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187B1 - Pre-assembled re-bar column - Google Patents

Pre-assembled re-bar colu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187B1
KR101734187B1 KR1020150149754A KR20150149754A KR101734187B1 KR 101734187 B1 KR101734187 B1 KR 101734187B1 KR 1020150149754 A KR1020150149754 A KR 1020150149754A KR 20150149754 A KR20150149754 A KR 20150149754A KR 101734187 B1 KR101734187 B1 KR 10173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panel zone
column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9719A (en
Inventor
김성배
이원록
하인호
Original Assignee
(주)엔아이스틸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아이스틸,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엔아이스틸
Priority to KR102015014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187B1/en
Publication of KR2017004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망이 골조화되어 자체적인 안정성이 보장되며 철골보와의 결합이 용이한 패널존이 충분히 보강되어 보로부터 전달되는 휨모멘트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은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커플러가 고정되는 커플러부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커플러에 하단이 고정되어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발철근; 중공을 갖는 강판 본체와, 다발철근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천공되며 강판 본체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 강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기둥 하단으로부터 기둥 상부의 패널존 하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커플러가 고정되는 커플러부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다발철근의 상단이 커플러에 고정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는 패널존 외피 강판;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이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하는 다이아프레임 강판; 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패널존을 보강하는 리브 강판; 및 패널존 외피 강판 외면에 보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되는 보 결합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prefabricated column in which a construction self-sufficiency is secured and a panel zone is reinforc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capable of effectively resisting a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a beam.
The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the panel self-supporting property is secur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and a coupler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are fixed is formed at each corner, A base plate; A bundle reinforcing bar fixed to the coupler of the base plate at a lower end thereof and installed at an edg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bundle reinforcing bar is penetrated and a through steel plat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teel plate main body having a cavity is formed integrally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to the bottom of the panel zo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 fixed plate to be installed; An upper fixing plat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and having a coupler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are fixed and formed at respective corners, and an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is fixed to the coupler; A panel zone sheathing plate composed of columnar sheaths in a column upper panel zone; A diaphragm steel plate composed of a hollow steel plate having grooves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t respective corners and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plat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to horizontally reinforce the panel zones; A rib steel plat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panel zone steel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 section to reinforce the panel zone; And a beam joining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plate for joining the beam.

Description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Pre-assembled re-bar column}(Pre-assembled re-bar column) where the construction self-sufficiency is secured and the panel zone is reinforced.

본 발명은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망이 골조화되어 자체적인 안정성이 보장되며 철골보와의 결합이 용이한 패널존이 충분히 보강되어 보로부터 전달되는 휨모멘트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 기둥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prefabricated column in which a construction self-sufficiency is secured and a panel zone is reinforc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capable of effectively resisting a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a beam.

기둥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슬래브나 보와 같은 수평구조부재로부터 전달받아 축방향 압축을 통해 하부로 전달하는 수직구조부재이다. The column is a vertical structural member that receives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art from the horizontal structural member such as slab or beam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axial compression.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기둥은 평면계획상 설치 위치에 철근을 수작업으로 배근한 후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완성되는데 이 경우 배근작업을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층고가 높은 건축물의 경우 별도의 가설작업대를 설치한 뒤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 올라가서 장시간 까다로운 배근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column is completed by manually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plane plan and then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with the form.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delayed because it depends on the workforce on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safety accidents are incessantly performed because a worker climbs over a work platform to perform a rigid laying work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미리 철근을 결합시켜 철근망을 조립하고, 완성된 철근망을 크레인으로 인양한 뒤 기둥이 설치될 자리로 운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철근망 선조립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recently, a reinforcing bar net assembly method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assembled by assembling reinforcing bars in advance, hoisting the completed reinforcing bar with a crane, transporting the reinforcing bars to a place where the columns are installed, It is widely applied.

하지만, 이러한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철근망에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직립시켰을 때 완성된 철근망의 자립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철근망의 직립을 유지시켜야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reinforcing net net assembl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self-leveling of the completed reinforcing bar net is weak when the reinforcing bar used for the reinforcing net is lifted by the cranes, There was a limitation in maintaining the upright.

또한, 압축이 주응력인 기둥은 경제적이며 별도의 내화피복이 불필요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합리적인 반면 휨을 받는 부재인 보는 철골 구조로 설계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둥의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야 철골보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둥의 주응력은 압축력이지만 보가 결합되는 패널존에서는 보에서 전달되는 휨모멘트에 대해서 안전하게 저항해야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강요소가 필요하다는 점이 큰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compression-prime columns are economical and need no separate refractory sheathing, but it is often designed as a steel structure that is a deflected memb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bond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to the steel beam. Also, since the steel beam can be joined after the concrete of the column is 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delayed. In the panel zone where the column is mainly compressive, It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reinforcing element is required in order to safely resist the electric power sour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1487139‘철근 선조립 기둥'(특허문헌1)이 있다. 이 특허는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주근; 4개의 주근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근; 주근들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주근들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띠철근; 일면이 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도록 보가 설치되는 높이에 ㄱ형강들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 코너가 4개의 주근 내측에 용접 결합하는 메인 브라켓(main bracket); 주근 상단 및 하단에 ㄱ형강들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각 코너가 4개의 주근 내측에 용접 결합하는 결합 브라켓; 및 마주보는 결합 브라켓들을 수직 방향으로 체결하는 제1 체결 볼트와 제1 체결 너트를 포함하는 철근 선조립 기둥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1487139 'Reinforcement line assembly column' (Patent document 1). This patent discloses four main rod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orner of the column; A plurality of auxiliary rods disposed vertically between the four main rods; A plurality of band bars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main bars and coupled to the outer sides of the main bars in multiple stages; A main bracket disposed at a height at which a beam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beam, and each corner is weld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four main ropes; An engaging bracket dispos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ain pipe so as to form a quadrilateral shape and each corner welded to the inside of four main ropes; And a first fastening bolt and a first fastening nu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fastening bracket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특허가 제안하는 철근 선조립 기둥은 기둥의 주근을 메인 브라켓과 결합 브라켓과 용접하여 시공 자립도를 확보하고 보를 선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현장인력 사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나, 패널존에 브라켓을 구성할 뿐 다른 보강요소가 없어 기둥 보 접합구간인 패널존의 강도 및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며 주근과 보조근을 띠철근으로만 연결하므로 철근망 자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The steel bar assembly column proposed by this paten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se of field personnel by securing the self-assurance of the construction and welding the main beam of the column with the main bracket and the joining bracket,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panel zone, which is the joining zone of the column girder, is not secured sufficiently, and the main and auxiliary rods are connected only to the reinforcing bar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e stability of the reinforcing bar itself.

특허등록 제10-1487139호‘철근 선조립 기둥'Patent Registration No. 10-1487139 'Reinforcement Assembly Lin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 철근망이 아닌 골조화되어 자체적인 강도와 강성이 보장되어 시공 자립도를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 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that can secure the self-supporting degree by ensuring its own strength and rigidity by making the reinforcing steel net not the simple steel reinforcing net but the steel reinforcing steel net.

또한, 철골보와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보를 결합할 수 있고 패널존이 충분히 보강되어 보로부터 전달받은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 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pre-assembling column capable of easily joining a steel beam with a steel beam so that the beam can be joined before concrete is cured and the panel zone is sufficiently reinforced to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the beam do.

또한, 기둥의 주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가 불필요하고 기초에 선조립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 미리 설치되어 설치 작업이 간편한 철근 선조립 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pre-assembly column in which a separate spacer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cast iron root of the column is not required and the means for installing the pre-assembly column on the foundation is installed in advanc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은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커플러가 고정되는 커플러부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커플러에 하단이 고정되어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발철근; 중공을 갖는 강판 본체와, 다발철근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천공되며 강판 본체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 강판이 일체로 구성되어, 기둥 하단으로부터 기둥 상부의 패널존 하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커플러가 고정되는 커플러부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다발철근의 상단이 커플러에 고정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는 패널존 외피 강판;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이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하는 다이아프레임 강판; 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패널존을 보강하는 리브 강판; 및 패널존 외피 강판 외면에 보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되는 보 결합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the panel self-supporting property is secur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and a coupler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are fixed is formed at each corner, A base plate; A bundle reinforcing bar fixed to the coupler of the base plate at a lower end thereof and installed at an edg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bundle reinforcing bar is penetrated and a through steel plat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teel plate main body having a cavity is formed integrally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to the bottom of the panel zo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 fixed plate to be installed; An upper fixing plat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and having a coupler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are fixed and formed at respective corners, and an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is fixed to the coupler; A panel zone sheathing plate composed of columnar sheaths in a column upper panel zone; A diaphragm steel plat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cavity for inserting bundle reinforcing bars at each corner thereof and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plate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to horizont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A rib steel plat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panel zone steel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 section to reinforce the panel zone; And a beam joining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plate for joining the beam.

이때,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 강판은 외측 변이 거푸집에 면접되어 다발철근의 피복두께 확보용 스페이서가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enetrating steel plate of the fixing plate may be a spacer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by being interposed in the outer side mold.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는 기초 또는 하부층 슬래브에 결합되어, 기둥의 설치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foundation or lower layer slab,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lumn can be simplified.

여기서, 패널존 외피 강판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패널존 하부 기둥의 외피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anel steel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hape steel plate extending from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to a lower portion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so as to form a shea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이때,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이 형성되는 보강강판이 거푸집 강판의 내면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reinforcing steel plat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and having grooves for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can be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한편,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스터드 커넥터를 결합하여 패널존 외피 강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일체화가 향상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integrating the stud connector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 s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integration between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and the concrete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선조립 기둥은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다발철근, 다발철근의 하단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다발철근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발철근을 수평하게 구속하는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로 구성되므로 단순 철근망이 아닌 골조화되어 자체적인 강도와 강성이 보장되어 시공 자립도를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The reinforcing bar pre-assembl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positioned at corner portions of a cross section of a column, a base plate for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an upper fixing plate for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Since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horizontally restrained, it is not a simple reinforcing steel net but is made into a frame, so that its own strength and rigidity are ensured, thereby securing the self-sufficiency of construction.

또한, 패널존 외피 강판이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고 다이아프레임 강판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이아프레임 작용으로 패널존을 보강하며, 리브 강판이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직하게 보강하므로 패널존이 충분히 보강되어 보로부터 전달받은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is constituted of columnar sheaths in the column top panel zone, and the diaphragm steel sheet is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to reinforce the panel zone by the diaphragm action, The panel zone is vertically reinforced by being vertically proj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so as to vertic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so that the panel zone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to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the beam.

또한, 보 결합용 브라켓이 패널존 외피 강판 외면에 결합되어 철골보와의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므로 기둥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보를 결합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 인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현장의 공정을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사기간 단축 및 관리요소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am joining bracket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to provide easy joining with the steel beam,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by joining the beam before the concrete of the column is cured, As the process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management factor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C-C 단면도이며, 도 5c는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의 패널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D-D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보강강판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 1A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a panel self-supporting degree and a panel zone ar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CC, and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plat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nel zone of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a construction self-sufficiency is secured and a panel zone is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FIG. 8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 and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ed ste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FIG. 1A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a panel self-supporting degree and a panel zone are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ectional view.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은 강판으로 구성되어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하단이 고정되어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발철근(20); 모서리에 다발철근(20)이 관통되는 관통홀(33)이 천공되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기둥 하단으로부터 기둥 상부의 패널존 하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30); 강판으로 구성되어 다발철근의 최상단이 고정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40);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는 패널존 외피 강판(50);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하는 다이아프레임 강판(60,60);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직하게 보강하는 리브 강판(70); 패널존 외피 강판(50) 외면에 보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되는 보 결합용 브라켓(80); 패널존 외피 강판(50)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패널존 하부 기둥의 외피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강판(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inforcing bar pre-assembling column having a self-supporting degree of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inforced with a panel zone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and a base plate (1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A bundle reinforcing bar (20)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base plate (10) and provided at an edge of a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 fixing plate 30 having a through hole 33 through which a bundle reinforcing bars 20 pass through at its corners, a fixing plate 3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lum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of the column; An upper fixing plate 40 composed of a steel plate and having the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s fixed thereto; A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composed of columnar sheaths in the column upper panel zone; A diaphragm steel plate (60, 60)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zone sheath steel plate (5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to horizont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A rib steel plate 70 which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 section to vertic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A beam joining bracket 8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 steel plate 50 for joining with the beam; And a form steel plate 90 extending from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to a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form an enclosure of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중공이 있는 강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모서리에 복수의 커플러(11)가 고정되는 커플러부(12)가 형성되어 기둥의 하단에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앵커 볼트(A)를 이용하는 등의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기둥의 하단이 설치될 기초 또는 하부층 슬래브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기초에 선조립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 미리 설치되어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base plate 10 is formed of a hollow steel plate and has a coupler portion 12 formed at each corner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11 are fixed,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The base plate 10 may be joined to a foundation or lower layer slab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lumn is to be installed, in a manner known in the art, such as by using anchor bolts (A). In other words, the means for installing the pre-assembly column on the foundation is provided in advance, which simplifies the installation work,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reducing the air.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단면의 각 모서리에는 다발철근(2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커플러(11)가 고정되는 커플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발철근(20)의 하단을 커플러(11)에 삽입하여 용접 등의 이 분야의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고정하면 다발철근(20)을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발철근(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근 작업 없이 다발철근(20)을 기둥의 모서리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e corn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plate 10 are formed couplers 12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11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s 20 are fixed. Therefore, if the low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11 and fixed by any known method in the art such as welding,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can be fixed between the bundle reinforcing rods 20 without using a separate spacer So that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can b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olumn without the need of separate laying work.

다발철근(20)은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철근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기둥 단면의 각각의 모서리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철근의 구성 개수는 도시된 4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20 may be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lumn section with four reinforcing bars spaced from each other as shown by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so as to be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re not limited to the four shown, but may be variously configured.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C-C 단면도이며, 도 5c는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C-C, and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plate.

고정 플레이트(30)는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공(31)을 갖는 강판 본체(32)와, 강판 본체(32)의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 강판(34)으로 구성된다. The fixing plate 30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and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main body 32 having a hollow 31 and a penetrating steel plate 34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32.

강판 본체(32)와 관통 강판(34)은 일체로 구성되며, 관통 강판(34)에는 다발철근(20)이 관통되는 관통홀(33)이 천공되며 강판 본체(32)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penetrating hole 33 through which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penetrates is formed in the penetrating steel plate 34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32 do.

중공(31)의 크기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밀실히 충진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하며, 관통 강판(34)이 강판 본체(32)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고정 플레이트(30)와 거푸집 사이에 공간을 마련되어 이 공간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더욱 밀실히 충진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The hollow 31 has a size that can be filled tightly when the concrete is laid and the penetrating steel plate 3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32, This space is designed to fill the concrete more tightly.

고정 플레이트(3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강판(34)의 외측 변이 거푸집에 면접하도록 기둥 단면 크기에 맞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관통 강판(34)이 다발철근(20)에 피복두께를 제공하게 되어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xing plate 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as being capable of being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configured to fit the column cross-sectional size such that the outer side of the penetrating steel plate 34 is in contact with the die,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steel plate 34 provides the coating thickness to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and the coating thickness can be ensured without a separate spacer.

고정 플레이트(30)는 기둥 하단으로부터 기둥 상부의 패널존 하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고정 플레이트(3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철근(hoop)을 다발철근(20)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하여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late 3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lum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of the colum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s 20 are horizontally surrounded by a hoop between the fixing plates 3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철근 선조립 기둥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순한 철근망이 아니라 이를 골조화하여 자체적으로 안정성을 갖도록 고안되었다. 고정 플레이트(30)는 이러한 골조화를 위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다발철근(20)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며 수평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하여 철근의 좌굴 길이를 줄이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기 전까지 수평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not only as a simple reinforcing bar net but also as a stiffener to constitute a reinforcing bar pre-assembly column and to have its own stability. On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tiffening plate 30 is a fixing plate 30 which fixes the bundle reinforcing bars 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s support poin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educe the buckling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Improves bearing capacit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의 패널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단면도이다.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nel zone of a reinforcing steel pre-assembly column in which a construction self-sufficiency is secured and a panel zone is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철근 선조립 기둥의 최상단에는 상단고정 플레이트(40)가 구성된다. 상단고정 플레이트(40)는 중공을 갖고 각각의 모서리에 복수의 커플러(41)가 고정되는 커플러부(42)가 형성되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다발철근(20)의 최상단이 커플러(41)에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다발철근(20)의 상단을 커플러(41)에 삽입하여 용접 등의 이 분야의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고정하면 다발철근(20)을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발철근(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근 작업 없이 다발철근(20)을 기둥의 모서리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upper end fixing plate 40 is form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reinforcing bar pre-assembly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fixing plate 40 is made of a steel plate having a cavity and a coupler 42 formed at each corner for fixing a plurality of couplers 41. The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s 20 is fixed to the coupler 41 When the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41 and fixed by any known method in the art such as welding, as in the case of the base plate,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can be fastened to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without using a separate spac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rods 20 and the reinforcing rods 20 at the corners of the pillars without any additional roots.

베이스 플레이트(10), 다발철근(20), 고정 플레이트(30) 및 상단고정 플레이트(40)는 일종의 철근 케이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선조립 기둥을 단순한 철근망이 아니라 이를 골조화하여 자체적으로 안정성을 갖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기존의 철근 선조립 기둥 기술은 주근 및 보조근을 띠철근으로 둘러쌓아 철근망으로 구축한 것에 비해 본 발명은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다발철근(20), 다발철근(20)의 하단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다발철근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40)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발철근을 수평하게 구속하는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30)로 구성하여 골조화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강도와 강성이 보장되어 시공 자립도가 확보된다.The base plate 10,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the fixing plate 30, and the upper fixing plate 40 form a kind of reinforcing cage.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bars are not simply a reinforcing bar, It is designed to be self-stabilizing. That is, in the existing reinforcing bar pre-assembly column technique, the main rope and the auxiliary rope are surrounded by the reinforcing bars to form the reinforcing bar network.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20, A base plate 10 for fixing the lower end, an upper fixing plate 40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s, and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30 for horizontally restraining the bundle reinforcing ba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strength and stiffness of a certain degree are ensured, and the self-su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s ensured.

또한, 본 발명은 기둥의 패널존을 철골보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기둥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보를 결합할 수 있도록 기둥 단면 최외곽에 인장재인 강판으로 기둥의 외피를 구성하고 패널존을 충분히 보강하여 보로부터 전달받은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고안되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nel zone of the column is made of a steel sheet which is a tensile material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column so that the joining of the panel zone of the column to the steel beam is facilitated and the beam of the column is cemented before the concrete is cured, So as to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the beam.

패널존 외피 강판(50)은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며, 다이아프레임 강판(60,60)은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61)이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이아프레임(diaphragm) 작용으로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한다. 다이아프레임 강판(60,60)은 패널존에 결합되는 보의 상, 하부 플랜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plate 50 is made up of columnar sheaths in the column top panel zone, and the diaphragm steel plates 60 and 60 are formed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reinforcing bar- And is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to horizont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by a diaphragm action. The diaphragm steel plates 60 and 60 are preferab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sitions of the beams coupled to the panel zones.

또한, 다이아프레임 강판(60,60) 사이에는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리브 강판(70)이 더 구성되어 패널존을 수직하게 보강한다. 리브 강판(70)은 패널존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패널존 외피 강판(50)과 콘크리트 사이의 일체화를 도모한다. Further, between the diaphragm steel plates 60 and 60, there is further provided a rib steel plate 70 longitudin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so as to vertically protrude in the cross section, thereby vertically reinforcing the panel zone. The rib steel plate 70 reinforces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panel zone,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s between the panel-zone sheath steel plate 50 and the concrete.

도면에서는 리브 강판(70)이 기둥 단면 일면 당 일개씩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패널존에 보강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리브 강판(70)이 구성될 수 있으며 리브 강판(70)의 두께와 설치개수는 구조계산에 따른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스터드 커넥터를 더 결합하여 패널존 외피 강판(50)과 콘크리트 사이의 일체화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wo or more rib steel plates 70 when the panel zone is required to be reinforced, (70) thickness and number of installation are subject to the structural calcul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stud connector can be further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 section, thereby further improving integration between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and the concrete.

보 결합용 브라켓(80)은 패널존 외피 강판(50)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철골보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수단이다. 보 결합용 브라켓(80)은 복수의 강판을 패널존 외피 강판(50)의 외면에서 ㅍ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데 그 형상이 ㅍ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되는 철골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The beam joining bracket 8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and is a means for easy joining with the steel beam. The beam joining bracket 80 is coupled so that a plurality of steel plates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plate 50 in a phantom shape. The shape of the brackets 8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eel frame have.

패널존 외피 강판(50)의 하부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패널존 하부 기둥의 외피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강판(9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may further include a shape steel plate 90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본 발명에 따른 철골 선조립 기둥은 패널존은 강판으로 기둥의 외피를 구성하도록 영구 거푸집이 설치되고 패널존 하단은 강판 거푸집 없이 철근이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철골 선조립 기둥이 시공현장에서 설치된 뒤 패널존 하단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용 거푸집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는데 물류창고와 같이 높은 층고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의 경우 기둥의 높이가 높게 설계되고 이런 경우 패널존 하단에 거푸집을 설치하기가 어려워진다(예를 들면 거푸집을 3.6미터 이상의 높이로 설치해야하는 경우). The steel frame prefabricated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panel zone is a steel plate, a permanent mold is installed to form a shell of the colum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is configured to expose a reinforcing bar without a steel plate form. In the lower part of the zone, concrete is inserted and cured after installing a cast concrete for the site. In case of a structure requiring a high height such as a warehouse, the height of the column is designed to be high an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form at the bottom of the panel zone (For example, if the form needs to be installed above 3.6 meters).

거푸집 강판(90)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존 외피 강판(50)의 하부에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영구 거푸집으로 구성된다. The form steel plate 90 is made of a permanent mol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to the lower part of the panel-zone sheathing steel plate 5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거푸집 강판(90)은 패널존 외피 강판(50) 보다 두께가 작은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rm steel plate 90 is preferably made of a steel sheet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panel-zone sheath steel sheet 50.

도 8a는 도 1의 D-D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보강강판의 사시도이다. FIG. 8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 and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ed ste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거푸집 강판(90)의 내부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강판(30a)이 더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A, a reinforcing steel plate 30a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orm steel plate 90. FIG.

보강강판(30a)은 중공(32a)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31a)이 형성되어 거푸집 강판(90)의 내면에 수평하게 결합된다. The reinforcing steel plate 30a is made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32a and is formed at the corners with grooves 31a for inserting the reinforcing steel bars 30 and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9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다발철근, 다발철근의 하단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다발철근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발철근을 수평하게 구속하는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단순 철근망이 아닌 골조화되어 자체적인 강도와 강성이 보장되어 시공 자립도가 확보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multi-layer reinforcing bar located at a corner of a cross section of a column, a base plate for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multi-layer reinforcing bars, an upper fixing plate for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multi- The steel plat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xed plates which are constrained to the steel plate, so that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steel plate are secured not by simple reinforcing steel net but by self-reinforcing steel plate.

또한, 패널존 외피 강판이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고 다이아프레임 강판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이아프레임 작용으로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하며, 리브 강판이 패널존 외피 강판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직하게 보강하므로 패널존을 충분히 보강하여 보로부터 전달받은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is constituted by columnar sheaths in the column top panel zone, and the diaphragm steel sheet is joined horizontally inside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 The rib steel plate is vertically proj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plate so as to vertic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so that the panel zone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to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moment transmitted from the beam.

또한, 보 결합용 브라켓이 패널존 외피 강판 외면에 결합되어 철골보와의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므로 기둥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보를 결합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 인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현장의 공정을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사기간 단축 및 관리요소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am joining bracket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to provide easy joining with the steel beam,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by joining the beam before the concrete of the column is cured, As the process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management factor can be reduced.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커플러
12: 커플러부
20: 다발철근
30: 고정 플레이트
31: 중공
32: 강판 본체
33: 관통홀
34: 관통 강판
40: 상단고정 플레이트
41: 커플러
42: 커플러부
50: 패널존 외피 강판
60: 다이아프레임 강판
61: 다발철근 삽입용 홈
70: 리브 강판
80: 보 결합용 브라켓
90: 거푸집 강판
10: Base plate
11: Coupler
12: Coupler part
20: bundle reinforcing bars
30: Fixing plate
31: hollow
32: Steel plate body
33: Through hole
34: Through steel plate
40: upper fixing plate
41: Coupler
42: Coupler part
50: Panel zone sheath plate
60: Diaphragm steel plate
61: Groove for bundle reinforcing bars
70: rib steel plate
80: Bracket for beam connection
90: Form steel plate

Claims (6)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커플러(11)가 고정되는 커플러부(12)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기둥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커플러(11)에 하단이 고정되어 기둥 단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다발철근(20);
중공(31)을 갖는 강판 본체(32)와, 다발철근(20)이 관통되는 관통홀(33)이 천공되며 강판 본체(32)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거푸집과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관통 강판(34)이 일체로 구성되어, 기둥 하단으로부터 기둥 상부의 패널존 하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30);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커플러(41)가 고정되는 커플러부(42)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다발철근(20)의 상단이 커플러(41)에 고정되는 상단고정 플레이트(40);
기둥 상부 패널존에 기둥 외피로 구성되는 패널존 외피 강판(50);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61)이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어, 패널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패널존을 수평하게 보강하는 다이아프레임 강판(60,60);
각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패널존을 보강하는 리브 강판(70);
패널존 외피 강판(50) 외면에 보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되는 보 결합용 브라켓(80); 및
패널존 외피 강판(50)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패널존 하부 기둥의 외피를 이루도록 결합되며, 중공(32a)을 갖는 강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발철근 삽입용 홈(31a)이 형성되는 보강강판(30a)이 내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거푸집 강판(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A base plate 10 made of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portion and having a coupler portion 12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11 are fixed,
A bundle reinforcing bar (20)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coupler (11) of the base plate (10) and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a columnar section;
A steel plate main body 32 having a hollow 31 and a through hole 33 through which the bundle reinforcing bars 20 are passed are formed to be protruded from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steel plate main body 32, A fixing plate 30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netrating steel plate 34 so as to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lum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of the column;
The upper end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 20 is fixed to the upper end fixing plate 40 (not shown), which is formed by a steel plate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 coupler portion 42 to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41 are fixed, );
A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composed of columnar sheaths in the column upper panel zone;
The panel zone is horizontally joined to the insid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zone so as to horizontally reinforce the panel zone A diaphragm steel plate (60, 60);
A rib steel plate 70 which is longitudinally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panel-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in the cross-section to reinforce the panel zone;
A beam joining bracket 8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 steel plate 50 for joining with the beam;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 inserting bundle reinforcing bars 31a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panel zone enclosure steel plate 50 and exten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zone enclosure 50 so as to form an outer shell of the panel zone lower column, And a form steel plate (90) in which a reinforcing steel plate (30a) is horizontal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steel plate (30).
제1항에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30)의 관통 강판(34)은 외측 변이 거푸집에 면접되어 다발철근의 피복두께 확보용 스페이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netrating steel plate (34) of the fixing plate (30) is interposed in an outer side mold to become a spacer for securing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bundle reinforcing bars, wherein the panel self-supporting degree is secured and the panel zone is reinforced.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기초 또는 하부층 슬래브에 결합되어,
기둥의 설치 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10 is coupled to a foundation or lower layer slab,
A reinforced concrete prefabricated column in which a panel self-supporting degree is secured and a panel zone is reinforc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olumn is simplif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패널존 외피 강판(50) 내면에 단면내로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스터드 커넥터를 결합하여 패널존 외피 강판(50)과 콘크리트 사이의 일체화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ud joint is vertically protruded in the cross s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to improve the integration between the panel zone sheathing steel sheet 50 and the concrete. Pre-assembly column.
KR1020150149754A 2015-10-27 2015-10-27 Pre-assembled re-bar column KR101734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54A KR101734187B1 (en) 2015-10-27 2015-10-27 Pre-assembled re-bar colu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754A KR101734187B1 (en) 2015-10-27 2015-10-27 Pre-assembled re-bar colum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19A KR20170049719A (en) 2017-05-11
KR101734187B1 true KR101734187B1 (en) 2017-05-12

Family

ID=5873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754A KR101734187B1 (en) 2015-10-27 2015-10-27 Pre-assembled re-bar colum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18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96A (en)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포스코 Column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 sturcture and horizontal member
KR20220077701A (en) * 2020-12-02 2022-06-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precast shear wall and found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014B1 (en) * 2018-11-13 2020-01-22 저주 진 Filled steel tube to prevent distortion of concrete
KR102289243B1 (en) * 2020-02-17 2021-08-13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assembled bar column, U-shaped beam, Corrugated de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67B1 (en) * 2013-04-08 2014-10-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s which facilitate vertical rebar placement and jointing
KR101469145B1 (en) * 2013-07-09 2014-12-04 이승우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anel z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67B1 (en) * 2013-04-08 2014-10-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s which facilitate vertical rebar placement and jointing
KR101469145B1 (en) * 2013-07-09 2014-12-04 이승우 Centrifugal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panel z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96A (en)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포스코 Column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 sturcture and horizontal member
KR102423413B1 (en) * 2020-08-03 2022-07-21 주식회사 포스코 Column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lumn sturcture and horizontal member
KR20220077701A (en) * 2020-12-02 2022-06-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precast shear wall and foundation
KR102535525B1 (en) 2020-12-02 2023-05-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between precast shear wall and fou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19A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194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90748B1 (en) Prefabricated Column with Rib deck form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1734187B1 (en) Pre-assembled re-bar column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1862278B1 (en) Steel composite concrete member
KR102387052B1 (en)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761786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1223691B1 (en) Site Splicing Method of Pre-Assembled Rebar Columns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1672991B1 (en) Pre-assembl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2298544B1 (en) Prefabricated Column Structure
RU2416007C2 (en) Stiffening structure for bearing ceiling slabs in buildings
KR200414349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KR101612623B1 (en) Fabricated beam with steel plates and angle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KR102104382B1 (en)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100939970B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lex girder and its structure
KR101458435B1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6554316B2 (en) Roof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24820B1 (en) Combination Structure
KR20150025643A (en) Precast segment assembly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KR101954387B1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736594B1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JP2016075131A (en) Composite structure
KR101666981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