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676A -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 Google Patents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676A
KR20190125676A KR1020180049775A KR20180049775A KR20190125676A KR 20190125676 A KR20190125676 A KR 20190125676A KR 1020180049775 A KR1020180049775 A KR 1020180049775A KR 20180049775 A KR20180049775 A KR 20180049775A KR 20190125676 A KR20190125676 A KR 2019012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per
accident
terminal
emergency contac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형
Original Assignee
한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형 filed Critical 한재형
Priority to KR102018004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676A/ko
Publication of KR2019012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1인용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헬퍼 단말과 휴대단말 그리고 원격지의 등록단말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 중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신호를 헬퍼 단말이 감지한 후 이를 페어링된 휴대단말을 통해 원격지의 등록단말에 자동 전송하여, 사고를 당한 1인용 이동수단 이용자를 신속하게 구호 조치하여 보호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Automatic emergency contact system based on sensing impa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1인용 이동수단(예;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에 헬퍼 단말을 설치한 후 이를 휴대단말과 페이링시킨 상태에서,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 중 사고 발생시, 헬퍼 단말에 의해 감지되는 충격신호를 휴대단말을 통해 사전 등록된 보호단말에 자동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 파괴 문제와 고유가, 그리고 웰빙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서 저탄소 녹색 성장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으며, 특히 실생활 측면에서는 교통 체증 및 환경 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1인 이동수단으로서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 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이 많이 이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1인용 이동수단의 경우 분실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GPS모듈을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위치 추적 기능을 가진 1인용 이동수단은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 여부를 보호자에게 자동 통보하는 기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사고 발생시 주변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을 통해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하여야 하지만,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락(lock)이 걸려 있는 관계로, 보호자에게 신속한 연락을 취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하면, 보호자와의 연락이 너무 오래 걸리고, 특히 이용자가 인적이 드문 장소 또는 외진 장소에서 이동수단을 이용하다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변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면서 생명이 위험해지는 경우도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7894호(공개일 2010.09.06)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1472호(공개일 2015.07.15)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847호(공개일 2017.05.2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인용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헬퍼 단말과 휴대단말 그리고 원격지의 등록단말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 중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신호를 헬퍼 단말이 감지한 후 이를 페어링된 휴대단말을 통해 원격지의 등록단말에 자동 전송하여, 이동수단 이용자를 신속하게 구호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은, 제 1 통신모듈과 GPS센서 및 가속도센서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통상의 주소록 저장과 메세지 전송 기능이 구현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페어링되는 제 2 통신모듈을 가지며, 장착부를 통해 이동수단에 장착되면서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페어링된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헬퍼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에는 상기 헬퍼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충격량 감지신호에 따라 사고 유무를 판단하면서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헬퍼 앱을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헬퍼 단말은, 단말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헬퍼 앱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LED표시부;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충격센서; 및, 상기 제 2 통신모듈과 상기 LED표시부 및 상기 충격센서에 필요로 하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LED표시부는 사고 미발생시에는 상기 헬퍼 앱에 의해 안전등으로 발광되고,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헬퍼 앱에 의해 비상연락망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헬퍼 앱은, 상기 헬퍼 단말에서 전송하는 충격량 감지신호를 수신시 이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충격량 비교부; 상기 충격량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GPS센서의 위치 변화량을 체크하는 위치 변화 체크부; 상기 충격량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하는 가속도 변화 체크부; 및, 상기 위치 변화 체크부와 상기 가속도 변화 체크부에 의해 체크되는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에 없을 때 사고로 분석하면서,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헬퍼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헬퍼 앱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에는 초기 헬퍼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초기 헬퍼 화면은, 상기 LED표시부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형의 제 1 버튼; 비상 연락망을 설정하는 터치형의 제 2 버튼; 휴대단말과 헬퍼 단말의 페어링 설정을 위한 터치형의 제 3 버튼; 헬퍼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형의 설정 버튼; 및, 상기 제 3 버튼에 의한 페어링 설정시, 페어링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 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자동 비상 연락 방법은, (a) 사용자가 1인용 이동수단에 헬퍼 단말을 설치한 후 이를 휴대단말과 페어링시킨 상태에서, 사고 발생시 연락할 비상연락망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비상연락망이 설정된 이후에,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사고 발생시, 상기 헬퍼 단말에서 사고 발생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한 후 이를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헬퍼 단말에서 전송하는 충격량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GPS센서의 위치 변화량과 가속도센서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체크된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있으면 미사고로 판단하고,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없으면 사고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a)단계로부터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사고 메세지에는 상기 GPS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위치의 상세 지도가 링크된 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인용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헬퍼 단말과 휴대단말 그리고 원격지의 등록단말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1인용 이동수단을 이용 중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신호를 헬퍼 단말이 감지한 후 이를 페어링된 휴대단말을 통해 원격지의 등록단말에 자동 전송하여, 사고를 당한 1인용 이동수단 이용자를 신속하게 구호 조치하여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헬퍼 단말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헬퍼 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에서 헬퍼 단말의 LED표시부에 대한 점등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헬퍼 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에서 비상연락망을 설정하는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때 LED표시부의 점등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고 발생시 LED표시부의 점등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고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포함하는 사고 메세지를 설정된 비상연락망의 등록단말로 전송하는 화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헬퍼 단말의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은, 제 1 통신모듈(11)과 GPS센서(12) 및 가속도센서(13)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통상의 주소록 저장과 메세지 전송 기능이 구현되는 휴대단말(10)과, 헬퍼 단말(20)을 페어링시키되, 상기 헬퍼 단말(20)은 이동수단(미도시)에 장착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헬퍼 단말(20)은 상기 휴대단말(10)의 블루투스 모듈인 상기 제 1 통신모듈(13)과 페어링되는 블루투스모듈로서 제 2 통신모듈(21)을 가지며, 장착부(20a)를 통해 상기 이동수단에 장착되면서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페어링된 상기 휴대단말(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헬퍼 단말(20)은, 단말 외부면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헬퍼 앱(30)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LED표시부(22), 그리고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 2 통신모듈(21)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0)로 전송하는 충격센서(23)와, 상기 제 2 통신모듈(21)과 상기 LED표시부(22) 및 상기 충격센서(23)에 필요로 하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10)에는 상기 헬퍼 단말(20)에 의해 전송되는 충격량 감지신호에 따라 사고 유무를 판단하면서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헬퍼 앱(3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헬퍼 앱(30)은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사고 미발생시에는 상기 LED표시부(22)를 안전등(22a)으로 제어하지만, 사고 발생시에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LED표시부(22)에 비상연락망 아이콘(22b)을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헬퍼 앱(30)에는 충격량 비교부(31)와 위치 변화 체크부(32) 및 가속도 변화 체크부(33)는 물론, 헬퍼 제어부(34)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충격량 비교부(31)는 상기 헬퍼 단말(20)에서 전송하는 충격량 감지신호를 수신시 이를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위치 변화 체크부(32)는 상기 충격량 비교부(31)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10)에 탑재된 GPS센서(12)의 위치 변화량을 체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가속도 변화 체크부(33)는 상기 충격량 비교부(31)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10)에 탑재된 가속도센서(13)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헬퍼 제어부(34)는 상기 위치 변화 체크부(32)와 상기 가속도 변화 체크부(33)에 의해 체크되는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없을 때 사고로 분석하면서, 상기 휴대단말(10)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헬퍼 제어부(34)는 GPS센서(12)와 상기 가속도 센서(13)에 의해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존재한다라는 것은 이동수단이 계속 이동한다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충격센서(23)의 충격량 감지신호에 관계없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지만, GPS센서(12)와 상기 가속도센서(13)에 의해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수단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충격센서의 충격량 감지신호가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설정된 비상연락망의 등록단말(40)에 사고 메세지(M1)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고 메세지(M1)에는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GPS센서(12)에 의해 측정되는 위치의 상세 지도(M3)가 링크된 URL정보(M2)를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비상연락망 등록자는 상기 사고 메세지(M1)를 수신함과 동시에 사고자에 대한 신속한 구호 조치(예; 119 등에 신고 등)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10)에서 상기 헬퍼 앱(30)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10)의 화면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헬퍼 화면을 표시되고, 이러한 초기 헬퍼 화면은, 상기 LED표시부(22)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형의 제 1 버튼(D1)과, 비상 연락망을 설정하는 터치형의 제 2 버튼(D2)과, 휴대단말(10)과 헬퍼 단말(20)의 페어링 설정을 위한 터치형의 제 3 버튼(D3)과, 헬퍼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형의 설정 버튼(D4), 그리고 상기 제 3 버튼(D3)에 의한 페어링 설정시, 페어링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T1)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헬퍼 앱(3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10)에서 헬퍼 단말(20)의 LED표시부(22)에 대한 점등 상태를 설정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헬퍼 앱(3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10)에서 비상연락망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자동 비상 연락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1인용 이동수단에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장착부(20a)를 이용하여 헬퍼 단말(20)을 설치한 후 블루투스모듈인 제 1 및 제 2 통신모듈(11, 21)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0)과 상기 헬퍼 단말(20)을 페어링시키고, 다음으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비상연락망을 설정하여둔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비상연락망이 설정된 이후에, 사용자가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헬퍼 단말(20)에 마련되는 충격센서(23)는 사고 발생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한 후 이를 휴대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10)에 설치된 헬퍼 앱(30)의 충격량 비교부(31)는 상기 헬퍼 단말(20)에서 전송하는 충격량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충격량이 격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헬퍼 앱(30)에 포함되는 위치 변화 체크부(32)는 상기 충격량 비교부(31)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10)에 탑재된 GPS센서(12)의 위치 변화량을 체크한 후 이를 헬퍼 제어부(34)로 출력한다.
더불어, 상기 헬퍼 앱(30)에 포함되는 가속도 변화 체크부(33)는 상기 충격량 비교부(31)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10)에 탑재된 가속도센서(13)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한 후 이를 상기 헬퍼 제어부(34)에 출력하게 되는 바,
상기 헬퍼 제어부(34)는 상기 위치 변화 체크부(32)와 상기 가속도 변화 체크부(33)에 의해 체크되는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없을 때 사고로 분석하면서, 상기 휴대단말(10)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정된 비상연락망의 등록단말(40)로 사고 메세지(M1)를 송출하게 됨으로써, 사고를 당한 이동수단 사용자의 구호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휴대단말 11; 제 1 통신모듈
12; GPS센서 13; 가속도센서
20; 헬퍼단말 20a; 장착부
21; 제 2 통신모듈 22; LED표시부
22a; 안전등 22b; 비상연락망 아이콘
23; 충격감지센서 24; 배터리
30; 헬퍼 앱 31; 충격량 비교부
32; 위치 변화 체크부 33; 가속도 변화 체크부
34; 헬퍼 제어부

Claims (7)

  1. 제 1 통신모듈과 GPS센서 및 가속도센서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통상의 주소록 저장과 메세지 전송 기능이 구현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제 1 통신모듈과 페어링되는 제 2 통신모듈을 가지며, 장착부를 통해 이동수단에 장착되면서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페어링된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헬퍼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에는 상기 헬퍼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충격량 감지신호에 따라 사고 유무를 판단하면서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헬퍼 앱을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퍼 단말은,
    단말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헬퍼 앱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LED표시부;
    사용자가 탑승한 이동수단의 사고 발생시 그 사고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 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충격센서; 및,
    상기 제 2 통신모듈과 상기 LED표시부 및 상기 충격센서에 필요로 하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는 사고 미발생시에는 상기 헬퍼 앱에 의해 안전등으로 발광되고, 사고 발생시에는 상기 헬퍼 앱에 의해 비상연락망 아이콘이 발광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퍼 앱은,
    상기 헬퍼 단말에서 전송하는 충격량 감지신호를 수신시 이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충격량 비교부;
    상기 충격량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GPS센서의 위치 변화량을 체크하는 위치 변화 체크부;
    상기 충격량 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시,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가속도센서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하는 가속도 변화 체크부; 및,
    상기 위치 변화 체크부와 상기 가속도 변화 체크부에 의해 체크되는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에 없을 때 사고로 분석하면서,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헬퍼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헬퍼 앱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에는 초기 헬퍼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초기 헬퍼 화면은, 상기 LED표시부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형의 제 1 버튼; 비상 연락망을 설정하는 터치형의 제 2 버튼; 휴대단말과 헬퍼 단말의 페어링 설정을 위한 터치형의 제 3 버튼; 헬퍼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형의 설정 버튼; 및, 상기 제 3 버튼에 의한 페어링 설정시, 페어링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
  6. (a) 사용자가 1인용 이동수단에 헬퍼 단말을 설치한 후 이를 휴대단말과 페어링시킨 상태에서, 사고 발생시 연락할 비상연락망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비상연락망이 설정된 이후에,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상태에서 사고 발생시, 상기 헬퍼 단말에서 사고 발생에 따른 충격량을 감지한 후 이를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상기 헬퍼 단말에서 전송하는 충격량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충격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휴대단말에 탑재된 GPS센서의 위치 변화량과 가속도센서의 가속도 변화량을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체크된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있으면 미사고로 판단하고, 위치 및 가속도 변화량이 없으면 사고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a)단계로부터 설정된 비상연락망으로 사고 메세지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사고 메세지에는 상기 GPS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위치의 상세 지도가 링크된 URL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방법.
KR1020180049775A 2018-04-30 2018-04-30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KR20190125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75A KR20190125676A (ko) 2018-04-30 2018-04-30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75A KR20190125676A (ko) 2018-04-30 2018-04-30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676A true KR20190125676A (ko) 2019-11-07

Family

ID=6857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75A KR20190125676A (ko) 2018-04-30 2018-04-30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67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894A (ko)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동광금속 위치추적부를 갖는 자전거
KR20150081472A (ko) 2014-01-05 2015-07-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자가발전식 gps 발신기를 내장한 바이크
KR20170056847A (ko) 2015-11-16 2017-05-24 조성원 자전거 도난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894A (ko)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동광금속 위치추적부를 갖는 자전거
KR20150081472A (ko) 2014-01-05 2015-07-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자가발전식 gps 발신기를 내장한 바이크
KR20170056847A (ko) 2015-11-16 2017-05-24 조성원 자전거 도난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988B2 (en) Intelligent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2745079B (zh) 汽车驾驶员鞋子检测系统和控制方法
CN105329210A (zh) 基于异常震动监测的车辆智能防盗系统
JP6131215B2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
KR20180073039A (ko) 타이어 마모 확인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3722990A (zh) 通过外置设备显示轮胎监测信息的方法及装置
CN105204457A (zh) 实现车辆远程定位救援的方法、车辆、移动终端及救援服务器
KR20190092037A (ko) 전기이륜차 관리 시스템
CN103107830B (zh) 近场通讯失去联系前的告警方法、装置、终端及系统
JP2010072750A (ja) 盗難防止装置
US20150002311A1 (en) Active beacon for vulnerable road users
CN111246622A (zh) Led灯具、隧道消防系统、控制方法、控制设备和存储介质
CN102529604A (zh) Tpms轮胎压力监测系统
CN202507863U (zh) 轮胎压力监测系统
KR20190125676A (ko) 충격 감지에 따른 자동 비상 연락 시스템과 그 연락 방법
KR20160118397A (ko) 차량의 사고 신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986461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タイヤ側送信機およびtpms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CN104527569B (zh) 一种智能防盗装置、系统及液晶仪表盘
KR20020020574A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CN102363421B (zh) 汽车被盗的报警及追踪方法
KR20150071913A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347261A1 (en) Driver anti-distraction device (dadd)
CN206501656U (zh) 一种汽车安全系统
KR20190091797A (ko) 스마트 자전거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