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665A -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 Google Patents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665A
KR20190125665A KR1020180049749A KR20180049749A KR20190125665A KR 20190125665 A KR20190125665 A KR 20190125665A KR 1020180049749 A KR1020180049749 A KR 1020180049749A KR 20180049749 A KR20180049749 A KR 20180049749A KR 20190125665 A KR20190125665 A KR 2019012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oaming
solvent
scoria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일
Original Assignee
배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일 filed Critical 배성일
Priority to KR102018004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665A/ko
Publication of KR2019012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리아분말과 포졸란분말을 혼합한 분말과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혼합하여 만든 스코리아 발포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최근 스코리아나 게르마늄을 이용한 팔찌나 목걸이나 침대 등의 건강용품이 전체를 스코리아나 게르마늄 성형 제품으로 적용하여 고가이어서 판매에 문제가 많았던 것을 본 발명의 스코리아 발포용제로 건강용품의 재료 표면에 발포하여 접착시킴에 의해 저가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 A scoria foaming solvent for a healthy goods}
본 발명은 건강용 밴드나 목걸이 그리고 건가용 팔찌나 건강용 매트 등의 건강용품의 표면에 적용할 수 있는 스코리아 발포용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발명공개특허10-2012-0003802 스코리아 부착방법
[문헌 2] 대한민국발명공개특허 10-2010-0130519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 및 직물제품
[문헌 3] 대한민국발명등록특허 10-1693322 친환경 페인트의 제조방법
[문헌 4] 대한민국발명공개특허 10-2010-0088154 포졸란의 제조 방법
스코리아를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출시되고 있다.
즉, 상기 문헌 1의 스코리아 부착방법은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고형화한 스코리아 성형체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필름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 상측에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를 도포한 후 열경화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스코리아 성형체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스코리아 성형체가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직물과 스코리아 성형체가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코리아 분말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생성된 혼합용액을 필름상에 열경화시키고, 열경화된 혼합용액의 상측에 접착필름을 접착시킨 후, 접착필름을 필름과 분리시켜 접착필름
상에 혼합용액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필름을 직물상에 배치시켜 가열가압하고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문헌 2는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은 제1 직물지와 제2 직물지 사이에 스코리아 성형체가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는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된 스코리아 분말을 물로 반죽한 후 이를 성형하여 고형화시켜 생성되며, 원적외선 방사특성이 90% 이상이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체에 접촉될 수 있는 직물제품, 예컨대 브래지어나 팬티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은 친환경 페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 페인트 조성물 100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 에멀젼 10 내지 25 중량%, 착색안료 10 내지 20 중량%, 탈크
20 내지 30 중량%, 정제수 15 내지 25 중량%, 증점제 0.3 내지 0.5 중량%, pH조절제 0.1 내지 0.2 중량%, 소포제 0.05 내지 0.2 중량%, 분산제 0.05 내지 0.2 중량%, 다공성 파우더 0.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문헌 4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F형 및/또는 C형 비산회와 같은 비산회를 포함하는 포졸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포졸란을 분쇄 장치에서 분쇄에 의해 30 마이크론 체 상의 보유율이 5% 미만인 최종 생성물의 분말도로 고에너지 기계 가공 처리하며, 상기 포졸란 입자는 조대 스코리아 입자 형태의 비세노스피어가 붕괴될 때 기계적 충격을 받아 세노스피어 분쇄된 입자의 표면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헌들과 같이 스코리아를 이용한 기술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최근 스코리아(화산송이)를 이용한 기술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주로 건강용품으로 사용되는 데 스코리아의 원재료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저가로 사용할 수 있게 스코리아를 의류 등에 부착용제로 사용하는 기술들이 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부착용제로 사용하는 기존 용제들은 스코리아외에 별도의 의류등에 스코리아를 붙이기 위해 실리콘 등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기술인데 이럴 경우 스코리아와 접착제간의 불규칙한 섞임이 발생되어 스코리아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코리아만으로 천이나 인조가죽 또는 매트에 부착할때 응결력이 약하여 표면이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뇌파 측정을 위한 뇌파밴드나 맥파 측정을 위한 맥파 팔찌 등의 건강용기기가 착용상의 불편한 점 때문에 해당 건강용기기의 상용화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합광물질인 스코리아분말을 포졸란 분말을 혼합하고 혼합한 분말과 액상실리콘수지 접착제를 혼합하여 건강용품 제작에 적용되는 천이나 시트면 또는 매트면 또는 인조 가죽 또는 플라스틱면 또는 벽면 등에 도포하고 발포시켜 접착시킴으로서 건강용품을 제작하여 값비싼 스코리아 재료를 건강용품 재료의 표면에 코팅하여 저가의 건강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발포용제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또 기존의 뇌파밴드나 맥파팔찌 등의 건강용품을 착용하고 있으면 현재 증명된 스코리아 건강기기의 혈류개선 효과로 건강이 좋아지는 특성에 의해 소비자들이 뇌파밴드 등이 착용 불편함을 심리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코리아분말과 포졸란 분말을 혼합하고 이를 실리콘 액상 접착제를 혼합한 스코리와 친환경발포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건강용품에 적용되는 재료 즉, 천이나 인조가죽 또는 매트면 또는 플라스틱면 또는 시트면 등에 도포하고 발포하여 부착시킴으로서 건강용 목걸이나 머리띠나 팔찌 또는 건강매트 등의 건강용품을 저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주성분인 스코리아에 의해 항균성을 가지고 있고 스코리아가 원적외선효과가 있어 혈류개선효과가 있고 또 열을 가해 발포하며 접착되는 과정을 본 발명은 가지고 있어 발포효과에 의해 부드러운 쿠션감을 갖는 효과를 가지고 포졸란에 들어 있는 게르마늄 성분으로 게르마늄효과도 가지며 포졸란의 실리카성분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고 또 기존 스코리아나 게르마늄의 건강용품이 고가인점에 비해 본 발명 적용 건강용품은 표면에만 적용하기 때문에 저가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소비자들이 뇌파밴드나 맥파팔찌 등의 건강용기기의 착용상의 불편함을 차면 건강해진다는 심리로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도
본 발명은 스코리아분말과 포졸란분말을 혼합한 분말과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혼합하여 만든 스코리아 발포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최근 스코리아나 게르마늄을 이용한 팔찌나 목걸이나 침대 등의 건강용품에 적용할 때 전체를 스코리아나 게르마늄 성형 제품으로 적용하여 너무 고가이어서 판매 및 상용화에 문제가 많았던 것을 본 발명의 스코리아 발포용제로 건강용품의 재료 표면에 소량만 도포하고 열로 발포하여 접착시킴에 의해 저가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계별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1단계 (분말 혼합)
1) 스코리아와 포졸란원석을 각각 350 mesh (1인치내에 포함되는 입자크기)이상 분쇄한다.
분쇄된 분말은 풍력으로 분말을 날린 후 집진하는 방식으로 가능한 미세분말을 채취한다
이러한 방식은 분말이 미세할수록 스코리아와 포졸란 원석의 짖은 색상이 옅어져
염료의 색상을 더 잘 표현할수있기 때문이며 또 한편으로는 원석에 포함된 성분중 비중이 높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중금속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도 감안한 것이다
스코리아와 포졸란을 혼합하는 이유는 응결력이 약하고, 기포가 많은 스코리아에 시멘트원료 또는 도자기 유약의 원료로 사용되는 포졸란을 혼합함으로서 응결력과 광택을 높일수있기 때문이다.
2) 분쇄된 스코리아와 포졸란을 2;1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 비율은 스코리아의 기능(항균, 흡착 등)을 유지하면서 스코리아에 없는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효과적인 비율이다. 그러나 적용 지역이나 상황에 따라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포졸란은 스코리아와 구성성분이 유사하면서 스코리아에 없는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Ge(게르마늄)을 포함하고 있고 규소(유리질,SiO2) 함량도 스코리아보다 높아 조성물의 광택에 도움이 된다.)
2단계 (액상혼합)
3) 실리콘수지접착제 60~85 중량%
* 가소제 35~45 중량%
(접착제 성분 중 가소제 비율은 분말이 혼합된 수지접착제를 적용면에 도포를 원활하게하고 기온과 습도변화에 신축성을 주어 적용면으로부터 도포제가 갈라져 부스러지거나 일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실리콘발포제 20~45 중량%
(조성물이 열처리에 의해 부풀어올라 적용면에 부드러운 질감과 쿠션감을 주기 위함이다)
* 점증제(유화제) 중량% 0.1~1 중량%
* 분산제 중량% 5~20 중량% : 최신 분산처리효과가 좋은 분산용 장치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3단계 (1단계 분말과 2단계 액상의 분산,교반)
분말을 15~40중량% 액상을 60~85중량% 비율로 혼합한다.
염료와 염료의 분산을 위해서 매염제인 명반을 액상으로 약 5~15중량%섞는다.
※(명반은 옛날부터 손톱에 봉숭화물을 들일 때 또는 전통적인 염색에서 쓰이는 것으로 색상을 고루 퍼지도록하는 매염제로서 사용된다)
4) 혼합시 처음에는 점도가 낮은상태로 시작하여 점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점증제(카보머 등)를 0.1~1 중량% 추가하며, 혼합분말의 침전을 최소화 하고 벽면 적용시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기 위해. 점도를 100.000cP이상으로 한다.
4단계 (용제의 건강용기기에로의 도포와 발포)
5) 그리고 건강용기기에 적용될 천 또는 인조가죽 또는 플라스틱면에 밑그림을 그린 후, 용제 도포용 장치 또는 유화용 칼 또는 붓을 이용하여 혼합제를 1~2mm 두께로 도포하거나 혼합제가 통과할수있는 그물망을 디자인한 후 그물망을 시트 또는 바닥제 위에 평평하게 당겨 붙이고 용제를 밀대로 통과시켜 그림을 완성한다.
6) 완성된 그림에 골고루 열풍기(드라이기 등)를 이용하여 혼합제가 접착 발포될 때까지 서서히 간접 열처리함으로서 본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이용한 건강용기기의 표면 코팅이 완성된다. 이로서 건강용기기 전체를 스코리아를 직접 성형하여 만든 것과 같은 효과를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된 저가의 스코리아 코팅용제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 차별화기술을 좀 더 간단히 설명하자면,
1) 스코리아와 포졸란 분말 혼합 용제 : 본 발명은 스코리아와 포졸란을 혼합하여 만든 용제로 스코리아 재료가 갖고 있는 원적외선효과와 항균효과와 포졸란 재료가 갖고 있는 응결력과 광택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기존 기술과는 차별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포졸란에는 게르마늄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본발명으로 제작된 건강용품은 스코리아와 게르마늄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2) 발포형 용제 : 본 발명은 실리콘 용제를 혼합한 용제로 열을 가할 경우 발포하며 겅강용기기에 접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표면이 부드러운질감과 쿠션감이 생기게 한다.
3) 도포 원활성과 갈라짐방지기능 : 본 발명은 실리콘 접착제에 가소제를 혼합시킴에 의해 기온과 습도변화에 따라 갈라지거나 부스러짐을 방지하는 신축성 역할을 하고 도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도면을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방법을 설명한 예시도로서,
우선 스코리아 분말과 포졸란 분말을 일정 비율로 섞는다. (100S)
이 때 스코리아 분말과 포졸란 분말을 2:1의 비율로 주로 섞는데 이 이유는 스코리아의 항균 흡착 성능을 유지하면서 포졸란에 함유되어 있는 규소 성분을 통한 광택기능과 실리카성분에 의한 응결력의 장점을 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스코리아 분말 비율을 포졸란 분말 비율에 비해 높게 하는 이유는 스코리아의 특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리콘발포제와 가소제와 분산제를 섞어 사용하는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온도를 가하면 발포되며 접착제 역할을 하는 실리콘발포제와 신축성 역할을 하는 가소제와 각 성분이 서로 잘 섞여 넓게 퍼지게 해주는 분산제를 정해진 비율로 섞는다. (200S)
이 때 액상 실리콘 접착제는 본 발명용제의 전체 100중량%을 기준으로 60~85 중량%으로 하는데 이 성분은 실리콘 발포제 20~45 중량% 가소제 35~45 중량% 점증제 중량 0.1~1 중량% 분산제 5~ 20 중량%로 구성된다.그런데 이중 분산제는 최근 분산용 기계가 상기 혼합 액상을 잘 분산시켜주기 때문에 생략될 수도 있다.
이 때 가소제의 비율을 늘리면 신축성은 높아지고 내열성과 내한성도 높아진다. 너무 많이 넣으면 표면 견고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만들어진 스코리 분말과 포졸란 분말 혼합 분말과 실리콘접착제를 정해진 비율로 섞어 본 발명의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완성한다. (300S)
이 때 상기 스코리아와 포졸란 혼합 분말을 15~40 중량%,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60~85중량%로 섞는다. 그리고, 점증제를 이용하여 점도를 조정한다. 이 때 상기 실리콘접착제 액상 비율을 높이면 발포시에 시간이 좀더 많이 걸리고 스코리아의 효과가 줄어들지만 저가의 건강용 기기에 적용할 때나 판매 지역 온습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건강용품용 재료인 천이나 인조가죽 또는 플라스틱면 또는 석재 또는 종이(벽지 등) 등에 상기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도포한 후 열을 가하여 상기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접착시킨다. (400S)

Claims (7)

  1. 스코리아분말과 포졸란분말을 혼합한 분말과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혼합하여 건강용품에 적용되는 재료 표면위에 도포하여 발포용제로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리아 분말과 상기 포졸란 분말을 혼합하는데 있어서 상기 스코리아 분말비율과 상기 포졸란비율에 있어 스코리아 분말비율을 높게 섞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스코리아분말과 상기 포졸란분말을 혼합한 분말을 15~40중량%, 상기 액상 실리콘접착제 60~85중량%로 섞어 발포용제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접착제는 가소제와 실리콘발포제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용제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점증제를 섞는 것을 포함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6. 스코리아 분말과 포졸란 분말을 일정 비율로 섞는 단계; (100S)
    실리콘발포제와 가소제를 혼합하여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만드는 단계; (200S)
    스코리 분말과 포졸란 분말의 혼합 분말과 액상 실리콘접착제를 정해진 비율로 섞어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완성하는 단계; (300S) 및
    건강용품용에 적용되는 재료에 상기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도포한 후 열을 가하여 상기 건강용품 재료에 스코리아 발포용제를 접착하는 단계; (400)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7. 제 1 또는 제 6항에 있어 상기 건강용품 재료는 천 또는 인조가죽 또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 또는 석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KR1020180049749A 2018-04-30 2018-04-30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KR20190125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49A KR20190125665A (ko) 2018-04-30 2018-04-30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749A KR20190125665A (ko) 2018-04-30 2018-04-30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665A true KR20190125665A (ko) 2019-11-07

Family

ID=6857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749A KR20190125665A (ko) 2018-04-30 2018-04-30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6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640A (ko) * 2020-08-05 2022-02-14 손태일 건강매트리스
KR20220043415A (ko) 2020-09-29 2022-04-05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스크롤형 전동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640A (ko) * 2020-08-05 2022-02-14 손태일 건강매트리스
KR20220043415A (ko) 2020-09-29 2022-04-05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스크롤형 전동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5665A (ko) 건강용품 적용 스코리아 발포용제
CN102747612A (zh) Pu压花变色装饰革的制造方法
CN103642950B (zh) 利用黄牛植鞣装具革制作双光面皮带的方法
KR100706403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인조피혁
JP2000129566A (ja) 繊維製品への転写用トルマリン微粉末付着シート
CN117795151A (zh) 纤维涂敷方法
CN103660516B (zh) 一种植入咖啡炭羊绒的皮革复合材料加工方法
CN109134968A (zh) 一种乳胶制品及其制作方法
KR20180106115A (ko) 다양한 장식무늬를 갖는 침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JPH06345976A (ja) 羽毛微細粉末並びにそのウレタン修飾物を主成分とする表面改質剤
CN209368579U (zh) 一种耐水煮仿纳米鞋革
KR100514309B1 (ko) 쑥 종이 제조방법
KR100302668B1 (ko) 도자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화장토와 그 화장토로 만들어진 도자기
KR102480713B1 (ko) 천연 필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기반의 가죽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9538B1 (ko) 안료날염방식에 의한 바이오 세라믹 분말의 고착방법
CN106567196A (zh) 一种耐热抗菌改性无纺布材料
KR100761433B1 (ko) 자수정 및 음이온 발생성분이 함유된 바인더 코팅 조성물,그를 함유한 가공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섬유소재의 위생용품
US20220403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based on plant mucilage
KR20190061909A (ko) 옥한지 및 옥한지의 제조방법
JPS61192514A (ja) 装飾ボ−ドの製造方法
KR100690163B1 (ko) 기능성 세라믹 스톤 및 이 세라믹 스톤을 결합하여 제조된 기능성 주얼리
KR200264310Y1 (ko) 유연성 있는 자개층을 포함하는 직물 복합체
KR20030032416A (ko) 유연성 있는 자개층을 포함하는 직물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20240081559A (ko) 천연재료와 몰드를 활용한 폐가죽 성형방법
KR20240053932A (ko) 의류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