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89A -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089A
KR20230061089A KR1020210145978A KR20210145978A KR20230061089A KR 20230061089 A KR20230061089 A KR 20230061089A KR 1020210145978 A KR1020210145978 A KR 1020210145978A KR 20210145978 A KR20210145978 A KR 20210145978A KR 20230061089 A KR20230061089 A KR 2023006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tip
platform
unit
evaluation devic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희
김병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089A/ko
Publication of KR2023006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46Plug gauges for internal dimensions with engaging surfaces which are at a fixed distance, although they may be preadjustable
    • G01B3/50Plug gauges for internal dimensions with engaging surfaces which are at a fixed distance, although they may be preadjustable of limit-gauge type, i.e. "go/no-go"
    • G01B3/52Plug gauges for internal dimensions with engaging surfaces which are at a fixed distance, although they may be preadjustable of limit-gauge type, i.e. "go/no-go" preadjustable for wear or toler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스프레이 팁의 분사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프레이 팁의 제작 직후 측정된 상기 분사구의 최소 단면 영역보다 큰 단면 크기를 가지고, 상기 스프레이 팁의 하면에서 상기 최소 단면 영역까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APPARATUS FOR TESTING ABRASION OF PAINT SPRAY TIP}
본 발명은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장 작업에 사용되는 스프레이 장치, 예를 들어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스프레이 팁은 사용 시간에 따라 스프레이 팁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는 도료에 포함된 미세 입자에 의해 점차 마모되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분사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레이 팁이 사용 시간에 따라 점차 마모되면 도막 두께가 증가하는 등 도막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도장 작업 전 또는 도장 작업 중에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를 평가하여 적절한 시기에 스프레이 팁을 교체하여야 하지만, 종래에는 대부분 작업자가 도막 상태 등을 보고 임의로 판단하는 것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1772호(2007.09.12, 도장 팁의 평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모평가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스프레이 팁의 분사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프레이 팁의 제작 직후 측정된 상기 분사구의 최소 단면 영역보다 큰 단면 크기를 가지고, 상기 스프레이 팁의 하면에서 상기 최소 단면 영역까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이 팁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 팁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최소 단면 영역을 통과할 정도로 삽입되어야 상기 센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이 팁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마킹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마킹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상기 스프레이 팁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프레이 팁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레이 팁을 삽입부가 분사구에 최대한 삽입되도록 결합하였을 때에 스프레이 팁이 플랫폼에 접촉하게 되면 스프레이 팁의 교체 시기가 된 것, 즉 스프레이 팁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에 따른 도료 분사 폭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의 도면이고,
도 3은 및 도 4는 도 2의 마모도 평가 장치를 사용한 마모도 평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변형 예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마모도 평가 장치에서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의 도면이고, 도 3은 및 도 4는 도 2의 마모도 평가 장치를 사용한 마모도 평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10)는 플랫폼(100) 및 삽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스프레이 팁(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레이 팁(20)은 스프레이 장치, 예를 들어 스프레이 건의 일부 구성으로서, 도료가 토출되는 분사구(2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사구(21)의 최소 단면 영역(21a)이란 분사구(21)에서 단면 크기가 가장 작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부(110)는 플랫폼(10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스프레이 팁(20)의 분사구(21)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높이에 따라 단면의 형상과 크기가 일정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110)는 스프레이 팁(20)의 하면에서 최소 단면 영역(21a)까지의 제2 높이(H2)보다 큰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0)는 스프레이 팁(20)의 제작 직후 측정된 분사구(21)의 최소 단면 영역(21a)보다 큰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0)의 제1 직경(D1)은 스프레이 팁(20)의 제작 직후 측정된 최소 단면 영역(21a)의 제2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부(110)는 스프레이 팁(20)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되었을 때의 최소 단면 영역(21a)의 단면 크기와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레이 팁(20)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모도 평가 장치(10)에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부(110)가 최소 단면 영역(21a)에 걸려 스프레이 팁(20)이 플랫폼(10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없고, 스프레이 팁(20)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된 상태, 예를 들어 최소 단면 영역(21a)의 단면 크기가 삽입부(110)의 단면 크기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에서 마모도 평가 장치(10)에 결합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부(110)가 최소 단면 영역(21a)을 통과하여 스프레이 팁(20)이 플랫폼(10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스프레이 팁(20)과 플랫폼(100)의 상면 간의 접촉 여부만을 확인함으로써 스프레이 팁(20)의 마모도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00) 및/또는 삽입부(110)는 스프레이 팁(20)과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텅스텐 카바이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도 평가 장치(10)와 스프레이 팁(20)이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져 발생할 수 있는 평가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변형 예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마모도 평가 장치에서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10)는 센서부(200), 가이드부(300), 마킹부(400) 및/또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200)는 플랫폼(100) 상에 배치되어 스프레이 팁(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예를 들어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삽입부(110)에 결합되는 스프레이 팁(2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부(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레이 팁(20)은 삽입부(110)가 최소 단면 영역(21a)을 통과할 정도로 분사부(21)에 깊숙이 삽입되어야 센서부(200)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200)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되면 스프레이 팁(20)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200)는 삽입부(110)의 사방에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부(200)는 모든 접촉 센서에서 감지 신호가 생성되어야 스프레이 팁(20)이 교체할 정도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플랫폼(10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삽입부(110)에 결합되는 스프레이 팁(2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10)와 분사구(21) 간의 정렬 및 스프레이 팁(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킹부(400)는 플랫폼(100) 상에 배치되어 스프레이 팁(20)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부(400)는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 스프레이 팁(20)의 측면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서부(200)에서 생성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스프레이 팁(20)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도록 마킹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스프레이 팁(20)이 교체 또는 폐기 대상에 해당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스프레이 팁(20)이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스프레이 팁(20)이 스프레이 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마모도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레이 팁(20)을 스프레이 건의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캡의 플랫폼(100)에 대한 접촉 여부로 스프레이 팁(20)의 마모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마모도 평가 장치 20: 스프레이 팁
21: 분사구 21a: 최소 단면 영역
100: 플랫폼 110: 삽입부
200: 센서부 300: 가이드부
400: 마킹부 500: 제어부

Claims (5)

  1.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스프레이 팁의 분사구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프레이 팁의 제작 직후 측정된 상기 분사구의 최소 단면 영역보다 큰 단면 크기를 가지고, 상기 스프레이 팁의 하면에서 상기 최소 단면 영역까지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이 팁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 팁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최소 단면 영역을 통과할 정도로 삽입되어야 상기 센서부에 접촉할 수 있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레이 팁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마킹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마킹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상기 스프레이 팁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프레이 팁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KR1020210145978A 2021-10-28 2021-10-28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KR20230061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8A KR20230061089A (ko) 2021-10-28 2021-10-28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78A KR20230061089A (ko) 2021-10-28 2021-10-28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89A true KR20230061089A (ko) 2023-05-08

Family

ID=8638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978A KR20230061089A (ko) 2021-10-28 2021-10-28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0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0819A (zh) * 2024-01-17 2024-02-20 武汉特种工业泵厂有限公司 一种贯流泵生产用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772A (ko) 2006-03-07 2007-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장 팁의 마모 평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모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772A (ko) 2006-03-07 2007-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장 팁의 마모 평가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모평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70819A (zh) * 2024-01-17 2024-02-20 武汉特种工业泵厂有限公司 一种贯流泵生产用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7570819B (zh) * 2024-01-17 2024-04-05 武汉特种工业泵厂有限公司 一种贯流泵生产用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0275B2 (ja) 液体噴出パターン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7868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jetting droplets
CN102470670B (zh) 用于液体射流产生的液滴的轨迹的方向性检测装置、相关静电传感器、打印头和连续喷墨打印机
US8465792B2 (en) Monitor system for coating apparatus
US10048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part
KR20230061089A (ko) 도장 스프레이 팁의 마모도 평가 장치
CN116651632A (zh) 用于通过位移测量来控制喷射分配的方法和设备
US20220040719A1 (en) Cleaning device for an application device
CN102205296B (zh) 涂敷装置
JPH1133458A (ja) 液状体の塗布装置
CN1876382A (zh) 墨水消耗确定
US20190187173A1 (en) Nozzle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2277384A (ja) 欠陥検出方法及び装置
KR20190111334A (ko) 잉크젯 인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잉크젯 인쇄방법
KR101216001B1 (ko) 접촉각 측정 장치
JP6563984B2 (ja) 液滴噴射方法及び液滴噴射装置
KR101288963B1 (ko) 샌드 블라스트 마모 시험 장치
KR102045763B1 (ko) 잉크젯 인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잉크젯 인쇄방법
JP2007045068A (ja) 液滴吐出装置およびそのノズル位置検出方法
CN109604086A (zh) 一种工件的自动喷涂方法及其自动喷涂装置、喷涂系统
KR101241026B1 (ko) 기판 처리용 슬릿노즐의 세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1667A (ko) 액적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998965B1 (ko) 감지유닛, 이를 포함하는 노즐검사장치 및 노즐검사방법
KR101900828B1 (ko) 강판 에지부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마장치
US20240034055A1 (en) Droplet analysis unit and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