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327A -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327A
KR20190126327A KR1020197026514A KR20197026514A KR20190126327A KR 20190126327 A KR20190126327 A KR 20190126327A KR 1020197026514 A KR1020197026514 A KR 1020197026514A KR 20197026514 A KR20197026514 A KR 20197026514A KR 20190126327 A KR20190126327 A KR 2019012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layer
display panel
driv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622B1 (ko
Inventor
샤오둥 셰
민 허
Original Assignee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허페이 신성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허페이 신성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금속 라인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을 포함한다. 금속 라인들은 구동층 에 있는 구동 라인들 및 구동층으로부터 절연된 감지층에 있는 감지 라인들을 포함한다. 구동 라인들 및 감지 라인들은 각각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고, 각각의 복합 패턴 유닛을 복합적으로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금속 라인들은 각각의 복합 패턴 유닛의 형성에 또한 참여할 수 있는 더미층, 구동층 또는 감지층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된 더미 라인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더미 라인들은 또한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개시된다.

Description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4월 28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401771.X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터치 포인트들의 좌표들을 계산함으로써 위치결정 기능성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터치 검출 부분 및 터치 제어기를 포함한다.
터치 검출 부분은 전형적으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열되며,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스크린을 터치하고 나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터치 제어기에 전송하는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부분으로부터 수신된 검출 신호를 좌표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좌표 데이터를 중앙 처리 유닛에 송신한다. 게다가, 터치 제어기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에 의해 반환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그 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행할 수 있어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현재의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에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N형 산화물 반도체 재료들은 그들의 우수한 광학적 및 전기적 속성들로 인해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그러나 요소 인듐(In)의 희귀성으로 인해, 인듐을 이용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제조 비용은 미래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ITO 재료들을 대체하기 위해, 현재 ITO 재료들에 필적할 수 있는, 광학 및 전기적 속성들을 갖는 새로운 재료들을 찾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알루미늄, 구리, 및 은 등과 같은 흔한 금속 재료들을 이용한다. 현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산업에서,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가장 인기있는 해결책들 중 하나가 되었고,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높은 터치 제어 정확도, 및 높은 터치 제어 감도와 같은 특성들을 갖는다.
현재의 금속 메시 기반 터치 제어 기술들에서, 많은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활성 펜 지원 틸트 기능과 같은 활성 펜에 대한 터치 제어 지원을 요구한다. 그러나, 현재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이러한 상기 요구들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전형적인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효과는 평범하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용될 수 있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복수의 금속 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다. 복수의 금속 라인은 복수의 구동 라인 및 복수의 감지 라인을 포함한다. 복수의 구동 라인은 구동층에 배열되고, 복수의 감지 라인은 구동층으로부터 절연되는 감지층에 배열된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복수의 구동 라인 및 복수의 감지 라인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복수의 구동 라인 및 복수의 감지 라인 각각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는다.
본 명세서 및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용어 "복합", "복합적으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동일한 패턴 상의 집합적 패턴으로의 동일한 평면 상의 각각의 요소의 정사 투영의 조합으로서 지칭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는"이라는 문장은, (구동층과 병렬인 기판의 표면 상에서와 같은) 동일 평면 상의 복수의 구동 라인의 정사 투영 및 동일 평면 상의 복수의 감지 라인의 정사 투영이 동일 평면 상의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즉, 패턴) 각각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기술한다.
선택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 대한 복수의 금속 라인은 더미층, 구동층 또는 감지층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는 복수의 더미 라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더미 라인은 위에서 언급된 3개의 층(즉, 더미층, 구동층, 및 감지층) 중 단지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더미 라인은 위에서 언급된 3개의 층 중 2개(예를 들어, 더미층과 구동층, 더미층과 감지층, 또는 구동층과 감지층)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대안적으로, 복수의 더미 라인은 위에서 언급된 3개의 층(즉, 더미층, 구동층, 및 감지층)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복수의 더미 라인이 복수의 구동 라인과 복수의 감지 라인과 함께,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더미 라인이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복수의 기본 패턴을 포함한다.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은 직사각형 영역 내에 있고,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금속 프레임 및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금속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금속 세그먼트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심을 통해, 그리고 다이아몬드 형상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의 2개의 중간점을 통해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형상의 4개의 코너 포인트는 직사각형 영역의 4개의 측면의 4개의 중간점에 각각 있고,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각각 직사각형 영역의 2개의 교차 라인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더미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감지층에 있고, 복수의 더미 라인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은 그와 교차하는 복수의 감지 라인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단절(sever)된다.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복수의 기본 패턴은 홀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로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에서, 금속 프레임은 더미 라인들의 타입에 의해, 또는 이 더미 라인들의 타입 및 감지 라인들의 타입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되고;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의 타입, 감지 라인들의 타입, 및 구동 라인들의 타입 중 적어도 2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감지층 내의 금속 패턴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에 의해 4개의 서브 감지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고, 4개의 서브 감지 각각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를 따라 차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복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복합 패턴 각각은 y-형상 부분 및 λ-형상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λ-형상 부분의 상단부는 y-형상 부분의 하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구동층에 있는 금속 패턴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에 의해 4개의 서브-구동 영역으로 분리되고, 4개의 서브-구동 각각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를 따라 차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복합 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복합 패턴 각각은 2개의 교차 세그먼트를 갖는 x-형상 부분 및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에 더 가까운 x-형상 부분의 측면에 있고 2개의 교차 세그먼트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만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만곡 부분은 각각 2개의 교차 세그먼트에 평행할 수 있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본 패턴은 짝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에서, 금속 프레임은 더미 라인들의 타입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의 타입, 감지 라인들의 타입, 및 구동 라인들의 타입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복수의 구동 라인에 대한 패턴은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각각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column number)는 홀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복수의 감지 라인에 대한 패턴은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각각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는 짝수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제1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구동층과 감지층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절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추가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감지층이 구동층보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측면에 더 가깝도록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측면 사이에 배열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에 배열되는 블랙 매트릭스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구동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열되는 제2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금속 메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POL층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배열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감지층과 POL층 사이에 있는 제2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다음 설명들 및 첨부 도면들을 고려하여 다른 실시예들이 명백해 질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부를 보다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음은 도면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다음의 설명들에서의 도면들은 일부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다른 실시예들의 다른 도면들이 이들 도면들에 기초하여 명백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복합 패턴 유닛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복합 패턴 유닛의 기본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구동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복합 패턴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 있는 감지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복합 패턴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 있는 더미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층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패턴 유닛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복합 패턴 유닛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구동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감지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더미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층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패턴 유닛을 예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도를 예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도를 예시한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흐름도이다.
다음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이 명료하고 완전히 이해가능한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닌 단지 일부일 뿐임이 명백하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보호를 구한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들)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용될 수 있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이로써 특히 틸트 기능을 갖는 동반 활성 펜에 대한 터치 제어를 실현한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복수의 금속 라인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금속 라인은 구동층에 배열되는 복수의 구동 라인; 감지층에 배열되는 복수의 감지 라인; 및 구동층에만, 감지층에만, 또는 구동층과 감지층 양측 모두에(즉, 일부 더미 라인들은 구동층에 있고 그 외에는 감지층에 있음) 배열되는 복수의 더미 라인을 포함한다. 절연층은 구동층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이는 예를 들어 제1 보호층(실질적으로 절연층)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구동 라인, 복수의 감지 라인 및 복수의 더미 라인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구동 라인, 복수의 감지 라인 및 복수의 더미 라인 각각은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구동층(Tx로 도시됨), 감지층(Rx로 도시됨), 및 구동층과 감지층 사이의 절연층(또는 제1 보호층 OC1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구동층은 제1 금속 메시 패턴, 및 제2 금속 메시 패턴으로서의 감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금속 메시 패턴은 복수의 구동 라인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더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 메시 패턴은 복수의 감지 라인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더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구동 라인 모두는 구동층 Tx에 있고, 복수의 감지 라인 모두는 감지층 Rx에 있고, 복수의 더미 라인은 선택적으로 구동층 Tx에 전체적으로 배열되거나, 감지층 Rx에 전체적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구동층 Tx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감지층 Rx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라인, 복수의 감지 라인, 및 복수의 더미 라인에 의해 형성된 복합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 및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도 2 및 도 11 양측 모두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금속 라인들의 상면도를 실질적으로 예시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예시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복수의 금속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를 갖는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복수의 기본 패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및 금속 메시 어셈블리 각각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가지며, 이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동반하는 활성 펜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대칭을 갖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또한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가지며, 이는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효과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기본 패턴의 구조를 예시한다.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은 도면에 도시된 기본 패턴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본 패턴은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금속 프레임(즉,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 및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금속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은 4개의 코너 포인트 D1, D2, D3 및 D4를 갖는다. 2개의 금속 세그먼트 각각은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중심점 O를 통해 그리고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2개의 대향 측면의 중간점을 통해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금속 세그먼트 S1S2는 중간점 M2, 중심점 O 및 중간점 M4을 통해 이어지고; 다른 금속 세그먼트 S3S4는 중간점 M1, 중심점 O 및 중간점 M3을 통해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기본 패턴들은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영역 내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은 그 4개의 코너 포인트(즉, D1, D2, D3, 및 D4) 각각을 갖도록 구성되고, 2개의 금속 세그먼트 각각의 2개의 엔드 포인트(즉, S1 및 S2, S3 및 S4) 각각은 (점선으로 가장 큰 직사각형으로 도시된)직사각형 영역의 마진에 들어온다. 2개의 금속 세그먼트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대각선이다.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4개의 코너 포인트(즉, D1, D2, D3, 및 D4)는 각각 직사각형 영역의 4개의 측면의 중간점들에 위치된다.
도 2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복합 패턴 유닛은 구동층에 배열된 복수의 구동 라인(1), 감지층에 배열된 복수의 감지 라인(2), 및 복합 패턴 유닛을 복합적으로 형성하는 감지층에 배열된 복수의 더미 라인(3)을 포함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더미 라인(3)이 감지층에 배열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더미 라인(3)이 대안적으로 구동층에 배열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는 감지층에 배열되고, 부분적으로는 구동층에 배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복수의 더미 라인(3)에 대한 특정 설계는 실제 요구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복합 패턴 유닛은 구체적으로 8개의 행 및 5개의 열을 갖는 홀수 개의 열의 기본 패턴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복합 패턴 유닛의 구조를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기본 패턴에서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메시들은 모두 회색으로 채워진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본 패턴들에서,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들은 더미 라인들(3)에 의해서만 형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복합 방식으로(즉, 함께) 더미 라인들(3) 및 감지 라인들(2)에 의해 형성된다. 일례에서, 일부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4개의 측면은 더미 라인들(3)에 의해 모두 형성되는 반면, 다른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4개의 측면은 더미 라인들(3) 및 감지 라인들(2)에 의해 함께 형성된다.
게다가,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3), 감지 라인들(2), 및 구동 라인들(1) 중 임의의 2개 또는 3개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기본 패턴의 경우,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3) 및 감지 라인들(2)에 의해, 더미 라인들 및 구동 라인들(1)에 의해, 또는 감지 라인들 및 구동 라인들(1)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다른 기본 패턴의 경우,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3), 감지 라인들(2), 및 구동 라인들(1)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 및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이 개별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층에 있는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은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도 4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층은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에 의해 분리되는 4개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4개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은 좌측 상부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 좌측 하부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 우측 상부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 및 우측 하부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을 포함한다. 2개의 임의의 인접한 서브-구동 영역 패턴은 2개의 인접한 서브-구동 영역 패턴 사이의 대칭 축(즉, 제1 대칭 축 A-A 또는 제2 대칭 축 B-B)을 따라 대칭이다.
이하에서, 우측 상부 상의 서브-구동 영역 패턴은 더 나은 예시를 위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구동층에서 서브-구동 영역 패턴은 복수의 제2 복합 패턴을 포함하고, 이들은 차례로 배열되고 제2 대칭 축 B-B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제2 복합 패턴 중 하나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복합 패턴은 x-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대칭 축 B-B에 가까운 x-형상 부분의 2개의 교차 세그먼트 각각의 단부는 x-형상 부분의 2개의 라인 각각과 교차하는 x-형상 부분의 2개의 라인 중 하나에 평행한 만곡 부분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x-형상 부분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교차 세그먼트(즉, 제1 세그먼트 a 및 제2 세그먼트 b)를 포함하고, 2개 교차 세그먼트 a 및 b 사이의 교차 포인트 X1은 2개의 교차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중간점이다. 제2 대칭 축 B-B에 가까운 제1 세그먼트 a의 단부에 연결되는 만곡 부분 c는 제2 세그먼트 b에 평행하고, 제2 대칭 축 B-B에 가까운 제1 세그먼트 b의 단부에 연결되는 만곡 부분 d는 제2 세그먼트 a와 평행하다. 2개의 만곡 부분 c 및 d는 그들 각각의 단부가 제2 대칭 축 B-B에 놓인다.
도 4 및 도 5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칭 축 B-B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에서 x-형상 부분들은 비교적 더 큰 다이아몬드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최상위 다이아몬드는 도 4에서 2개의 위에서 아래로의(top-to-bottom) 화살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오목한 모서리(outside angle)를 갖는다. 최하위 다이아몬드는 도 4에서 2개의 아래에서 위로의(bottom-to-top) 화살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또한 내부로 오목한 모서리를 갖는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서 감지 라인(2)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은 또한 위에서 언급된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도 6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감지층은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에 의해 분리되는 4개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을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4개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은 좌측 상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 좌측 하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 우측 상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 및 우측 하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을 포함한다. 임의의 2개의 인접한 서브-감지 영역 패턴은 2개의 인접한 서브-감지 영역 패턴 사이의 대칭 축(즉, 제1 대칭 축 A-A 또는 제2 대칭 축 B-B)을 따라 대칭이다.
이하에서, 우측 상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은 더 나은 예시를 위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감지층에서 서브 감지 영역 패턴은 복수의 제1 복합 패턴을 포함하고, 차례로 배열되며 제2 대칭 축 B-B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제1 복합 패턴 중 하나를 예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복합 패턴 각각은 y-형상 부분 및 λ-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λ-형상 부분의 상단부는 y-형상 부분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우측 상부의 서브-감지 영역 패턴에서 y-형상 부분은 상부에 배열되고, λ-형상 부분은 하부에 배열된다.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y-형상 부분은 그 사이에 각도를 갖도록 배열되는 2개의 세그먼트(즉, 제3 세그먼트 e 및 제4 세그먼트 f)를 포함한다. 제3 세그먼트 e는 제4 세그먼트 f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3 세그먼트 e는 y-형상 부분의 좌측 상부를 구성하고, 제4 세그먼트 f는 y-형상 부분의 나머지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제3 세그먼트 e는 제4 세그먼트 f의 중간점(즉, 연결 포인트 X2)에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에서, λ-형상 부분은 또한 그 사이에 각도를 갖도록 배열되는 2개의 세그먼트(즉, 제5 세그먼트 g 및 제6 세그먼트 h)를 포함한다. 제5 세그먼트 g는 제6 세그먼트 h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5 세그먼트 g는 y-형상 부분의 좌측 하부를 구성하고, 제6 세그먼트 h는 y-형상 부분의 나머지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제5 세그먼트 g는 제6 세그먼트 h의 중간점(즉, 연결 포인트 X3)에 연결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제1 복합 패턴에서, λ-형상 부분에서 제6 세그먼트 h의 상단은 y-형상 부분에서 제4 세그먼트 f에서의 포인트 X4에 연결되고, 연결 포인트 X4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4 세그먼트 f의 하부에, 예컨대 제3 세그먼트 e와 제4 세그먼트 f의 연결 포인트 X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자리잡도록 배열된다.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면, 제2 대칭 축 B-B의 2개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에서 y-형상 부분들은 함께 다이아몬드들의 형상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짧은 세그먼트들 각각은 감지 라인(2)과 더미 라인(3) 사이의 연결 위치 또는 교차 위치를 예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연결/교차 위치는 더미 영역으로부터 감지층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한 단절 처리를 겪고, 이는 결국 비교적 양호한 쉐도우 제거 효과를 보장할 수 있고, 이는 금속 메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쉐도우 제거 및 무아레(Moire) 패턴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서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은 위에서 언급된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또한 갖는다.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 및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이 함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복합 패턴 유닛을 형성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복합 패턴 유닛에서, 구동 라인들(1) 및 감지 라인들(2) 양측 모두가 뚜렷한(definite) 패턴들을 가질 때, 더미 라인들(3) 또한 뚜렷한 패턴을 갖는다.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의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감지층에는 감지 라인들(2) 및 더미 라인들(3) 양측 모두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감지층에서 감지 라인들(2)이 그 내부에 배열되는 영역은 감지 영역이고, 반면에 감지층에서 더미 라인들(3)이 그 내부에 배열되는 영역은 더미 영역이다. 감지 영역 및 더미 영역 각각에 대한 패턴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는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구동층에 배열되는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 및 감지층에 양측 모두 배열되는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과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이 함께 복합 패턴 유닛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금속 라인들(즉, 구동 라인들(1), 감지 라인들(2) 등)에 대한 구성 및 레이아웃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라인 프레임들은 회색으로 채워지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예시한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 2 내지 도 10에 예시된 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또한 유사한 메인 구조를 갖고, 또한 복수의 금속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다음의 설명은 주로 상이한 피처들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를 갖는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그 열 개수가 짝수인 복수의 기본 패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8개의 행 및 6개의 열의 기본 패턴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10에 예시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고,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은 또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금속 프레임(즉,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 및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금속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2개의 금속 세그먼트 각각은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중심점을 통해 이어지고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메시의 2개의 대향 측면의 중간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기본 패턴 내의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프레임의 4개의 측면은 더미 라인들(3)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더미 라인들(3), 감지 라인들(2), 및 구동 라인들(1)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이 실시예에서의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 및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이 개별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에서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층에 있는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은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층에서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은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다이아몬드-형상 패턴(즉, 이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들이라고 지칭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은 수평 방향(즉, 제1 대칭 축 A-A) 및 수직 방향(즉, 제2 대칭 축 B-B) 양측 모두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구동층에서 구동 라인들(1)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는 홀수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3개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3개의 열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대칭 축 B-B는 중간 열에서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들을 통해 이어진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서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은 또한 위에서 언급된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도 13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감지층 내의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은 또한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다이아몬드-형상 패턴(즉, 이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들"이라고 지칭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은 수평 방향(즉, 제1 대칭 축 A-A) 및 수직 방향(즉, 제2 대칭 축 B-B) 양측 모두를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구동층에서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는 짝수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2개의 열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대칭 축 B-B는 임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들을 통해 이어지지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위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감지층에서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은 또한 위에서 언급된 제1 대칭 축 A-A 및 제2 대칭 축 B-B과 각각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2개의 대칭 축을 갖는다.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의 이러한 구성은 복합 패턴 유닛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게 한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에서, 감지층에는 감지 라인들(2) 및 더미 라인들(3) 양측 모두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감지층에서 감지 라인들(2)이 그 내부에 배열되는 영역은 감지 영역이고, 반면에 감지층에서 더미 라인들(3)이 그 내부에 배열되는 영역은 더미 영역이다. 감지 영역 및 더미 영역 각각에 대한 패턴들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갖는다.
도 16은 복합 패턴 유닛을 함께 형성하는, 구동층에 배열되는 구동 라인들(1)에 대한 패턴, 및 감지층에 배열되는 감지 라인들(2)에 대한 패턴과 더미 라인들(3)에 대한 패턴의 복합 패턴을 예시한다. 다양한 금속 라인들(즉, 구동 라인들(1), 감지 라인들(2) 등)에 대한 구성 및 레이아웃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이아몬드-형상 금속 라인 프레임들은 회색으로 채워지지 않는다.
제2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제공한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및 기판 위에 배치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복수의 터치 전극은 기판 위에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터치 전극 각각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메시 어셈블리가 완전히 대칭적이기 때문에,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틸트 기능을 갖는 활성 펜의 사용을 지원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우수한 전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은 신호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브리징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거나,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실질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도에서 아래에서 위로의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위의 금속 메시 어셈블리층, 및 금속 메시 어셈블리층 위의 기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진 현재 기술에 기초할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어레이 유리"로서 도시됨)일 수 있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층, ("CF 유리"로서 도시된 컬러 필터 기판과 같은) 컬러 필터 기판, 편광층(POL), 및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들은 베이스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있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층은 감지층(Rx로 도시됨), 구동층(Tx로 도시됨), 제1 보호층(OC1으로 도시됨) 및 제2 보호층(OC2로 도시됨)을 포함하고, 이들은 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그리고 기판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로의 방향(즉, 도 17에서,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예에서, 제1 보호층은 감지층과 구동층 사이에 있고, 제2 보호층(OC2로 도시됨)은 구동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동층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구동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층은 감지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라인들은 감지층에만, 구동층에만, 또는 부분적으로는 감지층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구동층에 배열될 수 있다.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블랙 매트릭스층(도면에서 BM으로서 도시됨)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는 도 17에 도시된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예에서 감지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에 있도록 배열된다. 블랙 매트릭스층은 선택적으로 감지층과 다른 층에 배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베이스 기판(예를 들어, "어레이 유리"), 액정층, ("CF 유리"로서 도시된 컬러 필터 유리와 같은) 컬러 필터 기판, 편광층(POL), 및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커버 기판(예를 들어, 커버 유리)을 포함하고, 이들은 도면에서 아래에서 위로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 필터 기판과 POL 사이의 금속 메시 어셈블리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금속 메시 어셈블리층은, 도 18에서 아래에서 위로의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층(Tx로 도시됨), 제1 보호층(OC1으로 도시됨), 감지층(Rx로 도시됨), 및 제2 보호층(OC2로 도시됨)을 포함하며, 이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 필터 기판 위에 그리고 POL 아래에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유사하게,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구동층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구동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층은 감지 라인들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미 라인들은 감지층에만, 구동층에만, 또는 부분적으로는 감지층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구동층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예 및 도 18에 도시된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시예 양측 모두에서, (도면들 양측 모두에서 화살표들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상부 표면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감지층은 바람직하게는 구동층보다 터치 표면에 비교적 더 가깝게 되도록 배열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고, 선택적으로 구동층은 감지층보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표면에 비교적 더 가깝게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7에 예시된 애드-온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와 같이,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0: 기판 위에 블랙 매트릭스층 BM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코팅, 노광 및 현상과 같은 공정들을 포함하여 블랙 매트릭스층 BM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S200: 감지층 Rx를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금속막 층을 퇴적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감지층 Rx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00: 제1 보호층 OC1을 형성하여 감지층 Rx을 커버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코팅, 노광 및 현상과 같은 공정들을 포함하여 감지층 Rx 내의 전극들의 보호를 위한 제1 보호층 OC1을 형성할 수 있다.
S400: 제1 보호층 OC1 위에 구동층 Tx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금속막 층을 퇴적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구동층 Tx 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S500: 구동층 Tx 위에 제2 보호층 OC2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코팅, 노광 및 현상과 같은 공정들을 포함하여, 구동층 Tx 내의 전극들의 보호를 위한 제2 보호층 OC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즉, S100-S500)에서, 단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계된 마스크가 관련 층들의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8에 예시된 빌트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와 같이,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0 : 컬러막 층(CF 유리) 위에 구동층 Tx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금속막 층을 퇴적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구동층 Tx 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S200': 제1 보호층 OC1을 형성하여 구동층 Tx을 커버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코팅, 노광 및 현상과 같은 공정들을 포함하여 구동층 Tx 내의 전극들의 보호를 위한 제1 보호층 OC1을 형성할 수 있다.
S300' : 제1 보호층 OC1 위에 감지층 Rx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금속막 층을 퇴적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하고, 노광하고, 현상하여, 감지층 Rx 내에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00' : 감지층 Rx 위에 제2 보호층 OC2을 형성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코팅, 노광 및 현상과 같은 공정들을 포함하여 감지층 Rx 내의 전극들의 보호를 위한 제2 보호층 OC2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즉, S100'-S400')에서, 단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계된 마스크가 관련 층들의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이 위에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들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다수의 양태는 달리 명시적으로 선언되지 않는 한 필수적이거나 불가결한 요소들로서 의도된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들 외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개시된 양태들의 다양한 수정들 및 그에 대응하는 등가적 동작들이 그 범위가 이러한 수정들 및 등가적 구조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폭넓은 해석에 따르는,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개시내용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본 개시내용의 이익을 얻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금속 메시 어셈블리로서,
    복수의 금속 라인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라인은:
    구동층에 있는 복수의 구동 라인; 및
    상기 구동층으로부터 절연된 감지층에 있는 복수의 감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구동 라인 및 상기 복수의 감지 라인은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라인 및 상기 복수의 감지 라인 각각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라인은 더미층, 상기 구동층 및 상기 감지층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된 복수의 더미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더미 라인은 상기 복수의 구동 라인 및 상기 복수의 감지 라인과 함께,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을 복합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더미 라인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을 갖는 패턴을 갖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은 복수의 기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은 직사각형 영역 내에 있고,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심을 통해, 그리고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의 2개의 중간점을 통해 각각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금속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4개의 코너 포인트는 각각 상기 직사각형 영역의 4개의 측면의 4개의 중간점에 있고;
    상기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각각 상기 직사각형 영역의 2개의 교차 라인인, 금속 메시 어셈블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더미 라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감지층에 있고,
    상기 복수의 더미 라인 중 적어도 일부 각각은 그와 교차하는 상기 복수의 감지 라인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단절(sever)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본 패턴은 홀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에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더미 라인들의 타입, 또는 상기 더미 라인들의 타입과 감지 라인들의 타입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상기 더미 라인들의 타입, 상기 감지 라인들의 타입, 및 구동 라인들의 타입 중 적어도 2개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상기 감지층에 있는 금속 패턴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에 의해 4개의 서브-감지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4개의 서브-감지 각각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를 따라 차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복합 패턴을 포함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복합 패턴 각각은 y-형상 부분 및 λ-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λ-형상 부분의 상단부(upper end part)는 상기 y-형상 부분의 하단부(lower end part)에 연결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상기 구동층에 있는 금속 패턴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에 의해 4개의 서브-구동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4개의 서브-구동 각각은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를 따라 차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복합 패턴을 포함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복합 패턴 각각은:
    2개의 교차 세그먼트를 갖는 x-형상 부분; 및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중 하나에 더 가까운 상기 x-형상 부분의 측면에 있고 상기 2개의 교차 세그먼트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만곡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만곡 부분은 상기 2개의 교차 세그먼트에 각각 평행한, 금속 메시 어셈블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본 패턴은 짝수 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기본 패턴 각각에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더미 라인들의 타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금속 세그먼트는 상기 더미 라인들의 타입, 상기 감지 라인들의 타입, 및 구동 라인들의 타입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메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라인에 대한 패턴은,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각각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column number)는 홀수인, 금속 메시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복합 패턴 유닛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 라인에 대한 패턴은,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대칭 축 각각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다이아몬드-형상 서브-패턴의 열 개수는 짝수인, 금속 메시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층과 상기 감지층 사이에 제1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절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금속 메시 어셈블리.
  14.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 메시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상기 감지층이 상기 구동층보다 상기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측면에 더 가깝도록 배열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터치 측면 사이에 있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블랙 매트릭스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은 상기 금속 메시 어셈블리의 상기 감지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에 있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제2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 필터 기판과 POL층 사이에 있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시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감지층과 상기 POL층 사이에 제2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21.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7026514A 2018-04-28 2018-11-22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6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01771.X 2018-04-28
CN201810401771.XA CN108415615B (zh) 2018-04-28 2018-04-28 金属网格、触摸屏和显示装置
PCT/CN2018/116945 WO2019205609A1 (en) 2018-04-28 2018-11-22 Metal mesh assembly, touch contro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327A true KR20190126327A (ko) 2019-11-11
KR102306622B1 KR102306622B1 (ko) 2021-09-29

Family

ID=6313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514A KR102306622B1 (ko) 2018-04-28 2018-11-22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9088B2 (ko)
EP (1) EP3788462A4 (ko)
JP (1) JP7248595B2 (ko)
KR (1) KR102306622B1 (ko)
CN (1) CN108415615B (ko)
WO (1) WO2019205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5615B (zh) * 2018-04-28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金属网格、触摸屏和显示装置
WO2022267053A1 (zh) * 2021-06-25 2022-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金属网格、薄膜传感器及掩膜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0560A (ja) * 2011-07-14 2013-01-31 Wacom Co Ltd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KR20160007627A (ko) * 2013-05-16 2016-01-20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 및 단층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전극패턴
KR20160043585A (ko) * 2014-10-13 2016-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4598B2 (ja) * 2011-09-09 2014-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センサ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静電容量型タッチセンサシステム、情報入出力装置
KR20130128036A (ko) * 2012-05-16 2013-11-26 (주)티모스 터치 패널용 패드 및 제조 방법
JP5849059B2 (ja) * 2012-07-06 2016-0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3294294B (zh) * 2012-08-17 2018-01-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摸感应器、内嵌式触摸液晶显示面板、液晶显示器
US9304636B2 (en) * 2013-09-20 2016-04-05 Eastman Kodak Company Micro-wire touch screen with unpatterned conductive layer
CN103294322B (zh) * 2013-06-06 2017-07-07 敦泰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JP2015143933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静電容量型センサ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5232819A (ja) * 2014-06-10 2015-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付き表示装置
CN104375710B (zh) * 2014-12-04 2018-01-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网格、触摸屏和显示装置
US20160282973A1 (en) 2015-03-24 2016-09-29 Uni-Pixel Display, Inc. Metal mesh touch sensor with randomized channel displacement
KR101750428B1 (ko) * 2015-09-2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CN106201145B (zh) 2016-07-21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WO2018163565A1 (ja) * 2017-03-06 2018-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7765917B (zh) * 2017-10-18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的制备方法、触控面板和触控装置
CN107831957B (zh) 2017-11-14 2021-03-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组件、制作方法及一种触摸屏
CN108415615B (zh) * 2018-04-28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金属网格、触摸屏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0560A (ja) * 2011-07-14 2013-01-31 Wacom Co Ltd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KR20160007627A (ko) * 2013-05-16 2016-01-20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 및 단층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전극패턴
KR20160043585A (ko) * 2014-10-13 2016-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955A (ja) 2021-08-12
US20210365137A1 (en) 2021-11-25
EP3788462A1 (en) 2021-03-10
WO2019205609A1 (en) 2019-10-31
EP3788462A4 (en) 2022-01-05
US11379088B2 (en) 2022-07-05
JP7248595B2 (ja) 2023-03-29
KR102306622B1 (ko) 2021-09-29
CN108415615B (zh) 2020-07-28
CN108415615A (zh)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54193B (zh)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102222652B1 (ko) 터치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467298B (zh) 液晶顯示裝置
WO2018099174A1 (zh) 触摸屏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CN110502152B (zh)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JP2009211531A (ja) 表示装置
US10139965B2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448836B1 (ko) 단면 터치패널 구조 및 단면 터치패널 구조의 제조방법
KR200479143Y1 (ko) 감지용 하부기판 상에 금속층을 가지는 인-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WO2013140859A1 (ja) 電極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表示装置
US10949045B2 (en) Flexible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that have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different signal lines
JP6499536B2 (ja) タッチパネル(touchpanel)
TWI452508B (zh) 電容式觸碰面板的佈局結構及其製作方法
WO2020001098A1 (zh) 触控面板和触控显示装置
KR102306622B1 (ko) 금속 메시 어셈블리,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310572A1 (en) Touch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8145435A1 (en) Touch substrate,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a touch panel
TWI796380B (zh) 導電性構件、觸控面板及顯示裝置
CN110767678B (zh)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终端
US9223453B2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device with three-dimensionally configured sensing blocks
CN112860110A (zh) 触控显示面板
US11500502B2 (en) Touch-controlling base plate and displaying device
KR20150127055A (ko) 용량형 센서 전극
TWI736896B (zh) 內嵌式觸控顯示面板
CN117032503A (zh) 触控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