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479A -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479A
KR20190119479A KR1020180042983A KR20180042983A KR20190119479A KR 20190119479 A KR20190119479 A KR 20190119479A KR 1020180042983 A KR1020180042983 A KR 1020180042983A KR 20180042983 A KR20180042983 A KR 20180042983A KR 20190119479 A KR20190119479 A KR 2019011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uggage room
guide rail
vehic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117B1 (ko
Inventor
조장현
유종봉
김동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이화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이화,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1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에서 위치 변경되는 푸시기구를 마련하고, 푸시기구에 스크린봉을 결합함에 따라 스크린의 전개 위치를 변경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크린의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푸시기구의 경우 스크린의 미사용시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노출이 최소화되고, 사용시 인출되어 스크린봉이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스크린봉이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LUGGAGE ROOM TRAY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러기지룸 내부에서 스크린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는 수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러기지룸이 마련된다.
여기서, SUV 차량의 러기지룸은 리어시트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실외에서 러기지룸 내의 적재된 수화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 충돌시 러기지룸 내의 수화물이 리어시트 앞으로 넘어와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실외에서 러기지룸 내의 수화물을 확인 가능함에 따라 도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러기지룸에는 적재된 수화물의 노출을 막아주고, 러기지룸내의 수화물이 튀어오르는 것을 막아주는 스크린막이 마련된다. 다만, 종래의 스크린막은 러기지룸 내에서 어느 한 곳에 고정되게 설치됨에 따라 수화물을 완전히 덮거나 또는 완전히 개방되는 동작밖에 수행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수화물의 크기를 수용하지 못하고, 스크린막을 활용하여 러지기룸을 분할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618046 B1 (2006.08.2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크린막의 위치를 변경하여 스크린막의 고정 위치에 따라 스크린막의 전개 위치를 다양화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는 러기지룸에 설치되고, 러기지룸 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하우징; 무빙하우징에서 러기지룸측으로 인출 및 인입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인출시 스크린봉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푸시기구; 및 무빙하우징에 설치되고, 푸시기구의 동작에 연동되어 가이드레일에 체결 또는 이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푸시기구의 인입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고, 푸시기구의 인출시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어 무빙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며, 푸시기구의 회전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이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락킹기구;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빙하우징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빙하우징에는 푸시기구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러기지룸측으로 연장된 후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푸시기구에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공간에는 푸시래치가 마련되며, 푸시기구는 일단부가 무빙하우징에서 러기지룸측으로 노출되어 스크린봉이 걸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푸시래치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공간에는 제1탄성부가 구비되어, 제1탄성부에 의해 푸시기구가 러기지룸측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기구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부; 및 락킹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락킹부가 가이드레일에 체결 또는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레일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락킹부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시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부는 무빙하우징에 구비된 제2탄성부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되도록 탄발 지지되고, 작동부는 무빙하우징에 구비된 제3탄성부에 의해 가이드홀의 절곡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부의 일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락킹부가 접촉되는 제1푸시돌기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푸시기구의 가이드핀이 접촉되는 제2푸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부에는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푸시돌기의 경사방향과 제2푸시돌기의 경사방향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기구가 인입된 상태에서, 락킹부는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 시작점에 위치되고, 가이드핀은 제2푸시돌기의 경사면 끝점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기구의 인출시, 가이드핀이 러기지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경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가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기구의 회전시, 가이드핀이 가이드홀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가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기구에는 판형상의 터치부와 터치부에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스크린봉에는 터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고, 고정부에는 연장부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는 가이드레일에서 위치 변경되는 푸시기구를 마련하고, 푸시기구에 스크린봉을 결합함에 따라 스크린의 전개 위치를 변경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크린의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푸시기구의 경우 스크린의 미사용시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노출이 최소화되고, 사용시 인출되어 스크린봉이 설치 가능하도록 하며, 스크린봉이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에 따른 조립 도면.
도 4 내지 1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에 따른 조립 도면이며, 도 4 내지 1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룸(10)에 설치되고, 러기지룸 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100); 가이드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하우징(200); 무빙하우징(200)에서 러기지룸(10)측으로 인출 및 인입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인출시 스크린봉(20)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푸시기구(300); 및 무빙하우징(200)에 설치되고, 푸시기구(300)의 동작에 연동되어 가이드레일(100)에 체결 또는 이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푸시기구(300)의 인입시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고, 푸시기구(300)의 인출시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되어 무빙하우징(200)의 이동을 허용하며, 푸시기구(300)의 회전시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200)이 가이드레일(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락킹기구(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러기지룸(1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00)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00)에 무빙하우징(20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00)은 러기지룸(1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00)에 마련되는 무빙하우징(200) 및 푸시기구(300)의 위치에 따라 스크린봉(20)을 다양한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기구(300)는 무빙하우징(200)에서 러기지룸(10)측으로 인출 및 인입 동작될 수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인출/인입/회전 동작 여부에 따라 락킹기구(400)가 가이드레일(100)에 체결 또는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무빙하우징(200)이 가이드레일(100)에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이렇게, 푸시기구(300)와 연동되는 락킹기구(400)는 푸시기구(3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200)의 이동을 제한하고, 푸시기구(300)의 인출 동작시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되어 무빙하우징(200)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로 인해, 무빙하우징(200)은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무빙하우징(200)에서 푸시기구(300)가 인출된 상태에서, 푸시기구(300)에 스크린봉(20)을 설치 후 스크린봉(20)을 회전시키면 스크링봉과 함께 푸시기구(300)가 회전됨으로써 락킹기구(400)가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2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렇게, 푸시기구(300)는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20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스크린봉(20)의 위치에 따른 스크린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20)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빙하우징(200)에는 슬라이딩홈(1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120)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레일(100)에는 슬라이딩홈(12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슬라이딩홈(120)의 경우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202)도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돌기(202)가 슬라이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홈(120)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무빙하우징(200)은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00)의 슬라이딩홈(120)과 무빙하우징(200)의 슬라이딩돌기(202)는 상호 삽입 연결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빙하우징(200)에는 푸시기구(30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220)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20)에는 러기지룸(10)측으로 연장된 후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홀(240)이 형성되며, 푸시기구(300)에는 가이드홀(240)에 삽입되어 가이드홀(240)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하우징(200)에 형성된 내부공간(220)에는 푸시기구(300)가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는 가이드홀(240)이 형성되고, 푸시기구(300)에는 가이드홀(240)에 삽입되는 가이드핀(320)이 형성됨으로써, 푸시기구(300)는 가이드홀(24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인출/인입/회전 동작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홀(240)의 경우 러기지룸(10)측으로 연장된 후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의 러기지룸(10)측으로 연장된 부분(240a)을 이동시 푸시기구(300)는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될 수 있고,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의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240b)으로 이동시 푸시기구(300)는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홀(240)의 경우 러기지룸(10)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푸시기구(300)는 인출된 후 회전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220)에는 푸시래치(260)가 마련되며, 푸시기구(300)는 일단부가 무빙하우징(200)에서 러기지룸(10)측으로 노출되어 스크린봉(20)이 걸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푸시래치(260)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는 내부공간(220)에서 푸시래치(260)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됨에 따라 인출 동작이 허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푸시기구(300)가 인입될 경우 푸시기구(300)의 타단부가 푸시래치(260)에 락킹됨에 따라 푸시기구(300)는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푸시기구(300)의 가압시 푸시래치(260)의 락킹해제 동작에 의해, 푸시기구(300)는 하기 설명할 제1탄성부(281)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음에 따라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서 인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래치(2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62)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락킹부재(264)가 마련되고, 락킹부재(264)는 인입시 폭이 좁아지고 인출시 폭이 넓어지는 집게부(266)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케이스(262)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핀(263)이 구비되고, 락킹부재(264)에는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핀(263)이 이동되는 경로(265)가 형성됨으로써 락킹부재(264)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해당 위치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시래치(260)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푸시래치(260)의 경우 다양하게 공지된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는 일단부가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푸시래치(260)에 락킹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기구(300)의 경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서 이동되며 스크린봉(20)이 걸리도록 형성된 제1파트(200a)와, 제1파트(200a)에 결합되고 푸시래치(260)에 락킹되도록 형성된 제2파트(2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파트(200a)는 푸시기구(300)의 일단부를 이루고, 제2파트(200b)는 푸시기구(300)의 타단부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220)에는 제1탄성부(281)가 구비되어, 제1탄성부(281)에 의해 푸시기구(300)가 러기지룸(10)측으로 탄발 지지됨으로써, 푸시기구(300)가 내부공간(220)에서 인출 동작될 수 있다. 즉, 푸시기구(300)는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 삽입되어 푸시래치(260)에 락킹됨에 따라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며, 푸시기구(300)를 가압함에 따른 푸시래치(260)의 락킹해제시 제1탄성부(281)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기구(300)가 격발되면서 무빙하우징(200)에서 인출 동작될 수 있다.
하기에는, 푸시기구(300)의 동작에 의해 무빙하우징(200)이 가이드레일(100)에서 이동되거나 위치가 고정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기구(400)는,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부(420); 및 락킹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홀(240)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32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락킹부(420)가 가이드레일(100)에 체결 또는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푸시기구(300)의 이동시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에서 이동됨에 따라 작동부(440)를 이동시키고, 작동부(440)의 이동시 락킹부(420)가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락킹부(420)가 가이드레일(100)에 체결 또는 이탈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100)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홈(122)이 형성되고, 락킹부(420)는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이동시 고정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00)에 형성되는 고정홈(122)은 상술한 슬라이딩홈(12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부(420)는 무빙하우징(200)에 설치됨에 따라 락킹부(420)가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이동되어 고정홈(122)에 삽입시, 해당 위치에서 무빙하우징(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420)는 무빙하우징(200)에 구비된 제2탄성부(282)에 의해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이동되도록 탄발 지지되고, 작동부(440)는 무빙하우징(200)에 구비된 제3탄성부(283)에 의해 가이드홀(240)의 절곡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하우징(200)에는 락킹부(420)가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단부(D1)가 형성되고, 가이드단부(D1)에 제2탄성부(282)가 마련됨에 따라 락킹부(420)가 제2탄성부(282)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가이드레일(100)을 향해 탄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440)의 경우에도 무빙하우징(200)에 형성된 별도의 가이드단부(D2)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3탄성부(28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락킹부(420)와 작동부(440)는 각각 탄발 지지됨에 따라 하기 설명할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440)의 일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락킹부(420)가 접촉되는 제1푸시돌기(44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푸시기구(300)의 가이드핀(320)이 접촉되는 제2푸시돌기(44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부(440)는 가이드핀(320)에 의해 이동되어 락킹부(4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일단부에는 락킹부(420)가 접촉되고 타단부에는 가이드핀(320)이 접촉되도록 한다. 특히, 작동부(440)의 일단부에는 제1푸시돌기(44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푸시돌기(444)가 형성되며, 제1푸시돌기(442)와 제2푸시돌기(444)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이드핀(320)이 제2푸시돌기(444)를 가압할 경우 작동부(440)가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을 따라 밀리고, 이와 동시에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따라 락킹부(420)가 이동됨으로써, 락킹부(420)가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방향과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방향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푸시돌기(442)에 접촉되는 락킹부(420)와 제2푸시돌기(444)에 접촉되는 가이드핀(320)의 이동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락킹부(420)에는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돌기(422)가 형성됨으로써,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타고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락킹부(420)는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 시작점(i)에 위치되고, 가이드핀(320)은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 끝점(l)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제1푸시돌기(442)와 제2푸시돌기(444)는 경사방향이 교차되게 연장되며, 락킹부(420)의 경우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 시작점(i)에 위치되고, 가이드핀(320)의 경우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 끝점(l)에 위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320)이 제2푸시돌기(444)를 가압하면서 이동시, 가이드핀(320)이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 끝점(l)에서 시작점(i)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부(440)가 이동되고, 작동부(440)가 이동됨과 동시에 제1푸시돌기(442)가 락킹부(420)를 밀어줌에 따라 제1푸시돌기(442)의 시작점(i)에 위치된 락킹부(420)가 푸시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끝점(l)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작동부(440)의 이동시 락킹부(420)와 가이드핀(320)의 이동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가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2푸시돌기(444)가 가이드핀(320)에 의해 가압됨이 해제됨으로써 작동부(440)는 제3탄성부(28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1푸시돌기(442)에 의해 가압되던 락킹부(420)가 제2탄성부(28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에는 판형상의 터치부(340)와 터치부(340)에서 연장된 연장부(360)가 형성되고, 연장부(360)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362)가 형성되며, 스크린봉(20)에는 터치부(340)를 감싸도록 형성된 고정부(22)가 구비되고, 고정부(22)에는 연장부(360)가 삽입되는 체결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봉(20)의 경우 스크린이 연결된 봉 형태로서, 끝단부에 고정부(22)가 구비되고, 고정부(22)에는 체결홈(24)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부(22)의 체결홈(24)에 푸시기구(300)의 터치부(340)를 삽입하여 스크린봉(20)이 푸시기구(3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푸시기구(300)는 터치부(340)에서 연장된 연장부(360)에 걸림돌기(362)가 형성되고, 스크린봉(20)의 터치부(340)에 걸림돌기(362)가 걸림 연결됨으로써, 스크린봉(20)을 회전시킬 경우 푸시기구(300)가 스크린봉(2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가 인입된 상태에서, 락킹부(420)는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 시작점(i)에 위치되고, 제2탄성부(282)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가이드핀(320)의 경우 푸시기구(300)가 인입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 끝점(l)에 위치되어 작동부(440)에 간섭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기구(300)의 인출시, 가이드핀(320)이 러기지룸(10)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444)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경우, 작동부(440)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푸시기구(300)가 가압되면, 푸시기구(300)의 밀림 동작에 의해 푸시래치(260)가 연동되고, 푸시래치(260)는 락킹해제 동작되어 푸시기구(300)가 제1탄성부(281)에 의해 무빙하우징(200)의 내부공간(220)에서 인출된다.
이때, 푸시기구(300)의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을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핀(320)이 작동부(440)의 제2푸시돌기(444)를 가압하여 밀어줌에 따라 작동부(440)가 도 9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락킹부(420)는 작동부(440)가 이동됨에 따라, 제1푸시돌기(442)가 락킹부(420)를 밀어줌으로써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시작점(i)에서 끝점(l)으로 이동된다. 즉,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되고, 무빙하우징(200)은 가이드레일(100)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가 푸시기구(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푸시기구(300)의 경우 스크린봉(20)이 결합된 후 스크린봉(20)의 이동과 함께 가이드레일(100)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푸시기구(300)의 회전시,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444)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작동부(440)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봉(20)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크린봉(20)을 회전시키면 스크린봉(20)과 함께 푸시기구(300)가 회전된다. 이때, 푸시기구(300)의 가이드핀(320)이 가이드홀(240)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444)를 가압하던 가이드핀(320)이 제2푸시돌기(444)로부터 이탈되고, 작동부(440)는 제3탄성부(283)의 탄성력에 의해 도 11의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작동부(440)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락킹부(420)가 제1탄성부(281)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락킹부(420)가 제1푸시돌기(442)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어 가이드레일(1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빙하우징(200)은 가이드레일(10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핀(320)은 가이드홀(240)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된 후 무빙하우징(20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이동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푸시기구(300)의 회전이 가고정됨에 따라 스크린봉(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러기지룸(10) 스크린 장치는 가이드레일(100)에서 위치 변경되는 푸시기구(300)를 마련하고, 푸시기구(300)에 스크린봉(20)을 결합함에 따라 스크린의 전개 위치를 변경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크린의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푸시기구(300)의 경우 스크린의 미사용시 가이드레일(100)에 삽입되어 노출이 최소화되고, 사용시 인출되어 스크린봉(20)이 설치되며, 스크린봉(20)이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위치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가이드레일 120:슬라이딩홈
122:고정홈 200:무빙하우징
220:내부공간 240:가이드홀
260:푸시래치 281:제1탄성부
282:제2탄성부 283:제3탄성부
300:푸시기구 320:가이드핀
340:터치부 360:연장부
362:걸림돌기 400:락킹기구
420:락킹부 422:경사돌기
440:작동부 442:제1푸시돌기
444:제2푸시돌기

Claims (15)

  1. 러기지룸에 설치되고, 러기지룸 내에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빙하우징;
    무빙하우징에서 러기지룸측으로 인출 및 인입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인출시 스크린봉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푸시기구; 및
    무빙하우징에 설치되고, 푸시기구의 동작에 연동되어 가이드레일에 체결 또는 이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푸시기구의 인입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고, 푸시기구의 인출시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어 무빙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며, 푸시기구의 회전시 가이드레일에 체결되어 무빙하우징이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락킹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빙하우징에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무빙하우징에는 푸시기구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러기지룸측으로 연장된 후 교차방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푸시기구에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내부공간에는 푸시래치가 마련되며,
    푸시기구는 일단부가 무빙하우징에서 러기지룸측으로 노출되어 스크린봉이 걸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푸시래치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내부공간에는 제1탄성부가 구비되어, 제1탄성부에 의해 푸시기구가 러기지룸측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락킹기구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부; 및
    락킹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락킹부가 가이드레일에 체결 또는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락킹부는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시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락킹부는 무빙하우징에 구비된 제2탄성부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향해 이동되도록 탄발 지지되고,
    작동부는 무빙하우징에 구비된 제3탄성부에 의해 가이드홀의 절곡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작동부의 일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락킹부가 접촉되는 제1푸시돌기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경사면을 가지며 푸시기구의 가이드핀이 접촉되는 제2푸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락킹부에는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경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푸시돌기의 경사방향과 제2푸시돌기의 경사방향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푸시기구가 인입된 상태에서, 락킹부는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 시작점에 위치되고, 가이드핀은 제2푸시돌기의 경사면 끝점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푸시기구의 인출시, 가이드핀이 러기지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경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가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푸시기구의 회전시, 가이드핀이 가이드홀의 절곡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푸시돌기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락킹부가 제1푸시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레일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푸시기구에는 판형상의 터치부와 터치부에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스크린봉에는 터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고, 고정부에는 연장부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KR1020180042983A 2018-04-12 2018-04-12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KR10247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83A KR102478117B1 (ko) 2018-04-12 2018-04-12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83A KR102478117B1 (ko) 2018-04-12 2018-04-12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79A true KR20190119479A (ko) 2019-10-22
KR102478117B1 KR102478117B1 (ko) 2022-12-15

Family

ID=6842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983A KR102478117B1 (ko) 2018-04-12 2018-04-12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1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330A (ja) * 1995-07-17 1997-02-04 Mitsubishi Motors Corp 荷室カバー装置
KR100618046B1 (ko) 2005-05-13 2006-08-29 한일이화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조립체
JP4017414B2 (ja) * 2002-02-18 2007-12-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20130066224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고스크린 이동 구조
JP2016188028A (ja) * 2015-03-30 2016-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荷室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330A (ja) * 1995-07-17 1997-02-04 Mitsubishi Motors Corp 荷室カバー装置
JP4017414B2 (ja) * 2002-02-18 2007-12-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0618046B1 (ko) 2005-05-13 2006-08-29 한일이화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조립체
KR20130066224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고스크린 이동 구조
JP2016188028A (ja) * 2015-03-30 2016-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荷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117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US20160145894A1 (en) Latch system for door
JP6395960B2 (ja) ロック手段を備えたロードキャリア
JP6079885B2 (ja) グラブボックス
JP2006327332A (ja) グローブボックス
US20130002110A1 (en) Holding device
KR101176345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JP5164592B2 (ja) 開閉ロック装置
US8756961B2 (en) Door assembly and casing having the same
US9771744B2 (en) Glove box for vehicle
US8347673B2 (en) Code lock
JP455511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190119479A (ko)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US20090108595A1 (en) Latching Mechanisms for Storage Containers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2004249862A (ja)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メモリ付きウォークインロック機構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2006102294A (ja) 飛び出し・引き込み装置
JP2005254027A (ja) 収納具
KR20040093027A (ko) 평면 핸들 장치
KR102542953B1 (ko)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WO2024111369A1 (ja) 開閉体ロック装置
JP612537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操作装置
JP3733173B2 (ja) 扉の係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両開き扉の係止装置
JP5976502B2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