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1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612A
KR20190126612A KR1020180050737A KR20180050737A KR20190126612A KR 20190126612 A KR20190126612 A KR 20190126612A KR 1020180050737 A KR1020180050737 A KR 1020180050737A KR 20180050737 A KR20180050737 A KR 20180050737A KR 20190126612 A KR20190126612 A KR 2019012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isplay panel
bezel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876B1 (ko
Inventor
김경환
김도완
김명길
김민철
김범식
윤태연
이상민
정현준
황혜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76B1/ko
Priority to US16/401,764 priority patent/US11073710B2/en
Priority to EP19795993.5A priority patent/EP3746844B1/en
Priority to CN201980029578.0A priority patent/CN112055829B/zh
Priority to PCT/KR2019/005282 priority patent/WO2019212265A1/en
Publication of KR2019012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9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g. ESD treated surface for rapid dissipation of 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02F2001/133334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16Materials and properties condu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정전기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베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새시,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베젤, 및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전기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베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며, 베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을 고정시켜주는 사각 단면의 브래킷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모니터(Monitor)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같은 휴대용 통신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장치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은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형 디스플레이패널과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형 디스플레이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설치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큰 화면의 영상 구현 및 평판화가 용이한 평판 디스플레이패널(Flat Display Panel)들이 개발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육화, 경량화 또는 다기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IC 칩 등 회로 물질들의 정전기 민감도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두 물체 사이에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인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을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정전기가 방전되는 경우, 제품의 조립 생산 시 혹은 사용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손상시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베젤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베젤은 비중이 높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함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베젤을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구성하되, 탄소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탄소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의 베젤은 비용이 높고, 적용할 수 있는 제품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비도전성 베젤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다만,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한 비도전성 베젤은 조립 공정 후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테이프의 부착 공정을 생략하도록 개선된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베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CNT(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도록 개선된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베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베젤, 및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탄소(Carb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5-8 wt%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70-75 wt%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제는 정전기의 방전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접하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제는 상기 제1접착제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속되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새시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새시를 향하는 상기 측벽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접착제 및 상기 제2접착제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3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상기 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측벽에 마련되는 측벽가이드부, 및 상기 제3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는 프레임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둘레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고, 정전기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향하는 상기 측벽에 연속되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상기 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젤, 및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새시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새시를 향하는 상기 측벽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 및 상기 제1접착제 및 상기 제2접착제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3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하여 단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젤에 정전기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성 테이프의 부착을 도전성 접착제의 도포로 대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젤에 도포되는 도전성 접착제가 CNT(Carbon Nano Tube)를 포함함으로써,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인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배면의 모서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인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프레임 및 측벽에 접착제가 도포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프레임 및 측벽에 접착제가 도포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젤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전, 모니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는 외부에 마련된 기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단에 장착된 스탠드(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중 백라이트유닛에서 방출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패널(10)을 통해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10), 백라이트유닛(20), 확산판(30), 광학시트(40), 지지부재(50), 새시(60), 및 하우징(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은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문자, 숫자, 임의의 아이콘 등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패널로, 대략 60인치 이상의 대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은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은 컬러필터패널(color filter array panel), TFT패널(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액정층, 및 실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필터패널 및 TFT패널은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필터패널은 각 화소마다 색상이 표시되도록 TFT패널의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패널에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의 TFT패널은 컬러필터패널과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다수 개의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화소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은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게이트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데이터라인은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데이터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화소전극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며, 스위칭소자와 유지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소자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위칭소자의 출력단자에는 유지캐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유지캐패시터의 다른 단자는 공통전압(common voltage)에 연결되거나,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은 컬러필터패널 및 TFT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밀봉재와, 밀봉재 내에 수용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이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의 컬러필터패널, TFT패널, 및 액정층은 액정캐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액정캐패시터는 화소전극의 스위칭소자의 출력단자와 공통전압 또는 기전압(reference voltage)과 연결될 수 있다.
실런트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컬러필터패널 및 TFT패널의 테두리에 형성된 것으로, 컬러필터패널과 TFT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다. 실런트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은 영상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영상구동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구동부(11)는 X전극을 구동시키는 제1영상구동부(12)와, Y전극을 구동시키는 제2영상구동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X 전극은 소스전극, Y전극은 게이트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구동부(12)와 제2영상구동부(13)는 구동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영상구동부(12)는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라인 별 계조전압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계조전압을 데이터라인을 통해 액정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영상구동부(13)는 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온 오프 신호를 주사라인을 통해 스위칭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달할 수 있고,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1영상구동부(12)에서 각 컬러 값에 해당하는 전압을 공급하면 제2영상구동부(13)에서는 이를 받아 해당하는 픽셀에 전압을 열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라인에 TFT의 소스전극이 접속되고, 주사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며, ITO(indium tin oxide)의 화소전극에 TFT의 드레인전극이 접속될 수 있다. TFT는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온되어 데이터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화소전극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통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전계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10) 사이의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될 수 있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모듈은 게이트제어신호, 데이터제어신호, 및 이와 관련된 데이터신호 등에 기초한 게이트구동신호, 및 데이터구동신호를 TFT패널 상에 형성된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각각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0) 상에 원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20)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측면에서 빛을 방출하는 광원장치로, 에지형(Edge LED) 광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20)은 복수의 광모듈(21)과, 복수의 광모듈(21) 사이에 배치된 도광판(24) 및 반사시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모듈(21)은 빛을 출력하는 광원부(22)와, 광원부(22)에서 빛이 출력되도록 광원부(22)를 구동시키는 광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22)는 고효율, 저전력으로 광을 발생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광구동부(23)는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거나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24)은 입사된 광을 디스플레이패널(10)로 안내하는 것으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성 재료 중의 하나인 아크릴계 투명수지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같은 플라스틱(plastic) 물질,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계열에 의해 판 형태(flat ty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24)은 투명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하여 광이 투과할 때, 광의 확산을 유도할 수 있다.
반사시트(25)는 도광판(2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도광판(24)의 측면에서 제공되는 광을 도광판(24)의 측면으로 반사할 수 있다.
확산판(30)은 디스플레이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20) 사이에 위치하고 백라이트유닛(20)에서 나오는 빛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화면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해 주는 반투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30)은 백라이트유닛(20)에서 발광된 광의 휘도 등을 향상시켜 디스플레이패널(1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확산판(30)은 백라이트유닛(20)의 발광다이오드(LED)의 광을 증대시키고, 전체 면의 밝기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디스플레이패널(10)과 확산판(30)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로, 프리즘이 형성된 프리즘시트(41)와, 복굴절의 다층 코팅에 의한 반사형 편광시트(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시트(41)는 삼각 프리즘 형상의 프리즘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프리즘패턴은 복수 개가 인접 배열되어 복수 개의 띠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즉, 일 예에 따른 프리즘패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패턴으로 열을 지어 기준 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시트(41)의 프리즘패턴은 도광판(24)의 렌즈부의 렌즈패턴의 배열과 서로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형 편광시트(42)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편광판(미 도시)에서 흡수할 광의 일부를 재반사시킬 수 있고, 재반사된 광을 다시 편광판(미 도시)에 제공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시트(42)는 입사된 광 중 일부 광을 투과시키며 나머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데, 이때, 반사된 광은 확산판(30) 및 프리즘시트(41)에 의해 산란광으로 재생될 수 있다.
재생된 산란광 중 일부 광은 다시 반사형 편광시트(42)를 투과하고 나머지 광은 또 다시 반사됨으로써, 광의 재생이 끊임없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반사형 편광시트(42)는 편광판(미 도시)을 통과하지 못한 편광을 재생시킴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시트(40)는 도광판(24)에서 출력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확산 또는 고휘도의 광을 집광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광 특성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디스플레이패널(10), 확산판(30), 광학시트(40), 및 새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디스플레이패널(10)과 광학시트(40) 사이의 거리, 확산판(30)과 광학시트(40) 사이의 거리, 확산판(30)과 백라이트유닛(20)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새시(60)는 영상 표시 및 사운드 출력에 필요한 각종 구성품을 연결하는 패널로, 새시(60)에는 각종 인쇄회로기판, 입출력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새시(60)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새시(60)는 백라이트유닛(60)과 하우징커버(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새시(60)는 방열과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새시(60)에는 디스플레이패널(10) 및 백라이트유닛(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새시(60)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70)은 베젤(71)과 하우징커버(7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71)은 디스플레이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젤(71)은 지지부재(50)에 지지된 디스플레이패널(1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부재(50) 또는 하우징커버(7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젤(71)은 하우징커버(72)와 결합 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 내에는 디스플레이패널(10), 백라이트유닛(20), 확산판(30), 광학시트(40), 및 새시(6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베젤(71)은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베젤(71)은 플라스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인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배면의 모서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인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프레임 및 측벽에 접착제가 도포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도 2 참조)는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베젤(71)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기능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에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인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이 발생될 수 있다.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로 방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조립 생산 시 혹은 사용 시 디스플레이패널(10)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성요소를 손상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의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전성을 부여하도록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베젤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베젤은 비중이 높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함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베젤을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구성하되, 탄소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탄소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의 베젤은 비용이 높고,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베젤을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하되, 베젤의 내측면에 별도의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다만, 베젤의 조립 공정 후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추가적인 공정은 수작업 공정을 포함함으로, 추가 작업공정 및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추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전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베젤(71)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젤(71)에 별도의 도전성 테이프를 대체하는 도전성 접착제(100)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성 테이프가 Fabric substrate를 사용함에 따라 도전성 테이프의 생산 공정상 환경적 유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테이프를 베젤에 부착하는 것은 수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젤(71)에 도전성 접착제(100)를 도포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접착제(100)를 베젤(71)에 자동으로 도포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의 자동화로 균일한 생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탄소(Carbon)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 계열의 도전성 접착제는 탄소섬유(carbon fiber),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특히,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가 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흑연면(graphene)이 나노 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린 속이 빈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흑연면이 이루고 있는 벽의 수에 따라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로 구분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전기방전법(Arc-discharge method),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method),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열화학 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기상합성법(Vapor Phase Growth) 등의 합성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다만,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서로 응집되고자 하는 성질이 강하여 균일한 분산이 어려우므로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전기전도성이 떨어질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기전도성은 우수하나, 성형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를 5 내지 8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흑연(Graphite)을 1 내지 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흑연은 수정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에 포함될 수 있고, 흑색을 띠며 금속광택을 가질 수 있다. 흑연은 전기의 양도체, 연필심·도가니·전기로·아크 등의 전극 등에 사용될 수 있고, 활마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베젤(71)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73), 및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을 구성하고, 하우징커버(72, 도 2 참조)와 결합하도록 프레임(73)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젤커버(7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71)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개구부(76), 및 디스플레이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프레임(73)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7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74)은 베젤커버(7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74)은 개구부(76)와 베젤커버(7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100)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면을 향하는 프레임(73)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착제(110)는 프레임(73)의 내측 가장자리 인근에 도포될 수 있다. 제1접착제(110)는 개구부(76)의 둘레 인근에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착제(110)는 정전기의 방전으로부터 디스플레이패널(10, 도 2 참조)을 보호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10)과 접하는 프레임(73)의 둘레를 따라 도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젤에 부착되는 별도의 도전성 테이프는 베젤의 모서리에서 절곡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도전성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테이프의 연속성을 단절하고 복수의 도전성 테이프를 연결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젤의 모서리에서 복수의 도전성 테이프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국부적인 두께의 증가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에 제한이 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복수의 도전성 테이프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베젤에 부착하는 경우, 베젤의 모서리에서 복수의 도전성 테이프 간의 미세한 갭(gap)이 발생함으로써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착제(110)는 제1접착제(110)가 프레임(73)의 모서리에서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속되어 도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별도의 테이프의 부착이 아닌 접착제(100)의 도포 방식을 이용하므로, 베젤(71)의 모서리에서도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프레임(73)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베젤(71)의 모서리에서 단절되거나 국부적으로 두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100)는 접착제(100)가 새시(60)를 통해 접지되도록 새시(60)를 향하는 측벽(74)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100)는 제1접착제(110) 및 제2접착제(120)를 연결하도록 프레임(73)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3접착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74)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120)는 새시(60)와 연결될 수 있다. 새시(60)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성요소들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 구성요소들에서 발생된 정전기는 디스플레이패널(10) 등으로 방전되지 않고, 제1접착제(110), 제3접착제(130), 제2접착제(120), 및 새시(60)를 순서대로 지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로 방전될 수 있다.
제1접착제(110), 제2접착제(120), 및 제3접착제(130)는 일체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2접착제(120)와 제3접착제(130)는 베젤(71)에 복수로 도포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베젤(71)의 양 측과 상 측을 포함하여 세 곳에 제2접착제(120)와 제3접착제(130)가 도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접착제(120)와 제3접착제(130)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베젤(71)의 양 측, 상 측, 및 하 측을 포함하여 네 곳 모두에 도포될 수 있고, 베젤(71)의 양 측, 상 측, 및 하 측 중 어느 한 측에 복수로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디스플레이패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은 열경화성 수지는 아니나, 이와 유사한 3차원 구조를 가진 플라스틱에 해당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질기고 화학약품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전기절연체, 구조재, 기포단열재, 기포쿠션, 또는 탄성섬유 등에 사용될 수 있고, 신축성이 좋아서 고무의 대체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용도는 합성섬유 또는 페인트 등일 수 있다. 합성섬유는 흔히 스판덱스로 불리며, 나일론과 같은 섬유로 덮어져 속옷, 양말, 수영복 등에 쓰일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페인트(폴리우레탄 수지(도료))는 강한 점착력과 방수, 및 부식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거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탄성이 있고 견고하며 가벼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나 직물 등은 물론, 비행기 날개의 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폴리우레탄 계 수지를 포함하여 탄성을 가지고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와 달리, 별도의 완충제를 추가적으로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베젤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는 도전성 테이프와 별도의 완충제를 추가로 부착하여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폴리우레탄 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단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함으로써 도전성을 가질 수 있고, 폴리우레탄 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계 수지를 70 내지 7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100)는 추가적으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을 15 내지 2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첨가제(Additives)를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틸에틸케톤은 알코올 산화물로서 산업 공정에서의 용제 또는 합성고무 산업에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메틸에틸케톤은 나이트로셀룰로스, 비닐수지, 또는 아세트산셀룰로스 등의 우수한 용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젤의 프레임 및 측벽에 접착제가 도포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젤(71)은 접착제(100)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접착제(1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200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200)는 접착제(100)의 도포를 안내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제2접착제(120)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측벽(74)에 마련되는 측벽가이드부(210), 및 제3접착제(130)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프레임(73)의 배면에 마련되는 프레임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가이드부(210)와 프레임가이드부(2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측벽가이드부(210)와 프레임가이드부(2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가이드부(210)와 프레임가이드부(220)는 베젤(71)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베젤(71)의 양 측과 상 측을 포함하여 세 곳에 측벽가이드부(210)와 프레임가이드부(220)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측벽가이드부(210)와 프레임가이드부(220)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베젤(71)의 양 측, 상 측, 및 하 측을 포함하여 네 곳 모두에 마련될 수 있고, 베젤(71)의 양 측, 상 측, 및 하 측 중 어느 한 측에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제1접착제(110)가 제3접착제(130) 사이에 삽입되도록 도포되는 구조로 도시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도시된 제1접착제(110)와 제3접착제(130)의 구조는 제3접착제(130)를 프레임가이드부(220)를 따라 도포 한 후, 제1접착제(110)를 제3접착제(130)와 연결되도록 프레임(73)의 내 측 가장자리에 도포하고, 다시 그 위에 제3접착제(130)를 도포한 것이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착제(110)의 높이가 측벽(74)이 프레임(73)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제3접착제(130)의 높이보다 높도록 제1접착제(110)와 제3접착제(130)가 도포될 수 있고, 제1접착제(110)와 제3접착제(13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제1접착제(110)와 제3접착제(130)가 도포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젤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젤(171)은 디스플레이패널(10, 도 2 참조)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173), 및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의 측면을 구성하고, 프레임(173)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젤커버(17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171)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개구부(176), 및 디스플레이패널(10)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프레임(173)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17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젤(171)은 접착제(100)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접착제(10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300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300)는 접착제(100)의 도포를 안내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제2접착제(120, 도 7 참조)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측벽(174)에 마련되는 측벽가이드부(310), 및 제3접착제(130, 도 7 참조)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프레임(173)의 배면에 마련되는 프레임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가이드부(310)와 프레임가이드부(3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측벽가이드부(310)와 프레임가이드부(3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제1접착제(110, 도 7 참조)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프레임(173)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둘레가이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가이드부(330)는 프레임(173)의 내측 가장자리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둘레가이드부(330)는 개구부(176)의 둘레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둘레가이드부(330)와 프레임가이드부(3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둘레가이드부(330), 프레임가이드부(320), 및 측벽가이드부(31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패널
20: 백라이트유닛 24: 도광판
25: 반사시트 30: 확산판
40: 광학시트 60: 새시
70: 하우징 71, 171: 베젤
72: 하우징커버 73, 173: 프레임
74, 174: 측벽 75, 175: 베젤커버
76, 176: 개구부 100: 접착제
110: 제1접착제 120: 제2접착제
130: 제3접착제 200, 300: 가이드부
200a, 300a: 가이드홈 210, 310: 측벽가이드부
220, 320: 프레임가이드부 330: 둘레가이드부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베젤; 및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탄소(Carbon)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5-8 wt%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70-75 wt%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는 정전기의 방전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접하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도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는 상기 제1접착제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속되어 도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새시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새시를 향하는 상기 측벽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접착제 및 상기 제2접착제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3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측벽에 마련되는 측벽가이드부, 및 상기 제3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는 프레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둘레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지지하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베젤; 및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고, 정전기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향하는 상기 측벽에 연속되어 도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접착제의 도포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베젤; 및
    정전기가 내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제, 상기 접착제가 상기 새시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새시를 향하는 상기 측벽에 도포되는 제2접착제, 및 상기 제1접착제 및 상기 제2접착제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도포되는 제3접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폴리우레탄(PU)계 수지를 포함하여 단층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50737A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37A KR102514876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US16/401,764 US11073710B2 (en) 2018-05-02 2019-05-02 Display apparatus
EP19795993.5A EP3746844B1 (en) 2018-05-02 2019-05-02 Display apparatus
CN201980029578.0A CN112055829B (zh) 2018-05-02 2019-05-02 显示装置
PCT/KR2019/005282 WO2019212265A1 (en) 2018-05-02 2019-05-0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737A KR102514876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12A true KR20190126612A (ko) 2019-11-12
KR102514876B1 KR102514876B1 (ko) 2023-03-29

Family

ID=6838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737A KR102514876B1 (ko) 2018-05-02 2018-05-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73710B2 (ko)
EP (1) EP3746844B1 (ko)
KR (1) KR102514876B1 (ko)
CN (1) CN112055829B (ko)
WO (1) WO201921226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441A (ko) * 2004-08-03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080035784A (ko) * 2006-10-20 2008-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전성 접착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KR20100033618A (ko) * 2008-09-22 2010-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집전체 및 연료전지용 스택
KR20130001068A (ko) * 2011-06-24 2013-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842A (en) 1975-07-07 1978-08-01 Repa Feinstanzwerk Gmbh Locking sensor for belt retractor
KR100421737B1 (ko) 2001-08-17 2004-03-12 주성숙 도전성 차폐회로를 갖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
JP3861809B2 (ja) * 2002-12-27 2006-1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振動板およびこの圧電振動板を用いた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40098688A (ko) * 2003-05-15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모듈
JP4701963B2 (ja) * 2005-09-27 2011-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262091B1 (ko) 2005-09-28 2013-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04003A (ko) * 2006-07-04 200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185934A (ja) 2007-01-31 2008-08-14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JP5011469B2 (ja) * 2007-07-31 2012-08-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071138B1 (ko) 2008-06-13 2011-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20071751A (ko) * 2010-12-23 2012-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3518233B (zh) * 2011-05-11 2016-08-31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多显示器系统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5951464B2 (ja) 2012-12-19 2016-07-1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2749933B1 (en) * 2012-12-26 2015-10-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6107B1 (ko) *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41644B2 (en) * 2014-05-06 2017-12-12 Apple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KR102386409B1 (ko) 2015-11-27 2022-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808012B (zh) * 2016-04-14 2019-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显示装置
TWI628491B (zh) 2016-07-29 2018-07-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防靜電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441A (ko) * 2004-08-03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080035784A (ko) * 2006-10-20 2008-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전성 접착 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KR20100033618A (ko) * 2008-09-22 2010-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집전체 및 연료전지용 스택
KR20130001068A (ko) * 2011-06-24 2013-0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3710B2 (en) 2021-07-27
EP3746844A4 (en) 2021-05-12
EP3746844B1 (en) 2023-09-13
US20190339559A1 (en) 2019-11-07
KR102514876B1 (ko) 2023-03-29
CN112055829A (zh) 2020-12-08
WO2019212265A1 (en) 2019-11-07
EP3746844A1 (en) 2020-12-09
CN112055829B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0137B (zh) 液晶显示装置
US762667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165674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9529137B2 (en) Display device
KR102414596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13513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801858B1 (en) Display device
TWI395003B (zh) 液晶顯示裝置
KR10163311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67881A (ko) 액정표시장치
KR1025148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5609B1 (ko)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10167799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63268A (ko) 액정표시장치
CN110596972A (zh) 一种透明显示面板及透明显示装置
EP1723628B1 (en) Elongated display fibers and displays made thereof
US775118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179505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86846A (ko) 베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65241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2001772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0289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00065553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9685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