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549A -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 Google Patents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549A
KR20190123549A KR1020180047386A KR20180047386A KR20190123549A KR 20190123549 A KR20190123549 A KR 20190123549A KR 1020180047386 A KR1020180047386 A KR 1020180047386A KR 20180047386 A KR20180047386 A KR 20180047386A KR 20190123549 A KR20190123549 A KR 2019012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urized
chute
preventing fence
rai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556B1 (ko
Inventor
손기성
양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65G2812/08

Landscapes

  • Chutes (AREA)

Abstract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는: 신축 슈트부; 와이어가 귄취되는 권취부; 신축 슈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권취부의 와이어 권취시에 상승되도록 와이어에 연결되는 파손방지 펜스; 권취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에 파손방지 펜스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피가압부; 및 피가압부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피가압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OF TRIPPER}
본 발명은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슈트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퍼 장치는 텔레스코픽 슈트를 통해 저장고에 원료를 적치한다. 텔레스코픽 슈트는 적치된 원료에 걸리지 않도록 원료의 적치 상태에 따라 승강된다. 텔레스코픽 슈트는 하강시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상승시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9244호(2013. 10. 31 공개, 발명의 명칭: 저장빈의 원료 장입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축 슈트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는: 신축 슈트부; 와이어가 귄취되는 권취부; 상기 신축 슈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의 상기 와이어 권취시에 상승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파손방지 펜스; 상기 권취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에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피가압부; 및 상기 피가압부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상기 피가압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대향되도록 지지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홀더; 및 상기 서포트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의 하강시 상기 서포트 홀더에 걸려 상기 이동로드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이동로드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이동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피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로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이동로드의 상승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감지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 스위치부의 고장시 상기 스토퍼를 감지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예비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 파손방지 펜스가 모든 피가압부 또는 일부의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지를 판단하여 신축 슈트부의 기울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 슈트부가 기울어진 상태로 신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축 슈트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축 슈트부의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서 신축 슈트부가 수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서 신축 슈트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는 신축 슈트부(110), 권취휠(125), 파손방지 펜스(130), 복수의 피가압부(140) 및 복수의 감지부(150)를 포함한다.
신축 슈트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된다. 신축 슈트부(110)는 상하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권취부(120)에는 와이어(126)가 권취된다. 권취부(120)는 구동부(121)와, 구동부(121)에 연결되는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에 설치되는 권취휠(125)을 포함한다. 구동부(121)는 모터부(121a)와, 모터부(121a)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캠리미트 스위치(121b)와, 모터부(121a)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부(121c)를 포함한다. 권취휠(125)은 회전축(123)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복수의 권취휠(125)은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측 둘레부를 따라 배열된다. 캠리미트 스위치(121b)가 모터부(121a)에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부(121a)가 회전됨에 따라 권취휠(125)이 회전되면서 와이어(126)를 권취하거나 풀어준다.
파손방지 펜스(130)는 신축 슈트부(1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권취부(120)의 와이어(126) 권취시 상승되도록 와이어(126)에 연결된다. 이때, 파손방지 펜스(130)는 신축 슈트부(110)의 하부 둘레를 둘러싸고, 신축 슈트부(110)의 토출구(미도시)를 개방한다. 파손방지 펜스(130)는 복수의 가로부재(131)와 세로부재(132)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파손방지 펜스(130)는 저장고에 적재된 원료가 신축 슈트부(110)의 하부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파손방지 펜스(130)는 신축 슈트부(110)의 하부를 보호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손방지 펜스(130)의 하측에는 저장고(미도시)에 적재된 원료(미도시)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높이 측정부(134)가 설치된다. 높이 측정부(134)는 제어부(1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설치된다. 높이 측정부(134)는 파손방지 펜스(130)의 하단부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34)에 적재된 원료가 감지되면, 신축 슈트부(110)의 하강이 정지되도록 구동부(121)의 구동이 정지된다.
복수의 피가압부(140)는 권취부(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승시 파손방지 펜스(13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피가압부(140)는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승시 파손방지 펜스(130)에 의해 가압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피가압부(14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피가압부(140)는 서포트 홀더(141), 이동로드(142) 및 스토퍼(143)를 포함한다. 피가압부(140)는 신축 슈트부(110)의 신축시 신축 슈트부(110)가 간섭되거나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축 슈트부(1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서포트 홀더(141)는 파손방지 펜스(130)에 대향되도록 지지대(10)에 설치된다. 서포트 홀더(141)는 원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홀더(141)의 하단부는 파손방지 펜스(130)가 가장 높게 상승되는 위치 근처에 위치된다.
이동로드(142)는 서포트 홀더(14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동로드(142)는 원형봉 또는 다각봉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로드(142)는 서포트 홀더(141)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동로드(142)는 서포트 홀더(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143)는 이동로드(142)의 하강시 서포트 홀더(141)에 걸려 이동로드(142)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이동로드(142)에 설치된다. 스토퍼(143)는 이동로드(142)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이동로드(14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스토퍼(143)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로드(142)가 일정 거리 하강되면, 스토퍼(143)는 서포트 홀더(141)의 상단에 걸려 이동로드(142)의 하강을 제한한다. 또한, 스토퍼(143)는 이동로드(142)의 상승시 해당 감지부(150)를 가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피가압부(140)는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승시 파손방지 펜스(130)에 의해 가압되도록 이동로드(14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피가압판(144)을 더 포함한다. 피가압판(144)은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이다. 피가압판(144)은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측 위치가 약간 변경되더라도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단이 접촉되도록 충분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가압판(144)은 신축 슈트부(110)의 신축시 신축 슈트부(110)에 의해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복수의 감지부(150)는 피가압부(140)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피가압부(14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감지부(150)는 제어부(16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모든 감지부(150)에 파손방지 펜스(130)가 감지되면, 제어부(160)에서는 신축 슈트부(110)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신축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일부의 피가압부(140)에만 파손방지 펜스(130)가 감지되면, 제어부(160)에서는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신축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신축된다고 판단되면, 구동부(1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60)는 알람이나 경광등과 같은 알림부(미도시)를 통해 신축 슈트부(110)의 기울어짐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처럼,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신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축 슈트부(110)가 원료에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슈트부(11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축 슈트부(110)의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지부(150)는 고정대(151) 및 감지 스위치부(153)를 포함한다.
고정대(151)는 이동로드(142)의 일측에 설치된다. 고정대(151)는 이동로드(142)와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대(151)의 높이는 서포트 홀더(141) 보다 높게 설치된다.
감지 스위치부(153)는 이동로드(142)의 상승시 스토퍼(143)에 의해 가압되도록 고정대(151)에 설치된다. 감지 스위치부(153)는 이동로드(142)의 연직상방에 배치된다. 검지 스위치부(153)로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제시한다. 스토퍼(143)가 감지 스위치부(153)를 가압하면, 감지 스위치부(153)는 제어부(160)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60)는 이동로드(142)가 상승되었다고 판단한다.
감지부(150)는 감지 스위치부(153)의 고장시 스토퍼(143)를 감지하도록 고정대(151)에 설치되는 예비 스위치부(155)를 더 포함한다. 예비 스위치부(155)로는 리미트 스위치를 제시한다. 예비 스위치부(155)는 감지 스위치부(153)의 상측에 감지 스위치부(153)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비 스위치부(155)가 감지 스위치부(153)의 상측에 설치되므로, 감지 스위치부(153)의 고장시 예비 스위치부(155)가 파손방지 펜스(130)의 상승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가 신축 슈트부(110)의 기울어짐을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서 신축 슈트부가 수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에서 신축 슈트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21)가 구동됨에 따라 신축 슈트부(110)의 단부가 상승된다. 이때, 캠리미트 스위치(121b)가 모터부(121a)에 전원을 공급하고, 모터부(121a)가 구동됨에 따라 권취휠(125)이 회전되면서 와이어(126)를 권취한다. 또한, 엔코더부(121c)는 모터부(121a)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제어부(160)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신축 슈트부(110)의 단부가 최대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모터부(121a)에 전원을 공급한다.
와이어(126)가 권취됨에 따라 신축 슈트부(110)의 길이가 축소된다. 이때, 복수의 와이어(126)가 파손방지 펜스(130)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와이어(126)가 권취됨에 따라 파손방지 펜스(130)가 상승된다.
파손방지 펜스(130)가 복수의 피가압부(140)의 피가압판(144)을 가압하고, 피가압판(144)이 가압됨에 따라 이동로드(142)가 상승된다. 이동로드(142)의 단부에 배치된 스토퍼(143)가 감지 스위치부(153)를 가압하면, 감지 스위치부(153)는 가압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때, 복수의 와이어(126)의 권취 속도가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 파손방지 펜스(1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어부(160)는 모든 피가압부(140)의 감지 스위치부(153)에서 가압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모든 피가압부(140)의 감지 스위치부(153)에서 가압 신호가 수신된 경우,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접혔다고 판단된다. 이어, 제어부(160)는 모터부(121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160)에서는 일부 피가압부(140)의 감지 스위치부(153)에서 가압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은 경우, 제어부(160)는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접혔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알림부를 통해 신축 슈트부(110)의 이상 작동을 알려주고 신축 슈트부(110)에 원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퍼의 구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신축 슈트부(110)가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됨에 따라 신축 슈트부(110)에 원료가 충돌되어 신축 슈트부(11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슈트부(110)의 유지보수 시간을 감소시키고, 트리퍼의 가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대 110: 신축 슈트부
120: 권취부 121: 구동부
121a: 모터부 121b: 캠리미트 스위치
121c: 엔코더부 123: 회전축
125: 권취휠 126: 와이어
130: 파손방지 펜스 131: 가로부재
132: 세로부재 134: 높이 측정부
140: 피가압부 141: 서포트 홀더
142: 이동로드 143: 스토퍼
144: 피가압판 150: 감지부
151: 고정대 153: 감지 스위치부
155: 예비 스위치부 160: 제어부

Claims (5)

  1. 신축 슈트부;
    와이어가 귄취되는 권취부;
    상기 신축 슈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의 상기 와이어 권취시에 상승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파손방지 펜스;
    상기 권취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에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피가압부; 및
    상기 피가압부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상기 피가압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대향되도록 지지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홀더; 및
    상기 서포트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로드; 및
    상기 이동로드의 하강시 상기 서포트 홀더에 걸려 상기 이동로드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이동로드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파손방지 펜스의 상승시 상기 파손방지 펜스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이동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피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로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이동로드의 상승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감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 스위치부의 고장시 상기 스토퍼를 감지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예비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KR1020180047386A 2018-04-24 2018-04-24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KR10204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86A KR102043556B1 (ko) 2018-04-24 2018-04-24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86A KR102043556B1 (ko) 2018-04-24 2018-04-24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49A true KR20190123549A (ko) 2019-11-01
KR102043556B1 KR102043556B1 (ko) 2019-11-11

Family

ID=6853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86A KR102043556B1 (ko) 2018-04-24 2018-04-24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230B1 (ko) 2020-11-20 2023-06-30 두텍 주식회사 석탄을 윈드로 방식으로 쌓는 트리퍼용 슈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811U (ja) * 1984-06-07 1985-12-27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起伏継手
JP2002128464A (ja) * 2000-10-27 2002-05-09 Mitsubishi Heavy Ind Ltd 着床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クレーン
JP2005104696A (ja) * 2003-10-01 2005-04-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輸送粉粒体積込装置
KR20110084566A (ko) * 2010-01-18 2011-07-26 장영태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811U (ja) * 1984-06-07 1985-12-27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起伏継手
JP2002128464A (ja) * 2000-10-27 2002-05-09 Mitsubishi Heavy Ind Ltd 着床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クレーン
JP2005104696A (ja) * 2003-10-01 2005-04-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輸送粉粒体積込装置
KR20110084566A (ko) * 2010-01-18 2011-07-26 장영태 컨베이어 배출시스템에서의 환경보호용 자동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556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07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lifting system
US9834046B2 (en) Tyre-changing machine
KR19990008126A (ko) 타이어비드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347937B (zh) 一种卸船机的链斗取料提升机构
KR102043556B1 (ko) 트리퍼의 원료장입장치
KR100938218B1 (ko)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CN107583756A (zh) 一种惯性圆锥破碎机自动测料装置
CN108545512A (zh) 一种无纺布自动卷绕卸料装置
CN113245733B (zh) 一种塔机底座的自动化焊接设备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KR101604795B1 (ko) 와이어 권취 장치
CN206399321U (zh) 一种载带定位孔检测机
KR101339936B1 (ko) 무대장치
CN105565204A (zh) 一种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90062328A (ko) 유압 리프트 동조 장치
KR101517568B1 (ko) 무대설비
EP1958877A1 (en) High-speed baling machine
CN107702040A (zh) 一种太阳能led路灯
KR10206533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판재 절단장치
KR100797935B1 (ko) 수평이탈방지가 가능한 카리프트
CN106672826A (zh) 一种塔机自顶升安全控制系统及控制方法
BR102017005107A2 (pt) Process for calibrating the loading force of a breaking element of a bending opener and fardening opener
KR20090116029A (ko) 카고크레인용 중량감지장치
CN103145065B (zh) 移动式自动调平液压举升机组
CN107585686B (zh) 吨包进料吊装装置的升降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