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574A -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574A
KR20190124574A KR1020180048711A KR20180048711A KR20190124574A KR 20190124574 A KR20190124574 A KR 20190124574A KR 1020180048711 A KR1020180048711 A KR 1020180048711A KR 20180048711 A KR20180048711 A KR 20180048711A KR 20190124574 A KR20190124574 A KR 20190124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water
ratio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이인철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574A/ko
Publication of KR2019012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함유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내상부 부피에 1.618 : 1.000의 황금 비율을 적용하여 제조할 경우,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에멀젼 형성이 용이하고, 에멀젼의 성상과 사용감이 우수하며, 유화입자의 형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using golden ratio}
본 발명은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금비가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가 쓴 '원론' 중의 한 부분이다. 다음 글은 '원론'의 한 부분이다: 선분 ab를 선분 위의 점 s에서 둘로 나누어 전체의 길이와 긴 선분의 길이의 비가 긴 부분의 길이와 짧은 부분의 길이의 비와 같을 때 이 선분을 외중비로 나눈다. 상기 글에서 외중비가 바로 황금비를 의미한다. 유클리드는 황금비의 뜻을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주장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과정에 황금비를 이용하였으며, 황금비가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즉 무리수임을 밝혀냈다. 이 외중비라는 이름은 18세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었으며, 19세기에 우주 속 자연과 예술, 건축물 등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의 비밀이 바로 황금비 덕분이라고 주장한 사람이 나타났다. 바로 아돌프 자이싱으로, 그의 주장 이후 수학자, 과학자는 몰론, 생물학자, 예술가, 음악가, 역사가, 건축가, 심리학자, 심지어 신비주의자들까지 황금비가 절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의 기준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20세기에는 황금비를 기호(φ(Phi))로 간단히 나타내었으며, 황금비의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계산식 1]
(선분 전체의 길이):(긴 선분의 길이)=(긴 선분의 길이):(짧은 선분의 길이)
한편, 황금비는 오늘날 우리 실생활에 깊은 관련이 있으면서도, 중요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황금비는 자연, 건축, 유물, 예술, 책, 인체, 음악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왜 많은 사람들이 황금비가 편안하고 안정적이라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과학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황금비는 과학적 이론 위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감각이 발견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황금비는 수많은 사람이 두루 아름답다고 여겼던 비율이 수학을 만나 얻어진 결과물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8526호 (2013.04.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조성물 전체 부피 및 상기 내상부 부피가 1.618 : 1.000의 비율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내상부 부피에 1.618 : 1.000의 황금 비율을 적용하여 제조할 경우,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에멀젼 형성이 용이하고, 에멀젼의 성상과 사용감이 우수하며, 유화입자의 형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황금 비율이 적용된 2층 타입 에센스의 유상과 수상의 분할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황금 비율이 적용된 에멀젼의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황금 비율이 적용된 에멀젼의 외상부 및 내상부를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 황금 비율이 적용된 크림 및 (B) 황금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의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황금 비율 또는 황금 분할은 어떤 두 수의 비율이 그 합과 두 수중 큰 수의 비율과 같도록 하는 비율로, 근삿값이 약 1.618인 무리수이다. 황금 비율은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나누는 비율로 알려진 특정한 비율로, 자연, 건축, 유물, 예술, 책, 인체, 음악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황금 비율은 고대 피라미드나 파르테논 신전의 구도를 포함하여, 앵무조개, 나비, 물고기와 같은 자연 생물, 모나리자 얼굴의 비율이나 신체의 비율 등 다방면에 적용되어 온 바,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황금 비율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내상부 부피에 1.618 : 1.000의 황금 비율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에멀젼 형성이 용이하고, 에멀젼의 성상과 사용감이 우수하며, 유화입자의 형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조성물 전체 부피 및 상기 내상부 부피가 1.618 : 1.000의 비율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 보습제, 수 분상 점증제, 중화제, pH 조절제 및 수용성 피부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성 피부 활성성분은 알부틴(arbutin),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등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용성 피부 활성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왁스, 오일, 유 분산 점증제, 계면활성제, 유용성 비타민 및 유용성 피부 활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용성 피부 활성성분은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 extract),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레티놀(retinol),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용성 피부 활성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상부의 평균 입경은 0.01 내지 1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에센스, 크림, 로션, 스킨, 미스트, 선크림, 클렌저,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스킨, 토너, 로션, 에센스, 선 스크린,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 젤, 샴푸, 린스, 스프레이,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탤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탤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황금 비율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의 특성 분석
본 발명의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내상부(수상 성분 또는 유상 성분) 부피에 1.618 : 1.000의 황금 비율을 적용하였다.
하기 표 1과 같이, 1.618 : 1.000의 황금 비율을 이용하여 1.618 : 1.000 = 1.000 : 0.618 = 0.618 : 0.382 = ....로, (대)에 대한 (소) 비율을 순차적으로 계산하였으며, (소) 비율을 내상 비율로 간주하고, 부피(선 x 선 x 선)를 계산하여 황금 부피를 내상 부피로 간주하였다.
(대1) (소1) (대2) (소2) (소) 비율(%) 전체 부피(%) 황금 부피 비율(%)
내상 비율(%) 내상 부피 비율(%)
1.618 1.000 1.000 0.618 61.803 100.000 23.607
1.000 0.618 0.618 0.382 38.197 23.607 5.573
0.618 0.382 0.382 0.236 23.607 5.573 1.316
0.382 0.236 0.236 0.146 14.590 1.316 0.311
0.236 0.146 0.146 0.090 9.017 0.311 0.073
0.146 0.090 0.090 0.056 5.573 0.073 0.017
0.090 0.056 0.056 0.034 3.444 0.017 0.004
0.056 0.034 0.034 0.021 2.129
0.034 0.021 0.021 0.013 1.316
0.021 0.013 0.013 0.008 0.813
0.013 0.008 0.008 0.005 0.502
황금 비율(1.618 : 1.000 = 1.000 : 0.618)을 이용한 황금 부피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 : (대2) x (대2) x (대2) x 100 = 1.000 x 1.000 x 1.000 x 100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부피는 100)
[수학식 2]
내상부(1) 부피 : (소2) x (소2) x (소2) x 100 = 0.618 x 0.618 x 0.618 x 100 = 23.607
내상부(2) 부피 : (소2) x (소2) x (소2) x 100 = 0.382 x 0.382 x 0.382 x 100 = 5.573
내상부(3) 부피 : (소2) x (소2) x (소2) x 100 = 0.263 x 0.236 x 0.236 x 100 = 1.316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황금 부피로서 내상부(4) 부피, 내상부(5) 부피,...를 순차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황금 부피를 내상 부피로 간주하여 제품에 적용시킨 예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이다.
전체 부피(%) 황금 부피 비율(%) 제품 적용 (예)
내상 부피 비율(%)
100.000 23.607 크림류
23.607 5.573 로션류
5.573 1.316 에센스류
1.316 0.311 스킨류
0.311 0.073
0.073 0.017
0.017 0.004
도 1은 황금 비율이 적용된 2층 타입 에센스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에센스는 초임계 추출 식물수를 포함하며 피부 활성을 향상시키는 수분 에센스 및 초임계 추출 오일을 포함하며 피부 활성을 향상시키는 오일 에센스로 구성된다. 상기 2층 타입 에센스는 수상부(하)와 유상부(상)가 1.618 : 1.000 = 1.000 : 0.618 = 0.618 : 0.382(0.618 + 0.382 = 1.000)의 황금 분할선으로 분리되어 있다가 흔들어 사용한 후 정치 시, 다시 2층으로 분리되는 타입의 에센스이다.
수상 성분 및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중유형(O/W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함유하는 경우,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외상부에 유상 성분이 여러 개의 내상부(유화입자)로 구성되며, 2층 타입 에센스의 경우, 밑면의 면적이 동일하므로 수상부(하)와 유상부(상)의 0.618 : 0.382의 비율이 바로 부피 비율이 되고, 상기 부피 비율은 황금 부피 비율이 된다. 사용 시, 2층 타입 에센스를 흔들면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외상부에 유상 성분이 여러 개의 내상부를 형성하며, 정치 시 다시 수상부(하)와 유상부(상)로 분리된다.
2층 타입 에센스는 정치 시, 수상부와 유상부가 황금 비율을 나타내어 외관상 성상이 아름답고 싫증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고, 흔들어서 사용할 경우, 다량의 유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부드러움과 보습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1.618 : 1.000 = 1.000 : 0.618의 황금 비율을 부피 개념으로 환산하여 에멀젼 타입의 화장품에 적용한 것으로, 에멀젼의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1000 : 0.618의 황금 비율을 부피로 환산하면 13 : (0.618)3으로 1 : 0.236의 부피비로 표시되고,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100% : 23.6%의 값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전체 에멀젼 중 유상 성분(오일)을 포함하는 내상부 부피가 23.6%가 되도록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현미경으로 유화입자를 관찰한 결과, 유화 입자가 여러 개의 내상부를 형성하고, 내상부는 1 내지 4 ㎛의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황금 비율이 적용된 에멀젼의 외상부 및 내상부를 나타낸 것으로,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W 타입) 에멀젼의 경우, 내상부인 유상 성분(오일)이 황금 부피로서 내상 부피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화장품 제조 시, 황금 비율의 적용은 에멀젼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멀젼의 성상과 사용감이 우수하며, 유화입자의 형성 및 안정성을 유지시킨 반면,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멀젼 형성이 불리하며, 에멀젼의 성상과 사용감이 좋지 않고, 장시간 보관 시 유화 입자의 안정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 2: 황금 비율을 이용한 크림 제조 및 물성 평가
다음으로 황금 비율이 적용된 크림(내상부 비율 : 23.61%) (실시예)과 스쿠알란의 함량을 조절하여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내상부 비율 : 30.00%) (비교예)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후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단위(중량 %) 성 분 실시예 비교예
1 세테아릴알코올 1.5 1.5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2.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5 1.5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5 세틸옥타노에이트 5.0 5.0
6 스쿠알란 7.11 13.5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초산토코페롤 2.0 2.0
9 정제수 잔량 잔량
10 글리세린 5.0 5.0
1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2 산탄검 0.03 0.03
도 4는 (A) 황금 비율이 적용된 크림 및 (B)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의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나타낸 것으로, 사진 내 오른쪽 아래에 척도(10 ㎛)를 표시하였다. 도 4와 같이, 현미경을 이용한 유화입자의 관찰은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유화 상태를 관찰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Nikon 80i (Nikkon) 모델의 현미경을 이용하여 유화입자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A)를 참조하여 보면, 황금 비율이 적용된 크림의 유화입자는 조밀하고 매우 안정되게 유화된 반면,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의 유화입자는 크기가 척도보다 커서 10 ㎛ 이상의 크기를 나타내었고, 유화입자의 계면 상태로 보아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황금 비율을 이용하여 제조된 크림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황금 비율이 적용된 크림(실시예) 및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비교예)의 피부 보습감, 사용감, 탄력감, 피부상태 개선, 사용 후 느낌, 피부자극 효과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원대학교 화장품학과 숙련된 연구원(남: 15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피실험 대상의 얼굴을 깨끗하게 세안한 후, 얼굴 반쪽은 황금 비율이 적용된 에멀젼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나머지 얼굴 반쪽은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에멀젼을 균일하게 도포하였으며, 하루 2회씩 7일 동안 얼굴에 적용하였다. 이 때 느껴지는 효과가 우수할 경우에는 5점, 전혀 효과가 느껴지지 않을 경우에는 0점으로 하여 각각 6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보습감 4.5 3.5
사용감 4.7 3.5
탄력감 4.5 3.5
피부상태 개선 4.5 3.5
사용 후 느낌 4.0 3.5
피부자극 0 1
피부 맑아짐 4.5 4.0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알란의 함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황금 비율이 적용된 본 발명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에 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습감, 사용감, 탄력감, 피부상태 개선 및 사용 후 느낌 등이 황금 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크림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화장수
내상(유상) 부피: 0.31%
단위(중량 %) 성 분 제형예 1 비고
1 정제수 잔량
2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
3 부틸렌글라이콜 2.0
4 글리세린 1.0
5 피이지-1500 0.5
6 에탄올 8.0
7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1 오일상
8 초산토코페롤 0.21 오일상
제형예 2: 로션
내상(유상) 부피: 5.57%
단위(중량 %) 성 분 제형예 2 비고
1 세테아릴알코올 0.5 오일상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5 오일상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오일상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오일상
5 스쿠알란 1.27 오일상
6 아프리코드커넬오일 1.0 오일상
7 초산토코페롤 1.0 오일상
8 정제수 잔량
9 글리세린 5.0
10 카보머 0.1
11 산탄검 0.03
12 아르기닌 0.1
제형예 3: 크림
내상(유상) 부피: 23.61%
단위(중량 %) 성 분 제형예 3 비고
1 세테아릴알코올 1.5 오일상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오일상
3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오일상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오일상
5 세틸옥타노에이트 5.0 오일상
6 스쿠알란 7.11 오일상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오일상
8 초산토코페롤 2.0 오일상
9 정제수 잔량
10 글리세린 5.0
1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12 산탄검 0.03
제형예 4: 2층 타입 에센스
유상 높이: 38.2%, 수상 높이: 61.8%
단위(중량 %) 성 분 제형예 4 비고
1 트리카프릴린 29.2 오일상
2 스쿠알란 4.0 오일상
3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오일상
4 초산토코페롤 1.0 오일상
5 정제수 잔량
6 글리세린 3.0
7 산타검 1.0
8 구연산 0.1
9 구연산나트륨 0.1
10 에탄올 5.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내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타입) 구조의 에멀젼, 또는 내상부에 수상 성분을 포함하고, 외상부에 유상 성분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 구조의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조성물 전체 부피 및 상기 내상부 부피가 1.618 : 1.000의 비율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 보습제, 수 분상 점증제, 중화제, pH 조절제 및 수용성 피부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왁스, 오일, 유 분산 점증제, 계면활성제, 유용성 비타민 및 유용성 피부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부의 평균 입경은 0.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센스, 크림, 로션, 스킨, 미스트, 선크림, 클렌저,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48711A 2018-04-26 2018-04-26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11A KR20190124574A (ko) 2018-04-26 2018-04-26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11A KR20190124574A (ko) 2018-04-26 2018-04-26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574A true KR20190124574A (ko) 2019-11-05

Family

ID=6857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711A KR20190124574A (ko) 2018-04-26 2018-04-26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90B1 (ko) * 2023-03-15 202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526A (ko) 2011-10-10 2013-04-18 박준홍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526A (ko) 2011-10-10 2013-04-18 박준홍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490B1 (ko) * 2023-03-15 202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3467B1 (ja) 外用組成物
US20060088497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JP2019535783A (ja) トリュフ抽出物およびネオヘスペリジンジヒドロカルコンを含む組成物
US7763655B2 (en)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carnitine creatinate and methods for using
JP2774408B2 (ja) 皮膚の老化に対抗する化粧組成物
KR20180036232A (ko)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JPH0665049A (ja) 皮膚外用剤
US8753654B2 (en) Substantially anhydrous compositions for personal care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574A (ko)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6172269B2 (ja) 育毛剤組成物
KR102537397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5286835A (ja) 養毛化粧料
JP2023552814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3553098A (ja) スクロースエステル及び溶媒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H082772B2 (ja) 皮脂分泌促進剤
JP2001131047A (ja) アズキエキス含有化粧料組成物
KR102672909B1 (ko) 팔마로사 오일과 아로마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JP2000109420A (ja) 老化用の化粧料
JPH0415763B2 (ko)
JP6824750B2 (ja) 化粧料
JP3520936B2 (ja) 育毛剤
KR20200000918A (ko) 무기 게르마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912054A (zh) 皮肤屏障强化用组合物
US20090137497A1 (en) Active ingredient combinations of glucosyl glycerides and creatine and/or creatin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