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50A -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50A
KR20190125750A KR1020180049944A KR20180049944A KR20190125750A KR 20190125750 A KR20190125750 A KR 20190125750A KR 1020180049944 A KR1020180049944 A KR 1020180049944A KR 20180049944 A KR20180049944 A KR 20180049944A KR 20190125750 A KR20190125750 A KR 2019012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emission
light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현
박윤지
최민규
Original Assignee
노재현
최민규
박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현, 최민규, 박윤지 filed Critical 노재현
Priority to KR102018004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750A/ko
Publication of KR2019012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회절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렌즈부; 상기 베이스 렌즈부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렌즈부로부터 난반사된 광을 전달받아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시키는 방출 렌즈부; 및 상기 방출 렌즈부를 전, 후 방향으로 병진시키거나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시켜 방출 렌즈부에서 배광되는 광이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베이스 렌즈부와 방출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for CHMSL}
본 발명은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하는 광에 연속성을 부여하여 균일한 면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수의 조명장치가 배치되는 바,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헤드램프(Head Lamp;전조등)와, 자동차의 후미에 배치되는 테일램프(Tail Lamp;후미등)과, 자동차의 방향전환을 알리기 위한 턴시그널램프(Turn Signal Lamp;방향지시등)와, 안개가 있을 때 점등시키는 포그램프(Fog Lamp)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램프들 외에 자동차의 후미에 부가적으로 보조 제동등(CHMSL, Cnetre High Mount Stop Lamp, Third Brake Light, Upper Brake Light)이 설치된다.
보조 제동등은 화물차나 버스 등의 대형차 앞에 일반 자동차가 선행할 경우 상대적으로 운전석이 높은 대형차가 선행하는 자동차의 테일램프를 주시할 수 없게 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미 상단에 설치된다.
그런데, 발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벌브로 이루어진 광원보다 광효율이 좋은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발광다이오드가 직진으로 주행하는 특성으로 인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제동등이 점 발광으로 발광하여 밝기의 균일성 및 연속성이 떨어지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서 봤을 때 명부와 암부의 차이가 심하여 발광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들은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해,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 및 광도 등을 만족하여야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조상의 설계변경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6003호(명칭: 자동차 조명용 광학모듈)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 배광되는 광이 연속성이 부여된 면 발광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광되는 광을 면 발광 또는 점 발광으로 선택하여 배광시킴으로써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회절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렌즈부; 상기 베이스 렌즈부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렌즈부로부터 난반사된 광을 전달받아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시키는 방출 렌즈부; 및 상기 방출 렌즈부를 전, 후 방향으로 병진시키거나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시켜 방출 렌즈부에서 배광되는 광이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베이스 렌즈부와 방출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 렌즈부는, 전면이 볼록하고 후면이 오목한 단위 렌즈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렌즈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인, 출입 작동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방출 렌즈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방출 렌즈부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의 벽면에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최초로 굴절하는 제1 사면과 제2 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을 통과하는 광이 베이스 렌즈의 전체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요철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이스 렌즈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 회절부 및 단위 렌즈부재의 오목한 면을 통해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수차례 굴절시켜 난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 배광되는 광이 연속성이 부여된 면 발광으로 배광되어 광의 끊김 현상이 방지되고 균일한 휘도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회전모터를 통해 방출 렌즈부를 제자리 회전시킴으로써 최종 배광되는 광을 면 발광 또는 점 발광으로 선택하여 배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안개 또는 연무 등에 의해 가시거리가 짧아진 환경에서 자동차를 주행할 경우, 후행차가 선행차를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광이 점 발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방출 렌즈부의 배치 방향을 변환하는 등 렌즈 조립체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방출 렌즈부를 엑츄에이터로 전, 후 이동시켜 베이스 렌즈부와 방출 렌즈부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점 발광으로 발광하는 광의 조사점의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국부적인 암부가 발생되는 종래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단위 렌즈부재의 볼록한 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단위 렌즈부재의 오목한 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구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 7a, 8a는 렌즈 조립체의 일측면을, 도 6b, 7b, 8b는 렌즈 조립체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국부적인 암부가 발생되는 종래 렌즈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단위 렌즈부재의 볼록한 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단위 렌즈부재의 오목한 면이 전방을 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구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 7a, 8a는 렌즈 조립체의 일측면을, 도 6b, 7b, 8b는 렌즈 조립체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특히 자동차의 후미 상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제동에 따른 후행차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보조 제동등의 작용을 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자동차의 전방, 측면, 후방의 방향 지시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광고간판, 일반조명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광원(L)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내부 공간(11)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광원(L)에서 출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회절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 렌즈부(10), 상기 베이스 렌즈부(10)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렌즈부(10)로부터 난반사된 광을 전달받아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시키는 방출 렌즈부(20) 및 상기 방출 렌즈부(20)를 전, 후 방향으로 병진시키거나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시켜 방출 렌즈부(20)에서 배광되는 광이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베이스 렌즈부(10)와 방출 렌즈부(20)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광원(L)은 공지된 발광다이오드이며 베이스 렌즈부(10)의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베이스 렌즈부(10), 방출 렌즈부(20) 및 구동부(3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부재들이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적소에 설치되어 발광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렌즈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광원(L)에서 출사되는 광은 베이스 렌즈부(10)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 확산 발광된다.
발광다이오드를 채용한 광원(L)은 직진성이 강한 특성으로 인해 베이스 렌즈부(10)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 확산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요부인 베이스 렌즈부(10)에는 내부 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11)은 광원(L)에서 출사되는 광이 그 즉시 베이스 렌즈부(10)의 전체적인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렌즈부(10)의 내부 공간(11)은 베이스 렌즈부(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공간(11)은 대략 마름모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11)의 벽면에는 광원(L)에서 출사되는 광이 최초로 굴절하는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이 형성된다.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변으로서 전방에 위치한 내부 공간(11)의 벽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으로 출사된 광은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을 통과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굴절이 일어난다. 이때,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을 통과하는 광이 베이스 렌즈의 전체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요철이 반복 형성된다.
요철이 형성된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을 통과한 광은 불특정한 방향으로 산란하면서 베이스 렌즈부(10)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 확산된다.
이어서, 제1 사면(11a)과 제2 사면(11b)을 통과환 광은 베이스 렌즈부(10)의 전방에 형성된 회절부(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광된다. 여기서, 회절부(12)는 복수 개의 삼각 돌출부(12a)가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열된 형태로서 광이 삼각 돌출부(12a)의 꼭지점으로 배광되면서 넓은 출사각을 가지며 산란한다.
여기서 첨부되는 도면에 도시한 2점쇄선은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방출 렌즈부(20)는 베이스 렌즈부(10)에서 배광되는 광을 전달받아 이를 목적에 따라 면 발광 또는 점 발광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배광되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방출 렌즈부(20)는 전면이 볼록하고 후면이 오목한 단위 렌즈부재(21)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인접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위 렌즈부재(2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렌즈부(20)를 통과하는 광을 수렴하여 점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렌즈부(20)를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단위 렌즈부재(21)는 일측이 볼록렌즈, 타측이 오목렌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의 렌즈 가공품일 수 있으며, 각각 구비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서로 부착시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방출 렌즈부(2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광을 점 발광시키거나 면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광이 면 발광으로서 배광되면 연속성이 부여되어 광의 끊김 현상이 방지되고 균일한 휘도를 갖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안개 또는 연무 등에 의해 가시거리가 짧아진 환경에서 자동차를 주행할 경우, 후행차가 선행차를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광이 점 발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방출 렌즈부(20)의 배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방출 렌즈부(20)의 배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30)는 크게 엑츄에이터(31) 및 회전모터(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엑츄에이터(31)는 베이스 렌즈부(10)에서 방출 렌즈부(20)의 전후 방향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회전모터(32)는 방출 렌즈부(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엑츄에이터(31)는 베이스 렌즈부(10)와 방출 렌즈부(20)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모터(32)는 방출 렌즈부(20)의 좌, 우측 중 어느 한 곳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엑츄에이터(31)는 베이스 렌즈부(10)에 장착되는 몸체(31a), 상기 몸체(31a)에서 인, 출입 작동되는 로드(31b) 및 상기 로드(31b)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31c)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31)는 베이스 렌즈부(10)와 방출 렌즈부(20)를 상호 연결하는 공지의 유, 공압 실리더 일 수 있다. 엑츄에이터(31)는 전술한 유, 공압 실린더 외에 방출 렌즈부(20)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모터(32)는 브라켓(31c)에 설치되며 상기 방출 렌즈부(20)를 지지한 상태에서 방출 렌즈부(20)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정리하면, 구동부(30)는 베이스 렌즈부(10)와 방출 렌즈부(2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배광되는 광의 조사점을 조절하거나, 방출 렌즈부(20)를 회전시켜 점 발광 또는 면 광으로 선택적인 배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구동부(30)의 작용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렌즈부재(21)의 볼록한 면이 전방을 바라보도록 방출 렌즈부(20)를 배치시키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렌즈부(20)에서 배광되는 광이 점 발광으로 발광한다.
여기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31)가 방출 렌즈부(20)를 전방 이동시키게 되면 베이스 렌즈부(10)와의 거리가 이격되면서 베이스 렌즈부(10)에서 배광되는 광의 분산 범위가 넓어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방출 렌즈부(20)를 통해 배광되는 광의 조사점이 커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방출 렌즈부(20)를 엑츄에이터(31)로 전, 후 이동시켜 베이스 렌즈부(10)와 방출 렌즈부(2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점 발광으로 발광하는 광의 조사점의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32)를 통해 단위 렌즈부재(21)의 오목한 면이 전방을 바라보도록 방출 렌즈부(20)를 배치시키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렌즈부(20)에서 배광되는 광이 면 발광으로 발광하여 끊김 없이 균일한 연속성을 가지면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렌즈부
20: 방출 렌즈부
30: 구동부
11: 내부 공간
12: 회절부
21: 단위 렌즈부재
31: 엑츄에이터
32: 회전모터

Claims (4)

  1.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회절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렌즈부;
    상기 베이스 렌즈부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렌즈부로부터 난반사된 광을 전달받아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시키는 방출 렌즈부; 및
    상기 방출 렌즈부를 전, 후 방향으로 병진시키거나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시켜 방출 렌즈부에서 배광되는 광이 점 발광 또는 면 발광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서 배광되도록 베이스 렌즈부와 방출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출 렌즈부는,
    전면이 볼록하고 후면이 오목한 단위 렌즈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렌즈부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인, 출입 작동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방출 렌즈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방출 렌즈부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벽면에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최초로 굴절하는 제1 사면과 제2 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을 통과하는 광이 베이스 렌즈의 전체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요철이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KR1020180049944A 2018-04-30 2018-04-30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KR20190125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44A KR20190125750A (ko) 2018-04-30 2018-04-30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44A KR20190125750A (ko) 2018-04-30 2018-04-30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50A true KR20190125750A (ko) 2019-11-07

Family

ID=6857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44A KR20190125750A (ko) 2018-04-30 2018-04-30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128A1 (de) * 2022-06-07 2023-12-13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ode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03B1 (ko) 2006-12-07 2008-09-0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자동차 조명용 광학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03B1 (ko) 2006-12-07 2008-09-0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자동차 조명용 광학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0128A1 (de) * 2022-06-07 2023-12-13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oder ein kraftfahrzeug
US11878623B2 (en) 2022-06-07 2024-01-23 Zkw Group Gmbh Illumin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headlight or mot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5357B2 (en) Vehicular lamp
US9989697B2 (en) Vehicle lamp
KR101268814B1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KR101065813B1 (ko) 차량용 등기구
US7419289B2 (en) Vehicular lamp
US20140301099A1 (en) Vehicle direction indicator light
US10139074B2 (en) Vehicular light guide member and vehicular lighting equipment
JP6363709B2 (ja) 自動車両用の汎用昼間走行ランプ
WO2016104111A1 (ja) 車両用灯具
WO2015170551A1 (ja) 車両用灯具
KR20140083807A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CN112555770A (zh) 车辆用灯
EP3061654B1 (en) Vehicular active stop and tail lamp module
CN107435882B (zh) 照明装置
KR20190125750A (ko) 자동차 보조 제동등 렌즈 조립체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US11359799B1 (en) Lamp unit and lamp aiming apparatus
WO2021193556A1 (ja) 車両用灯具
KR101491989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90006311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80100758A (ko) 차량용 램프
KR101489771B1 (ko) 자동차용 안개등
JP7052556B2 (ja) 車両用灯具
KR20160115388A (ko) 차량용 램프
KR102261289B1 (ko) 차량의 보조 제동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