전 카트리지(20)가 위치되는 흡착덕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가스 배출유로는 흡착모듈에서 배출된 정화가스가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정화가스 배출유로는 외기와 흡착덕트(10)를 연결하고, 흡착덕트(10)에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정화가스가 배출된다.
흡착덕트(10)는 내부에 회전 카트리지(20)를 수용하고, 회전 카트리지(20)의 흡착제(71)에 유해성분이 흡착되는 공간이다.
흡착제(71)는 유해성분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기능과 축열기능을 동시에 갖는 재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제(71)는 코디어라이트소재, 절곡형 세라믹시트, 알루미나, 실리카, 고분자수지, 알루미늄, 스텐레스, 아스페스트,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의 소재 또는 선택된 소재들간의 복합 소재를 축열소재로 이용하고 여기에 흡착기능이 있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알루미나, 실리카, 광촉매 및 저온산화촉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소재 또는 선택된 소재들간의 복합 소재를 코팅하거나 양자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흡착제(71)는 흡착기능이 있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알루미나, 실리카, 광촉매 및 저온산화촉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착제(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열기능이 있는 코어와 코어를 코팅하고 흡착기능을 가지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실리콘(Si)과 알루미늄(Al)이 각각 4개의 가교 산소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3차원적인 무기고 분자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이 4개의 산소와 결합됨에 따라 음전하를 갖게 되므로, 이러한 전하를 상쇄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내에는 다양한 양이온이 존재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양이온들은 세공 내부에 존재하며 나머지 공간들은 보통 물분자들로 채워져 있어, 세공 내부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이동도(mobility)를 가지며, 다른 양이온들과의 이온교환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가열하여 탈수된 제올라이트들은 내부의 비어있는 공간을 다시 물분자를 비롯하여 세공 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다른 작은 분자들을 흡입하여 비어있는 공간을 채우려는 특성이 있어, 탈수된 제올라이트는 흡착제(71), 또는 흡수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제올라이트는 구조 또는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비율에 따라 β-제올라이트, A-제올라이트, ZSM-5형 제올라이트, X-제올라이트, Y-제올라이트, 또는 L-제올라이트로 나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71)의 사용용도에 따라 흡착대상을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는 종류의 제올라이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소재로 β-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 흡착소재로는 Y-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착제(71)는 망상형 구조 또는 일정한 모양(저장섹턱와 대응되는)으로 성형한후 흡착 카드리지 형태로 저장섹터(20a)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탈착모듈은 유해성분이 흡착된 흡착제(71)에서 유해성분이 탈착되고, 유해성분이 농축된 농축가스가 유동되는 유로이다. 탈착모듈은 회전 카트리지(20)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섹터(20a)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모듈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섹터(20a)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저장섹터(20a)의 경계와 접촉되어 저장섹터(20a)를 격리하는 탈착덕트(30)를 더 포함한다.
탈착덕트(3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저장섹터(20a)와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내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저장섹터(20a)를 외부와 격리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탈착덕트(30)는 저장섹터(20a)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 탈착덕트(310)와,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 탈착덕트(320)를 포함한다. 상부 탈착덕트(310)는 저장섹터(20a)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부 탈착덕트(320)는 저장섹터(20a)의 하부면과 밀착된다. 물론, 상부 탈착덕트(310)와, 하부 탈착덕트(320)는 밀폐력을 강화하기 위한 플렉서블 재질의 패킹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탈착덕트(30)는 흡착덕트(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저장섹터(20a)의 경계와 접촉되어 흡착덕트(10)와 탈착덕트(30)의 내부 사이를 밀폐한다. 물론 탈착덕트(30)는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져져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도 있다. 탈착덕트(30)가 흡착덕트(10)의 내부에 배치되면 시스템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탈착모듈은 탈착가스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촉매모듈(6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모듈은 일측이 탈착덕트(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촉매모듈(60)과 연결되어 탈착된 탈착가스를 촉매모듈(60)로 제공하는 제1 순환유로(32)와, 일측이 촉매모듈(60)과 연결되고 타측이 탈착덕트(30)와 연결되어 촉매모듈(60)에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의 일부가 다시 탈착덕트(30)로 다시 공급되는 제2 순환유로(31)와, 촉매모듈(60)과 연결되어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순환유로(3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탈착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촉매모듈(60)에서 열을 전달받거나 후술하는 냉각수단에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탈착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흡착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작으면 작을 수록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1/5에서 1/20이 바람직하다. 이 때 탈착하는 동안 흡착제(71)에 축열되어 있는 에너지의 손실이 없을 수 있도록 탈착시간과 방법을 적절히 강구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탈착덕트(30)의 크기는 흡착덕트(10) 보다 작고, 탈착덕트(30)는 1개 내지 2개의 저장섹터(20a)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흡착덕트(10)는 10개 내지 40개의 저장섹터(20a)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탈착덕트(30) 내에 흡착제(71)는 온도, 압력, 빛에너지 또는 음파에너지를 이용하여 탈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탈착모듈에서의 탈착은 흡착제(71)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은 탈착덕트(30) 내에 흡착제(71)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장치(50)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장치(50)는 흡착덕트(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촉매모듈(60)은 탈착모듈에서 공급된 공기에서 농축된 유해성분을 분해한다. 분해된 유해성분은 별도의 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촉매모듈(60)에서 유해성분이 제거된 공기는 다시 순환하여 탈착덕트(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폐열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줄이고, 효과적인 탈착과 유해성분의 분해를 위해, 촉매모듈(60)은 탈착모듈에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한 후, 유해성분을 분해하고, 유해성분이 분해된 공기의 열을 탈착모듈 내의 흡착제(7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촉매모듈(60)은 유해성분이 분해된 공기의 열을 탈착모듈에서 배출되는 농축가스에 전달하여서, 촉매반응에 제공되는 열을 줄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촉매모듈(60)은 촉매 카트리지(62), 열교환기(63, 65), 순환팬(64), 히터(61)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 카트리지(62)는 유해성분을 산화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제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나(Al2O3), 활성탄(activated carbon), 산화금속(mixed oxide metal)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촉매 카트리지(62)는 유해성분을 산화시킬 수 있는 산화물질 성형체일 수 있다.
히터(61)는 탈착모듈에서 촉매모듈로 공급된 농축가스를 가열한다. 히터(61)는 다양한 가열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63, 65)는 탈착덕트(30)에서 공급된 농축가스와 촉매 카트리지(62)를 통과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킨다. 제1 열교환기(63, 65)는 외부로 배출전의 공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농축가스를 가열한다. 따라서, 제1 열교환기(63, 65)는 농축가스를 가열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63, 65)는 촉매 카트리지(62)를 통과한 공기와 탈착덕트(30)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서로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63, 65)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열교환기(63, 65)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배출유로(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일부는 제2 순환유로(31)를 통해 다시 흡착덕트(10)로 유동된다.
순환팬(64)은 탈착모듈 및 촉매모듈(60)을 유동하는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한다.
냉각수단은 탈착모듈에서 가열된 흡착체(71)를 냉각한다. 가열된 흡착제(71)의 경우, 배기가스 중에 유해성분이 흡착되기 어려우므로, 냉각수단에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할 수 있다.
냉각수단은 외부의 공기를 유해성분이 탈착된 흡착제(71)에 공급하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냉각수단은 유해성분이 탈착된 흡착제(71)를 냉각한 냉각공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거나, 촉매모듈(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냉각수단에서 배출되는 유출공기는 탈착덕트(30) 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서, 공급되어 흡착제(71)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냉각수단은 저장섹터(20a)를 수용하는 별도의 냉각공간을 구비할 수도 있고, 실시예처럼 탈착덕트(30)에 연결되고 별도의 냉각공간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수단은 일측이 외부공기와 연결되고 타측이 탈착덕트(30)와 연결되는 외기유로(41)와, 일측이 탈착덕트(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촉매모듈(60)과 연결되는 냉각유로(42)를 포함한다.
냉각유로(42)와 외기유로(41)는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 방향에서 제1, 제2 순환유로(31)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탈착이 완료된 흡착제(71)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로에는 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단속밸브(71, 73)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모듈, 탈착모듈 및 냉각유로(42)에 각각 단속밸브(71, 73)가 배치된다. 이러한 단속밸브(71, 73)들은 회전 카트리지(20)가 회전 시에 폐쇄되고, 정지 시에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VOC 제거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또는 보수 작동 시에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기가스 유입유로(12)의 일단은 오염원과 연결되고 타단은 흡착덕트(10)와 연결된다. 배가기스 유입유로, 흡착덕트 및 정화가스 배출유로에 배기가스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메인 팬(14)이 구비된다.
메인 팬(14)이 흡착모듈 보다 하류에 배치되는 경우, 흡착모듈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될 염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팬(14)은 흡착모듈 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팬(14)은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 유입유로(12) 상에서 메인 유로 뎀퍼(81) 보다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뎀퍼(81)는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서 흡착모듈로 유동되는 배기가스를 단속한다. 메인 유로 뎀퍼(81)는 메인 팬(14)과 흡착모듈 사이의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개폐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메인 유로 뎀퍼(81)는 메인 팬(14)과 흡착덕트 사이의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유로 뎀퍼(81)는 다양한 공지 기술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회전판과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 뎀퍼(81)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이 VOC 제거 작동 중일 때는 개방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에는 폐쇄된다.
바이패스 유로(15)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보수 중에 메인 팬(14)을 정지하지 않고,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를 우회시킨다. 바이패스 유로(15)는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정화가스 배출유로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유로(15)는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메인 유로 뎀퍼(81) 보다 상류에 연결되고, 메인 팬(14) 보다 하류에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유로(15)는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서 메인 유로 뎀퍼(81)와 메인 팬(14) 사이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뎀퍼(82)는 바이패스 유로(15)에서 흡착모듈로 유동되는 배기가스를 단속한다. 바이패스 뎀퍼(82)는 바이패스 유로(15)에 배치되어 바이패스 유로(15)를 개폐할 수 있다.
바이패스 뎀퍼(82)는 다양한 공지 기술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회전판과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뎀퍼(82)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이 VOC 제거 작동 중일 때는 폐쇄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에는 개방된다.
제어부(200)는 메인 유로 뎀퍼(81) 및 바이패스 뎀퍼(8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메인 유로 뎀퍼(81)를 개방하는 경우, 바이패스 뎀퍼(82)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이 VOC 제거 작동 중 일 때, 메인 유로 뎀퍼(81)를 개방하고, 바이패스 뎀퍼(82)를 폐쇄한다 이때, 메인 팬(14)은 작동 중이다. 따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에서 유해가스가 외기로 배출되지 않고 정화되어 배출되게 된다.
제어부(200)는 메인 유로 뎀퍼(81)를 폐쇄하는 경우, 바이패스 뎀퍼(82)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이 유지 또는 보수 중 일 때, 메인 팬(14)의 작동을 유지하고, 메인 유로 뎀퍼(81)를 폐쇄하고, 바이패스 뎀퍼(82)를 개방한다. 따라서, 공정 내부에서 배출된 유해가스가 바이패스 유로(15)를 통해 정화가스 유출유로로 유동된다.
제어부(200)는 메인 유로 뎀퍼(81)를 폐쇄하는 경우, 메인 팬(14)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메인 유로 뎀퍼(81)는 폐쇄하는 경우, 공정 내에 공기압력을 측정하여, 공기 압력이 메인 유로 뎀퍼(81)는 개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메인 팬(14)의 회전 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이하, 회전 카트리지(2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카트리지(20)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카트리지(20)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서, 복수의 저장섹터(20a)에 각각 저장된 흡착제(71)가 흡착모듈, 탈착모듈을 순환하도록 한다.
회전 카트리지(2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흡착제(71)를 수용하는 복수의 저장섹터(20a)를 가진다. 예를 들면, 회전 카트리지(20)는 회전축(23)과, 본체(21)와, 복수의 격벽(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3)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회전축(23)은 구동부와 연결된다.
본체(21)는 공기가 유입되어 흡착제(71)에 의해 흡착되고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체(21)는 내부에 흡착제(71)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다. 본체(21)는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4)와, 하부에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유출구(25)를 가진다. 본체(21)의 공기 유입구(24)와, 공기 유출구(25)는 완전히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본체(21)의 내부에 저장된 흡착 카트리지(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의 형상은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축(23)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 카트리지(20)가 회전 시에도 저장섹터(20a)의 형상이 변하지 않아서 탈착덕트(30)와 밀폐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복수의 격벽(22)은 본체(21)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저장섹터(20a)로 구획한다. 복수의 격벽(22)은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축(2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21)와 연결된다. 즉, 복수의 격벽(22)은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축(23)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각 저장섹터(20a)의 형상과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경우,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되면, 각 저장섹터(20a)들이 탈착덕트(30)와 밀폐되지 못하여 유해성분의 탈착이 어렵게 되므로, 복수의 저장섹터(20a)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각 저장섹터(20a)는 회전 카트리지(20)의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2개의 현(격벽(22))과 2개의 현을 연결하는 호(본체(21)의 일부 영역)로 정의되는 부채꼴형상을 가진다. 이 때, 복수의 저장섹터(20a)들의 부채꼴각(θ)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저장섹터(20a)들 사이는 서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21)에는 마이크로 웨이브가 통과하는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는 메쉬구조를 형성되고, 각 저장섹터(20a)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카트리지(20)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회전 카트리지(20) 내에 충진되는 흡착제(71)의 종류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복수의 저장섹터(20a)가 유해성분이 공급되는 흡착모듈, 흡착제(71)에 흡착된 유해성분이 탈착되어 유동되는 탈착모듈의 순서로 이동되도록 회전 카트리지(20)를 회전시킨다. 도 3을 기준으로 구동부는 회전 카트리지(2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구동부는 회전 카트리지(20)를 기설정된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게 회전시킨다. 이 때, 기설정된 회전각은 각 저장섹터(20a)의 부채꼴 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카트리지(20)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흡착덕트(10) 내의 흡착제(71)에서는 유해성분이 흡착되고, 탈착덕트(30) 내의 흡착제(71)에서는 유해성분이 탈착된다.
구동부는 각 저장섹터(20a)가 흡착덕트(10), 탈착덕트(30)를 순환하도록 회전 카트리지(20)를 회전시키고, 각 저장섹터(20a)의 경계와 탈착덕트(3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전 카트리지(20)를 정지시켜서, 일부 저장섹터(20a)가 탈착덕트(30)의 내부에서 흡착덕트(10)와 격리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시스템의 전반적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구동부와, 각 단속밸브(71, 7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구동부를 작동되는 중에, 각 단속밸브(71, 73)를 폐쇄하고, 구동부를 정지되는 중에, 각 단속밸브(71, 73)를 개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찹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내핵에 배치된 축열소재, 및 내핵의 외각에 배치된 흡착소재를 포함하는 코어(core)-쉘(shell)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흡수특성을 가진 흡착제(71)를 제공할 수 있다.
흡착소재는 가스상 또는 입자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흡착소재는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소재는,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알루미나(activated alumin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열소재는 구형, 구슬, 또는 비 균일한 형태를 가지고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발열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축열소재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특징이 있어, 흡착제(71)의 내핵에 축열소재를 배치함으로써, 흡착제(71)의 마이크로파 반응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내핵에 배치된 탄화규소 비드(bead), 및 내핵의 외각에 배치된 흡착소재(71b)를 포함하는 코어(core)-쉘(shell)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마이크로파 흡수특성을 가진 흡착제(71)를 제공할 수 있다.
흡착소재는 가스상 또는 입자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흡착소재는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소재는,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알루미나(activated alumin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화규소 비드(71a)는 구형, 구슬, 또는 비균일한 형태를 가진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일 수 있다. 탄화규소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특징이 있어, 본 발명은 이러한 탄화규소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는 특성을 채용하여, 흡착제(71)의 내핵에 탄화규소 비드(71a)를 배치함으로써, 흡착제(71)의 마이크로파 반응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은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메인 유로 뎀퍼(81)가 에어 필터(84)로 치환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5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12), 배기가스 유입유로(12)와 연결되어 배기가스 유입유로(12)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14), 메인 팬(14)과 흡착모듈 사이의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거나, 일정 압력 이상에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에어 필터(84),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메인 유로 뎀퍼(81) 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15) 및 바이패스 유로(15)에 배치되어 바이패스 유로(15)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뎀퍼(82)를 포함한다.
에어 필터(84)는 바이패스 유로(15)가 폐쇄된 경우, 배기가스를 흡착덕트에 공급하고, 바이패스 유로(15)가 개방된 경우, 배기가스가 흡착덕트에 유입되는 것을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게 된다.
에어 필터(84)는 메인 팬(14)과 흡착모듈 사이의 배기가스 유입유로(12)에 배치되어 배기가스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거나, 일정 압력 이상에서 배기가스를 통과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흡착덕트
20: 회전 카트리지
30: 탈착덕트 60: 촉매모듈
30: 탈착덕트 60: 촉매모듈
Claims (12)
-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 및
상기 메인 팬과 상기 흡착모듈 사이의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개폐하는 메인 유로 뎀퍼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뎀퍼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및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폐쇄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뎀퍼를 개방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유로 뎀퍼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메인 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모듈에서 배출된 정화가스가 유동되는 정화가스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정화가스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홉착모듈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흡착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저장섹터를 가지는 회전 카트리지;
상기 복수의 저장섹터가 유해성분이 공급되는 흡착모듈,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유해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모듈의 순서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통된 흡착덕트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카트리지를 기설정된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정지되게 회전시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모듈의 흡착제에 흡착된 유해가스를 탈착하는 탈착모듈을 더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모듈에서의 탈착은 상기 흡착제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가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오염원과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유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배기가스에서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흡착모듈;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팬;
상기 메인 팬과 상기 흡착모듈 사이의 상기 배기가스 유입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중 일정 크기 이상의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거나, 일정 압력 이상에서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에어 필터;
상기 배기가스의 유입유로에서 상기 메인 유로 뎀퍼 보다 상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뎀퍼를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605A KR102127842B1 (ko) | 2018-05-08 | 2018-05-08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605A KR102127842B1 (ko) | 2018-05-08 | 2018-05-08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428A true KR20190128428A (ko) | 2019-11-18 |
KR102127842B1 KR102127842B1 (ko) | 2020-07-09 |
Family
ID=6872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2605A KR102127842B1 (ko) | 2018-05-08 | 2018-05-08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784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8300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로터리 흡착탑 |
KR102298303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다중 모듈 연결형 로터리 흡착탑 |
KR102298301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모듈 연결형 로터리 흡착탑 |
CN114618258A (zh) * | 2020-12-11 | 2022-06-14 | 陕西青朗万城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转动微波废气处理方法及其控制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1580A (ko) * | 2004-07-30 | 2006-02-03 | 양고수 |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 |
JP4393018B2 (ja) * | 2001-07-10 | 2010-01-06 | ニチアス株式会社 | 空気清浄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エアフィルター装置 |
KR101289861B1 (ko) * | 2011-07-21 | 2013-07-24 | (주) 빛과환경 | 연속적 흡착 및 재생 기능을 가진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
KR20170063083A (ko) * | 2015-11-30 | 2017-06-08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자동 제거장치 |
-
2018
- 2018-05-08 KR KR1020180052605A patent/KR1021278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93018B2 (ja) * | 2001-07-10 | 2010-01-06 | ニチアス株式会社 | 空気清浄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エアフィルター装置 |
KR20060011580A (ko) * | 2004-07-30 | 2006-02-03 | 양고수 |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 |
KR101289861B1 (ko) * | 2011-07-21 | 2013-07-24 | (주) 빛과환경 | 연속적 흡착 및 재생 기능을 가진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
KR20170063083A (ko) * | 2015-11-30 | 2017-06-08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자동 제거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18258A (zh) * | 2020-12-11 | 2022-06-14 | 陕西青朗万城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转动微波废气处理方法及其控制系统 |
CN114618258B (zh) * | 2020-12-11 | 2024-05-28 | 陕西青朗万城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转动微波废气处理方法及其控制系统 |
KR102298300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로터리 흡착탑 |
KR102298303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다중 모듈 연결형 로터리 흡착탑 |
KR102298301B1 (ko) * | 2021-03-16 | 2021-09-07 | 주식회사 태강 | 활성탄을 이용한 모듈 연결형 로터리 흡착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7842B1 (ko) | 2020-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7842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
KR100956356B1 (ko) | 에너지축열회수형 유해물질 처리설비 | |
JP4010640B2 (ja) | ガス浄化方法および装置 | |
US5938523A (en) | Device for removing the noxious and aromatic substances from an air flow fed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 |
CN107106965B (zh) | 空气清洁系统 | |
KR20190107104A (ko) | 흡착 장치에 의해 재순환-공기 모드에서 자동차의 객실 내의 co2가 가득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 |
KR20190038061A (ko) | 흡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
JP2010524628A (ja) | 再生脱臭フィルターを備えた空気浄化器及びこの空気浄化器の再生脱臭フィルターの再生方法 | |
JP2010538826A (ja) | ロータ式収着濃縮器のその場での高温再生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KR102068183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
JP2004176978A (ja) | 半導体製造装置に供給する空気の浄化・空調方法および半導体製造装置の空気浄化・空調ユニット | |
KR101102931B1 (ko) | 모듈형 회전식 저농도 voc 가스 농축장치 | |
JPH10286426A (ja) | 連続式吸着装置とその使用方法 | |
JP2004512208A (ja) | エアから有害不純物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 |
KR102063632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 |
KR102058044B1 (ko) | 회전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
KR102135090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 |
JP4352139B2 (ja) | 小型デシカント空調装置 | |
KR102106894B1 (ko) | 연속식 흡착 카트리지를 이용한 유해성 화합물 흡착 장치 및 그 방법 | |
JPH05237342A (ja) | ガスの浄化装置 | |
JP2002186822A (ja) | 吸脱着装置 | |
JPH05137942A (ja) | 脱臭装置 | |
JP2002085934A (ja) | 吸脱着装置 | |
CN216909760U (zh) | 一种VOCs废气净化装置 | |
KR20210001727A (ko) | 흡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