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605A -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605A
KR20190122605A KR1020190126168A KR20190126168A KR20190122605A KR 20190122605 A KR20190122605 A KR 20190122605A KR 1020190126168 A KR1020190126168 A KR 1020190126168A KR 20190126168 A KR20190126168 A KR 20190126168A KR 20190122605 A KR20190122605 A KR 2019012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as
soil
exhaust pipe
build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535B1 (ko
Inventor
김성길
Original Assignee
(주)닥터케어스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케어스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닥터케어스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12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5Extraction of vapours or gases using vacuum 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은,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를 포함하고, 토양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에는 빗물유입 방지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는 상기 배기 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 보다 길게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기 및 배기 파이프에는 수분 회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CUSTOMIZED SYSTEM FOR DISCHARGING RADON GAS IN SOIL CAPABL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AND RAIN INFLOW}
본 발명은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토양층 내의 토양가스 및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써, 토양 속의 라돈가스가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건물 벽면 또는 바닥의 크랙 혹은 인위적인 천공부를 통하여 실내공기 및 습기를 흡수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기 중의 라돈을 포함한 유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있어, 상기 라돈저감 시스템에서의 결로 및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시스템 상에서의 결로 및 빗물 등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 건물의 밀집화 및 복잡한 주거형태에 따라 실내공기의 질이 악화되어 만성감기, 기침, 가래, 코 자극, 호흡곤란, 호흡기 질환, 두통, 눈 자극 등과 같은 병적 증상들이 발생하는 병든 건물 증후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병든 건물 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 새집증후군과 토양층으로부터 유입되는 토양가스가 꼽히고 있다. 상기 새집증후군은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사용하는 건축자재나 벽지 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벤젠·톨루엔·클로로폼·아세톤·스타이렌·포름알데하이드 등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또 집을 지을 때 발생한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과 같은 오염물질도 있다.
토양가스 및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라돈은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무색, 무취, 무미의 수용성 방사성 가스로서, 원자량 219, 220과 222의 동위원소를 가지며, 이들은 각각 U-235, Th-232, U-222의 방사성 붕괴산물로서, 0족 기체 물질로 화학적으로는 반응성이 없으나, 공기 중 라돈원자는 사람의 호흡을 통해 흡입되면 일부가 폐에 남아 폴로늄, 비스무스, 납 등 반응성이 높은 금속원자로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민감한 폐 조직에 해로운 방사선을 방출하고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건강에 매우 유해한 라돈의 대부분은 건물 지반의 토양 또는 암석으로부터 기인한다. 토양층을 통과하여 올라온 라돈 또는 기타 오염 가스는 건물 하부에 계속적으로 축적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의 기압은 토양 내의 압력보다 낮은데 그로 인해 건물 하부의 압력은 건물의 바닥 또는 벽 등을 통해 라돈과 같은 유해 가스를 실내로 유입시킨다. 대부분의 라돈을 포함하는 토양 가스는 갈라진 벽 틈 사이 또는 기타 실내와 실외의 연결 통로 등을 통해 유입된다. 한번 유입된 라돈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실내에 계속 축적되어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라돈을 포함하는 토양가스에는 라돈가스 외에도 습기 등이 포함되어 있어, 여름철 및 겨울철 등 실내공기 혹은 토양 공기와 외기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 발생으로 곰팡이 및 세균증식 등의 문제와 토양 배기가스 시스템의 팬 등 전기 계통에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토양 가스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건물 내부의 유해물질을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새로운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1554288호(2015.09.14.)는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내부 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로서, 건물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하여 여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 개의 가지 관들을 통하여 여러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 흡기관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배기팬, 배기팬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건물의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관, 건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건물의 내부 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라돈의 농도를 검출하는 라돈 센서, 라돈 농도에 기초하여 배기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90840호(2016.01.27.)는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측벽부에 형성되는 외측벽체와 내측벽체 사이로 에너지가 수직 흐름을 이루며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건축물 측벽부에 횡으로 지그재그 흐름을 유도하는 구조를 이루고, 하절기에는 건축물의 저면 바닥부에 있는 냉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시원하게 하므로 에너지 절감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거나, 동절기에는 건축물 바닥면의 온열이 공급될 때 그 잉여 열을 측벽부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배관을 설치하여 측벽부에 형성된 지그재그 흐름을 따라 배출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고, 건축물의 측벽부 상부에는 배기휀이 설치되어 에너지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하는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 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건물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수하여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나, 배출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빗물과 결로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없어 상기 수분에 의한 곰팡이 및 세균증식 등의 문제와 토양 배기가스 시스템의 팬 등 전기 계통에 고장을 일으키는 현상을 해결할 수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4288호(2015.09.14.) 한국등록특허 제10-1590840호(2016.0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라돈을 포함하는 유해한 토양가스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토양 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은 토양 가스 외에도 건물 바닥층의 천공부 및 크랙을 따라 건물 실내공기를 바닥체 아래 방향으로 흡수하여 토양가스와 함께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물 실내공기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은 빗물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여, 파이프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치장소에 따라, 결로 발생의 원인이 되는 배출 파이프를 절단하여 결로발생을 줄이고, 함체 내부에 팬 등을 위치시키게 함으로써, 결로현상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고 이를 외기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으로서,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을 포함하고, 토양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배기 파이프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말단에는 빗물유입 방지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는 상기 배기 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 보다 길게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는, 상기 배기 파이프의 직경(a)과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의 비율 a:W 는 1:1.05 내지 1:3 으로 구성하고,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와 빗물유입 방지부 돌출부의 길이(L)의 비율 W:L 은 1:2 내지 1:10 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고 이를 외기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으로서,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과 배기파이프의 전부를 함체가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기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토양가스가 함체 내부공간으로 배출되어, 외기와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토양가스 배출영역과 함체 단열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함체 단열 영역에는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파이프 및 배기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며,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어 외기와 단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은 격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토양 가스 배출 영역으로까지 연장되어, 토양 가스는 토양 가스 배출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토양가스 배출 영역에는 토양가스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토양가스 토출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경감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흡기 파이프 및/또는 배기 파이프에는 수분을 회수하기 위한 수분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 회수부는, T 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토양가스의 흡입 및 배출과 동시에 건물의 실내 유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층의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천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 천공부는, 실내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바닥 천공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라돈을 포함하는 유해한 토양가스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건물 바닥체 아래에서 토양가스를 흡입함에 따라 건물 실내의 공기가 바닥층의 천공부 및 크랙을 따라 바닥체 아래로 흡수되어 토양가스와 함께 건물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건물 실내공기의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토양 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장소에 따라 맞춤형으로 빗물 유입 방지부를 구비한 토양 가스 배출 시스템 혹은 토양 가스 배출 파이프를 절단하고 함체를 이용하는 결로 방지 시스템 및 수분 회수구 등을 구비하여, 빗물 혹은 파이프내 결로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가스를 함체 내에서 배출되도록 하고, 함체 바깥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여 배기가스 배출에 의한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빗물방지 유입부가 구비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함체가 구비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천공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수분 회수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유입 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바닥 천공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서 배기 파이프의 설치 길이 및 함체 구비여부에 따라 결로수 발생 저감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두 도면 간의 차이점은 빗물방지 유입부(150) 또는 함체(170) 구비 여부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은 공통적으로,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을 천공하여 파이프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토양층 내의 라돈을 포함하는 토양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라돈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건물 벽면, 바닥의 크랙 또는 바닥 천공부(160, 도 8에 도시)을 통하여 건물 실내공기를 바닥체 아래로 흡수하여 토양가스와 함께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110)로부터 흡기된, 라돈을 포함하는 토양속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파이프(140)는 지면으로부터 건물에 인접하여 수직한 형태로 설치되며, 토양가스가 배출되는 배기 파이프의 개방된 개구부는 인접 지역에 건물이 협소하게 위치하지 않고, 인근 거주자 또는 거동자가 없는 지역이라면 위치에 제한 받지 않으나, 배기 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토양가스를 인근 거주자 또는 거동자들이 흡입할 우려가 있다면 배출된 가스가 대기 중으로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인접 건물들의 지붕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와 같이 인근 거주자 또는 거동자를 고려치 않아도 되는 경우로서, 배기 파이프를 지면으로부터 낮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창틀의 아랫면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 후, 상기 배기 파이프(140) 전체를 둘러싸도록 함체(170)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한 도시이다. 이때 함체(170)가 설치되는 위치는 되도록 사람의 통행이 없는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 2의 경우는 결로의 주원인이 되는 배기 파이프(140)를 절단하여 짧게 하고, 함체(170)를 이용하여 배기 파이프(140) 전체를 둘러쌈으로서 결로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도 2의 세부도면과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7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세부도면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함체(170)는 그 내부공간을 격벽(190)으로 분할하여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 파이프(120)의 및 배기 파이프(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 단열 영역(180) 및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으로 나누게 된다.
상기 함체 단열 영역(180)에는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 파이프(120)의 및 배기 파이프(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되며, 단열재를 충진하여 단열 영역(180)의 내부 공간이 외기와 단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함체 단열 영역(180)에 충진되는 단열재로는 폴리스티렌 폼, 우레탄 폼, 고무단열재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단열재 및 다공성 단열재, 섬유 단열재 등의 다양한 재질의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폼 및/또는 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단열영역에 있는 파이프 및 흡기 팬을 통과하는 토양 가스는 외기와의 온도 편차로 인한 결로 현상을 겪지 않게 된다.
상기 함체(170)의 격벽(190)에는 배기 파이프(140)가 관통되는 관통구(2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흡기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관통구(212)를 통하여 배기 파이프(140)의 말단은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으로 까지 연장된다. 상기 토양 가스 배출 영역(200)에서 위치하는 배기 파이프(140)의 말단으로부터는 토양 가스가 배출되며, 배출된 토양 가스는 배기영역의 하부면 등에 설치된 토양가스 토출구(220)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이 함체(170) 내에 형성됨으로써 배기 파이프(140)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깔끔한 외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2차 화재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배기 파이프(140)가 외부로 드러난 경우에는 배기 파이프에서 바로 외기로 토양가스가 토출되면서 토양 가스의 배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배기 파이프(140)에서 토출되는 토양 가스가 1차로 함체 내의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으로 토출되었다가 2차로 상기 토양가스 토출구(220)를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는 형식이므로 상기 토양가스의 배출 소음을 경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양 가스 배출영역 및 토양 가스 토출구(220)에는 소음 경감 장치를 더 둘 수 있다.
상기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으로 배출된 토양가스는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을 구성하는 함체의 벽면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의 함체 벽면은 외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온도가 외기와 같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토양가스 배출 영역(200)의 벽면에는 결로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결로수는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함체(170)의 전면부에 전면도어(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도어의 외부면에 개폐 손잡이(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도어(250)는 투명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함체(170)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면 도어(250)는 함체 내부를 개방하여 흡기 팬(130) 등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도어(250)의 오픈 시, 함체의 내부 공간 중 토양 가스 배출 영역(200)은 상기 전면 도어(250)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잔존할 수 있는 라돈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함체 단열 영역(180)의 일측에는 흡기팬(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2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체의 외벽 혹은 내부 공간에는 흡기팬(130)의 구동을 수동 혹은 무선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함체의 하부면에는 토양가스 배출영역(200)에 해당되는 부분에 토양가스 토출구(220)가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토양 가스 토출구(220)가 함체의 하부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함체(170) 측부면 등 다른 적당한 부분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는 격벽(190)을 형성하지 않고, 단열영역과 토양가스 배출영역을 구분 짓지 않은 채 하나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함체에 격벽(190)을 형성하지 않고, 단열영역과 토양가스 배출영역을 구분하지 않으면, 배기 파이프로 부터 배출되는 토양가스는 함체 내부 공간의 전 영역으로 배출되어 함체 내부공간을 채우면서, 함체에 형성된 토양가스 토출구(220)을 통하여 함체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 파이프(140)로부터 토출된 토양가스가 함체 내부공간(180)을 채우게 됨으로써, 함체 내부공간(180)에 위치하는 흡기 파이프(120). 흡기팬(130), 배기 파이프(140)는 내외부간 온도 편차가 거의 제거되어,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파이프 혹은 흡기팬의 내외부간 온도편차에 의해 생성되는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은, 천공부(110), 흡기 파이프(120), 흡기팬(130), 배기 파이프(140), 수분 회수부(121, 141) 및 빗물 유입 방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상기한 구성을 이용하여 건물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은,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110), 상기 천공부(110)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120), 상기 흡기 파이프(120)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140) 및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13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은, 천공부(110)에 흡기 파이프(120)가 연결되고, 상기 흡기 파이프(120)의 천공부(110)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말단은 흡기팬(130)에 연결되며, 흡기팬(130)의 흡기 파이프(120)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말단은 배기 파이프(140)와 연결된다. 상기 흡기팬(130)의 흡입력에 의해 토양층의 토양가스가 천공부(110), 흡기 파이프(120), 흡기팬(130), 배기 파이프(140) 순으로 통과하여 외기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흡기 파이프(120) 및 배기 파이프(140)에는 수분 회수부(121, 14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은 각각 흡기 파이프(120)와 배기 파이프(140)에서 토양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생기는 결로 등에 의한 수분을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150)는 토양가스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기 파이프(140) 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배기 파이프(140) 내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상기 천공부(110), 수분 회수부(121, 141) 및 빗물유입 방지부(15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천공부(11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천공부(110)는, 토양에 최소 일부분이 매립되는 파이프로서, 토양속에 매립된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라돈을 포함하는 토양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공부(110)는 바람직하게는 T 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토양층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토양층에 천공부(110)를 삽입하는 시공을 완료한 후에도, 상기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11)를 통하여 천공부(110)의 수리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토양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토양층 내에 삽입된 천공부(110) 주위에 형성되는 공간의 보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토양층 내에 삽입된 천공부(110) 주위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는 이유는, 만약 일정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흡기 파이프(120) 내로 토양층 내의 고체입자들이 흡입되어, 흡기 파이프(120), 수분 회수부(121, 141), 흡기팬(130), 배기 파이프(140) 등에 쌓여 원활하게 토양가스를 배출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천공부(110)의 개폐부(111)는 투명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실제로 개폐부(111)를 열어보지 않더라도 천공부(110) 내부 및 토양층에 삽입된 천공부(110) 주위의 공간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천공부(110)는 도 5의 (d)에서와 같이 주택의 아래 면적 전체에 걸쳐 수평으로 매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주택의 아래 면적 전체에서 토양속 라돈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수 할 수 있도록 가지 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수분 회수구(121, 141)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수분 회수구는 흡기 파이프(120) 및/또는 배기 파이프(140) 내의 빗물, 토양층으로부터 흡입한 수분 또는 결로로 인한 수분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흡기 파이프(120) 및/또는 배기 파이프(1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집된 수분은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배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은 T 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기 또는 배기 파이프(14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22, 142)가 형성되어 있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에서 수분이 모이게 되는 방향은 중력에 의해 수분이 자동으로 모일 수 있는 각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22, 142)는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어 흡기팬(130)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는 데 필요한 흡입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이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에 일정 이상 모였을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열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혹은 센서를 구비하여 수분 회수부(121, 141) 내에 일정 이상의 물이 모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부(122, 142)가 열리게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분 회수부(121, 141)의 수분이 모이게 되는 부분을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수분 회수부(121, 141) 내에 수분이 어느 정도 모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수분 회수부의 개폐부(122, 142)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중력에 의해 수분을 회수하게 되는 본 발명의 수분 회수부(121, 141)의 구조상 개폐부(122, 142)는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개폐부보다는 수분이 모이게 되는 부분을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유입 방지부(15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빗물유입 방지부(150)는 비가 수직으로 내리지 않고 바람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사선으로 내린다는 점을 이용하여 배기 파이프(140) 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빗물유입 방지부(150)는 상기 배기 파이프(14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배기 파이프(140)의 말단 보다 길게 상기 배기 파이프(14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150)는 결합부(151)와 돌출부(152)로 구분된다. 상기 결합부(151)는 배기 파이프(140)의 외면을 감싸는 부분이며, 상기 돌출부(152)는 배기 파이프(140)의 말단 보다 길게 구성되는 부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선으로 내리는 빗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배기 파이프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 파이프(140)의 직경(a)과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의 비율 a:W는 1:1.05 내지 1:3 의 범위로 구성되며, 1:1.1 내지 1:1.5 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기 파이프의 직경(a)과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의 비가 1:1.05 미만인 경우에는 배기 파이프(140)와 빗물유입 방지부(150)의 직경의 차이가 미세하여, 빗물이 중력에 의해 빗물유입 방지부의 내측면 아래로 흐르다가 배기 파이프 내부로 흘러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a:W의 비가 1:3 초과인 경우에는 배기 파이프(140) 외측면 및 빗물 유입 방지부(150)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지나치게 넓어져 빗물 유입 방지에 있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빗물 유입 방지부의 직경(W)과 빗물 유입 방지부 돌출부의 길이(L)의 비율 W:L은 비율이 1:2 내지 1:10 이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 이다. 상기 W:L이 1:2 아래로 되면 배기 파이프(140) 내부로의 빗물 유입 방지효과가 떨어지며, 1:10 이상으로 되면 빗물유입 방지효과가 큰 차이가 없다.
통상적으로 라돈 포함 토양가스 저감 시공에 사용되는 배기 파이프(140)의 직경(a)은 5 내지 30cm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cm 범위의 것이 사용되므로, 상기 a:W 및 W:L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내의 배기 파이프의 직경(a)을 우선 결정하고 나서, 최적의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a:W 비율을 결정한 뒤 최종적으로 W:L의 비율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목적에 입각하여 양측이 개방된 빗물 유입 방지부에 의하여 배기 파이프 내부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면 이것으로 충분하며, 반드시 전술한 순서에 의해 배기 파이프의 직경, 빗물 유입 방지부의 직경 및 길이가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배기 파이프(140) 내부 방향으로 내리는 빗물은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150)의 외면에 차단되어 배기 파이프(140) 내로 유입되지 않고, 빗물유입 방지부(150)의 내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150) 내부면과 배기 파이프(140)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지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와 배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재(153)를 선택한다. 상기 연결재(153)는 통상적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빗물을 방지하는 수단은 배기 파이프의 출구를 덮는 형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본원과 같이 수직으로 개방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라돈을 포함한 공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라돈의 확산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가스 배출을 통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100)의 바닥 천공부(16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층의 소정 위치에 바닥 천공부(160)를 구비하여 실내공기와 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천공부(160)는 실내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한 커버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천공부 입구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커버 또는 노즐을 이용하여 실내 환경 상태에 맞춰 배출되는 실내공기 및 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상기 커버 또는 노즐을 열어 많은 양의 실내 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춥고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상기 커버 또는 노즐을 닫아 실내의 습기와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라돈 포함 토양가스 저감 시스템을 실제로 시공하여 라돈 저감효과 및 배기 파이프 내의 결로방지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라돈 포함 토양가스 저감 시스템은 천공부, 흡기 파이프, 흡기팬, 배기파이프 및 수분 회수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천공부의 매립 깊이는 건물 저면부로부터 30 cm이고, 흡기/배기 파이프의 직경은 11.8 cm 이며, 흡기팬의 토양가스 토출량은 분당 9.46 m3, 시간당 567 m3 이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팬에 연결된 배기 파이프는 0.6 m 길이로써,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90도) 굽어진‘ㄱ’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부는 직육면체 형태(높이: 0.6 m, 가로: 0.5 m, 세로: 0.35 m)의 함체에 의해 둘러 싸여 있다.
함체는 단열 영역과 배기가스 배출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단열영역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충진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실시한 바와 동일하되,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달리 함체가 배기 파이프 외부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흡기팬에 연결된 배기 파이프가 3.5 m 길이로써, 지면으로부터 건물의 지붕까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실험예 1 내지 2
실험예 1: 라돈 저감 측정 실험
실험예 1은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하에서 2019년 1월 15일부터 2019년 1월 21일까지 총 7일동안 라돈 저감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건물 실내
면적(m2)
건물 저면부
토질
음압TEST
(Pa)
U-Tube
(mmWC)
FAN용량
(W)
흡입구수
67.7 블럭
일반흙
-3.0 2.1 90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라돈 배출 저감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 내부에 있어서, 창문으로부터 1m, 바닥으로부터 1m 이격된 위치에서 48 시간동안 라돈수치 측정치의 평균값을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시공전 측정값(Bq/m3) 시공후 측정값(Bq/m3) 저감효율
실시예 1 322.5 41.6 87.1%
비교예 1 322.5 48.7 84.9%
상기 표 2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짧은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 파이프 외부에 함체가 구비된 실시예 1은 배기 파이프가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교예 1 대비 라돈 저감 효율이 2.5%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실시예 1보다 긴 배기 파이프가 구비된 비교예 1의 경우, 흡기팬으로부터 형성된 음압효과가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결로수 생성량 측정 실험
실험예 1의 라돈 저감 측정 실험과 병행하여, 수분 회수구에 집수된 결로수의 양을 측정한 값과 측정 기간 동안의 건물의 실내 및 실외 온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1일차
(L)
2일차
(L)
3일차
(L)
4일차
(L)
5일차
(L)
6일차
(L)
7일차
(L)
실시예 1 0.20 0.50 0.25 0.26 0.14 0.22 0.27
비교예 1 5.80 7.10 5.00 6.30 4.20 5.50 7.00
실내
온도(℃)
25
실외
온도(℃)
-1.7 -5.2 -0.3 0.6 3.6 -1.4 -1.2
상기 표 3에 따르면, 실시예 1의 결로수 생성량은 일일 최소 0.14L, 최대 0.50L로써 실외온도가 낮아질수록 결로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실시예 1은 비교예 1 대비 최소 13배에서 최대 29배까지 결로수 생성량이 저감되었다. 이는 긴 배기 파이프가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는 비교예 1과 달리, 실시예 1은 상대적으로 짧은 배기 파이프의 외부를 둘러싼 직육면체 형태의 함체에 의해 말단 개구부를 통해 함체 내부를 향해 확산되는 라돈 포함 토양가스가 함체 외부로 토출되기 전까지 배기 파이프를 둘러싸 동절기 저온 대기 환경과 격리시키므로 보온효과가 부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110 : 천공부
111 : 천공부 개폐부
120 : 흡기 파이프
121 : 수분 회수부
122 : 수분 회수부 개폐부
130 : 흡기팬
140 : 배기 파이프
141 : 수분 회수부
142 : 수분 회수부 개폐부
150 : 빗물유입 방지부
160 : 바닥 천공부
170 : 함체
180 : 함체 단열 영역
190 : 격벽
200 : 토양가스 배출 영역
211 : 흡기 파이프 관통구
212 : 배기 파이프 관통구
220 : 토양가스 토출구
240 : 콘센트
250 : 전면도어
251 : 개폐 손잡이

Claims (12)

  1.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고 이를 외기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을 포함하고,
    토양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배기 파이프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말단에는 빗물유입 방지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는 상기 배기 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 보다 길게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 방지부는,
    상기 배기 파이프의 직경(a)과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의 비율 a:W 는 1:1.05 내지 1:3 으로 구성하고, 빗물유입 방지부의 직경(W)와 빗물유입 방지부 돌출부의 길이(L)의 비율 W:L 은 1:2 내지 1:10 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3.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으로부터 토양가스를 흡입하고 이를 외기로 배출하여 건물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토양가스를 흡입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체 아래의 토양층에 삽입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를 통해 토양가스가 흡입되는 흡기 파이프;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토양가스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상기 흡기 파이프를 통해 토양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과 배기파이프의 전부를 함체가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에서 배출되는 토양가스가 함체 내부공간으로 배출되어, 외기와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토양가스 배출영역과 함체 단열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함체 단열 영역에는 흡기팬 및 흡기팬과 연결된 흡기파이프 및 배기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며,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어 외기와 단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말단은 격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토양 가스 배출 영역으로까지 연장되어, 토양 가스는 토양 가스 배출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가스 배출 영역에는 토양가스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가스 배출 영역에는 토양가스 토출시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경감 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파이프 및/또는 배기 파이프에는
    수분을 회수하기 위한 수분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회수부는,
    T 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양가스의 흡입 및 배출과 동시에 건물의 실내 유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층의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천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천공부는,
    실내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바닥 천공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KR1020190126168A 2019-10-11 2019-10-11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KR102117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68A KR102117535B1 (ko) 2019-10-11 2019-10-11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168A KR102117535B1 (ko) 2019-10-11 2019-10-11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05A true KR20190122605A (ko) 2019-10-30
KR102117535B1 KR102117535B1 (ko) 2020-06-09

Family

ID=6846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168A KR102117535B1 (ko) 2019-10-11 2019-10-11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5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40B1 (ko) * 2021-03-15 2021-06-25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장치
KR102271178B1 (ko) 2020-05-20 2021-06-30 주식회사 아이에이큐솔루션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KR20210122925A (ko) * 2020-04-01 2021-10-13 주식회사 파만 라돈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3436A (ko) 2020-05-20 2021-11-29 (주)닥터케어스아이엔씨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376339B1 (ko) 2021-05-17 2022-03-17 김성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833A (ja) * 1983-12-02 1985-06-2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結露防止用断熱パイプ
JPH0683917U (ja) * 1993-05-19 1994-12-02 東洋運搬機株式会社 排気管
KR101554288B1 (ko) 2014-08-06 2015-09-18 (주)Ehs기술연구소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
KR101590840B1 (ko) 2014-10-20 2016-02-02 차화신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833A (ja) * 1983-12-02 1985-06-2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結露防止用断熱パイプ
JPH0683917U (ja) * 1993-05-19 1994-12-02 東洋運搬機株式会社 排気管
KR101554288B1 (ko) 2014-08-06 2015-09-18 (주)Ehs기술연구소 라돈을 자동으로 저감하는 장치
KR101590840B1 (ko) 2014-10-20 2016-02-02 차화신 라돈가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절감구조를 구현시키기 위한 에너지 흐름 구조의 이용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925A (ko) * 2020-04-01 2021-10-13 주식회사 파만 라돈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1178B1 (ko) 2020-05-20 2021-06-30 주식회사 아이에이큐솔루션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KR20210143436A (ko) 2020-05-20 2021-11-29 (주)닥터케어스아이엔씨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시공 방법
KR20210143682A (ko) 2020-05-20 2021-11-29 주식회사 아이에이큐솔루션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KR102269540B1 (ko) * 2021-03-15 2021-06-25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풍량가변형 토양배기 라돈저감 제어 장치
KR102376339B1 (ko) 2021-05-17 2022-03-17 김성길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535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35B1 (ko) 결로방지 및 빗물유입방지가 가능한 맞춤형 토양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KR101245143B1 (ko)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CA1323622C (en) Radon gas ventilation pump system and method
US4938124A (en) Substructure radon gas evacuation system
US4988237A (en) Soil gas reduction system
KR100632186B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KR201800638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5319221B2 (ja) 建設途上躯体の気密検証方法
CN104047447B (zh) 干冰清洗模具房
KR102271178B1 (ko)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
KR20200132662A (ko) 자동 공기 순환용 창호 시스템
JP5328098B2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200391419Y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Ennemoser et al. Mitigation of indoor radon in an area with unusually high radon concentrations
GB2478342A (en) Protecting a room of a building from the ingress of unwanted gases
CN2202177Y (zh) 百叶门窗
CN214120288U (zh) 一种建筑结构通风装置
Turk et al. Effectiveness of radon control techniques in fifteen homes
Fisk et al. New methods of energy efficient radon mitigation
CN206556184U (zh) 一种窗式新风设备
JP2002081708A (ja) 換気装置の管構造
CN105276673A (zh) 一种基于通信机房专用空调机组的智能新风节能系统
KR102403835B1 (ko) 토양층 라돈가스 배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1781881U (zh) 一种地上空调机组隔声罩的可调式吸隔音插片结构
KR20210143436A (ko) 이중 함체 구조의 토양가스 배출 시스템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