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30A -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30A
KR20190122030A KR1020180045661A KR20180045661A KR20190122030A KR 20190122030 A KR20190122030 A KR 20190122030A KR 1020180045661 A KR1020180045661 A KR 1020180045661A KR 20180045661 A KR20180045661 A KR 20180045661A KR 20190122030 A KR20190122030 A KR 20190122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housing
opening
blocked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주
이정명
김범재
Original Assignee
김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주 filed Critical 김문주
Priority to KR102018004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030A/ko
Publication of KR2019012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은 하부에 제1 미세 배수구가 마련되고, 몸체가 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하부에 제2 미세 배수구가 구비되는 침수조, 상기 침수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침수조의 수위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레, 상기 하우징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개폐가 되는 개폐부 및 상기 부레와 개폐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BLOCK FOREIGN SUBSTANCE ENTERING THE MANHOLE}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구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 시켜 하수구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가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하수구로 보내는 과정에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수거처리와 우수의 배출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맨홀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맨홀은 쓰레기나 오물이 투입되기 쉬운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서, 우천 시 쓰레기나 오물이 쌓여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지 못해 침수 현상이 발생하고, 하수구에 쌓인 쓰레기나 오물을 제거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구에 쓰레기나 오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하수구에 쌓인 쓰레기나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에 관한 연구가 필히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0735호
본 발명은 하수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하수구의 막힘 현상 및 침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의 집중현상 시, 하수구에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 맨홀 하부에 마련된 하우징에 이물질을 보관하고 있음으로써, 청소작업이 용이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우수 맨홀에 부착이 가능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은 하부에 제1 미세 배수구가 마련되고, 몸체가 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하부에 제2 미세 배수구가 구비되는 침수조, 상기 침수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침수조의 수위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레, 상기 하우징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개폐가 되는 개폐부 및 상기 부레와 개폐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 일측과 상기 힌지부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힌지부 타측과 상기 부레 일측에 연결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미세 배수구는, 직경 7mm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미세 배수구는, 직경 4mm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하수구의 막힘 현상 및 침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수의 집중현상 시, 하수구에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맨홀 하부에 마련된 하우징에 이물질을 보관하고 있음으로써, 청소작업이 용이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우수 맨홀에 부착이 가능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장착된 하수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에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장착된 하수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100)은 하우징(110), 침수조(120), 부레(130), 개폐부(140) 및 연결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100)의 몸체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인 통 형상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하기에 설명 할 침수조(120), 부레(130), 개폐부(140) 및 연결 프레임(15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에 다수의 제1 미세 배수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세 배수구(111)는 관통된 구멍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수구로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하고, 상기 하우징(110)에 유입되는 우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미세 배수구(111)의 직경은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쓰레기, 오물 등과 같은 이물질은 직경이 7mm 초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이 하수구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세 배수구(111)가 7mm 미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10)에 유입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1 미세 배수구(111)는 7mm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침수조(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단일 또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침수조(120)는 하부에 다수의 제2 미세 배수구(121)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하수구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세 배수구(121)는 상기 침수조(120)에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하고, 상기 침수조(120)에 유입된 우수를 상기 하우징(110)으로 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세 배수구(121)의 직경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수조(120)에서 하우징(110)으로 우수가 유출되는 속도는 상기 하우징(110)에서 하수구로 우수가 유출되는 속도보다 늦어야 하므로, 상기 제2 미세 배수구(121)는 직경이 4m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미세 배수구(121)가 4mm 초과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침수조(120)에 유입된 우수가 배수되는 속도가 빨라서 상기 하우징(110)에 우수가 기설정된 용량보다 많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개폐기(140)를 개방함으로써, 원활하게 배수가 일어나지 못한다.
상기 제2 미세 배수구(121)가 4mm 미만으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침수조(120)에 유입된 우수가 배수되는 속도가 느려서 상기 하우징(110)에 우수가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용량보다 부족한 상황에서도 상기 개폐기(140)를 폐쇄함으로써, 지면에 침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침수조(120)에서 하우징(110)으로 우수가 유출되는 속도가 낮아야 되는 이유는 우수 집중 현상 시 하우징(110)에서 하수구로 배수되는 속도보다 하우징에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상기 침수조(120)에서 유출되는 속도를 늦추어 개폐부(140)를 통해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하고, 원활하게 배수를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침수조(120)는 하부에 제2 미세 배수구(12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레이팅(20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1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부레(130)는 구(球)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레(130)는 상기 침수조(120)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침수조(120)의 수위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200)은 현재 상용화되어 설치되어 있는 모든 그레이팅(200)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100)은 상기 그레이팅(2000)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200)은 개방영역(210) 및 개폐영역(220)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하우징(110)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부레(130)의 이동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개방영역(210)은 상기 침수조(120)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우수의 양에 상관없이 상기 침수조(120)에 우수가 유입된다.
상기 개폐영역(220)은 상기 개폐부(140)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개방영역(210)을 통해 유입된 우수의 양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된다.
즉, 상기 침수조(120)에서 유출되는 우수의 속도가 상기 개방영역(210)에서 유입되는 속도보다 느려 침수조(120)의 수위가 높아져 상기 부레(130)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의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140)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개폐영역(220)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침수조(120)에서 유출되는 우수의 속도가 상기 개방영역(210)에서 유입되는 속도보다 빨라 침수조(120)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레(130)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의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14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개폐영역(220)에서 우수가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150)은 상기 부레(130)와 개폐부(14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150)은 제1 연결부(151), 힌지부(152) 및 제2 연결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51)는 상기 개폐부(140) 일측과 상기 힌지부(152) 일측에 연결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153)는 상기 힌지부(153) 타측과 상기 부레(130) 일측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153)는 추가 연결되어 있어, 추의 이동에 따라 개폐부(140)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침수조(120)의 수위가 높아져 상기 부레(130)가 상기 침수조(12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151)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부(152)를 상기 하우징(110)의 중심부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연결부(153)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연결부(153)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153)에 연결된 추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140)가 폐쇄된다.
상기 침수조(120)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부레(130)가 상기 침수조(12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151)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부(152)를 상기 침수조(1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연결부(153)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연결부(153)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153)에 연결된 추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14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부레(130), 개폐부(140) 및 연결 프레임(150)은 상기 침수조(12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침수조(120)가 2개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부레(130), 개폐부(140) 및 연결 프레임(150)이 2개씩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하수구의 막힘 현상 및 침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수의 집중현상 시, 하수구에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맨홀 하부에 마련된 하우징에 이물질을 보관하고 있음으로써, 청소작업이 용이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기존의 우수 맨홀에 부착이 가능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110 : 하우징
111 : 제1 미세 배수구
120 : 침수조
121 : 제2 미세 배수구
130 : 부레
140 : 개폐부
150 : 연결프레임
151 : 제1 연결부
152 : 힌지부
153 : 제2 연결부
200 : 그레이팅
210 : 개방영역
220 : 개폐영역

Claims (3)

  1. 하부에 제1 미세 배수구가 마련되고, 몸체가 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고, 하부에 제2 미세 배수구가 구비되는 침수조;
    상기 침수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침수조의 수위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레;
    상기 하우징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개폐가 되는 개폐부; 및
    상기 부레와 개폐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개폐부 일측과 상기 힌지부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힌지부 타측과 상기 부레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 배수구는,
    직경 7mm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미세 배수구는,
    직경 4mm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KR1020180045661A 2018-04-19 2018-04-19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KR20190122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61A KR20190122030A (ko) 2018-04-19 2018-04-19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61A KR20190122030A (ko) 2018-04-19 2018-04-19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30A true KR20190122030A (ko) 2019-10-29

Family

ID=6842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61A KR20190122030A (ko) 2018-04-19 2018-04-19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0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35B1 (ko) 2013-07-11 2014-04-02 양국승 맨홀의 이물질 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35B1 (ko) 2013-07-11 2014-04-02 양국승 맨홀의 이물질 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268B1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JP6174244B2 (ja) 雨水と土砂の排出が可能な雨水吐き室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326602B1 (ko)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681956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12477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781790B1 (ko)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KR101301042B1 (ko) 하수관거를 이용한 초기우수 저류장치
CN210458845U (zh) 一种市政道路初期雨水排放系统
JPH0941429A (ja) 初期降雨水の除去装置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CN211257242U (zh) 一种防倒灌市政井盖
CN108360649A (zh) 一种市政用高效防臭带自动滤渣的大型地漏
KR101580996B1 (ko)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KR20190122030A (ko)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맨홀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RU2636944C1 (ru) Пескогравиеловка
CN112411722B (zh) 溢流除污系统及雨水通过池
KR101132847B1 (ko) 부력실을 갖는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20157B1 (ko) 맨홀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KR102654382B1 (ko) 부력을 이용한 트렌치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