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052B1 -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7052B1 KR102387052B1 KR1020200049717A KR20200049717A KR102387052B1 KR 102387052 B1 KR102387052 B1 KR 102387052B1 KR 1020200049717 A KR1020200049717 A KR 1020200049717A KR 20200049717 A KR20200049717 A KR 20200049717A KR 102387052 B1 KR102387052 B1 KR 102387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reinforced
- precast
- panel body
- concr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으로 제작되어져 현장으로의 운반 및 인양 설치가 용이하고, 단부에 강판이 보강되어져 전단 저항이 발휘되고, 시공될 보의 바닥에 거푸집의 필요가 없이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져 시공되어져 시공성이 뛰어난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체 두께보다 작은 두께에 주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하프 패널 몸체, 하프 해널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프 패널과; 상기 하프 패널의 양쪽 단부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고 각기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보의 단부측 전단력과 모멘트 저항을 수행하는 단부강판과; 상기 하프 패널의 중앙부 양쪽 측면에 단부강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현장에서 기둥의 상단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슬래브 시공시 상기 하프 패널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을 해체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be lightweight, so it is easy to transport and lift to the site, and the steel plate is reinforced at the end to exhibit shear resistance, and concrete is poured to the top without the need for a form at the bottom of the beam to be constructed. This excellent method of constructing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s is provided.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lf-panel body in which main 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and protrudes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lf-hannel body a half panel on which a shear connector is installed; an end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half panel and respectively installed to perform end-side shear force and moment resistance of the precast beam; It includes a side panel that has the same height as the end steel plate and is detach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of the half panel, and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column at the site, and then concrete to the upper part of the half panel when constructing the sla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dismantling the side panel of the beam after pouring and cu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장에서 제작되는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으로 제작되어져 현장으로의 운반 및 인양 설치가 용이하고, 단부에 강판이 보강되어져 전단 저항이 발휘되고, 시공될 보의 바닥에 거푸집의 필요가 없이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져 시공되어져 시공성이 뛰어난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beam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in particular, it is manufactured to be lightweight, so it is easy to transport and lift to the site, and the steel plate is reinforced at the end to exhibit shear resistance, and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eam to be constructed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precast concrete beam with excellent workability by pouring concrete to the top without the need for a formwork.
PC공법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접합하는 공업화 구조로서 1980년대부터 건설현장에서 꾸준히 적용되는 공법이다. 최근 건설 시장은 현장 인건비 상승과 공기 단축의 압박이 더욱 심해지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PC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PC공법은 공기 단축, 현장 작업감소로 시공성 향상 및 현장 노동력 감소, 품질의 확보 등 여러 장점이 있어서 그 적용 범위를 점점 확대해가는 추세이다. The PC method is an industrialized structure that is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assembled and joined at the site, and has been continuously applied at construction sites since the 1980s. Recently, in the construction market, the pressure of rising labor costs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s getting worse, and the PC method is drawing attention as a solution to this. The PC method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ement of constructability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tion of on-site work, reduction of on-site labor force, and securing of quality, and thus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is gradually expanding.
하지만 PC공법은 양중 부하(양중무게 및 양중횟수) 문제와 접합부의 일체성 확보의 어려움이라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PC 보 및 PC기둥은 대형화 또는 장주화되는 경우가 많아 과도한 양중부하로 인해 제작, 운반, 설치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C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joint and the problem of lifting load (weight and number of lifts). In particular, recent PC beams and PC columns are often enlarged or long, so there are problems in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due to excessive lifting loads, which limits their applica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201538호로서, ' 피씨보 및 그를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보의 외측변에 거푸집을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미경화콘트리트를 타설하여 보와 슬라브층을 일체로 성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노출되는 노출철근으로 구성되는 PC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상부에 소정의 두께 및 높이로써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턱과, 그 상면에 노출철근이 노출되어진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공장에서 제작시 보의 몸체부가 전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져 고중량을 이루기 때문에, 현장으로 차량에 의해 1회 운반되는 량이 적어져 총운반 횟수가 증가되어 운반비가 상승하게 되고, 또한 현장에서 인양시 큰장비가 사용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부에 특별한 보강구조가 없기 때문에 전단력 저항을 크게 발휘하기 어렵다.As a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01538, 'PC bea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horizontal structure using the same' (Paten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This allows the beam and the slab layer to be integrally formed by pouring unhardened concrete without installing a form on the outer side of the beam, and a body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C beam consisting of exposed reinforcing bar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protruding jaw protruding upwar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ep in which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ar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 beam It is formed as a unit. However, in the background art, since the body of the beam is all made of concrete and has a high weight when manufactured in a factory, the amount transported once by a vehicle to the site decreases, the total number of transportation increases,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ncreases, and also in the field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because large equipment must be used for lifting.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pecial reinforcing structure at the end, it is difficult to exhibit great shear resistan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다른 배경 기술로는 한국 특허등록 제10-0620860호로서, "강관을 삽입한 중공단면 철근콘크리트 기둥"(특허문헌 2)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축방향 주철근과 횡방향 철근이 배근되는 콘크리트체 내부에 속이 빈 중공부(14)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단면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4)의 중공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체와 일체화되어 콘크리트체의 내측부를 구속시키는 강관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을 삽입한 중공단면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제작단가가 상승하고 기둥 단면을 관통하는 띠철근의 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0860, "a hollow cross-section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a steel pipe inserted" (Patent Document 2). In the background art, 'In a hollow cross-section reinforced concrete column in which a hollow hollow part 14 is formed along a central axis in a concrete body to which an axial main reinforcing bar and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are reinforced, the hollow surface of the hollow part 14 is We propose a 'hollow cross-section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a steel pipe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pipe that is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ody and restrains the inner part of the concrete body is inserted and installed while forming. However, the background technology also had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d and it was difficult to arrange the reinforcing bar through the column cross section.
본 발명은 경량으로 제작되어져 현장으로의 운반 및 인양 설치가 용이하고, 단부에 강판이 보강되어져 전단 저항이 발휘되고, 시공될 보의 바닥에 거푸집의 필요가 없이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져 시공되어져 시공성이 뛰어난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be lightweight, so it is easy to transport and lift to the site, and the steel plate is reinforced at the end to exhibit shear resistance, and concrete is poured to the top without the need for a form on the bottom of the beam to be constru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excellent end-reinforced half-precast concrete beam.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체 두께보다 작은 두께에 주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하프 패널 몸체, 하프 해널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프 패널과; 상기 하프 패널의 양쪽 단부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고 각기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보의 단부측 전단력과 모멘트 저항을 수행하는 단부강판과; 상기 하프 패널의 중앙부 양쪽 측면에 단부강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현장에서 기둥의 상단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슬래브 시공시 상기 하프 패널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을 해체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lf-panel body in which main reinforcing bars are reinforced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and protrudes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lf-hannel body a half-panel on which a shear connector is installed; an end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half panel and respectively installed to perform end-side shear force and moment resistance of the precast beam; It includes; a beam side panel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of the half panel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end steel plate, and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top of the column at the site and then concrete to the upper part of the half panel when constructing the sla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dismantling the side panel of the beam after pouring and curing.
또한, 상기 단부강판은 수직강판부와 상단에 데크거치용으로 직각되게 절곡시킨 데크거치용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steel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vertical steel plate portion and a flange for deck mounting bent at a right angle for deck mounting on the upper end.
또한, 상기 단부강판은 하프 패널에 관통된 단부측 하부관통볼트와 단부측 하부관통볼트의 상방에 배치된 단부측 상부관통볼트에 각기 나사 체결시킨 너트에 의해 하프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steel plate is mounted on the half panel by nuts screwed to the end side lower through bolt and the end side upper through bolt disposed above the end side lower through bolt passing through the half panel, respectively. .
또한, 상기 보측면 패널은 패널 몸체의 양측면에 각기 매립된 체결소켓에 나사 결합된 소켓볼트와, 체결소켓의 상방에 배치된 중앙측 상부관통볼트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am side panel is installed so as to be disassembled by a socket bolt screwed to a fastening socket embedded in each side of the panel body, and a nut fastened to a central upper through bolt disposed above the fastening socket. do.
또한, 상기 중앙측 상부관통볼트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원통슬리브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side upper through-bol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leeve to be dismantled.
또한, 상기 보측면 패널의 상단에 데크설치용 각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채널형 앵글, L형 브라켓, U형 브라켓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channel-type angle, an L-type bracket, and a U-type bracket is installed so as to install the decking materials for the deck installation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panel of the beam.
한편,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은,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를 공장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는 단계와;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를 인양하여 단부강판이 설치된 단부를 다각형 선조립 기둥의 상단에 거치시켜 놓는 단계와;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에 데크를 지지되게 설치한 후 하프 패널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nd-reinforced half-precast concrete beam, the steps of transporting the end-reinforced half-precast concrete beam to the site after manufacturing the factory; Lifting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and placing the end of the end steel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olygonal line assembly column; After installing the deck to be supported on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to the upper part of the half panel, and dismantling the side panel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including.
여기서, 상기 다각형 선조립 기둥은 기둥 단면의 각 변측에 하나 이상 수직으로 세워져 배열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패널과; 인접한 프리캐스트 패널에 외측에서 가조립되어져 콘크리트 거푸집 기능을 하는 가설 고정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패널 본체와; 패널 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어 단부가 패널 본체의 상,하단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어 설치된 주근과; 이웃한 주근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가 주근과 동일한 길이로 패널 본체의 상,하단에서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수직근과; 상기 수직근에 걸어져 단부가 기둥 단면의 내부를 향해 패널 본체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에 매립되어 설치된 전단고리와;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적으로 패널 본체에 매립되어 양 단부가 패널 본체의 측면에서 노출된 후 기둥 단면의 중앙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연결고리부를 갖고 설치된 후프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lygonal line assembly pillar is a precast panel that is vertically erected and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one or more; A temporary fixing material that is temporarily assembled from the outside to an adjacent precast panel and functions as a concrete formwork; a main body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panel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nds thereof are expo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body; a vertical muscle disposed between adjacent main bars and embedded in the panel body so that the ends thereof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ain bars and are expos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body; a shear ring hung on the vertical muscle so that an end thereof is exposed from the panel body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nd is embedded in the panel body; A hoop muscle installed with a connecting ring part that is horizontally embedded in the panel body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both ends are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panel body, and is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o.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는 현장에서 설치되기 전 패널몸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의 바닥 거푸집을 필요치 않는다. 또한 전체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에 보보다 두께가 작은 패널몸체만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송비용이 절감되고, 현장에서 인양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설치 후 단부강판은 해체되지 않고 일체로 남아 전단력과 모멘트에 저항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의 내력이 향상된다. 또한 단부측 상부관통볼트, 중앙측 상부관통볼트 또는 원통슬리브는 현장에서 타설콘크리트와 합성되어져 전단력 저항을 보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reinforced half-precast concrete beam has a panel body before being installed in the field, the floor formwork of the beam is not required. In addition, not the whole is made of concrete, but only the panel body, which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beam at the bottom, is made of concrete,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thereby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and facilitating the lifting and installation at the site. In addition, after the half precast concrete beam is installed, the end steel plate is not dismantled and remains integral, acting as an element resisting shear force and moment, so the bearing strength of the beam is improved. In addition, the upper penetrating bolt on the end side, the upper penetrating bolt on the center side, or the cylindrical sleeve are combined with cast concrete at the site and act as an element to reinforce the shear force resistance.
한편, 다각형 선조립 기둥은 프리캐스트 패널의 다양한 배치 구조에 의해 다양한 다면의 기둥을 제작할 수 있고, 각 프리캐스트 패널측 후프근은 단부에서 서로 중복적으로 겹침되어져 이음되는 연속적인 구조를 갖고 주근을 구속하고, 전단고리는 다각형 선조립 기둥의 내부에 타설될 콘크리트와 합성되어 수직근을 구속시킴으로써 기둥 내력을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설치 및 내진 안전성도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polygonal pre-assembled pillars can be manufactured with various multi-faceted pillars by the various arrangement structures of the precast panel, and each precast panel side hoop muscle has a continuous structure that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the end and connected to the main rod. The shear ring is combined with the concrete to be poured inside the polygonal pre-assembled column to increase the column bearing strength by constraining the vertical muscle, thereby improving the installation and seismic safety of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1에 적용된 보 측면 패널의 또 다른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하프패널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하프패널에 단부강판을 설치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단부가 기둥에 거치된 평면도로서 콘크리트 타설 전,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둥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패널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lf precast concre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4 (A), (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various forms of the side panel of the beam applied to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half panel of a half precast concre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 steel plate installed on the half panel of FIG. 5;
7A and 7B are plan views in which the ends of the half precast concrete bea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columns before and after concrete pourin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concrete is poured on a half precast concre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panel applied to the pilla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polygonal line assembly pillar using the precast panel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polygonal line assembly column using the precast panel of FIG.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프 패널(110), 단부강판(120), 보측면 패널(130)을 포함한다.The reinforced half
하프패널(110)은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일정 길이와 프리캐스트 보(200)의 전체 두께(T)보다 작은 두께(t)과 주철근(111)을 갖는 하프 패널 몸체(112)를 구비한다. 하프 패널 몸체(112)에는 하프 해널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1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프 패널 몸체(112)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강연선이 설치되어 하프 패널 몸체(112)에 압축력이 도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하프 패널 몸체(112)의 두께는 보 두께(T)의 1/2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는 경량화가 가능하여 공장에서 현장까지의 운송이 용이해지고 현장에서의 인양 설치가 용이해진다.Here, the thickness of the half-
전단연결재(114)는 하프 패널 몸체(112)의 단부 보강을 위해 하프 패널 몸체(112)의 단부구간에서는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단부강판(120)은 강판을 절곡시켜 제작된 것으로 하프 패널(110)의 양쪽 단부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고 각기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보(100)의 단부측 전단력과 모멘트 저항을 발휘하도록 하여 안정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여기서, 단부강판(120)은 수직강판부(120a)와 상단에 데크거치용으로 직각되게 절곡시킨 데크거치용 플랜지(120b)를 갖도록 구성된다. 데크거치용 플랜지(120b)는 데크거치용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발판으로도 사용된다.Here, the
단부강판(120)은 하프 패널(110)에 관통된 단부측 하부관통볼트(140)와, 단부측 하부관통볼트(140)의 상방에 배치된 단부측 상부관통볼트(142)에 각기 나사 체결시킨 너트(144)에 의해 하프 패널(110)에 장착되어 있다. 이때 단부측 하부관통볼트(140)와 단부측 상부관통볼트(142)는 단부 보강을 위해 후술할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의 배치간격보다 조밀한 배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보측면 패널(130)은 하프 패널(110)의 중앙부 양쪽 측면에 단부강판(12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측면 패널(130)은 설치 후 현장에서 도 8과 같이 타설콘크리트(112a)의 설치 후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해체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보측면 패널(130)은 강판으로 제작되어 있으나 그 이외에 합판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보 춤이 커서 측압이 클 경우 각재, 강관 등으로 보강할 수 있다.The
보측면 패널(130)은 패널 몸체(112)의 양측면에 각기 매립된 체결소켓(150)에 나사 결합된 소켓볼트(152)와, 체결소켓(150)의 상방에 배치된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에 체결된 너트(162)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여기서,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는 해체가 가능하도록 원통슬리브(17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슬리브(170)는 현장에서 타설콘크리트에 매립되고,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는 너트(162)의 풀림으로 원통슬리브(170)에서 해체 제거되어 재사용이 가능해진다.Here, the central upper through-
한편, 현장에서 데크(도시안됨)의 설치를 위해 보측면 패널(130)의 상단에 데크설치용 각재(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채널형 앵글(18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속된 채널형 앵글(181)을 사용하였으나 도 4의 (가),(나)와 같이 L형 브라켓(182), U형 브라켓(183)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deck (not shown) in the field, the channel-
이와 같이 구성된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는 현장에서 설치되기 전 패널몸체(11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의 바닥 거푸집을 필요치 않는다. 또한 전체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에 보의 전체 두께보다 두께가 작은 패널몸체(112)만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송비용이 절감되고, 현장에서 인양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의 설치 후 단부강판(120)은 해체되지 않고 일체로 남아 전단력과 모멘트에 저항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의 내력이 향상된다. 또한 단부측 상부관통볼트(142),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 또는 원통슬리브(170)는 현장에서 타설콘크리트와 합성되어져 전단력 저항을 보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이와 같이 구성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the half precast
먼저, 도 5와 패널 몸체(112)의 제작과, 도 6의 단부강판(120)의 설치를 거쳐 도 1과 같이 제작이 완성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를 공장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한다.First, after manufacturing the
다음, 7a와 같이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를 인양하여 단부강판(120)이 설치된 단부를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의 상단에 거치시켜 놓는다.Next, as shown in 7a, the half precast
그 다음, 도 7b와 같이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에 데크(2000)를 지지되게 설치한 후 하프 패널(110)의 상부로 콘크리트(112a)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130)을 해체한다. 보측면 패널(130)의 해체는 소켓볼트(152)의 풀림과 중앙측 상부관통볼트(160)에 체결된 너트(162)의 풀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fter installing the
한편,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은 다양한 단면의 기둥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현장에서의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사용이 불필요하여 기둥의 설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polygonal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은 기둥 단면의 각 변측에 하나 이상 수직으로 세워져 배열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패널(1)과, 인접한 프리캐스트 패널(1과 1)에 외측에서 가조립되어져 콘크리트 거푸집 기능을 하는 가설 고정재(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polygonal
따라서 프리캐스트 패널(1)의 배열 방식 및 설치 개수에 따라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설고정재(2)는 강판 또는 합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트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 패널(1)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인서트 너트가 매립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프리캐스트 패널(1)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패널 본체(10)와,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어 단부가 패널 본체(10)의 상,하단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어 설치된 주근(11)과, 이웃한 주근(11과 11)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가 주근(11)과 동일한 길이로 패널 본체(10)의 상,하단에서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설치된 수직근(21)과, 상기 수직근(21)에 걸어져 단부가 기둥 단면의 내부를 향해 패널 본체(10)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설치된 전단고리(22)와,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적으로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양 단부가 패널 본체(10)의 측면에서 노출된 후 기둥 단면의 중앙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연결고리부(31)를 갖고 설치된 후프근(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9 to 11 , the
이때 패널 본체(10)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절삭부(12)를 형성시켜 이웃한 패널 본체(10와 10)간의 사이에 타설콘크리트의 충전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함이 바림직하다. 또한 전단고리(22)는 V자 형태로 예시되어 있지만 U형,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form a cutting
따라서 도 10과 같이 예로 프리캐스트 패널(1) 4개가 기둥 단면의 변에 배치되면 각 프리캐스트 패널(1)측 후프근(30)은 단부에서 서로 중복적으로 겹침되어져 이음되는 연속적인 구조를 갖고 주근(11)을 구속하고, 전단고리(22)는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의 내부에 타설될 콘크리트와 합성되어 수직근(21)을 구속시킴으로써 기둥 내력을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의 설치 및 내진 안전성도 향상된다. 물론 도 11과 같이 상대적으로 긴 장변에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패널(1)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refore, as in FIG. 10 , for example, when four
또한 일반 PC 기둥, RC 기둥에 설치가 가능하고 단부 강판을 이용하여 철골 기둥에도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on general PC columns and RC columns, and can also be installed on steel columns using end steel plates.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프리캐스트 패널
2: 가설 고정재
11: 주근
21: 수직근
22: 전단고리
30: 후프근
10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110: 하프 패널
120: 단부강판
130: 보측면 패널
140: 하부관통볼트
142: 상부관통볼트
150: 체결소켓
160: 상부관통볼트
170: 원통슬리브
1000: 다각형 선조립 기둥1: Precast panel
2: Temporary fixing material
11: main
21: vertical muscle
22: shear ring
30: hoop muscle
100: precast concrete beam
110: half panel
120: end steel plate
130: beam side panel
140: lower through bolt
142: upper through bolt
150: fastening socket
160: upper through bolt
170: cylindrical sleeve
1000: polygon line assembly column
Claims (8)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를 인양하여 단부강판(120)이 설치된 단부를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의 상단에 거치시켜 놓는 단계와;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에 데크(2000)를 지지되게 설치한 후 하프 패널(110)의 상부로 콘크리트(120a)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130)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선조립 기둥(1000)은 기둥 단면의 각 변측에 하나 이상 수직으로 세워져 배열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패널(1)과; 인접한 프리캐스트 패널(1과 1)에 외측에서 가조립되어져 콘크리트 거푸집 기능을 하는 가설 고정재(2);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1)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패널 본체(10)와; 패널 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어 단부가 패널 본체(10)의 상,하단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어 설치된 주근(11)과; 이웃한 주근(11과 11)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가 주근(11)과 동일한 길이로 패널 본체(10)의 상,하단에서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설치된 수직근(21)과; 상기 수직근(21)에 걸어져 단부가 기둥 단면의 내부를 향해 패널 본체(10)에서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설치된 전단고리(22)와;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적으로 패널 본체(10)에 매립되어 양 단부가 패널 본체(10)의 측면에서 노출된 후 기둥 단면의 중앙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연결고리부(31)를 갖고 설치된 후프근(30);을 포함하고,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100)의 전체 두께(T)보다 작은 두께(t)에 주철근(111)이 배근되어 있는 하프 패널 몸체(112), 하프 해널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114)가 설치되어 있는 하프 패널(110)과; 상기 하프 패널(110)의 양쪽 단부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고 각기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보(100)의 단부측 전단력과 모멘트 저항을 수행하는 단부강판(120)과; 상기 하프 패널(110)의 중앙부 양쪽 측면에 단부강판(120)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측면 패널(130);을 포함하고, 현장에서 기둥(1000)의 상단에 지지되게 설치한 후 슬래브 시공시 상기 하프 패널(110)의 상부로 콘크리트(112a)를 타설 양생한 후 보측면 패널(130)을 해체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After manufacturing the half-precast concrete beam (100) reinforced at the end of the factory and transporting to the site;
Lifting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100 and placing the end of the end steel plate 1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olygonal line assembly column 1000;
Dismantling the beam side panel 130 after installing the deck 2000 to be supported on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100 and then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120a to the upper part of the half panel 110; including,
The polygonal line assembly pillar 1000 is a precast panel (1) and one or more vertically erected and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A temporary fixing material (2) that is temporarily assembled from the outside to adjacent precast panels (1 and 1) and functions as a concrete formwork; a main bar 11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panel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nds thereof are expo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body 10 ; A vertical root 21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main bars 11 and 11 and embedded in the panel body 10 so that the ends are expos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body 10 with the same length as the main bars 11 and ; a shear ring 22 hung on the vertical muscle 21 so that the end thereof is exposed from the panel body 10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nd is embedded in the panel body 10; The connecting ring part 31, which is horizontally embedded in the panel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is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after both ends are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panel body 10, Hoop muscle (30) installed with; including;
The end-reinforced half precast concrete beam 100 is
The half-panel body 112 in which the main reinforcing bars 111 are reinforced to a thickness t smaller than the total thickness T of the precast concrete beam 100, and the half-hannel body 112 protrude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alf-panel 110 on which a shear connector 114 is installed; an end steel plate 1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half panel 110 and respectively installed to perform end-side shear force and moment resistance of the precast beam 100; A side panel 130 that has the same height as the end steel plate 120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of the half panel 110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cluding, and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000 in the field After slab construction, concrete (112a) is pour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half panel (110) and cured, and then the beam side panel (130) is dismant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717A KR102387052B1 (en) | 2020-04-24 | 2020-04-24 |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717A KR102387052B1 (en) | 2020-04-24 | 2020-04-24 |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1540A KR20210131540A (en) | 2021-11-03 |
KR102387052B1 true KR102387052B1 (en) | 2022-04-15 |
Family
ID=7850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9717A Active KR102387052B1 (en) | 2020-04-24 | 2020-04-24 |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70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9059B (en) * | 2022-04-27 | 2024-09-20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Ultra-deep bearing platform prefabricated brick molding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5233811B (en) * | 2022-07-12 | 2024-08-30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Building frame |
CN115233814B (en) * | 2022-07-12 | 2024-08-30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Snap-in connection structure for buildings |
CN115233813A (en) * | 2022-07-12 | 2022-10-25 |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 Beam with snap-on connection plate |
CN118148298B (en) * | 2024-04-22 | 2025-01-10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茂名供电局 | GFRP steel bar composite bar sea water sea sand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9179B1 (en) * | 2014-02-17 | 2015-04-14 |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 Welding beam for composition with concrete slab an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ing this beam |
KR102056313B1 (en) * | 2018-11-02 | 2019-12-16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Beam Consisted Using Compressive Member and Latt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9695A (en) * | 1991-12-27 | 1993-07-20 | Takenaka Komuten Co Ltd | Formwork and column member i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KR100201538B1 (en) | 1996-09-21 | 1999-06-15 | 김헌출 | Pc beam and executing method of horizental structure work with it |
KR100235116B1 (en) * | 1997-09-12 | 1999-12-15 | 김헌출 | Lightweight Half P.C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rizontal Structure Using It |
KR100620860B1 (en) | 2004-07-30 | 2006-09-19 | 한택희 | Hollow section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steel pipe |
KR20140080399A (en) * | 2013-05-23 | 2014-06-30 | 이승우 | Composite Beam and Joint thereof |
-
2020
- 2020-04-24 KR KR1020200049717A patent/KR1023870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9179B1 (en) * | 2014-02-17 | 2015-04-14 |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 Welding beam for composition with concrete slab and column-beam joint structure using this beam |
KR102056313B1 (en) * | 2018-11-02 | 2019-12-16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Hybrid Beam Consisted Using Compressive Member and Latt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1540A (en) | 2021-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7052B1 (en) | End Reinforced half preecast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0423757B1 (en) |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2187993B1 (en) |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4823790B2 (en) | Column unit and method of building building using column unit | |
KR101030419B1 (en) | Combined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US20100031605A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20210669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 |
KR100713692B1 (en) | Prestressed connection type pier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20085641A (en) | Assembling structure for 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sstructure using it | |
KR101169460B1 (en) | Box girder inbased footing member to inner box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49828B1 (en) | Steel beam and hybrid beam of steel concrete for slim floor | |
KR200414349Y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KR100469540B1 (en) | joint structure of frp precast bridge slab using a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90036248A (en) | Seismic retrofit structure for building and seismic retrofit method using the same | |
US20240328154A1 (en) | Primary Shell Structure Consisting of Plane Load-bearing Modules Made of Elements and Assembly Methods | |
KR100814442B1 (en) | Formwork for heavy-duty slabs and construction method of heavy-duty slabs using the same | |
KR102296982B1 (en) |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 |
KR102197107B1 (en) | Slab unit implanted with means for pressing pile and the method for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 using it | |
KR100522298B1 (en) |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 |
KR20140125754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 |
KR101576224B1 (en) |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576215B1 (en) |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200406615Y1 (en) | Tee type precast concrete panel | |
KR102152538B1 (en) |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inforcing of flat-plate slab | |
CN114250912A (en) | Prefabricated section steel concrete column and composit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