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103A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0103A KR20190120103A KR1020190122287A KR20190122287A KR20190120103A KR 20190120103 A KR20190120103 A KR 20190120103A KR 1020190122287 A KR1020190122287 A KR 1020190122287A KR 20190122287 A KR20190122287 A KR 20190122287A KR 20190120103 A KR20190120103 A KR 201901201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unit bottom
- support
- hole
- fixing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트바닥판으로 연결된 바닥구조로서 철골보 등과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그 상부에 거치하는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 하중이 가해질 때 인접 유니트바닥판과 함께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유니트바닥판을 경량화하고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연결된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간활용도와 시공성을 높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fix the unit bottom plate mounted on the upper part after installing a beam-like structure such as steel cheolgolbo as a floor structure connected to the unit bottom plate By connecting and fixing adjacent unit floor plates with holes through holes, not only the construction is simple, but also the unit floor plates are lightened and improved in performance when the external load is applied. In addition, to form an opening for the vertical structure penetrating vertically to the connected unit bottom plate by using a lightweight truss structure or a light-weight steel structure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workability.
일반적으로 유니트바닥판이나 복공판은 지하철공사, 지하시설공사를 위해 도로 또는 대지를 파헤치는 경우 차량이나 보행자가 도로를 원활하게 주행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굴토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the unit floor plate or the double-glazed plate has been used to cover the surface of the excavated surface so that vehicles or pedestrians can smoothly drive or walk on the road when digging roads or grounds for subway construction or underground facility construction.
구축되는 지상 건물의 일부 구간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치 등이 빈번히 변경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구간에는 영구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지 않고 철골보와 강재 철재 멍에장선 그리고 철판을 설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이 신설 또는 변경되면 구간의 철재 구조를 제거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치를 배치하는 철재 가설구조물을 사용하여 왔다.In some sections of the ground building to be built, the equipment installed vertically is frequently changed.In these sections, steel beams, steel yoke lines and steel plates are installed vertically without installing permanent reinforced concrete slabs. When new equipment is installed or changed, steel temporary structures have been used to remove the steel structure of the section and arrange the device installed vertically.
본 발명은 상기 슬래브가 없는 부분의 가설 철골구조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치해체가 가능한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를 적용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it bottom plate that can be dismantled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a temporary steel structure of the part without the slab.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상구조물에 임시로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이나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 철골보인 H 빔(beam) 등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유니트바닥판을 평평하게 배열하여 시공하고, H 빔에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은 수직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과 H 빔은 용접이나 다양한 고정 장치로 고정하였다. 예를 들어 복공판을 H 빔에 고정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8-0000626호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과 상기 체결 브래킷과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을 상기 복공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복공판의 설치가 간편하지 않고 시공성이 떨어지고 복공판의 정확한 고정이 어렵다.The unit bottom plate or the perforated plate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ground structure used up to now has a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 order to install the unit bottom plate, H beams, which are usually steel beam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H beams are installed. The unit bottom plate is installed flat on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unit, and the unit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H beam is fixed by welding or various fixing devices to withstand vertical loads or external impacts.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8-0000626, which is a 'fixing device for a perforated plate' for fixing a perforated plate to an H beam, shows a part of a support between a fastening bracket formed by bending a plate and the bottom of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perforated plate.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fastening bracket to the perforated plate to prevent the friction or vibration between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support,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or abrasion, but the install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not easy and workability It falls and the exact fix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difficult.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818733호인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는 차량이 지나갈 시 소음을 줄이거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공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 끼움바가 마련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끼움바가 형성된 반대측 면에는 끼움홈이 마련되어 이들이 서로 이어져 결합되는 구조이나 복공판에 끼움바와 끼움홈을 형셩하도록 제조하는 공정이 까다로워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복공판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818733 'Recovery construction concret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fitting bar on the side of the concrete body to form a perforated plate to reduce noise or increase durability when the vehicle passes and the fitting bar of the concrete body is formed Fitt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tting bars and the fitting grooves on the structure or the perforated plate to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difficult, thus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the compatibility of the perforated plat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30177호인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은 다수의 복공판의 내부에 긴장재를 연결하여 복공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갭을 제거하여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복공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330177, 'pore plate using steel wire tension' is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ehicle by removing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two holes by connecting the tension material in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hole plates. It does not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perforated plate.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의 연결은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연결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히 하면서도, 외부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서로 연결 고정된 유니트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부재의 경량화로 경제성과 구조물의 성능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This is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is to install a beam-like structure, such as cheolgolbo and in the mounting of the unit bottom plate on the top of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unit floor It is easy to install by connecting and fixing adjacent unit bottom plate with fixing bolt through fixing hole of plate, but fixed unit bottom plate connected together even when external load is applied. In providing height.
또한, 철골구조와 같은 건물에서 여러 공종의 작업자가 수반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대신해서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적은 인력으로 유니트바닥판을 간편히 거치하고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때문에 시공성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reinforced concrete slabs involving workers of various constructions in buildings such as steel structures, unit floor plates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eam-like structures such as steel beams with little manpower and connected to one another,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ability. Is in.
또한, 건물의 덕트 스페이스에서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이 유니트바닥판으로의 관통이 요구되는 개구부가 필요할 때,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을 간단하게 해체한 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쉽게 'ㅍ'자 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의 해체에 따른 시공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when the unit floor plate is mounted in the duct space of a building, and the equipment installed vertically requires an opening requiring penetration of the unit floor plate, the light weight truss structure is simply dismantled after disassembling the installed unit floor plate. In addition, by forming an opening formed easily '손쉽게' using a light-weight steel structure to provide the ease and safety of construction due to the dismantling of the installed unit bottom plate.
본 발명인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는 수평으로 연속 설치된 두 개의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거치되며 상부는 강판으로 형성되고 강판 하부 외주부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이 2개 이상 연속하여 연결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과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되는 너트공, 그리고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해 너트공에 결합되어 유니트바닥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wo beam-shaped structures continuously installed horizontally, the upper portion is formed of a steel plate and the outer bottom portion of the steel plate is connected to two or more consecutive bottom of the unit bottom plate is installed a section steel forming a border In the plate connection structure,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unit bottom plate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section steel of the fixing hole, a nut hole formed in the other unit bottom plate facing the through hole, and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Th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lt is coupled to the nut through the fixing hole to couple the unit bottom plate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너트공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시 고정홀측 관통공의 중심축과 너트공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가 테이퍼에 의하여 너트공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면서도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aper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bolt as the inlet portion of the nut hole toward the outside, so that when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s connected,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hole side through-hole and the central axis of the nut hole exactly match If not, the fixing bolt is naturally coupled to the nut ball by the taper, but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precise.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공의 입구는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경은 고정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면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테이퍼를 형성한 너트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 의하여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d of the fixing bolt is formed in a thread-shaped length (L) shorter than the length (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bolt is formed straight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thread and the head of the fixing bolt is square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screw thread of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the spiral,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thread diameter of the fixing bolt so that the screw of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While the middle part has a margin of up, down, left and right, it is easy to fasten to the nut hole with taper on the other unit bottom plate, but the fixing bolt is not easily released from the through hole by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유니트바닥판이 연속적으로 거치될 때, 유니트바닥판이 보 형태의 구조물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일정 폭의 'ㄷ'자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덮개 중앙은 중앙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돌기와 덮개의 측면과 사이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을 수용하면서 형강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it bottom plate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beam-shaped structure, not only can the unit bottom plate be installed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beam-shaped structure, but also to prevent the sliding off the top of the structure of the beam-shaped structure A cover having a certain width 'c' shaped to wrap is installed, and the center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central fixing protrusion and an auxiliary to prev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eel while accommodating the steel forming a frame between the central fixing protrusion and the side of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as the bottom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beam-shaped structu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unit bottom plate on top of the beam-shaped structure,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In the part where the bottom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xing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n the fixing bolt is fastened with a nut hole formed in the other unit bottom plate facing the through hole. The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 설치를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과 결합된 고정볼트를 풀은 후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과 분리한 후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을 해체하는 단계; 개구부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제1지지보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 또는 받침대과 덧판을 제1지지보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 상부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분할유니트바닥판과 타측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of the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for the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 for forming the opening for the vertical structure vertically penetrating the unit bottom plate is installed continuously on top of the beam-shaped structure Removing the fixing bolts coupled with the bottom plate, separating the other unit bottom plate from which the opening is not formed, and then disassembling the unit bottom plate of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Mounting a first support beam to install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s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ixing the pedestal or pedestal and the plate to the first support so as to mount the second support to the first support; Mounting a second support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Providing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s in a portion where no opening is formed; The partition unit bottom plate and the other unit bottom plate are fastened by fixing bolts.
본 발명은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의 연결은 작업자가 유니트바닥판 위에서 유니트바닥판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인접 유니트바닥판을 고정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면서 시공을 간편히 하며, 외부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서로 연결 고정된 유니트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단일 부재를 설치하였을 때보다 부재의 경량화로 경제성과 구조물의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eam-shaped structure, such as a cheolgolbo, is installed, and in the mounting of a narrow and long unit bottom plate on the upper pa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s fixed by the operator on the unit bottom plate. By fixing the adjacent unit bottom plate with holes through the hole, it is easy to install while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and even when external load is applied, the fixed unit bottom plate behaves integrally. Lightweigh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conomics and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또한, 여러 공종의 작업자가 수반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대신해서 철골보와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적은 인력으로 유니트바닥판을 간편히 거치하고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때문에 철골구조의 최대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accompanied by workers of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unit bottom plate with little manpower on the beam-like structure such as steel beams and connect them integrally to maximize the air shortening, which is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steel structure. It is effective.
또한, 건물의 덕트 스페이스에서 유니트바닥판을 거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비장비 등 수직구조물이 유니트바닥판으로의 관통이 요구되는 개구부가 필요할 때,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을 간단히 해체한 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쉽게 'ㅍ'자 형성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의 해체에 따른 시공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ounting the unit bottom plate in the duct space of a building and vertical structures such as equipment installed vertically need openings requiring penetration through the unit bottom plate, the light weight truss is simply dismantled. By forming the openings easily formed by using a structure or a light-weight steel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ase and safety of construction due to the dismantling of the installed base plate.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유니트바닥판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유니트바닥판의 정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배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덕트 스페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유니트바닥판과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제1지지보나 제1지지보 및 제2지지보에 거치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된 제1,2지지보 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분할유니트바닥판 하면의 제1지지보의 단부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 (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a)은 본 발명에서 제2지지보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제1지지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ottom plat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unit bottom plat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plit unit bottom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the nut hole for connecting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unit bottom plate is installed to form an opening in the duct space installed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FIG. 10.
12 (a), (b) is the sepa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split unit bottom plate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or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beam 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s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eams mounted to form openings between the beam-shaped structure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pad is attach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plit unit bottom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a), (b) is an elevation view in which the first support for installing the split unit bottom plate between the beam-shaped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v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beam-shaped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in which the second support is mounted in the first support is fix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formed with a locking jaw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하게는 유니트바닥판(110)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면에 설치 고정된다. 보 형태의 구조물(300)은 H 빔과 같이 철골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철근콘크리트보, 강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합성보 등 보의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유니트바닥판(110)이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은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됨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In detail, the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유니트바닥판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유니트바닥판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유니트바닥판(110)은 H 빔(beam)과 같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 사이에 거치 고정되는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ottom pl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unit bottom pl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지상구조물의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는, 연속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의 상부를 형성하는 강판(112), 강판 하부 외주부인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111), 유니트바닥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120), 고정홀(120) 하부 형강(111)에 형성된 관통공(142), 관통공(142)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되는 너트공(130), 상기 고정홀(120)을 통해 너트공(130)으로 결합되어 상기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40)로 구성된다.The unit bottom
상기 고정홀(120)은 상부 강판(112)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140)의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이 수월하다.Since the
상기 너트공(130)의 입구는 고정볼트(14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140)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지게 테이퍼(134)를 형성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140)가 너트공(130)에 나사 체결될 시 고정볼트(140)의 중심축과 너트공(13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140)가 테이퍼(134)에 의하여 너트공(130)에 자연스럽게 접근되어 나사결합되면서도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은 정확하게 결합된다.The inlet of the
유니트바닥판(110)의 성능 강화를 위하여 유니트바닥판(110)을 구성하는 상부 강판(112)과 하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111) 사이 중 짧은 길이 방향으로 철판 또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보강판(113)을 용접으로 고정하는데, 보강판(113)은 유니트바닥판(110)에 하나 이상 설치하며 보강판(113)의 높이는 테두리 형강의 높이보다 높지 않게 한다.In order to reinforce the performance of the
그리고 전체적으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유니트바닥판(110)을 형성하는 강판(112)과 형강(111)을 견고히 일체화면서 하향용접으로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강판(112) 외측부 중 형강(111)의 폭 넓이 안쪽으로 강판(112)에 홀(114)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홀(114)을 통하여 하향용접으로 형강(111)과 강판(11)을 용접하는데, 홀(114)의 직경은 용접이 가능하고 유니트바닥판(110)의 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5mm 정도로 형성한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as a whole, the
상기 유니트바닥판(110)은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고정볼트(140)를 통해 결합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다.The
도 3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에 설치할 때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크기를 가지는 패드(230)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배면에 부착하되 구조물(300)에 거치되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폭이 제외됨으로써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161)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보 형태의 구조물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b)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모서리 부분에 원형의 패드(230')가 부착된 것으로 이 역시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단턱부홈(161)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패드(230')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가장자리에서 좀 더 안쪽으로 부착하며, 패드의 형상은 원형의 패드(230') 외에 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니트바닥판(110)의 양 단부에도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패드(230)를 설치한다.3 and 12, the height of the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로서. 4각형 강관 형강으로 테두리를 형성한 유트바닥판(110)과 이에 맞대는 유니트바닥판(110)의 너트공(130)에 형성된 제1체결너트(131)나 제2체결너트(132)에 고정볼트(140)가 체결 고정되는 상태의 평단면도이다.4 to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olt is fastened to the nut hole in order to connect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xed to the
도 4 내지 6은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110) 외주면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형강에 관통공(14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42)의 입구에는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 되도록 관통볼트(140)의 나사골보다는 크고 관통볼트(140)의 나사산보다는 작은 직경의 관통구멍(141)을 설치한다.4 to 6 form through-
상기 일측의 유니트바닥판(110)과 맞대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너트공(130)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공(130)에는 제1체결너트(131)가 설치된다. 일측의 유니트바닥판(110) 내측에서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측으로 고정볼트(140)가 나사체결되어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고정시키는데, 이때 고정볼트(140)는 관통구멍(141)을 나선으로 통과한 후 너트공(130)의 제1체결너트(131)에 체결된다.The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40)는, 끝부분이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나사산을 없애면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시작부분은 각형의 볼트 머리가 형성된다.Here, the fixing
즉, 도 5와 같이 고정볼트(140)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142)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140)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공(142)의 입구를 형성하는 관통구멍(141)은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하게 형성되고 관통공(142)의 내경은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관통구멍(141)을 통과하면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의 체결너트(131)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관통구멍(141)에 의하여 고정볼트(140)가 쉽게 고정홀측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공(142)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운반시 미리 관통구멍(141)을 통하여 고정볼트(140)를 가조립한 후 본 시공인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조립시는 고정볼트(140)가 이미 가조립 상태에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fixing
또한, 타측 유니트바닥판(110)과 맞대어지는 너트공(130)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134)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연결시 관통공(142)의 중심축과 너트공(13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고정볼트(140)가 테이퍼(134)에 의하여 너트공(130)에 자연스럽게 결합됨으로써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이 정확하게 놓이지 않을 경우에도 너트공(130)에 형성된 테이퍼(134)에 의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141)과 제1체결너트(131)가 각각 형성된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관통구멍(141)을 통과하게 되면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이 관통구멍(14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40)는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140)를 너트공(130)의 테이퍼(134)을 이용하여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의 제1체결너트(131)에 손쉽게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손쉽게 고정하게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을 관통구멍(141)에 통과시킨 가조립 상태에서 운반시 이탈되지 않아 분실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시공현장에서는 고정볼트(140)가 이미 가조립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볼트(140)로 너트공(130)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thread of the fixing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제2체결너트(132)와 안내관(133)를 구비한 너트공(130)에 고정볼트(140)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유니트바닥판(110)의 관통구멍(141)을 통과한 고정볼트(140)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의 안내관(133)을 통과하여 안내관(133)과 일체로 형성된 제2체결너트(132)와 체결되어 유니트바닥판(110)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고정볼트(140)와 체결되는 너트공(130)의 나사산이 너트공(130) 내부에 형성하지 않고 안내관(133)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제2체결너트(132)에 형성된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공(130)의 제2체결너트(132)는 유니트바닥판(11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4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형강(111)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고정볼트(140)와 너트공(130)의 제2체결너트(132)를 체결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7 to 9 show that the fixing
도 10은 본 발명에서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덕트 스페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사시도로서, 대형구조물의 덕트 스페이스 부분에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니트바닥판과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된 예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평면도로서, 대형구조물의 덕트 스페이스에 바닥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lit unit bottom plate installed to form an opening in a duct space installed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nit bottom plate and a split unit bottom plate are installed to form a bottom plate in a duct space portion of a large structure; FIG. FIG. 11 is a plan view of FIG. 10, where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ottom
도 10과 같이 구조물(400)과 구조물(400) 사이에 보 형태의 구조물(300)을 설치하고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된 것이다. 분할유니트바닥판(160) 설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지지보(170) 또는 제1지지보(170)와 제2지지보(242)를 이용한다. As shown in FIG. 10, a beam-shaped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 위에 연속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설비장치 등의 수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180)가 형성되고 이를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된다.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 사이에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들 사이에 제1지지보(170)를 설치하는데, 제1지지보(170)는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대(172)를 포함한다.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 부착된 패드에 의하여 단턱부홈(161)이 형성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유니트바닥판(11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유니트바닥판(110)과 동일한 구성인 고정홀(120), 관통공(142), 너트공(130), 고정볼트(140)가 구비되며 결합방법도 위에서 설명하고 유니트바닥판(110)의 결합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은 유니트바닥판(110)에 비하여 규격이 작은 것일 뿐 실질적인 구성은 유니트바닥판(110)과 동일한 것으로 광의적으로는 유니트바닥판(110)에 포할된다고 볼 수 있다.That is, an
도 11,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 개구부(180)를 형성하면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보 형태의 구조물(300) 방향으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설치되는 폭만큼의 거리를 남긴 후 좌우로 유니트바닥판(110)을 배치한 후 보 형태의 구조물(300) 방향으로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 형성된 단턱부홈(161)이 위치되는 곳에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를 거치시킨후 그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고 이어서 고정볼트(140)로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결합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a), in order to install the split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는 패드(230)를 부착되고 이로 인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양단부에 제1지지대(172) 단부(171)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부홈(161)이 형성되기 때문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제1지지보(170)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착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와 같이 유니트바닥판(110) 및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면에 패드(230)를 부착함으로써 유니트바닥판(110) 및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어 시공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By attaching the
또한, 도 12(b)는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제1지지보 및 제2지지보에 거치되는 상태의 분리사시도로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 제1지지대(172)에 각각 거치되고 각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지지보(242)가 설치된 것으로, 제2지지보(242)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가진다. 12 (b) is a separate perspective view of the split unit bottom plate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plit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된 제1, 2지지보 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이다.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s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eams mounted to form openings between the beam-shaped structures in the present invention.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된 유니트바닥판(110)에 개구부(180)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이 설치된 것으로서, 해체하여 제거된 유니트바닥판(110)의 공간에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와 제2지지보(242)를 설치한다.As the
이를 위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는 제1지지보(172)의 높이에 대응하는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길이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전체길이에서 제1지지대(172)의 폭을 뺀 길이로 형성되어 제1지지대(172)와 제1지지대(172)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인접하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하면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길이와 동일한 패드(230)나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또한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크기가 다르거나 2개 이상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160')을 함께 설치하기 위하여 제2지지보(242)를 설치한다. To this end,
도 14는 분할유니트바닥판 하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a split unit bottom plate.
보 형태의 구조물(3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의 상부면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보 형태의 구조물(300)과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제1지지대(170)의 단부(171)를 거치하고 상기 제1지지대(170)의 양단 단부(171) 상부에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턱부홈(161)을 이용하여 분할유니트바닥판(160)를 설치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split
즉,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단부 하면에는 제1지지보(170)를 구성하는 제1지지대(172)의 단부(171) 높이와 대응하는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단부(171) 상부에 안착되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길이는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전체길이에서 단부(171)를 뺀 길이로 형성되어 단부(171)와 단부(17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분할유니트바닥판(160)과 인접하는 타측의 유니트바닥판(110) 하면에는 유니트바닥판(110)과 길이와 동일한 패드(230)나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 하였으나 유니트바닥판(110)에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드(230')가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상기 패드(2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낮은 패드(230')를 부착하여 상부로부터 충격을 완화해 줄 수도 있다. That is,
도 15 (a),(b)는 본 발명에서 보 형태의 구조물 사이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로서, 도 15(a)는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거치되는 제1지지보(170)는 경량 트러스형강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며, 도 15(b)는 경량 형강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상기 경량 형강구조물은 구조물 중앙부에 가해지는 휨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T'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지지보(242)에 대하여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2지지보(242) 역시 위와 같이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변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적절히 대응하면서도 구조물을 경량화시켜 경제성을 높이면서 안전하고 신속한 시공을 할 수 있다. 15 (a), (b) is an elevation view in which the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split unit bottom plate between the beam-shaped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a) is mounted on the beam-shaped
도 16은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a beam-shaped structure. FIG.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유니트바닥판(110)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의 중앙부를 좌우로 하여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덮개(250)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250)의 양측을 하부로 절곡형성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 양단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250)가 보 형태의 구조물(300)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덮개(250)의 상부 중앙에는 중앙고정돌기(25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앙고정돌기(251)의 양측에 유니트바닥판(110)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위치시키도록 하였다.When the
즉, 보 형태의 구조물(300)에 덮개(2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중앙고정돌기(251)의 양측으로 유니트바닥판(110)을 각각 거치시키면 유니트바닥판(110)을 손쉽게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 중앙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또한, 덮개(250) 상부 중앙의 중앙고정돌기(251)와 덮개(250)의 측단 사이에는 유니트바닥판(110)에서 테두리를 형성한 형강(111)을 수용할 수 있는 보조돌기(252)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1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 폭과 형강(111) 폭의 허용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를 감싸는 덮개(250)의 내부 폭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 폭보다 더 크며 중앙고정돌기(251)와 보조돌기(252)의 폭도 형강(11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였다. 이렇게 덮개(250) 상부에는 형강(111)을 수용하면서 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중앙고정돌기(251)와 보조돌기(250)가 형성됨으로써 시공을 신속하고 정확히 하며 시공중 유니트바닥판(110)의 미끄럼이 방지됨으로써 시공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도 17(a)는 제2지지보가 거치되는 받침대가 제1지지보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걸림턱이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이다.FIG. 1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on which the second support is mounted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and FIG. 17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in which the locking jaw is formed.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면에 거치된 제1지지보(170)와 제1지지보(170) 사이에 제2지지보(242)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에 'ㄱ'자 형상의 받침대(240)를 각각 고정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240)를 제1지지보(17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받침대(240)가 설치되는 제1지지보(170) 반대측에 덧판(26)을 추가하여 보강할 수 있다. 제2지지보(242)를 받침대(240)에 거치함에 있어서 제2지지보(242)가 받침대(240)로부터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받침대(240) 상부 양측에 걸림턱(241)을 돌출 형성하여 제2지지보(242)를 제1지지보(170)에 빠르고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install the
따라서, 상기 받침대(240) 상부의 걸림턱(241)을 이용하여 제2지지보(242)를 받침대(24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지지보(242)의 상부에 길이가 다른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시킬 수 있으며, 제2지지보(242)의 단면은 'T'자형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제2지지보(242)가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의 하부에 밀착되어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다음으로,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100)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보 형태의 구조물(300)을 설치하는 단계; 보 형태의 구조물(300)의 상부에 위에서 설명한 패드(230)가 부착된 유니트바닥판(110)을 설치하는 단계;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120)을 통하여 고정볼트(140)를 관통공(142)에 삽입한 후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으로 상기 고정볼트(140)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110)과 유니트바닥판(110)을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Next,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ottom
그리고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함에서 있어서 복수의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개구부(180)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110)과 결합된 고정볼트(140)를 풀은 후 개구부(180)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110)과 분리한 후 개구부(180)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110)을 해체하는 단계; 개구부(180)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300)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170)를 거치하는 단계; 제1지지보(170)에 제2지지보(242)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240) 또는 받침대(240)와 덧판(260)을 제1지지보(170)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240) 상부에 제2지지보(242)를 거치하는 단계; 제1, 2지지보(170, 242)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설치하는 단계; 분할유니트바닥판(260, 260')과 타측 유니트바닥판(110)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한다.And in order to install a plurality of unit bottom plates in forming an opening for vertical structure installation that vertically penetrates to the unit bottom plat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a portion in which the
이상에서는 구조물의 바닥구조로서 유니트바닥판(110)이 기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 설치된 유니트바닥판(110)의 해체나 유니트바닥판(110)과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결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개구부(180)가 유니트바닥판(110) 설치시 미리 형성되는 것 역시 유니트바닥판(110)의 해체순서만 차이가 있을 뿐 이에 적용되는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In the above, as the bottom structure of the structure, the dismantling of the
이와 같이, 보 형태의 구조물(300) 상부에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110)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180)를 형성함에 있어서 단일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이나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180)의 설치 크기에 따라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160, 160')이 설치되며, 제1지지보(170)에 거치되는 제2지지보(242)의 개수나 간격도 조정된다. 제1지지보(170)에 고정되는 받침대(240)의 상부 양측에 걸치턱(241)을 형성함으로써 제2지지보(242)을 제1지지보(170)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As such, in form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0: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110: 유니트바닥판
120: 고정홀
130: 너트공
131: 제1체결너트
132: 제2체결너트
133, 143: 안내관
134: 테이퍼
140: 고정볼트
141: 관통구멍
142: 관통공
160: 분할유니트바닥판
161: 단턱부홈
170: 제1지지보
171: 단부
172: 제1지지대
180: 개구부
230, 230': 패드
240: 받침대
241: 걸림턱
242: 제2지지보
250: 덮개
251: 돌출부
252: 보조돌기
300: 보 형태의 구조물
400: 구조물100: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110: unit bottom plate
120: fixing hole 130: nut hole
131: first tightening nut 132: second tightening nut
133, 143: Guide 134: Taper
140: fixing bolt 141: through hole
142: through hole 160: split unit bottom plate
161: stepped groove
170: first support 171: end
172: first support 180: opening
230, 230 ': pad
240: pedestal 241: locking jaw
242: second support 250: cover
251: protrusion 252: auxiliary protrusion
300: beam-shaped structure 400: structure
Claims (19)
유니트바닥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되는 너트공;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해 너트공에 결합되어 유니트바닥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In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which is mounted on two beam-shaped structures arranged horizontally, the upper part is formed of a steel pl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late is connected to two or more unit bottom plates in which a section steel is formed to form an edge.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unit bottom plat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steel of the fixing hole; A nut hole formed in the other unit bottom plate facing the through hol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ormed by a fixing bolt that is coupled to the nut hole through the fixing holes to couple the unit bottom plate to each other.
상기 형강은 4각형 강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tion steel is a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quare steel pipe.
상기 고정홀은 고정볼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 강판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hole is a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eel plate is formed to be open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fixing bolt.
상기 너트공의 입구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진 테이퍼를 형성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연결시 관통공의 중심축과 너트공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가 테이퍼에 의하여 너트공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the inlet of the nut hole goes to the outside, the taper become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bolt.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 is naturally coupled to the nut hole by a taper.
너트공의 내측부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된 제1체결너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nut formed by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nut ball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bolt.
너트공의 외측부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된 제2체결너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astening nut formed by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nut ball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bolt.
고정볼트가 통과하는 관통공과 너트공은 안내관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와 결합하는 제2체결너트는 너트공의 안내관에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rough-hole and nut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passes is formed as a guide tube, and the second fastening nut coupled to the fixing bolt is welded to the guide tube of the nut hole.
상기 고정볼트의 끝부분은 나사산 형상으로 관통공의 길이(L)보다 짧은 길이(ℓ)로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곧게 형성되고 고정볼트의 머리부는 각형으로 형성되며, 관통공의 입구는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나선으로 통과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경은 고정볼트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관통구멍을 통과하면 고정볼트의 중간부분이 상하좌우로 여유가 있으면서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테이퍼를 형성한 너트공에 쉽게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가 관통구멍에 의하여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of the fixing bolt is a thread shape is formed of a length (ℓ) shorter than the length (L) of the through hole,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bolt is formed straight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thread and the head of the fixing bolt is formed in a squa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crew thread of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the spiral,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thread diameter of the fixing bolt. When the thread of the fixing bol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middle part of the fixing bolt goes up and down.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lt is not easily released from the through hole by the through hole while being able to be easily fastened to a nut hole having a taper formed on the other unit bottom plate with a left and right margin.
유니트바닥판을 구성하는 상부 강판과 하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형강 사이 중 짧은 길이 방향으로 철판 또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보강판을 용접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late made of an iron plate or a section steel is welded and fixed in a shorter length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section steel forming the lower rim.
유니트바닥판을 형성하는 강판과 형강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강판 외측부 중 형강의 폭 넓이 안쪽으로 형성된 홀을 통하여 형강과 강판을 용접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plate and the steel plate is welde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width of the steel s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steel plate in order to integrate the steel plate forming the unit bottom plate.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유니트바닥판이 연속적으로 거치될 때, 유니트바닥판이 보 형태의 구조물에서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일정 폭의 'ㄷ'자 형태의 덮개가 설치되며, 덮개 중앙은 중앙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고정돌기와 덮개의 측면과 사이에 형강을 수용하면서 상기 형강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되며,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 폭과 형강 폭의 허용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를 감싸는 덮개의 내부 폭은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 폭보다 더 크며 중앙고정돌기와 보조돌기의 폭도 형강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nit bottom plate is continuously mounted on the beam-shaped structure, a '-' shaped cover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to prevent the unit bottom plate from slipping off the beam-shaped structure. In the center of the cover, a central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nd an auxiliary protrusion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fixing protrusion and the side of the cover to prevent horizontal movement of the steel, and a tolerance of the upper width and the width of the beam structure is formed. An inner width of the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to absorb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fixing projections and auxiliary projections formed unit width plate widt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tion steel.
보 형태의 구조물과 유니트바닥판의 접합면에 유격을 흡수하면서 제1지지보를 수용할 수 있는 단턱부홈을 형성하는 패드가 분할유니트바닥판의 접합면에 연속되어 설치되거나 분할유니트바닥판의 모서리 부분에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ads forming stepped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upport while absorbing play in the joining surfaces of the beam-shaped structure and the unit bottom plate a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split unit bottom plate or at the corners of the split unit bottom plat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shape of a circle or square.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연속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 양측 방향에 제1지지보를 보 형태의 구조물의 직각방향으로 거치하고, 개구부 앞뒤 방향으로 보 형태의 구조물의 평행방향으로 제1지지보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 및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form an opening for installing a vertical structure vertically penetrating the unit bottom plat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beam-shaped structure, the first support beam is mount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in both directions of the opening, and the opening front and back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beam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beam in a parallel direc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wherein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split unit bottom plate are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not formed.
상기 제1지지보가 보 형태의 구조물 위에 거치될 때 거치되는 제1지지대의 두께는 분할유니트바닥판에 부착되는 패드의 두께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n the first support is mounted on a beam-shaped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to be mounted is no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d attached to the split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제1지지보와 제2지지보의 상부 높이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ㄱ'자 형태의 받침대와 그 반대 측면에 덧판을 함께 각각 고정하며, 제2지지보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안착할 때 제2지지보가 받침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받침대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make the upper heights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the same, the 'b' shaped pedestal and the plate are respectively fixed together on the opposite 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se so that the second support is not separated from the base when the beam is seated on the top of the base.
제1지지보와 제2지지보는 경량 트러스구조물 또는 경량 형강구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unit support plate botto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formed of a lightweight truss structure or a light-shaped steel structure.
(1) 보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2) 보 형태의 구조물의 상부에 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3)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유니트바닥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홀 하부 형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관통공과 대향하는 타측 유니트바닥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유니트바닥판과 유니트바닥판을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as the floor structure of the structure,
(1) installing the beam-shaped structure;
(2) installing a unit bottom plate on top of the beam-shaped structure;
(3) A nu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nit bottom plate facing the through hole after inserting the fixing bol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unit bottom plate at least one of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nit bottom plate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the fixing bolt by a ball to close the unit bottom plate and the unit bottom plate in close contact.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연속되어 설치되는 유니트바닥판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구조물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1)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과 결합된 고정볼트를 풀은 후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 타측 유니트바닥판과 분리한 후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유니트바닥판을 해체하는 단계;
(2) 개구부가 형성된 보 형태의 구조물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1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3) 제1지지보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대 또는 받침대와 덧판을 제1지지보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4) 상기 받침대 상부에 제2지지보를 거치하는 단계;
(5) 제1, 2지지보 상부에 분할유니트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
(6) 분할유니트바닥판과 타측 유니트바닥판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In order to install a plurality of split unit bottom plate to form an opening for vertical structure installa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 unit bottom plat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op of the beam-shaped structure,
(1) disengaging the fixing bolt coupled with the unit bottom plate of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separating the unit bolt from the other unit bottom plate where the opening is not formed, and then disassembling the unit bottom plate of the opening portion;
(2) mounting a first support beam to install a split unit bottom plat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m-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3) fixing the pedestal or pedestal and the plate to the first support to respectively mount the second support to the first support;
(4) mounting a second support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5) installing a split unit bottom plate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6)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unit is tightly fixed by fastening the split unit bottom plate and the other unit bottom plate with a fixing bolt.
상기 (2)의 제1지지보를 보 형태의 구조물에 거치하기 전에 받침대 또는 또는 받침대와 덧판을 제1지지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Construction method using a unit bottom plat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or or the pedestal and the plate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before mounting the first support of the (2) to the beam-shaped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en) | 2019-10-02 | 2019-10-02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en) | 2019-10-02 | 2019-10-02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0103A true KR20190120103A (en) | 2019-10-23 |
KR102182462B1 KR102182462B1 (en) | 2020-11-24 |
Family
ID=6846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2287A KR102182462B1 (en) | 2019-10-02 | 2019-10-02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462B1 (e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9706A (en) * | 1993-04-13 | 1994-10-25 | Jio Star Kk | Level adjusting device of member |
JP2004019391A (en) * | 2002-06-20 | 2004-01-22 | Ohbayashi Corp | Cover work plate and its joint structure |
KR20040084178A (en) * | 2003-03-27 | 2004-10-06 | 주식회사 승일실업 | Built-up balustrade |
KR200416824Y1 (en) * | 2006-03-03 | 2006-05-23 | 고준현 | Deck plate for reinforcement of structure |
KR100818733B1 (en) | 2006-04-28 | 2008-04-08 | 안승한 |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
KR20110116410A (en) * | 2010-04-19 | 2011-10-26 | 국방과학연구소 | Installing structure of an explosive reactive armor for combat vehicle |
KR101300684B1 (en) * | 2006-12-20 | 2013-08-2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stallation structure of lining board |
KR101330177B1 (en) | 2011-03-23 | 2013-11-18 | 박기태 | Deck panel using reinforced strand |
KR101441332B1 (en) * | 2013-09-27 | 2014-09-17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A method for supplying materials for access floor of clean room and an apparatus therefor |
KR20180000626A (en) | 2016-06-23 | 2018-01-03 | 김은주 |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y door |
JP2019070438A (en) * | 2017-10-11 | 2019-05-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Fastening structure |
-
2019
- 2019-10-02 KR KR1020190122287A patent/KR1021824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9706A (en) * | 1993-04-13 | 1994-10-25 | Jio Star Kk | Level adjusting device of member |
JP2004019391A (en) * | 2002-06-20 | 2004-01-22 | Ohbayashi Corp | Cover work plate and its joint structure |
KR20040084178A (en) * | 2003-03-27 | 2004-10-06 | 주식회사 승일실업 | Built-up balustrade |
KR200416824Y1 (en) * | 2006-03-03 | 2006-05-23 | 고준현 | Deck plate for reinforcement of structure |
KR100818733B1 (en) | 2006-04-28 | 2008-04-08 | 안승한 |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
KR101300684B1 (en) * | 2006-12-20 | 2013-08-26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stallation structure of lining board |
KR20110116410A (en) * | 2010-04-19 | 2011-10-26 | 국방과학연구소 | Installing structure of an explosive reactive armor for combat vehicle |
KR101330177B1 (en) | 2011-03-23 | 2013-11-18 | 박기태 | Deck panel using reinforced strand |
KR101441332B1 (en) * | 2013-09-27 | 2014-09-17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A method for supplying materials for access floor of clean room and an apparatus therefor |
KR20180000626A (en) | 2016-06-23 | 2018-01-03 | 김은주 |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y door |
JP2019070438A (en) * | 2017-10-11 | 2019-05-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Fasten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2462B1 (en) | 2020-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3532B1 (en) |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 |
JP4993768B2 (en) | Road fence | |
KR101942842B1 (en) | Deck-Plate for Long Span | |
KR20140043185A (en) | The steel systhesis beam and the method threreof | |
KR100812132B1 (en) | Concret slab assembly | |
KR102168881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bridge inspection facility | |
KR101734187B1 (en) | Pre-assembled re-bar column | |
KR101954387B1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90120103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54093B1 (en) | Reinforcing structure using hinged brace | |
KR101796101B1 (en) | Bon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 |
KR100755188B1 (en) | Bracket for form | |
KR101591224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Assembly Plate And Fixing Channel | |
KR102236827B1 (en) |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 with permanent concrete form | |
KR20230017687A (en) | Prefab Fence assemblies | |
KR102316321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plate for dispersing and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85440B1 (en) | Support for concrete form | |
KR102144942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deck plate for dispersing and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7457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using composite H pile | |
KR102316319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bottom plate | |
JP6463283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wall members | |
KR101508898B1 (en) |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 |
KR101914232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Building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102633364B1 (en) | Full detachable maintenance transparent soundproof wall using load transfer prevention device | |
JPH11172759A (en) | Vibration-controlling building material, vibration contro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