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395A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395A
KR20190123395A KR1020180047046A KR20180047046A KR20190123395A KR 20190123395 A KR20190123395 A KR 20190123395A KR 1020180047046 A KR1020180047046 A KR 1020180047046A KR 20180047046 A KR20180047046 A KR 20180047046A KR 20190123395 A KR20190123395 A KR 2019012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tor
bellows
turned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988B1 (ko
Inventor
조기철
강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9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조와 세탁조 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에 세탁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또는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모터와 연결되어, 조작위치를 통해 클러치 또는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조작부재, 모터와 연결되어, 조작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스위칭 캠, 스위칭 캠의 회전에 따라 접점이 on/off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치의 접점이 on/off될 시 이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경과 시간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세탁기의 전원이 켜졌을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벨로우즈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EPROM에 벨로우즈가 밀폐되어있지 않다고 기록된 경우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n인 경우 벨로우즈의 밀폐 과정을 수행하고, 스위치가 off인 경우 벨로우즈의 개방 과정 및 밀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벨로우즈가 밀폐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 작용, 그리고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조 내의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밸브와, 세탁조 또는/및 펄세이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고, 배수밸브 또는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배수 모터 또는 클러치 모터가 필요하다.
또한 세탁조 또는/및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는데, 최근에는 모터와 회전축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력을 곧바로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다만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경우 모터 자체가 부피가 커서 취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상기 클러치 모터와 배수 모터를 각각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AC모터를 사용하였는데, AC모터는 DC모터와 달리 피시비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수분에 의한 접점 단락으로 인한 오동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지역별 정격전압에 따른 다른 모터 정격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DC모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DC모터의 사용을 통해 정격전압이 통일되어 전장품의 공용화를 이루고, 오감지 발생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모터 어셈블리의 소형화를 도모하였다.
한편, AC모터의 경우 펄스 카운트를 통하여 모터를 제어하고, 세탁기의 전원이 켜졌을 때 스위칭 캠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의 접점 여부에 따라 배수 벨로우즈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DC모터의 경우, 전압변동 및 외부에서 전달되는 부하로 모터의 속도가 달라지는 현상이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의 출력축에 있는 스위칭 캠의 위치가 달라지는 산포가 발생하므로, AC모터에서 이용하는 모터의 제어방법과 세탁기의 전원이 켜짐에 따른 벨로우즈의 개폐여부 확인 방법은 DC모터에서 적용하기 어렵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배수 및 클러치 모터의 동작 감지 알고리즘에 있어서, 모터로 인가되는 전압의 산포와, 외부의 부하조건 변동에 따른 모터의 동작 속도 변화에 의한 스위칭 캠의 위치 산포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세탁기의 전원이 다시 켜졌을 때 배수모터를 통한 벨로우즈의 초기 위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조와 세탁조 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에 세탁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또는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모터와 연결되어, 조작위치를 통해 클러치 또는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조작부재, 모터와 연결되어, 조작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스위칭 캠, 스위칭 캠의 회전에 따라 접점이 on/off 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치의 접점이 on/off될 시 이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경과 시간으로 모터를 제어한다.
모터 어셈블리가 벨로우즈를 제어하고,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모터는 정지할 수 있다.
모터의 정지시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벨로우즈에 의해 배수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가 클러치를 제어하고,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모터는 정지할 수 있다.
스위치가 on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모터는 정지하고,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클러치에 의해 펄세이터만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치가 off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모터는 정지하고,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클러치에 의해 펄세이터와 세탁조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칭 캠은 스위치가 접할 수 있도록 스위칭 캠의 외주면이 돌출되어 있는 비 커팅구간, 커팅에 의해 그루브가 형성된 커팅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비 커팅구간에 위치할 경우 스위치는 off되고, 스위치가 커팅구간에 위치할 경우 스위치는 on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벨로우즈,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모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회전을 통해 스위치의 on/off를 결정하는 스위칭 캠을 포함하고,
세탁기의 전원이 켜졌을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벨로우즈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EPROM에 벨로우즈가 밀폐되어있지 않다고 기록된 경우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n인 경우 벨로우즈의 밀폐 과정을 수행하고, 스위치가 off인 경우 벨로우즈의 개방 과정 및 밀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벨로우즈가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개방 과정은, 모터가 동작하고, 동작시간은 초기화 되는 단계, 스위치가 off인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시간이 초기화되고, 스위칭 캠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off에서 on으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스위치가 on될 시 감지시간 측정이 시작되고, 측정된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모터가 정지되고, 벨로우즈는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off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n이고, 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ff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on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고,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모터를 곧바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 과정은, 모터가 동작하고, 동작시간은 초기화 되는 단계, 스위치가 on인지 판단하는 단계, 동작시간이 초기화되고, 스위칭 캠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on에서 off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스위치가 off될 시 감지시간 측정이 시작되고, 측정된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모터가 정지되고, 벨로우즈는 밀폐되며, EEPROM에 벨로우즈의 밀폐 내용이 기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on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ff이고, 스위치가 off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n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가 off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고, 스위치가 on인 경우, 모터를 곧바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배수장치 및 클러치의 동작 위치를 펄스가 아닌 스위치의 접점 및 경과 시간으로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캠의 회전위치 감지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영구기억장치인 EEPROM을 활용하여, 전원이 켜졌을 때, EEPROM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초기 위치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벨로우즈의 개폐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 및 위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조 하부에 모터 어셈블리가 클러치 및 배수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모터 어셈블리는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모터 어셈블리의 커버(103)를 벗기긴 후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가 블록도로서 표현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접점이 off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접점이 on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전원을 켠 경우 배수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배수장치의 벨로우즈가 개방될 경우의 모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배수장치의 벨로우즈가 밀폐될 경우의 모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조작부재 및 스위칭 캠의 조작위치에 따른 클러치 구동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방향과 관련된 용어, 예를 들면, 상, 하측, 좌, 우측, 전, 후방,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배치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방향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 및 위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세탁조 하부에 모터 어셈블리(A)가 클러치 및 배수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저수조(1)와, 저수조 내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2)와, 세탁조(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3)를 포함한다. 회전축으로서 펄세이터(3)에 세탁축(310)이 직결되고, 세탁조(2)에 탈수축(320)이 직결된다.
저수조(1)의 하측에 구동모터(300)가 설치되어, 세탁축(310)이 구동모터(300)에 연결되고, 탈수축(320)은 구동모터(300)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탈수축(320)과 구동모터(300)를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를 차단하기 위하여 클러치(C)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00)가 작동되면 세탁축(310)이 회전되어 펄세이터(3)가 회전되고, 탈수축(320)은 클러치(C)의 작동에 의해 회전여부가 결정되며, 세탁조(2)가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
탈수행정이 수행될 경우, 저수조(1)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장치(200)가 저수조(1)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장치(200)는 저수조(1)에 설치된 연결호스(203)와, 연결호스(203)에 연결된 배수호스(202)로 이루어진 배수통로와,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배수밸브(201)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C) 또는 상기 배수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모터 어셈블리(A)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A)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20)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배수장치(200) 또는 클러치(C)를 제어하는 조작부재(100)를 포함한다.
이렇게 상기 모터 어셈블리(A)는 배수장치(200)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고, 클러치(C)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A')하여 전장품의 일원화를 통한 사용자의 서비스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은 모터 어셈블리(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모터 어셈블리(A)의 커버(103)를 벗기긴 후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가 블록도로서 표현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모터(120)는 DC 모터를 사용한다. 이하 기존의 AC 모터의 사용과 달리 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가질 수 있는 장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 AC 모터의 경우에는, 특성상 지역별로 상이한 정격전압에 대하여 세탁기의 정격별로 다른 모터(110v 또는 220v 등)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정격 전압을 통합하고 하나의 부품을 통해 모든 지역에 대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장품을 변경하여 제품을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없어지는 바, 상기와 같은 전압 표준화를 통한 전장품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AC모터의 경우에는 PCB 부에 모터의 on/off를 위한 릴레이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릴레이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휴즈, 배선, 릴레이, 부하, 스위치(111) 등의 회로가 구성되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릴레이 회로 대신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PCB 사용면적을 감소시키고 가격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AC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위치(111)가 off된 경우에도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기구적인 특성상 주변의 수분에 의해 스위치(111)가 단락이 되어 모드가 오작동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11) 상의 수분에 의하여 적게는 수kΩ 에서 많게는 수십kΩ 까지 저항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DC 모터의 경우에는 수분에 의하여 단락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스위칭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모터 어셈블리(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A)는, 케이싱에 내장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20)와,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30)와, 상기 구동기어(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기어(190)와, 상기 구동기어(130)와 상기 종동기어(19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변속기어(140, 150, 160, 170, 180)와, 상기 종동기어(190)에 의하여 소정의 제어기능이 수행되도록 작동되는 조작부재(1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 변속기어(140, 150, 160, 170, 180)는 각각 상측기어(140a)와 하측기어(140b)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변속기어(140)는 제1 축(104)에, 제2,4 변속기어 및 종동기어(150, 170, 190)는 제2 축(105)에 설치되며, 제3, 5 변속기어(160, 180)는 제3 축(106)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변속기어 및 종동기어(140, 150, 160, 170, 180, 190)를 설치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축(104, 105, 106)은 미들 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변속기어(140)는 제1 변속 상측기어(140a) 및 제1 변속 하측기어(140b)로 형성되어 제1 축(104)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제2 변속기어(150)는 제2 변속 상측기어(150a) 및 제2 변속 하측기어(150b)로 형성되고 제4 변속기어(170)는 제4 변속 상측기어(170a) 및 제4 변속 하측기어(170b)로 형성되어 종동기어(190)와 함께 제2 축(105)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제3 변속기어(160)는 제3 변속 상측기어(160a) 및 제3 변속 하측기어(160b)로 형성되고, 제5 변속기어(180)는 제5 변속 상측기어(180a) 및 제5 변속 하측기어(180b)로 형성되어 제3 축(106)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하, 상기 기어들의 연결상태를 설명한다.
구동기어(130)는 웜기어로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30)는 제1 변속 기어(140)와 90도 각도로 맞물리며 구비되므로, 평기어만 설치되었을 때에 비하여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웜기어는 다른 기어에 비해 보다 큰 기어비를 얻을 수 있어서 큰 기어비를 필요로 하는 본 발명에 적합하다. 그리고 웜기어는 접촉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다른 기어에 비해 소음이나 진동이 매우 적으며, 본 발명과 같이 윔기어 치면의 진행각이 적을 경우에는 웜기어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역회전 방지가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배수 및 클러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기어(130)는 제1 변속 상측기어(140a)와 맞물리고, 제1 변속 하측기어(140b)는 제2 변속 하측기어(150b), 제2 변속 상측기어(150a)는 제3 변속 하측기어(160b), 제3 변속 상측기어(160a)는 제4 변속 하측기어(170b), 제4 변속 상측기어(170a)는 제5 변속 하측기어(180b), 제5 변속 상측기어(180a)는 종동기어(190)와 각각 맞물린다.
상기에서 제1 변속기어의 상측기어(140a)는 하측기어(140b) 보다, 제2 내지 5 변속기어의 각각의 하측기어(150b, 160b, 170b, 180b)는 각각의 상측기어(150a, 160a, 170a, 180a) 보다 기어의 반경과 기어의 수가 많게 형성되어 변속기능을 달성한다.
한편, 구동기어(130)를 제외한 제1 내지 5 변속기어 및 종동기어(140, 150, 160, 170, 180, 190)는 각각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동기어(190)는 종동기어의 상측에서 종동기어와 직결되어 스위치(111)의 on/off를 결정하는 스위칭 캠(110)이 구비되고, 스위칭 캠(110)의 상측에는 마찬가지로 스위칭 캠(110)과 함께 직결되어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조작부재(1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종동기어(190), 스위칭 캠(110) 및 조작부재(100)는 함께 회전하고, 회전을 통하여 조작부재(100)의 회전을 통한 배수장치의 제어 및 클러치의 조작을 통한 세탁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캠(110)은 종동기어(190)의 상측에 형성된 돌출 원통부(191)에 외삽되어, 종동기어(190)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돌출 원통부(191)는 소정의 간극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편으로 형성되고, 스위칭 캠(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간극에 삽입되는 내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칭 캠(110)의 외주면에는 커팅되지 않은 구간과, 반경 내측방향으로 들어가도록 커팅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스위칭 캠(110)의 외주면 중 커팅되지 않은 구간을 비커팅구간(110a), 커팅된 구간을 커팅구간(110b)이라 명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구간(110b)은 165도±5도 정도의 중심각을 가지고, 기존 원주면에 비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팅구간(110b)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각도 및 형상을 통하여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 캠(110)을 통하여 작동되는 스위치(111)는 고정단자(113)와 가동단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자(113)는 스위칭 캠(110)의 외주면과 항상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가동단자(112)는 비 커팅구간(110a)에서는 고정단자(113)와 접촉되어 스위치(111)가 on되고 커팅구간(110b)에서는 스위칭 캠(110)의 반경 내측방향으로 하강되어 고정단자(113)와 분리됨으로써 스위치(111)가 off된다. 스위치(111)가 on되면 모터(120)가 회전하며, 스위치(111)가 off되면 모터(120)가 정지하게 된다.
조작부재(100)는 회전할 수 있다. 조작부재(100)는 돌출 원통부(19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측에 클러치 레버(306) 또는 배수레버(212)와 연결되는 돌기(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기(101)는 조작부재(100)의 일측에 자리잡고 있다. 조작부재(100)의 회전에 따라 돌기(101)의 위치가 바뀌고, 이에 따라 조작부재(100)와 연결된 레버가 당겨지거나 밀려져서 레버와 연결된 세탁조 하부의 클러치가 작동할 수 있고, 배수장치의 벨로우즈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기어들의 작동 과정 및 기어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20)가 회전하면, 모터(120)와 결합된 구동기어(130)가 회전하고, 구동기어(130)와 연결된 변속기어들이 제1,2,3,4,5 변속기어, 종동기어 순(140, 150, 160, 170, 180, 190)으로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모터(12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종동기어까지 변속기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종동기어(190)는 스위칭 캠(110) 및 레버와 결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력이 스위칭 캠(110) 및 레버에 전달되어 클러치 및 배수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100)와 연결된 레버를 통하여 클러치 또는 배수장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클러치는 세탁조 하부에 위치한 수개의 장치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를 한꺼번에 제어하기 위하여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배수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벨로우즈 및 그와 연결된 스프링 일체를 제어해야 하는바, 이 또한 제어에 상당한 힘을 소비해야 한다.
실험에 따르면, 클러치 및 배수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100)의 회전 rpm은 16rpm 이하의 속도 그리고 3.5kgf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어들의 최적 설계가 필요하다.
클러치 및 배수장치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기어들의 기어비는 345:1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부하에서 2400rpm, 3.5kgf의 힘을 발생시킬 경우 2100rpm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이용할 경우, 조작부재(100)의 회전 속도는 6~7rpm이며, 7.8kgf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기어를 5개 사용하되 웜 기어는 마찬가지로 하나를 사용하며, 상기 기어들의 기어비는 253:1의 기어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부하에서 2100rpm, 3.5kgf의 힘을 발생시킬 경우 1900rpm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기어 트레인의 기어비와 모터의 스펙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16rpm 이하의 속도 및 3.5kgf이상의 힘을 낼 수 있는 기어비를 가질 수 있으면 족하다. 이때 기어비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200:1에서 350:1의 범위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11)의 접점이 on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변경되는 위치감지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AC 모터를 사용한 경우, 가동단자가 비 커팅구간에 위치하여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와 접할 경우에 전압이 인가되며, 이를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5V와 0V의 사각파로 변형시켜 사각파의 펄스수를 통하여 모터의 on/off를 제어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이 A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DC 모터를 사용하는데, DC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압이 변동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부하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모터의 출력이 일어나는 스위칭 캠(110)의 회전 위치가 산포되어 정확한 모터의 제어를 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칭 캠(110)을 통한 스위치(111) 접점의 on/off 를 감지하여 펄스를 통하지 않고 구조적인 접촉 여부에 의해 모터(120)의 on/off가 결정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캠(110)이 회전하여 스위치(111)의 가동단자(112)가 커팅구간(110a)에 위치하여 가동단자(112)와 고정단자(113)가 떨어지면 모터(120)가 정지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캠(110)이 회전하여 스위치(111)의 가동단자(112)가 비 커팅구간(110b)에 위치하여 가동단자(112)와 고정단자(113)가 떨어지면 모터(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가 배수장치에 사용될 경우, 스위치(111)가 on될 경우엔 0.2초 후에 모터(120)가 정지하고, 스위치(111)가 off될 경우에도 off 후 0.2초 후에 모터(120)가 정지하도록 하여 모터(120) 정지시의 조작부재(100)의 위치를 통하여 배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가 클러치에 사용될 경우, 마찬가지로 스위치(111)가 on되고 0.2초 후에 모터(120)가 정지하고, 스위치(111)가 off될 경우에도 off후 0.2초 후에 모터(120)가 정지하도록 하여 모터 정지시의 조작부재(100)의 위치를 통하여 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배수모터의 위치감지 알고리즘 변경에 따른 EEPROM 적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서, 전기 공급이 끊긴 상태에서도 장기간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특정한 데이터를 기억하여, 전원이 다시 공급되었을 때 기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단 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전원이 다시 켜졌을 때 배수 벨로우즈가 열려있는 상태인지 닫혀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배수모터 초기화 알고리즘으로 연결된다.
기존 AC 모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켰을 때 벨로우즈가 닫혀있는 상태인지 열려있는 상태인지 접점의 상태를 확인하여 판단하였다. 따라서 배수모터 내부의 접점이 떨어져 있으면 벨로우즈가 닫혀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접점이 붙어 있으면 벨로우즈가 열린 상태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DC 모터를 사용하면서, 접점의 상태만으로는 벨로우즈가 닫혀있는 상태인지 열려있는 상태인지 판단이 불가능하다. 이는 AC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팅구간이 좁아서 스위치의 가동단자가 커팅구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한정되어 있어 벨로우즈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기 용이하지만, DC 모터의 경우에는 스위칭 캠의 상당 부분이 커팅구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팅구간 및 비 커팅구간의 특정 지점에 위치할 경우 벨로우즈가 어느정도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모터 위치감지 알고리즘은, 벨로우즈가 닫히는 행정이 완료되면 EEPROM에 1을 기록하여, 세탁기의 전원을 켰을 때 EEPROM이 1이면 벨로우즈가 닫혀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EEPROM이 0이면 벨로우즈가 열려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벨로우즈를 닫는 행정을 수행한다.
도 7은 전원을 켠 경우 배수장치의 초기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배수장치의 벨로우즈의 초기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을 켰을 때 배수장치의 벨로우즈의 초기상태는 밀폐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후 세탁 행정을 거치면서 배수 행정이 필요할 경우에 벨로우즈가 개방될 수 있다.
전원을 켰을 때(S1) 벨로우즈의 개방 또는 밀폐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먼저 EEPROM이 0인지 판단한다(S2). 이때 EEPROM이 1이면 벨로우즈가 밀페되어 있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절차 없이 초기화 과정은 종료 된다(S7).
다만 EEPROM이 0일때에는, 스위치(111)의 가동단자(112)와 고정단자(113)의 접점 여부를 판단(S3)하는데, 접점이 on일 경우에는 벨로우즈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후술할 벨로우즈 밀폐 알고리즘을 통해 벨로우즈를 폐쇄시킨 후 초기화 과정을 완료(S4)한다.
또한 접점이 off일 경우에는 벨로우즈가 개방되어 있는지 밀폐되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후술할 개방 알고리즘을 통하여 벨로우즈를 개방시킨 후(S5) 다시 밀폐 알고리즘을 통하여 벨로우즈를 밀폐(S6) 시킴으로서 초기화 과정을 완료한다.
도 8은 배수장치의 벨로우즈가 개방될 경우의 모터 어셈블리(A)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배수장치의 벨로우즈의 개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수 벨로우즈가 개방을 하기 위하여, 먼저 EEPROM값이 0으로 기록되고, 재시도 횟수 값도 0으로 기록된다(S9). 그 후 배수모터(120)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때 동작 시간은 초기화 되어 배수모터(120)가 동작하는 순간부터 동작 시간이 경과되기 시작한다(S10).
이후 제어부는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 되어있는지 판단(S11)하게 되는데, 접점이 off 이면 동작 시간을 초기화(S13) 하여 다시 동작 시간을 카운트 하고, 접점이 on 이면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하였는지 판단(S12)하여 7초를 경과하였다면 배수모터(120)를 정지(S21)시키고 8초가 경과(S22)하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23)시킨다.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되어 동작 시간이 초기화된 후, 배수모터(120)의 회전을 통해 스위치(111)의 접점이 on 되어있는지 판단(S14)하게 되는데, 접점이 on이면 감지 시간을 초기화(S16)하여 감지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며, 접점이 off이면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S15)하여 7초를 경과하였다면 배수모터(120)를 정지(S21)시키고 8초가 경과(S22)하였다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23)시킨다.
감지 시간 초기화(S16) 후 감지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감지 시간이 0.2초가 지났는지 판단(S17)하게 되며, 감지 시간이 0.2초가 경과되지 않았을 때 스위치 접점의 off 여부를 판단(S18)하여 스위치 접점이 off이면 배수모터(120)를 정지(S21)시키며, 스위치 접점이 on이라고 해도 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7초가 경과(S19)하였다면 배수모터를 정지(S21)시킨다. 또한 배수모터가 정지된 후 8초가 경과하였다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22)시킨다.
이때 배수모터(120)를 정지시키는 이유는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캠(110)의 회전 또는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인해 동작하지 않거나 접점이 오감지되어 스위치(111)가 on인 경우에도 off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정에서 추가되는 재시도 횟수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러로 판단(S25)하고, 4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배수모터(120)를 재동작 시키고 동작 시간을 초기화 시켜(S10) 개방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모터(120)의 동작을 통한 스위칭 캠(110)의 회전에 의해 접접off, 접점 on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접접이 on된 이후로부터 0.2초가 경과하게 되면 배수모터(120)는 정지하고, 동작시간 및 감지시간이 초기화 되며 벨로우즈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20).
도 9는 배수장치의 벨로우즈가 밀폐될 경우의 모터 어셈블리(A)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벨로우즈의 밀폐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수 벨로우즈가 밀폐되기 위하여, 먼저 재시도 횟수 값이 0으로 기록된다(S27). 그 후 배수모터(120)가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때 동작 시간은 초기화 되어 배수모터(120)가 동작하는 순간부터 동작 시간이 경과되기 시작한다(S28).
이후 제어부는 스위치(111)의 접점이 on 되어있는지 판단(S29)하게 되는데, 접점이 on 이면 동작 시간을 초기화(S31) 하여 다시 동작 시간을 카운트 하고, 접점이 off 이면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하였는지 판단(S30)하여 7초를 경과하였다면 배수모터(120)를 정지(S39)시키고 8초가 경과하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40)시킨다.
스위치(111)의 접점이 on되어 동작 시간이 초기화된 후, 배수모터(120)의 회전을 통해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 되어있는지 판단(S32)하게 되는데, 접점이 off이면 감지 시간을 초기화하여 감지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S34)하며, 접점이 on이면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S33)하여 7초를 경과하였다면 배수모터(120)를 정지(S39)시키고 8초가 경과하였다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40)시킨다.
감지 시간 초기화(S34) 후 감지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라, 감지 시간이 0.2초가 지났는지 판단(S35)하게 되며, 감지 시간이 0.2초가 경과되지 않았을 때 스위치 접점의 on 여부를 판단(S36)하여 스위치 접점이 on이면 배수모터(120)를 정지시키며, 스위치 접점이 off라고 해도 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7초가 경과(S37)하였다면 배수모터를 정지(S39)시킨다. 또한 배수모터가 정지된 후 8초가 경과하였다면 재시도 횟수를 추가(S40)시킨다.
이때 배수모터(120)를 정지시키는 이유는 개방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동작 시간이 7초를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캠(110)의 회전 또는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인해 동작하지 않거나 접점이 오감지되어 스위치(111)가 on인 경우에도 off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정에서 추가되는 재시도 횟수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러로 판단(S43)하고, 4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배수모터(120)를 재동작 시켜(S28) 개방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모터(120)의 동작을 통한 스위칭 캠(110)의 회전에 의해 접접on, 접점 off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접접이 off된 이후로부터 0.2초가 경과하게 되면 배수모터(120)는 정지하고, 동작시간 및 감지시간이 초기화 되며 EEPROM값은 1로 기록되고 벨로우즈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38).
도 10은 조작부재(100) 및 스위칭 캠(110)의 조작위치에 따른 클러치 구동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조작부재(100)의 조작위치에 따른 세탁조 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모터 어셈블리(A)를 이용하여, 배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지만 클러치 장치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터 어셈블리(A')가 포함하는 조작부재(1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세탁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세탁조 하부에 위치한 클러치의 제어를 통하여, 펄세이터만 회전하는 펄모드와, 펄세이터와 드럼이 함께 회전하는 통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통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에서는 스위치(111)의 접접이 off된 후 0.2초가 지난 다음에 클러치 모터(120)가 정지하며, 정지시 돌기(101)의 조작위치를 통해 돌기(101)와 연결된 클러치 레버가 세탁조 하부 방향으로 당겨져서 통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통모드에서 펄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에서는,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가 된 상태로 클러치 모터(1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가동단자(112)가 회전하는 스위칭 캠(110)의 그루브면을 타게 된다.
다음 펄모드가 수행되는 단계에서는, 스위치(111)의 접점이 off에서 on으로 바뀌고, 접점이 on된 후 0.2초가 지난 다음에 클러치 모터(120)가 정지하며, 정지시 돌기(101)의 조작위치를 통해 돌기(101)와 연결된 클러치 레버가 세탁조 하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져서 펄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펄모드에서 다시 통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에서는, 스위치(111)의 접점이 on된 상태로 클러치 모터(12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가동단자(112)가 스위칭 캠(110)의 비 커팅구간(110a)을 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칭 캠(110) 및 조작부재(100)의 회전을 통하여 통, 펄모드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하여야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저수조 2 : 세탁조
3 : 펄세이터 100 : 조작부재
101 : 돌기 102 : 케이스
103 : 커버 104 : 제1 축
105 : 제2 축 106 : 제3 축
110 : 스위칭 캠 110a : 비커팅구간
110b : 커팅구간 111 : 스위치
112 : 가동단자 113 ; 고정단자
120 ; 모터 130 : 구동기어
140 : 제1 변속기어 150 ; 제2 변속기어
160 : 제3 변속기어 170 : 제4 변속기어
180 : 제5 변속기어 190 : 종동기어
A, A': 모터 어셈블리

Claims (19)

  1. 세탁조와 세탁조 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펄세이터에 세탁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또는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조작위치를 통해 상기 클러치 또는 상기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조작부재;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스위칭 캠;
    상기 스위칭 캠의 회전에 따라 접점이 on/off 되는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접점이 on/off될 시 이를 감지하고, 감지에 따른 경과 시간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상기 벨로우즈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상기 모터는 정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정지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벨로우즈에 의해 상기 배수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고, 상기 스위치가 on 또는 off 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상기 모터는 정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n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상기 모터는 정지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클러치에 의해 상기 펄세이터만 회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ff되는 시점으로부터 0.2초 후 상기 모터는 정지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위치를 통하여 제어된 클러치에 의해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세탁조가 함께 회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캠은 상기 스위치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 캠의 외주면이 돌출되어 있는 비 커팅구간, 커팅에 의해 그루브가 형성된 커팅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비 커팅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위치는 off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커팅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위치는 on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벨로우즈;
    상기 벨로우즈를 제어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회전을 통해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결정하는 스위칭 캠; 을 포함하고,
    세탁기의 전원이 켜졌을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상기 벨로우즈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EEPROM에 상기 벨로우즈가 밀폐되어있지 않다고 기록된 경우 상기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 상기 벨로우즈의 밀폐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벨로우즈의 개방 과정 및 밀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벨로우즈가 밀폐되도록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과정은,
    상기 모터가 동작하고, 동작시간은 초기화 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off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시간이 초기화되고, 상기 스위칭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off에서 on으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on될 시 감지시간 측정을 시작하여, 상기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벨로우즈는 개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ff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on이고, 상기 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지 않았을 때, 상기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ff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과정은,
    상기 모터가 동작하고, 동작시간은 초기화 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on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시간이 초기화되고, 상기 스위칭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on에서 off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가 off될 시 감지시간 측정을 시작하여, 상기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벨로우즈는 밀폐되며, 상기 EEPROM에 상기 벨로우즈의 밀폐 내용이 기록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n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off이고, 상기 스위치가 off로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치가 on인 경우, 상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시간이 0.2초가 경과하지 않았을 때 상기 스위치의 on/off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ff인 경우, 동작시간이 7초가 초과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47046A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6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46A KR102467988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46A KR102467988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395A true KR20190123395A (ko) 2019-11-01
KR102467988B1 KR102467988B1 (ko) 2022-11-16

Family

ID=6853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46A KR102467988B1 (ko) 2018-04-24 2018-04-24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6675A (zh) * 2020-01-17 2021-07-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3595A (ja) * 2014-10-06 2016-05-12 株式会社亀屋工業所 クラッチ操作機構付き排水弁駆動ユニット
KR20170099292A (ko) * 2016-02-23 201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3595A (ja) * 2014-10-06 2016-05-12 株式会社亀屋工業所 クラッチ操作機構付き排水弁駆動ユニット
KR20170099292A (ko) * 2016-02-23 201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6675A (zh) * 2020-01-17 2021-07-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136675B (zh) * 2020-01-17 2024-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988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690B2 (ja) 洗濯機のクラッチ誤動作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US9163347B2 (en)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US2015012163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25930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100393997B1 (ko) 세탁기의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US20140236363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816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3395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6014204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3351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047957B1 (ko) 세탁기
JPH0523490A (ja) 洗たく機の排水制御装置
KR101327046B1 (ko) 부하 구동 장치 및 세탁기
KR102560463B1 (ko) 제어 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
KR20190123399A (ko) 제어 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
JP2009065994A (ja) 洗濯機
JP7460982B2 (ja) 洗濯機
JP2015077256A (ja) 洗濯機
CN105297332A (zh) 洗衣机
WO2018113770A1 (zh) 洗衣机
WO2015011863A1 (ja) 電気機器
CN102268803A (zh) 洗衣机的控制方法
KR20190072209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3891355B2 (ja) 排水弁開閉装置及びその排水弁開閉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20030078598A (ko) 일조식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