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340A -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340A
KR20190121340A KR1020197027561A KR20197027561A KR20190121340A KR 20190121340 A KR20190121340 A KR 20190121340A KR 1020197027561 A KR1020197027561 A KR 1020197027561A KR 20197027561 A KR20197027561 A KR 20197027561A KR 20190121340 A KR20190121340 A KR 2019012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nozzle orifice
guide duct
signal
guid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플리스
유르겐 슈테틀러
Original Assignee
버메스 마이크로디스펜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메스 마이크로디스펜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버메스 마이크로디스펜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2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discharged jet or spray, e.g. to jet shape, spray pattern or droplet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3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021/0346Capillary cells; Microcells
    • G01N2021/035Supports for sample dr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01N2021/8557Special shaping of flow, e.g. using a by-pass line, jet flow, curtain flow
    • G01N2021/8564Sample as dr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나오는 물질(23)을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3)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1)으로서, 상기 노즐 오리피스(5)에 배열되기 위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은 상기 가이드 시스템(1)과 관련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은 신호 전도체(8)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7)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15, 16)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하는, 2개의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14)은 상기 2개의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9)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G) 상에 배열되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배열되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이드 시스템(1)을 포함하는 검출 디바이스(3) 및 계량 디바이스(2), 및 이러한 가이드 시스템(1)을 갖는 검출 디바이스(3)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본 발명은 검출 디바이스, 특히 계량 디바이스(metering device)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guide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검출 디바이스 또는 각각 계량 디바이스, 및 이러한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검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량 디바이스에 의해 계량 물질, 예를 들어, 유체 또는 분말을 공간으로 도입할 때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에 의해 계량 물질을 작업물 상에 도포할 때, 예를 들어, 특히 자동 장착 시스템에 의해 전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할 때, 계량 물질(예를 들어, 접착제)은 잘 계량된 방식으로 노즐을 통해 계량 디바이스로부터 배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각 접착제 점적(adhesive drop) 또는 각각 접착제 도트(adhesive dot)가 놓이는 즉시 결함이 표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궤적을 따라 지지체 상에 잘 한정된 방식으로 전달되는 접착제 점적을 정확히 계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계량이 이루어진 것, 바람직하게는 적용 가능하다면, 또한 계량된 품질이 보장되는 것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신호 전도체에 의해 노즐 오리피스(nozzle orifice)로 안내되는 전자기 복사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신호는 이 노즐 오리피스로 안내될 수 있고, 광 신호는 거기서부터 다시 광 전도체에 의해 검출 유닛으로 안내될 수 있고, 전달된 점적의 양(특정 상황 하에서는 심지어 또한 계량 물질의 품질)이 이 신호의 변화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는 EP 1 946 843 A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생명 과학에 응용하기 위해 액체 점적을 측정하기 위해, 점적의 궤적을 따라 노즐로부터 여러 다른 거리에 위치된 여러 광 전도체 검출기가 사용된다. 광 전도체를 위치시키기 위해, 세장형 원통형 작은 튜브가 노즐에 또는 노즐 앞에 각각 배열되고, 이 노즐을 통해 점적의 직선 궤적이 작은 튜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어진다. 반경 방향으로 이어지는 관통 보어(through-bore)가 이 작은 튜브의 실린더 벽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광 전도체가 각각 그 단부에 의해 이 관통 보어 내로 삽입되고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접착된다.
그러나, 특히 상기 언급된 장착 시스템에 계량 디바이스가 사용된 일부 장치에서, 각각의 신호 전도체 또는 복사선을 노즐 쪽으로 신뢰성 있게 안내하는 일은 간단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립 라인을 위한 SMT 계량 시스템에서, 한편으로는 공간이 거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계량 디바이스는 시스템의 여러 상부 구조물에서 비교적 신속히 이동한다. 또한 거기에는 외부 간섭 신호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최적의 솔루션은 알려져 있지 않다.
더욱이, 잉크젯 프린터에 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광 전도체를 갖는 측정 장치가 각각 노즐로부터 더 먼 거리에 그리고 궤적에 측방으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예를 들어, US 4,410,895에서와 같이 점적의 비행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 장치를 교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여기서도, 광 전도체의 단부만이 보어의 단부 측에 고정된다. US 4,577,197에는 잉크젯 프린터를 위한 대응하는 높이 제어 센서가 기술되는데, 이 센서는 모니터링을 위해 프린트 헤드가 접근하고 프린트 헤드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광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광 전도체는 비교적 대략적으로만 위치되면 되는데, 그 이유는 광 전도체 출구 반대쪽 제 자리에 장착부에 직접 위치된 한 쌍의 광 검출기에 의해 각각 검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시스템은 언급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SMT 계량 시스템을 위해 개선된 가이드 시스템, 대응하는 검출 디바이스, 계량 디바이스, 및 검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문제는 청구항 1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 청구항 13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 청구항 14에 따른 계량 디바이스, 및 청구항 15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 오리피스로부터 나오는 물질을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한 검출 디바이스용으로 설계된다. 상기 노즐 오리피스에 배열되기 위한 (가상) 노즐 오리피스 영역은 여기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과 관련되고, 또는 각각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가상)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여기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guide duct)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material body)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특정 거리에 걸쳐 상기 검출 디바이스의 신호 전도체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즉 언급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이 신호 전도체를 단부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다. 상기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들은 상기 2개의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대해 서로 양쪽에 배열된다.
상기 가이드 덕트에 의해, 상기 신호 또는 각각 신호 전도체가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으로, 그리하여 상기 노즐 오리피스로 정확한 방식으로 확실하게 안내되고 또는 거기서부터 각각 멀리 안내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되는 것은 가능한 한 긴 거리, 예를 들어, 적어도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에 걸쳐 일어난다. 따라서 이는 예를 들어 가이드 덕트가 또한 길이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정확한 위치 결정 또는 각각 안내에 의해 상기 검출 디바이스는 상기 노즐로부터 나가는 점적을 보다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 신호 전도체는 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에 간단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쉽게 교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덕트에 대해 사용된 "중심축"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항상 상기 가이드 덕트의 코스(course)를 따르고 상기 단부 영역에서 직선으로 더 이어지고 항상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면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인 단면을 갖는 몸체의 중립 축(제로 라인(zero line))과 유사하게 이어지는 축을 지칭한다.
상기 영역은, 의도된 바와 같이 계량 시스템 상에 상기 가이드 시스템을 배열할 때 상기 노즐 오리피스가 위치된 위치와 직접 관련된 "노즐 오리피스 영역"으로 지칭된다. 상기 영역은 "노즐 오리피스 배열 영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 자체의 위치에서 가능한 정확하게 상기 노즐에 대해 의도된 바와 같이 계량 디바이스 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시스템을 배열한 경우에 상기 노즐 오리피스가 위치된 위치에 또한 직접 위치된다.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대해 "양쪽(opposite)"이란 상기 단부 영역들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정반대쪽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란 특히, 계량 물질, 예를 들어, 점적이 노즐로부터 나가는 실질적으로 직선 방출 방향으로부터 두 양쪽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의 최대 거리가 의도된 노즐 오리피스의 직경 이하, 바람직하게는 반경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 바람직하게는 두 중심축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로부터 기원하는 방출 방향(이 방출 방향은 "분사 궤적(jetting trajectory)"이라고도 지칭됨)의 축과 교차한다.
상기 중심축의 배열에 대해 "실질적으로"라는 언급은 여기서 특히, 정확히 정렬되지 않은 신호 전도체의 경우에도 충분한 신호 전도 또는 각각 신호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심축에 대한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의 최대 변위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 상에"란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가이드 덕트 각각의 상기 단부 영역의 단면적이 각각 다른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으로 관통되어야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중심축의 도달 지점이 양쪽 가이드 덕트의 각각의 단면적의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단부 영역 단면의 직경의 1/4보다 크지 않아야 하는 것(중심축은 단면적과 만나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에 대한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의 최대 기울기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 상에"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이 서로에 대해 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1°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 오리피스로부터 나오는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 유닛, 신호 수신 유닛, 및 신호 평가 유닛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을 갖는다.
신호 또는 신호 전도체는 여기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가이드 덕트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 유닛은 상기 가이드 덕트 또는 상기 신호 전도체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수신 유닛은 상기 가이드 덕트 또는 상기 신호 전도체를 통해 이어지는 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은 바로 또한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와 같이, 가능한 한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이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의 위치에서 노즐 오리피스에 배열되도록 계량 디바이스에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 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공통 마운트 상에 상기 계량 디바이스와 함께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 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다.
대응하는 검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오리피스 영역이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 오리피스 상에 배열되도록 연관된 가이드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신호 전도체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 디바이스 또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 각각의 구성에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계량 디바이스에 설치되거나 이에 통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 시스템으로 이미 존재하는 계량 디바이스를 개조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이러한 배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에 맞춰지는 방식으로 놓이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적어도 2개의 신호 전도체가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가이드 덕트 내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 전도체의 단부들이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들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신호 전도체의 신호는 공기를 통해 상기 노즐 오리피스를 통과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한 경우 변경된 형태로 광 신호는 다른 신호 전도체에서 포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 시스템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맞춰지는 방식으로 놓여야 한다. 광 전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 광 전도체는 상기 가이드 덕트에서 예상되는 코스 영역에서 절연체가 박리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에서 이 박리된 상태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 전도체는 상기 노즐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단부에 측정 요소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전도체들 중 하나의 신호 전도체의 이러한 단부는 신호 송신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다른 신호 전도체의 단부는 신호 수신 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신호 송신 유닛은 측정을 위해 하나의 신호 전도체를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전방에 있는 공간을 가로질러, 적용 가능한 경우 수정되거나 각각 변조된 상태로 다른 신호 전도체에 입사하여, 상기 신호 수신 유닛에 도달하고, 상기 신호 수신 유닛은 상기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이 검출된 신호를 특히 전자적인 방식으로 추가 처리를 하는데 이용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 요소에 또는 각각 공통 마운트에 상기 가이드 시스템을 배열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적용 가능한 경우 또한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또는 상기 신호 수신 유닛과 함께 이미 삽입된 광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신속 결합 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성 및 추가적인 개선은 종속 청구항 및 후속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고, 여기서 하나의 청구항 카테고리의 독립 청구항은 또한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의 종속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 부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더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또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각각 변형예의 개별 특징은 새로운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각각 변형예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설계되거나 본 발명의 일부인 계량 디바이스는,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를 통해 표적화된 방식으로, 계량 물질, 예를 들어, 분말 또는 유체,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와 같은 점성 물질을 토출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방출"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또한 아래에서 "분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지칭된다. 분사가 궤적(예를 들어 점적 분사)으로 및 또한 원추형 또는 다른 형상의 점적 분포(예를 들어, 스프레이 연무(spray mist))로서 모두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인 분사 방향"이라는 용어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분사 방향은 원추형 또는 상이한 형상의 분사 점적의 방출 궤적 또는 각각 중심 직선 라인 또는 각각 이동 벡터의 평균값을 기술한다.
또한 상기 노즐 오리피스가 놓인 원점에서 상기 언급된 결과적인 분사 방향이 Z-축과 반대로 진행되는(분사 궤적이 Z-축과 정확히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좌표계를 정의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유용하다. X-축과 Y-축은 여기서 Z-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놓인다.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단면이 X-Y 평면에서 더 긴 변을 갖는 경우, X-축은 바람직하게는 이 더 긴 변을 따라 정렬되고 Y-축은 이에 직교하도록 정렬되도록 정의된다. 의도된 상기 노즐 오리피스의 위치에서 이미 위에서 정의된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의 위치는 그 좌표계에 따라 상기 노즐 오리피스와 또한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이 모두 상기 좌표계의 원점에 놓이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덕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상기 벽에 의해 표면 영역이 둘러싸여서, 신호 또는 신호 전도체를 완전히 보호하여, 예를 들어, 조명 전도체가 추가 케이싱 없이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가이드 덕트는 여기서 또한 최적의 방식으로 신호 전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중공형이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면 측(face side)은 폐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폐쇄는 신호가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투명한 창(window)은 광 신호가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덕트의 면 측은 바람직하게는 개방된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길이에 걸쳐 상기 단부 영역까지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이는 신호 전도체가 상기 가이드 덕트에 용이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시스템에 신호 전도체를 장착하거나 신호 전도체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서로를 향하는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면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중심축에 직교하게 정렬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덕트는 중공 전도체로서 기능하여, 중공 전도성 원리에 따라 전자기파를 전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추가적인 신호 전도체가 필요치 않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정다각형, 타원 또는 원의 형상을 갖는다. 궁극적으로,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면 형상은 의도된 신호 전도체 또는 신호 전도 경로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수립된 신호 전도체, 특히 종래의 광 도파로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재료 블록에 리세스(recess)로서 형성된다. 특히 이전의 것과 조합될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덕트의 적어도 일부가 파이프로 형성된다. 두 가지 가능한 바람직한 조합으로, 가이드 덕트는 부분적으로 파이프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재료 블록에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는 여기서 광 전도체 또는 다른 신호 전도체의 경우에 존재하는 케이싱을 추가로 둘러쌀 수 있고, 또는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부분적으로만 케이싱을 교체할 수 있고 이와 동등하지 않을 수 있다.
재료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재료 블록은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예를 들어, 재료 블록 부분들)로 분할되고, 절단된 또는 각각의 맞춤 면은 상기 가이드 덕트의 정렬을 따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이들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덕트 내를 간단히 밀링(mill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재료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3D 프린터를 통해 적층 제조 공정으로 도입된 가이드 덕트로도 제조될 수 있다.
재료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의 영역에 오리피스를 가져서, 분사된 점적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간섭 없이 통과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노즐이 이 오리피스에 배열될 수 있다.
개구의 에지(edge)는 바람직하게는 삽입된 신호 전도체 또는 배열된 노즐이 상기 정의된 Z-좌표에 대해 최저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오리피스의 에지가 원추형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세정 스트립 또는 세정 면봉을 통해 노즐을 세정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덕트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아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덕트가 또한 변형되지 않도록 자체적으로 안정화되고(즉, 가이드 덕트 자체의 벽은 견고하고 단단하도록 형성됨) 및/또는 다수의 안정화 요소에 의해 안정화된다.
측방 이동이 일어나면 상기 가이드 덕트에 위치된 신호 전도체 또는 상기 신호 전도체의 전단력이 잘못 조정될 수 있는데 이것이 이 실시예를 통해 억제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적어도 단부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최종 2 cm 영역 또는 각각 최종 cm 영역에서, 1N의 횡력(가이드 덕트의 중심축에 횡방향으로의 힘)이 있는 경우, 원래 형태로부터 1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mm 이하로 편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한 강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덕트의 벽 또는 각각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벽에 바람직한 재료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및 유리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재료이다.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이 중심축에 대해 서로에 대해 놓인 공통 직선은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노즐의 방출 방향에 직교하게 정렬된다. 이에 의해, 검출 디바이스 또는 계량 디바이스에서 각각 최적의 배열이 달성된다.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 특히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의 양쪽 가이드 덕트 쌍의 각각의 대응하는 단부 영역의 중심축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 이하, 바람직하게는 이 내부 직경의 3/4 이하, 또는 심지어 내부 직경의 절반 이하이도록 Z-좌표에 대해 치수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전도체는 Z-축(또는 각각 Z-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하는 경우 상기 노즐 오리피스와 겹쳐지거나 또는 적어도 점에서 이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로부터 Z-방향으로 이 거리는 1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mm 이하이다. 이것은 상기 노즐로부터 출구의 측정까지, 점적이 먼 거리를 커버할 필요가 없어서, 점적의 배치와 측정의 정확도를 증가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부 응용에서, 상기 신호 전도체는 상기 디바이스의 일부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신호 전도체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일부이고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신호 전도체는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덕트와 동일 높이에서 종료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약간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전도체는 상기 노즐 오리피스까지 도달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신호 전도체는, 특히 다음 특성, 즉
- 0.2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0.4 mm 내지 1.2 mm의 외부 직경;
- -55 ℃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최대 105 ℃의 허용 동작 온도;
- 650 nm의 파장에서 400 dB/km 미만, 바람직하게는 210 dB/km 미만의 최대 감쇠; 및
- 0.4 내지 0.7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광 도파로이고,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또는 중합체 기반 광섬유이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다음 특성, 즉
- 0.2 mm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25 mm 내지 0.7 mm의 외부 직경;
- -65 ℃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최대 125 ℃의 허용 동작 온도;
- 650 nm의 파장에서 20 dB/k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dB/km 미만의 최대 감쇠; 및
- 0.3 내지 0.5의 개구수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유리 섬유가 사용된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또는 각각의 덕트 직경)은 의도된 대로 사용된 상기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보다 더 커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덕트를 통해 상기 신호 전도체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내부 직경은 상기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보다 0.01 mm 초과하여 더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mm 초과하여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과 상기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 사이의 차이는 삽입된 신호 전도체가 제어되지 않고 측방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0.5 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mm 미만이다. 바람직한 내부 직경은 0.1 mm 내지 10 mm이다.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단부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영역의 최종 대략 0.5 cm 내지 2 cm의 영역에서 최대이고, 바람직하게는 나머지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보다는 더 작지만, 의도한대로 사용된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내부 직경은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0.00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5 mm 더 크지만, 삽입된 신호 전도체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달성하기 위해 이 외부 직경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09 mm 더 크다.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벽의 내부측에서 최종 cm 영역 내에 탄성 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상기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에 최대로 대응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최대 0.1 mm 더 작을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신호 전도체는 물론 여전히 관통하게 푸시될 수 있다. 이것은 삽입된 신호 전도체가 탄성 벽에 의해 유지되고 안정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모든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은 각각 상기 신호 전도체가 상기 가이드 덕트에 삽입될 때 상기 신호 전도체의 상태에 관한 것이고, 즉 상기 신호 전도체가 케이싱과 함께 삽입될 때 이것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 직경에 해당되고, 또는 상기 신호 전도체가 상기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에서 삽입될 때 이것은 상기 케이싱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 전도체의 외부 직경에 해당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시스템, 상기 검출 디바이스 또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는 또한 신호 송신 유닛과 신호 수신 유닛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 요소를 갖는다. 상기 고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송신 유닛과 상기 신호 수신 유닛이 상기 가이드 덕트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신호 전도체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덕트에 대해 배열된다. 예를 들어, LED/레이저 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이와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검출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는 적어도 가이드 덕트의 영역에서 코팅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벽의 베이스 재료보다 더 낮은 마찰 저항을 갖는 코팅, 및/또는 벽의 베이스 재료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코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은 테프론, 흑연, 다이아몬드, 니켈, 카바이드, 산화알루미늄, 세라믹 및 유리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가이드 덕트 내에 배열된 신호 전도체를 위한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갖는다. 이러한 스트레인 릴리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오리피스로부터 떨어진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스트레인 릴리프는 여기서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 상기 신호 전도체를 포획(arresting)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획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획 요소는 상기 가이드 덕트에 대해 상기 신호 전도체가 인출 및 푸시되는 것을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레인 릴리프는 나사 및/또는 클램핑 요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성 및/또는 스프링 장착식 클램핑 요소 형태의 포획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획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푸시 버튼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을 눌렀을 때 신호 전도체를 푸시할 수 있고, 해제할 때 신호 전도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여기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포획 요소가 의도치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레인 릴리프는 신호 전도체 케이싱이 이에 고정, 특히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 외부에서 둘러싸인 신호 전도체에 가해지는 장력은 일반적으로 상기 가이드 덕트 내로 삽입된 상기 신호 전도체의 각각 코어 또는 케이싱이 제거된 부분의 위치에 약화된 영향을 미치거나 유리하게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은 또한 스트레인 릴리프의 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단부 영역은 슬롯 형성된 덕트의 유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슬롯 형성된 소형 튜브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슬롯 폭은 광 전도체를 도입한 후에 약간 더 감소되어, 광 전도체를 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클램핑은 적어도 대략 0.5 cm의 길이에서 일어난다.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덕트가 상기 검출 디바이스의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신호 수신 유닛이 또한 배열된 상기 계량 디바이스 상의 동일한 측에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특히 수리 등의 경우에 보다 나은 접근성이 실현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또는 각각 상기 가이드 덕트는 바람직하게 만곡되고, 즉 만곡부를 갖고, 이 만곡부를 따라 각각의 광 전도체가 상기 가이드 덕트 내에서 안내된다. 가이드 덕트에서 만곡부는 바람직하게는 이 가이드 덕트에 제공된 상기 신호 전도체의 의도된 최소 굽힘 반경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굽힘 반경은 5 mm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mm 초과이다. 공간 절감을 위해 바람직한 굽힘 반경은 12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덕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 각각은 여기서 2개의 인접한 만곡부를 갖는다. 이 만곡부는,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실제 형성 및 공간 배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평면, 바람직하게는 S자 곡선형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2개의 공간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만곡 배열은 계량 디바이스의 노즐 오리피스로부터 나오는 재료를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임의의 가이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에 배열되기 위한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갖고, 상기 검출 디바이스의 신호 전도체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가이드 시스템에 유리하다. 그리하여 이는, 2개의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이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대해 서로 양쪽에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이 조합이 특히 유리할 뿐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가이드 덕트의 만곡 배열은 또한 독립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의 코스가 15° 내지 135° 각도로 변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용 가능한 경우 최대 +/- 20%의 편차를 갖고) 90°만큼 변하는 만곡부가 각각 바람직하다.
만곡부가 평면에 위치되는 한, 예를 들어, S자 곡선 유형으로 위치되는 한, 양과 관련하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거울-반전되는데, 즉, 가이드 덕트의 코스는 평면에서 만곡 형성을 통해 평행하게 시프트된다.
만곡부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2개의 공간 평면에 위치되는 한, 2개의 공간 평면은 45° 내지 135°의 각도로 서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평면은 서로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경우 최대 +/- 20%의 편차를 갖고)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특히, 만곡부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2개의 공간 평면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에 가장 가까이 있는 만곡부는 바람직하게는 노즐로부터 나오는 물질이 방출되는 방출 방향에 직교하게 정렬된 평면에서 이어지고, 이에 인접한 만곡부는 바람직하게는 이 방출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어진다. 위에서 설명된 좌표계를 관찰하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을 향하는 단부 영역에 가장 가까운 만곡부는 바람직하게는 X-Y 평면에 대해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1°만큼 기울어진 평면에서 이어진다. 이 기울기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노즐로부터 떨어진 가이드 덕트의 단부 방향으로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의 중심축의) 공통 직선에 대해 발생한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하면 특히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노즐에 가까운 이 만곡부의 평면이 X-Y 평면에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인접한 만곡부는 바람직하게는 Z-축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어진다. 특히, 이것은 신호 전도체의 장력 감소 및 더 나은 신호 송신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시스템 또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하는 각각의 검출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계량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노즐 블록 등) 상에 상기 가이드 시스템 또는 각각의 검출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한 신속 결합 장치를 갖는다. 이 신속 결합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구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즉, 조작자가 가이드 시스템 또는 각각의 검출 디바이스를 계량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 요소에 공구 없이 신속하게 장착하고 다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함이 있는 경우에, 검출 디바이스 또는 각각의 계량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능력을 특히 신속히 재수립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시스템을 상기 계량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 상에 예를 들어 바이스 방식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신속 결합 장치는 가이드 구멍, 가이드 핀(guide pin), 나사의 나사산, 및 나사(screw)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공구 없이 나사 연결 및/또는 클램핑 연결을 쉽게 풀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특히 널링 나사(knurled screw)가 바람직하다. 핀 및 포획 구멍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노즐 오리피스 영역이 노즐 오리피스에 정확히 위치 설정되는 것을 통해 형상 맞춤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거나 또는 각각 나사산과 나사가 적절히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가상) 노즐 오리피스 영역이 노즐 오리피스에 정확히 위치 설정되는 것을 통해 나사 연결 또는 클램핑이 발생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클램핑 장치 형태로 실현하기 위한 신속 결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holding element), 예를 들어, 클램핑 죠(clamping jaw), 유지 핑거(retaining fing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시스템은 예를 들어 클램핑 죠 등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분 또는 재료 블록의 일부를 특정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 시스템은 나사 또는 다른 체결 요소를 조이는 것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 요소로 클램핑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신속 결합 장치를 갖는 가이드 시스템의 일부는 계량 시스템의 구조 또는 각각 그 구성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디바이스는 노즐로부터 나오는 점적을 검출하기 위한 점적 검출 장치로서 구성된다. 또한 검출 디바이스는 다음 특징, 즉
- 한정된 펄스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열된 신호 송신 유닛;
- 검출될 점적과 반송파 신호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통해 변조된 측정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열된 변조 유닛; 및
-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한정된 펄스 주파수를 고려하여, 점적이 노즐로부터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열된 평가 유닛을 갖는다.
상기 점적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점적의 전달이 노즐의 점적 전달 제어와 동기화된 한정된 시간 창(time window)에서 체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점적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 신호의 진폭 복조 및/또는 측정 신호의 직교 복조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복조 유닛을 갖는다.
상기 평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변조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의 진폭 및/또는 위상의 양을 결정하도록 배열된 변조 값 결정 유닛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조 값 결정 유닛은 진폭의 양의 시간 미분을 포함하는 진폭 미분 값(dA/dt), 및/또는 변조 신호의 위상의 시간 미분을 포함하는 위상 미분 값(d
Figure pct00001
/dt)을 결정하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시간 간격에서 미리 결정된 수의 진폭 미분 값(dA/dt)은 진폭 비교 값과 결합되고 및/또는 미리 결정된 수의 위상 미분 값(d
Figure pct00002
/dt)은 위상 비교 값에 결합되고, 또는 고정된 시간 간격에서 진폭 미분 값(dA/dt)의 미리 결정된 수의 최대값이 진폭 비교 값에 결합되고 및/또는 위상 미분 값(d
Figure pct00003
/dt)의 미리 결정된 수의 최대값은 위상 비교 값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평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진폭 비교 값 및/또는 위상 비교 값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가 점적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열된 검출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검출 필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진폭 기준 값으로부터 변조 값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진폭 비교 값의 상대 편차를 결정하고, 및/또는 위상 기준 값으로부터 변조 값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위상 비교 값의 상대 편차를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적 검출 장치는 기준 값 저장 장치를 갖고, 여기서 이전에 검출된 변조 신호의 복수의 진폭 비교 값으로부터 형성된 진폭 기준 값 및/또는 이전에 검출된 변조 신호의 복수의 위상 비교 값으로부터 형성된 위상 기준 값이 변수 기준 값으로서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 필터 유닛은 진폭 기준 값으로부터 진폭 비교 값의 결정된 상대 편차 및/또는 위상 기준 값으로부터 위상 비교 값의 결정된 상대 편차가 상대적 하한 및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열되고, 또는 각각 검출 필터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진폭 비교 값의 편차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절대 진폭 기준값이 미리 결정된 절대 진폭 기준값 간격 내에 있는지 및/또는 위상 비교 값의 편차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절대 위상 기준값이 미리 결정된 절대 위상 기준값 간격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조 유닛은 광 방출 유닛 및 광 센서 유닛 및/또는 용량성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송신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반송파 신호로서 직사각형 신호를 생성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로부터 나오고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점적을 검출하는 검출 디바이스는 다음 요소, 즉
- 점적의 궤적이 이어지는 중간 공간에서 서로 양쪽에 배열된 제1 광 도파로 및 제2 광 도파로를 갖는 신호 전도체로서의 광 도파로 장치로서, 상기 제1 광 도파로로부터 방출된 광 빔이 점적의 궤적을 횡단하고 이후 상기 제2 광 도파로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기 광 도파로 장치;
- 반송파 주파수로 펄싱된 광빔을 제1 광 도파로에 결합시키기 위한 광 신호 송신 유닛; 및
- 점적이 노즐로부터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광 도파로에 결합된 광빔을 평가하기 위한 광 평가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 도파로는 여기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광 도파로의 제1 단부는 상기 광 신호 송신 유닛의 광 광출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광 도파로의 제2 단부는 모니터링될 중간 공간으로 방출 창(emission window)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광 도파로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광 도파로의 제1 단부는 모니터링될 중간 공간으로 검출 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 도파로의 제2 단부는 상기 광 평가 장치의 센서 장치와 결합된다.
상기 광 도파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 도파로로부터 펄스 광 빔이 점적에 직접 도달하고, 점적에 의해 변조되고, 상기 제2 광 도파로에 직접 결합되도록 노즐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광 도파로 및 상기 제2 광 도파로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도파로 및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1 광 도파로 및/또는 상기 제2 광 도파로의 한정된 유효 단면적이 각각의 계량 프로세스의 함수로서 제공되도록, 특히 예상되는 점적 크기의 함수로서 제공되도록 노즐에 대해 (또는 각각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대해) 위치된다.
상기 광 평가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펄스 광 빔의 한정된 반송파 주파수를 고려하여 점적이 노즐로부터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점적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펄스 광 빔에 기초하여 검출된 변조된 측정 신호의 진폭 복조 또는 직교 복조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복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광 평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변조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의 진폭 및/또는 위상의 양을 결정하도록 배열된 변조 값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방출 장치는 펄스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및 위상을 관련 정도로 변경하지 않고 펄스 전기 신호를 광파로 변환하도록 배열된다(상기 참조).
상기 광 신호 송신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펄스 광 빔의 광 펄스의 펄스 폭을 선택하는 것을 통해 펄스 광 빔의 휘도를 조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검출 장치는 DE 10 2015 117 246 및 DE 10 2015 117 248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또는 각각의 신호 전도체(예를 들어, 광 전도체)는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가이드 덕트를 통해 노즐 오리피스로 안내된다.
도입된 신호 전도체가 없는 배열에서, 가이드 덕트는 이 신호 전도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다시 설명된다. 여기서,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축척에 맞지 않는다. 다음 도면이 각각 도시된다.
도 1은 바람직한 검출 디바이스에서 바람직한 가이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가이드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계량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다른 상세도로서, 계량 디바이스 상에 가이드 시스템을 배열하기 위한 신속 결합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신속 결합 장치의 클램핑 죠에 관한 다른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가이드 덕트의 만곡부의 바람직한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계량 디바이스 상의 가이드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가이드 덕트의 만곡부의 다른 바람직한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바람직한 검출 디바이스(3)에서 가이드 시스템(1)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계량 디바이스(2)의 일부인 노즐(4)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8의 도움으로 나중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4)에 의해, 예를 들어, 계량 물질(23)(도 2 참조) 또는 매체, 예를 들어, 접착제의 점적이 분사되거나 각각 계량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은 아래에서부터 노즐(4)을 본 것으로, 분사된 점적은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데, 즉 방출 방향(R)은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밖을 향한다. 이 도면은 단지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들의 기능 및 서로에 대한 배열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개별 구성 요소의 길이와 형상은 이 도면에서 현실적인 것은 아니다.
노즐(4)은 매체가 노즐을 떠나는 곳인 노즐 오리피스(5)를 갖는다. 노즐 오리피스(5)의 위치에서 가이드 시스템(1)의 (단지 가상)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이 배열되고, 이 노즐 오리피스 영역은, 노즐(4)이 없는 경우, 그리하여 예를 들어, 가이드 시스템(1)이 계량 시스템(2)에 배열되지 않은 경우, 가이드 덕트(7)에 대한 기준 영역을 나타낸다. 가이드 덕트(7)는 서로 반대쪽에 놓인 양측에 배열되고, 이 가이드 덕트는 나중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파이프 내에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재료 블록에서 밀링된 부분일 수 있다.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9)은 각 가이드 덕트(7)의 중심에 위치된다.
도 1에서는 2개의 가이드 덕트(7)가 노즐 오리피스(5) 또는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정확히 직경 방향으로 서로 정반대쪽에 각각 놓인 배열을 볼 수 있다. 2개의 중심축(9)은 여기서 공통 직선(G)으로 가이드 덕트(7)의 단부들 사이에 이어지고, 각각 반대쪽에 있는 가이드 덕트(7)의 중심과 만난다. 이 직선(G)은 방출 방향(R)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진다.
노즐(4)까지 연장되는 신호 전도체(8)는 가이드 덕트(7) 내에 도입된다. 신호 전도체는 노즐(4)에서 가이드 덕트(7)와 동일 높이로 종료될 수 있지만, 또한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신호 전도체는 또한 노즐 오리피스(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신호 전도체(8)들은 가이드 시스템(1)과 함께(또는 각각 가이드 시스템의 일부로서), 만약 적용 가능하다면, 고정 요소(10), 신호 송신 유닛(11), 신호 수신 유닛(12) 및 신호 평가 유닛(13)과 함께 바람직한 검출 디바이스(3)(또는 각각 검출 시스템(3))를 구성한다. 도 1은 검출 디바이스(3)를 매우 대략적으로만 스케치한 것임이 주목된다. 실제로, 전자 요소를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더 멀리 배열하고, 가이드 덕트(7) 및 신호 전도체(8)를 더 길게 구성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도 2는 노즐 오리피스(5)를 갖는 노즐(4)을 구비한 바람직한 계량 디바이스(2)를 도시한다. 노즐(4)은 예를 들어 원하는 방식으로 각각 노즐(4) 또는 노즐 오리피스(5)를 개폐하기 위해 또는 각각 작은 점적 형태로 원하는 방식으로 계량 물질을 토출하기 위해 실제 노즐 메커니즘이 위치된 노즐 블록(40)에 위치된다. 이 노즐 블록은 제어 블록(41)에 플랜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 제어 블록에서 제어 메커니즘이 노즐 블록(40)의 폐쇄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해 배열된다. 제어 메커니즘의 작동은 예를 들어 유압식, 공압식, 압전 요소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계량 물질은 라인(42)(도 2에는 도시되지 않고, 도 8 참조)을 통해 노즐(4)에 공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노즐(4)을 갖는 대응하는 계량 디바이스(2)는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적합한 계량 디바이스의 일례를 단순히 예시하기 위해, DE 10 2011 108 799 A1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계량 디바이스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시스템(1)은, 가이드 시스템(1)의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이 노즐 오리피스(5)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도 2에 도시된 계량 디바이스(2) 상에 배열된다. 노즐(4)에 근접하여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14)이 위치되고, 이 단부 영역은 동시에 또한 신호 전도체(8), 여기서 광 전도체(8)의 단부 영역에 대응한다. 이 단부 영역들은 다시 여기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다.
계량 디바이스(2)의 하부 부분에서, 가이드 덕트(7)는, 도 3의 도움으로 나중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 15o) 또는 각각 재료 블록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재료 블록(15)에서 밀링된 부분 또는 다르게 생성된 리세스로서 구현된다.
가이드 덕트(7)는 여기서 만곡부를 따라 상방으로, Z-좌표 방향으로, 또는 각각 방출 방향(R)과는 반대 방향으로 결합점(24)까지 이어진다. 이 결합점(24)으로부터 광 전도체(8)가 종래의 케이싱(M)의 절연체가 미리 박리된 후 또는 그 케이싱이 가이드 덕트에서 이어지는 하부 단부 부분에서 각각 제거된 상태에서 도입될 수 있다. 절연체를 박리하는 것은 여기서, 노즐 오리피스 영역(6)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가이드 덕트(7) 부분, 즉 가이드 덕트(7)의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부분에서, 광 전도체 케이싱(M)의 일부가 바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일어난다. 이후, 광 전도체(8)는 거기에 클램프(17K)에 의해 광 전도체 케이싱(M)과 고정되어 스트레인 릴리프(1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클램프(17K)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 전도체 케이싱(M)은 또한 재료 블록(15)으로부터 다시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 전도체(8)를 교환하거나 세정하기 위해 광 전도체(8)와 함께 가이드 시스템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장착된 푸시 버튼(17K)으로 구현된 이 클램프(17K)는 이 푸시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이 푸시 버튼(17K)은 배리어(barrier)(18)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배리어는 여기서 각각 핀(18)으로 구성되고, 이 핀은, 가이드 덕트(7)에 평행하고 클램프(17K) 영역에서 이어지는 보어 내로 삽입된다.
가이드 시스템(1)은 도 5 및 도 6의 도움으로 나중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신속 결합 장치(28)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2)의 구성 요소(40, 41), 예를 들어, 노즐 블록(40) 및/또는 제어 블록(41)과 클램핑 형태로 연결된다. 신속 결합 장치(28)는 널링 나사(19)에 의해 공구 없이 작동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3은 세그먼트화된 재료 블록(15)을 갖는 도 2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1)을 도시한다. 도 3의 재료 블록(15)의 하부 부분(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에서 가이드 덕트(7)를 볼 수 있고, 이 가이드 덕트는 이 재료 블록(15)의 두 부분 형태에서 밀링된 부분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 및 또한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는 모두 하부 L 레그(leg)(15L) 및 상부 L 레그를 갖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하부 L 레그는 계량 디바이스(2)에 장착된 상태에서 노즐 오리피스(5)가 위치된 계량 디바이스(2)의 하부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부 L 레그는 가이드 시스템(1)이 장착된 계량 디바이스(2)의 전방측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는, "L"의 외부 윤곽이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의 "L"의 내부 윤곽에 적응되어,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가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의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의 하부, 전방 부분 또는 각각 하부 L 레그(15L)에서 원형 리세스를 볼 수 있는데, 그 중심에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이 그려진다. 거기에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이 위치된다.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의 상부 영역 또는 각각 상방을 향하는 L 레그에는 2개의 측방 부분에서 2개의 큰 구멍을 볼 수 있는데, 이 2개의 큰 구멍에는 또한 광 전도체(8)가 위로부터 공급되고, 이 2개의 큰 구멍에는 스트레인 릴리프(17)의 클램프(17K)(도 2 및 도 4 참조)가 도입될 수 있으며, 또 하부 부분에는 3개의 구멍(20G, 20F)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이들 구멍은 나중에 더 설명될 신속 결합 장치(28)를 실현하는 기능을 한다.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 15o)를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서로 장착하는 기능을 하는 다른 구멍들을 이 재료 블록 세그먼트에서 더 볼 수 있는데, 이는 상세히 더 설명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의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에서 하부 L 레그(15L)의 리세스에 위치된 노즐 오리피스 영역(6), 및 광 전도체(8)가 이어지는 밀링된 가이드 덕트(7)를 볼 수 있다. 이 광 전도체(8)는 반드시 가이드 시스템(1)의 일부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나, 명확히 가이드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삽입된 광 전도체(8)의 케이싱(M)이 각각 종료되는 클램프(17K)를 위한 구멍을 볼 수 있다. 이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에서는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반대쪽에 놓인,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14)을 더 볼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시스템(1)의 다른 개별 상세를 도시하는데, 즉,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덕트(7) 내에 배열된 2개의 광 전도체(8), 스트레인 릴리프(17)의 다양한 개별 요소(17K, 17F, 18), 및 널링 나사(19)를 갖는 이미 언급된 신속 결합 장치(28)의 이동 클램핑 죠(29)를 도시한다.
여기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 전도체(8)는 상부 영역에서는 여전히 케이싱(M)이 제공되고, 하부 영역에서는 케이싱(M)이 이미 제거되어 있어서, 이에 의해 광 전도체(8)는 가이드 덕트(7)를 통해 푸시될 수 있다. 신호 전도체(8)의 단부 영역(14)은 도 3의 재료 블록에 삽입될 때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에 대응한다.
도 3의 함께 결합된 재료 블록 세그먼트에서 발견되는 스트레인 릴리프(17)의 클램프(17K) 및 배리어(18)들 중 하나의 배리어를 여기서 또한 쉽게 볼 수 있다. 클램프(17K)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조작자가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해 가압할 수 있는 압력 표면 아래에 2개의 원주 방향 그루브(groove)(17S, 17L)를 갖는 핀 형태의 푸시 버튼(17K)으로 각각 구성된다. 푸시 버튼(17K)은 스프링(17F)에 대항하여 각각 재료 블록(15)의 대응하는 리세스 내로 미리 응력이 가해진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 스프링(17F)에 의해, 푸시 버튼(17K)은 재료 블록(15)의 리세스로부터 다시 밖으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버튼은 (압력 표면 바로 아래) 상부 고정 그루브(17S)에 맞물리는 배리어(18)로서 기능하는 핀(18)에 의해 재료 블록(15)의 리세스 내에 고정되고, 이 핀은 가이드 덕트(7)와 평행한 대응하는 보어에 삽입된다. 이 상부 고정 그루브(17S)로 이어지는 제2 신호 전도체 그루브(17L)는 푸시 버튼(17K)이 스프링(17F)에 의해 상부 고정 그루브(17S)에 배열된 핀(18)으로 가압될 때 가이드 덕트(7)에 삽입된 광 전도체(8)가 신호 전도체 그루브(17N)에서 케이싱(M)과 단단히 클램핑되도록 가이드 덕트(7)의 영역에 배열된다. 광 전도체(8)를 해제하려면, 푸시 버튼(17K)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조작자에 의해 약간 가압되기만 하면 한다. 이 메커니즘은 재료 블록(15)에서 광 전도체(8)의 충분한 스트레인 릴리프를 달성하는데 특히 편리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가이드 시스템(1)은 도구 없이 계량 디바이스(2)와 결합하기 위해, 여기서는 실제로 노즐 블록(40)에 결합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신속 결합 장치(28)를 구비한다. 이 신속 결합 장치(28)는 도 5 및 도 6의 도움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이를 위해 도 3과 유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즉 계량 디바이스(1)(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보았을 때, 2개의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 15o)가 조립된 상태에 있는 가이드 덕트(7)를 갖는 재료 블록(15), 및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덕트(31)에서 클램핑 방향(K)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된 이동 클램핑 죠(29)를 도시한다. 이 가이드 덕트(31)는 클램핑 방향(K)에 수직으로 놓인 클램핑 죠(29)의 단면에 적응된 공동(cavity)으로 형성되고, 이 공동은 들어오는 신호 전도체(8)를 향하는 재료 블록(15)의 상부측(도 3 및 도 5에서 상기 배열된 측)에 위치된다. 이 공동은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의 상부 L 레그의 단부에 배열된 전방 벽(32)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2)를 향하는 측, 및 들어오는 신호 전도체(8)를 향하는 하부 물질 블록 세그먼트(15u)의 상부 L 레그로 형성된 후방 벽(33)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2)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측으로 한정된다(또한 이런 점에서 도 3 참조).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의 상부 L 레그에 광 전도체(8)를 공급하기 위해 전방 벽(32)과 2개의 측방 부분 사이에는 2개의 가이드 슬롯(34)이 2개의 유지 핑거(29a, 29b) 또는 클램핑 죠(29)의 각 유지 걸이부(retaining claw)를 위해 위치되고,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도 6은 널링 나사(19)를 갖는 해제된 클램핑 죠(29)를 다시 한번 도시하는데, 여기서, 널링 나사는 클램핑 죠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클램핑 죠(29)를 관통하여 위에서부터 아래로 (여기서 광 전도체(8)의 상부 부분에 평행하게) 이어져서, 널링 나사(19)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이 클램핑 죠(29)로부터 하방으로 밖으로 튀어 나오고 널링 휠이 널링 나사(19)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부 측(상부 단부)에 위치된 것을 도시한다. 2개의 가이드 핀(20a)은 여기서 클램핑 죠(29)의 하부측으로부터 널링 나사(19)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이드 덕트(31)를 형성하는, 재료 블록(15)의 공동의 베이스에서, 널링 나사(19)의 나사산이 끼워지기 위한 나사산 형성된 구멍(20G)(또는 각각 나사산 형성된 보어) 및 이에 인접해서 가이드 핀(20F)이 끼워지기 위한 2개의 가이드 구멍(20F)(또는 각각 가이드 보어)이 대략 중심에 도입된다. 나사산 형성된 구멍(20G) 및 또한 가이드 구멍(20F)은 모두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를 관통 이어지고,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로 이어지는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를 관통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 형성된 구멍(20G)의 나사산은, 널링 나사(19)의 나사산 형성된 부분이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o)의 나사산 형성된 구멍(20G)의 상부 부분을 통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15u) 내에만 위치된다.
따라서 널링 나사(19)를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핑 죠(29)는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채널(31) 내에서 상부 L 레그에 평행하게 클램핑 방향(K)으로, 즉 재료 블록(15)의 하부 L 레그(15L)의 방향으로 매우 정밀하고 미세하게 전후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널링 나사(19)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통해, 클램핑 방향(K)으로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가이드 핀(20F)과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 구멍(20F)은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덕트(31)에서 클램핑 죠(29)를 정확히 평행하게 안내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클램핑 죠(29)는 유지 핑거(29a, 29b)를 갖고, 이 유지 핑거는 재료 블록(15)의 하부 L 레그(15L)의 단부측 코스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덕트(31)로부터 밖으로 하부 재료 블록(15)의 가이드 슬롯(34)을 통해 튀어 나온다. 따라서, 고정 클램핑 죠(또는 재료 블록(15)에 대해 각각의 정지 카운터-클램핑 죠)를 형성하는, 재료 블록(15)의 하부 L 레그(15L)와 이동 클램핑 죠(29)의 유지 핑거(29a, 29b) 사이에는 클램핑 메커니즘이 바이스(vice)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에 널링 나사(19)를 조이는 것에 의해 계량 디바이스(2)의 일부, 여기서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블록(40)이 이들 사이에 단단히 클램핑될 수 있고, 전체 가이드 시스템(1)이 계량 디바이스(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경우에서, 2개의 유지 핑거(29b)는 위로부터 노즐 블록(40)에 맞물리고, 여기서 유지 핑거들 중 하나(29a)는 노즐 블록(40)과 제어 블록(41) 사이의 슬롯(43)(도 2 또는 8에서 볼 수 있음)에 삽입된다. 하부 L 레그(15L)는 여기서 아래에서부터 노즐 블록(40)으로 카운터-클램핑 죠로서 가압되고, 여기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은 자동으로 노즐 오리피스(5)에 맞춰지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하나의 유지 핑거(29a)는, 노즐 블록(40)과 제어 블록(41) 사이의 전술된 슬롯(43)에 끼워지도록 비교적 얇게 구현되고, 다른 유지 핑거(29b)는 형상 맞춤 방식으로 노즐 블록(40)의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얇은 유지 핑거(29a) 쪽으로 이동 클램핑 죠(29)의 재료는 경사져 있다. 경사부(30)는 제어 블록의 주어진 형태를 수용한다.
이 신속 결합 장치(28)에 의해, 널링 나사(19)를 간단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클램핑이 조여지거나 해제되어서 가이드 시스템(1)이 신속히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시스템(1)을 계량 디바이스(2)에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보장되고 또한 가이드 시스템(1)을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가이드 덕트(7)의 만곡부(21, 21a)의 바람직한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만곡부 안내는 도 2 내지 도 4의 도움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만곡부 안내에 대응한다. 가이드 덕트(7)가 도시되고, 그 단부 영역(14)은 이 도면에서 하부에서 볼 수 있고, 그 상부 단부는 신호 전도체를 도입하기 위해 개방된다. 중심축(9)은 가이드 덕트의 중심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하부에서, 가이드 덕트(7)는 계량 디바이스에서 가이드 덕트의 배열 시 점적의 방출 방향에 직교하게 유지되는 먼저 제1 공간 평면(25)에서 먼저 만곡부(21)로 단부 영역(14) 쪽으로 이어진다. 가이드 덕트(7)의 코스 및 그리하여 그 중심축(9)의 코스는 여기서 90°에 대응하는 각도(α)만큼 이 만곡부에서 변한다. 다른 코스에서, 가이드 덕트(7)는 다른 공간 평면(26)에서 다른 만곡부(21a)에서 구부러지고, 여기서 이 다른 공간 평면(26)은 여기서 90°에 대응하는 제1 공간 평면(25)에 대해 각도(γ)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2개의 공간 평면(25, 26)은 서로 직교하게 유지된다. 가이드 덕트(7)의 코스 및 그리하여 또한 그 중심축(9)의 코스는 여기서 다시 90°에 대응하는 각도(β)만큼 이 다른 만곡부(21a)에서 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덕트(7)의 정렬은 단부 영역(14)에서의 수평 배향으로부터 2개의 만곡부(21, 21a)에 의해 수직 방향의 정렬로 변한다.
도 8은 가이드 시스템(1)을 계량 디바이스(2) 상에 배열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이것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계량 디바이스(2)일 수 있다. 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 덕트는 여기서 재료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파이프(16)로 형성된다. 이 파이프(16)는 안정화 요소(22) 및 안정화 판(27)에 의해 더 안정화될 수 있다. 하부 부분에서, 분사된 점적(23)이 이동하는 결과적인 분사 방향(R)은 Z-축과 반대 방향으로 도시된다.
안정화 요소(22)는 동시에 스트레인 릴리프의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전도체의 케이싱(M)은 여기서 다시 클램핑될 수 있다.
파이프(16)는 또한 여기서 바로 노즐(4)에서 끝나고, 이 가이드 덕트의 단부 영역(14)들은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4)의 노즐 오리피스(5)의 양쪽에 위치된다. 파이프의 상부 부분에는 고정 요소(10)가 도시되고, 이 고정 요소에 의해 검출 디바이스의 측정 유닛이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연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작 부분과 단부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마지막으로 가이드 덕트(7)의 만곡부(36, 36a)의 다른 바람직한 배열을 도시한다. 이 만곡부 안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지 최대 약 0.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3 mm의 코어 직경, 및 약 0.7 mm의 외부 직경을 갖는 특히 미세한 유리 섬유 케이블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 덕트는 마찬가지로 대략 0.7 mm의 내부 직경을 갖는다. 유리 섬유는 여기서 일측 방향으로부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으로 각각 공급된다. 여기서도, 가이드 덕트(7)는 각각 재료 블록(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되지만, 이 재료 블록은, 비교적 편평하고,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인접한 양측에서 노즐 블록 아래에 떨어져 연장되도록 구성된다(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다른 가이드 시스템에서 도 8에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덕트(7)를 노즐 블록의 밑면을 따라 가능한 한 가깝게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덕트(7)는 각각 공통의 공간 평면(35)에서 연장되는, 서로 인접한 각각 2개의 인접한 만곡부(36, 36a)를 갖는 약간의 또는 각각 편평한 S자 곡선형 만곡 코스를 갖는다. 이 만곡부(36, 36a)의 각도(δ)는 각각 약 16.5°이고, 만곡부(36, 36a)는, 만곡 코스 전후에 가이드 덕트(7)의 중심축(9)이 공간 평면(35) 내에서 약간만 오프셋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정반대쪽으로 이어진다. 다시 말해, 가이드 덕트(7)는 노즐 블록 아래에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해 측방으로 근접하게 이어지고, 노즐 오리피스 영역(6) 직전에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이어져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해 노즐 블록의 밑면에 평행하게 계속 이어지지만, 노즐 블록으로부터 약간 더 먼 거리로 이어진다. 가이드 덕트의 길이는 약 1 cm이다. 예를 들어, 최종 0.5 cm에서, 광 전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에 클램핑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임이 다시 한번 주목된다. 예를 들어, 신속 결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가이드 시스템을 계량 디바이스에 나사로 고정하는 데 직접 사용되는 예를 들어 널링 나사 또는 등으로 클램핑함이 없이 실현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메커니즘으로 클램핑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단수형 요소의 언급은 각각의 특징이 또한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유닛"이라는 용어는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공간적으로 분리된 여러 개의 하위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1: 가이드 시스템
2: 계량 디바이스
3: 검출 디바이스
4: 노즐
5: 노즐 오리피스
6: 노즐 오리피스 영역
7: 가이드 덕트
8: 신호 전도체/광 전도체
9: 중심축
10: 고정 요소
11: 신호 송신 유닛
12: 신호 수신 유닛
13: 신호 평가 유닛
14: 단부 영역
15: 재료 블록
15L: 하부 L 레그
15u: 하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
15o: 상부 재료 블록 세그먼트
16: 파이프
17: 스트레인 릴리프
17K: 클램프/푸시 버튼
17F: 스프링
17L: 신호 전도체 그루브
17S: 고정 그루브
18: 배리어/핀
19: 널링 나사
20a: 가이드 핀
20G: 나사산 형성된 구멍
20F: 가이드 구멍
21, 21a: 만곡부
22: 안정화 요소
23: 계량 물질
24: 결합점
25: 공간 평면
26: 공간 평면
27: 안정화 판
28: 신속 결합 장치
29: 이동 클램핑 죠
29, 29a: 유지 핑거
30: 경사부
31: 가이드 덕트
32: 전방 벽
33: 후방 벽
34: 가이드 슬롯
35: 공간 평면
36, 36a: 만곡부
40: 노즐 블록
41: 제어 블록
42: 라인
43: 슬롯
G: 직선
M: 신호 전도체 케이싱
K: 클램핑 방향
R: 방출 방향
α, β, γ: 각도
δ: 각도

Claims (15)

  1.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나오는 계량 물질(23)을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3)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1)으로서, 상기 노즐 오리피스(5)에 배열되기 위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은 상기 가이드 시스템(1)과 관련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은 신호 전도체(8)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7)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15, 16)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하는, 상기 2개의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14)들은,
    - 상기 가이드 덕트의 중심축(9)에 대해 실질적으로, 서로 공통 직선(G) 상에 배열되고,
    -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서로 양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7)는, 길이에 걸쳐 적어도 상기 단부 영역(14)까지, 바람직하게는 정다각형, 타원 또는 원의 형상을 갖는 일정한 단면을 갖고, 상기 가이드 덕트(7)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전도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가이드 덕트(7)의 적어도 일부는 재료 블록(15)에 리세스(recess)로서 형성되고,
    및/ 또는
    - 가이드 덕트(7)의 적어도 일부는 파이프(16) 내에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상기 재료 블록(15) 및/또는 상기 파이프(16)는 상기 가이드 덕트(7)의 벽 상에 코팅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 블록(15) 또는 파이프(16)의 베이스 재료보다 더 낮은 마찰 저항 및/또는 더 큰 경도를 갖는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덕트(7)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상기 단부 영역(14)이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덕트(7)가 또한 변형되지 않도록 자체적으로 안정화되고 및/또는 다수의 안정화 요소(22, 27)에 의해 안정화되어 있고,
    가이드 덕트(7)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정되어 있어서, 적어도 상기 단부 영역(14)에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0.1 N의 측방력이 있는 경우 1 mm 이하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가이드 덕트(7)의 상기 단부 영역(14)들이 상기 중심축(9)에 대해 놓이는 상기 공통 직선(G)은 상기 노즐(4)에서 나오는 물질(23)이 방출되는 의도된 방출 방향(R)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7) 내에 배열된 신호 전도체(8)를 포함하고,
    신호 전도체(8)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특성, 즉
    - 0.2 mm 내지 2.5 mm의 외부 직경,
    - -65 ℃ 내지 125 ℃의 허용 동작 온도,
    - 650 nm의 파장에서 400 dB/km 미만의 최대 감쇠, 및
    - 0.3 내지 0.7의 개구수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광 도파로가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덕트(7)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부 영역(14)에서, 의도된 대로 사용된 상기 신호 전도체(8)의 외부 직경보다 0.01 mm를 초과하여 더 큰 내부 직경을 갖고, 상기 가이드 덕트(7)의 바람직한 내부 직경은 0.1 mm보다 더 크고 및/또는 10 mm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덕트(7)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부 영역(14)에서, 의도된 대로 사용된 상기 신호 전도체(8)의 외부 직경보다 1 mm 미만으로 더 큰 내부 직경을 갖고,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7)의 단부 영역(14)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센티미터 범위 내에, 그 벽의 내부 측에 탄성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7)의 내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의도된 상기 신호 전도체(8)의 외부 직경에 최대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송신 유닛(11)과 신호 수신 유닛(12)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 요소(1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송신 유닛(11)과 상기 신호 수신 유닛(12)이 상기 가이드 덕트(7)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신호 전도체(8)에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 덕트(7)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10.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나오는 물질(23)을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3)를 위한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1)으로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5) 상에 배열되기 위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신호 전도체(8)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7)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15, 16)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덕트(7)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공간 평면(35)에 또는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2개의 공간 평면(25, 26)에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만곡부(21, 21a, 36, 36a)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공간 평면(25, 26)은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35°의 각도(γ)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1, 21a, 36, 36a)에서 각각 상기 가이드 덕트(7)의 중심축(9)의 코스는 15° 내지 135°의 각도(α, β, δ)에서 변하고,
    및/또는
    상기 만곡부(21, 21a)는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공간 평면(25, 26)에 놓여 있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7)의 상기 단부 영역(14)에 가장 가까이 놓여 있는 만곡부(21)는 상기 공통 직선(G)에 대해 또는 상기 노즐(4)로부터 나오는 물질(23)의 방출 방향(R)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최대 20° 각도로 정렬된, 바람직하게는 최대 15°의 각도로 기울어진 평면에서 이어지고, 이에 인접한 만곡부(21a)는 바람직하게 상기 방출 방향(R)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전도체(8)의 케이싱(M)을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덕트(7) 내에 배열된 신호 전도체(8)를 위한 스트레인 릴리프(17),
    및/또는
    계량 디바이스(2)의 다른 구성 요소(40)에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을 장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공구 없이 작동될 수 있는 신속 결합 장치(28)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량 시스템(2)의 상기 다른 구성 요소(40)에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시스템(1).
  13.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나오는 물질(23)을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3)로서, 상기 검출 디바이스(3)는 신호 송신 유닛(11), 신호 수신 유닛(12), 신호 평가 유닛(13),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디바이스(3).
  14. 노즐 오리피스(5)를 갖는 노즐(4),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1), 또는 제13항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3)를 포함하는 계량 디바이스(2).
  15.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로부터 나오는 물질(23)을 모니터링하는 검출 디바이스(3)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단계, 즉
    - 특히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1)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계량 디바이스(2)의 노즐 오리피스(5)에 배열되기 위한 노즐 오리피스 영역(6)은 상기 가이드 시스템(1)과 관련되고,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은 신호 전도체(8)를 상기 노즐 오리피스 영역(6)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덕트(7)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 몸체(15, 16)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시스템(1)을 제공하는 단계;
    - 적어도 두 개의 신호 전도체(8)를 상기 가이드 시스템의 상기 가이드 덕트(7) 내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노즐(4)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신호 전도체(8)들 중 하나의 신호 전도체의 단부를 신호 송신 유닛(11)에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노즐(4)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상기 신호 전도체(8)들 중 다른 신호 전도체의 단부를 신호 수신 유닛(12)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KR1020197027561A 2017-02-24 2018-02-22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KR201901213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3876.0 2017-02-24
DE102017103876.0A DE102017103876A1 (de) 2017-02-24 2017-02-24 Führungssystem für Detektionsvorrichtungen
PCT/EP2018/054406 WO2018153997A1 (de) 2017-02-24 2018-02-22 Führungssystem für detektionsvorricht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340A true KR20190121340A (ko) 2019-10-25

Family

ID=6138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61A KR20190121340A (ko) 2017-02-24 2018-02-22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58665A1 (ko)
EP (1) EP3585524A1 (ko)
JP (1) JP2020508211A (ko)
KR (1) KR20190121340A (ko)
CN (1) CN110366452A (ko)
DE (1) DE102017103876A1 (ko)
WO (1) WO2018153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8605B (zh) * 2023-11-23 2024-01-30 常熟理工学院 鲍登线传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811A (en) * 1973-06-04 1975-04-22 Nordson Corp Optical spray control system
US4255754A (en) * 1979-03-19 1981-03-10 Xerox Corporation Differential fiber optic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jet recorders
US4410895A (en) 1981-10-26 1983-10-18 Xerox Corporation Ink jet sensor method and apparatus
JPS6128478A (ja) * 1984-07-17 1986-02-08 Honda Motor Co Ltd 塗料吐出量制御装置
US4577197A (en) 1985-01-17 1986-03-18 Xerox Corporation Ink jet printer droplet height sensing control
BE1001659A6 (fr) * 1989-11-22 1990-01-23 Phyber Holdings Ltd Dispositif de formation de goutte liquide.
US5766959A (en) * 1996-05-24 1998-06-16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onent using a liquid film or droplet
US6457655B1 (en) * 1999-09-03 2002-10-01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adjusting a liquid spray pattern
JP3925862B2 (ja) * 2003-04-10 2007-06-06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素子モジュール
WO2005071454A1 (ja) * 2004-01-26 2005-08-04 Hitachi Chemical Co., Ltd. 曲線光導波路及び光学装置
JP3990693B2 (ja) * 2004-09-02 2007-10-17 横浜ゴム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および光ファイバーとフェルールとの接着方法
KR100760510B1 (ko) * 2006-05-26 2007-09-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회전체의 이상감지장치
EP1946843A1 (en) 2006-12-21 2008-07-23 Allegro Research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droplets
CN101642746A (zh) * 2008-08-06 2010-02-10 上海卫维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黑胶机定量出胶系统
DE102011108799A1 (de) 2011-07-29 2013-01-31 Vermes Microdispensing GmbH Dosiersystem und Dosierverfahren
US8944343B2 (en) * 2011-11-16 2015-02-03 Spraying Systems Co. Spraying system with flow sensing and monitoring device
GB201120769D0 (en) * 2011-12-02 2012-01-11 Biochrom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vices for recieving liquid samples
US8620124B1 (en) * 2012-09-26 2013-12-31 Corning Cable Systems Llc Binder film for a fiber optic cable
DE102015117246A1 (de) 2015-10-09 2017-04-13 Vermes Microdispensing GmbH Lichtleiteranordnung zur optischen Tropfendetektion
DE102015117248A1 (de) 2015-10-09 2017-04-13 Vermes Microdispensing GmbH Tropfendetektion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3997A1 (de) 2018-08-30
CN110366452A (zh) 2019-10-22
JP2020508211A (ja) 2020-03-19
DE102017103876A1 (de) 2018-08-30
US20190358665A1 (en) 2019-11-28
EP3585524A1 (de)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0275B2 (ja) 液体噴出パターン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643580A (en) Photometer head for small test volumes
US10414155B2 (en) Continuous ink jet print head with zero adjustment embedded charging electrode
US20160052012A1 (en) Combination nozzle and device for applying a viscous material to a component edge
CN105210459B (zh) 用于喷射小滴的方法和装置
CN102470670B (zh) 用于液体射流产生的液滴的轨迹的方向性检测装置、相关静电传感器、打印头和连续喷墨打印机
EP1985452B1 (en) Jetstack Plate to Plate Alignment
EP2162375B1 (en) Strand positioning guide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rand coating applicators
KR20190121340A (ko) 검출 디바이스를 위한 가이드 시스템
US20220219448A1 (en) Drop characteristic measurement
CN107667284B (zh) 用于光学测量装置的光学流动池
US11485632B2 (en) Modular 3-D printed devices for sample delivery and method
KR20230061089A (ko)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US7320443B2 (en) Airless atomizing nozzle
CN111036491B (zh) 密封材料喷出喷嘴和密封材料喷出装置
DE2922452C2 (de) Lasereinheit
KR20080101625A (ko) 레이저 가공 헤드에 절단 노즐을 고정하기 위한 정렬 모듈및 레이저 가공 헤드
CN211190630U (zh) 一种椭圆形喷雾的喷嘴
CN114962108A (zh) 对准系统和方法
US201303442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 component
CN117320816A (zh) 涂料剂导送装置、喷枪及组件
WO1989008560A1 (en) Continuous ink jet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