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292A -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292A
KR20190119292A KR1020180042544A KR20180042544A KR20190119292A KR 20190119292 A KR20190119292 A KR 20190119292A KR 1020180042544 A KR1020180042544 A KR 1020180042544A KR 20180042544 A KR20180042544 A KR 20180042544A KR 20190119292 A KR20190119292 A KR 2019011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ain board
main
boar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931B1 (en
Inventor
김희철
성창모
양혜진
장상은
손홍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31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ggage board apparatus for a vehicle, wherein a main board (31) forming a luggage board (30) can be realized in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ard is opened to be inclined in a self-standing state without an additional fixing structure, and when a storage space (70) is in an open state, a support board (20) extends from the main board (10) in a line to fill a gap between a rear seat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Description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Luggage board device for vehicle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기지 보드가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함에 있어서 셀프 스탠딩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elf-standing state in implementing a mounted state in which the luggage board is inclined open.

레저용 차량(RV, SUV, MPV 등)에는 리어시트의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 룸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러기지 룸의 바닥은 러기지 보드로 구성되고, 러기지 보드의 하측으로는 스페어 타이어나 또는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어서, 러기지 보드의 개폐동작에 의해 러기지 보드 하측의 수납공간이 개방되거나 또는 밀폐가 된다.Recreational vehicles (RV, SUV, MPV, etc.) are provided with a luggage room for loading cargo behind the rear seats, the bottom of which is composed of luggage boards and the lower side of the luggage boar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spare tires or tools, and the storage space under the luggage board is opened or closed by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luggage board.

러기지 보드 하측의 수납공간을 개방시킬 때에 종래에는 작업자가 한손으로 러기지 보드를 들어 올리고 다른 손으로 필요한 작업을 했었던 바, 이로 인해 작업에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When opening the luggage space lower side of the luggage board in the prior art, the operator lifted the luggage board with one hand and performed the necessary work with the other hand.

다른 예로,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별도의 고정 구조물을 장착하고, 경사지게 개방된 러기지 보드를 고정 구조물에 거치시켜서 고정하였던 바, 이런 경우 별도의 고정 구조물을 사용함에 따라 부품수 증가 및 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고, 별도의 고정 구조물이 항상 러기지 룸으로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외관미를 나쁘게 하는 단점이 있다As another example, a separate fixed structure is mounted on the luggage side trim and a sloped open luggage board is fixed to the fixed structure. In this case, the use of a separate fixed structure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and increases the cost. There is a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as a separate fixed structure always protrudes into the luggage room.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related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5290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2909

본 발명은, 러기지 보드가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할 때에 별도의 고정 구조물없이 셀프 스탠딩(self standing) 상태로서 고정이 가능한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ggage board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be fixed as a self standing st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structure when implementing the mounted state in which the luggage board is inclined open.

또한, 본 발명은 러기지 보드의 개방상태시 리어시트와 러기지 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울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and the luggage board in the open state of the luggage board.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는, 전방단의 좌우측면에서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각각 돌출 형성된 러기지 보드; 및 상기 러기지 보드의 개폐동작시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는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때에 러기지 룸의 하측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상태,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수납공간을 개방시키는 개방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uggage board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uggage board,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respectively; And a luggage side trim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when the luggage board is opened and closed. The luggage board is accommodated as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are sealed in a closed state to seal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luggage room when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mounting state is inclined to the self-standing state, an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open state to open the space.

상기 러기지 보드는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형성된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서포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보드는 메인보드가 개방상태를 구현할 때에 메인보드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uggage board includes a main board on which a main hinge and a guide hinge are formed; And a support board rotatably connect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ard; The support board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when the main board implements the open state, thereb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상기 가이드홈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단보다 하단이 전방쪽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비스듬하게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측에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에 접촉시 메인보드는 수납공간의 상측에 위치해서 수납공간의 밀폐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n obliquely inclined shape as the lower end is moved further toward the front than the upper end,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contact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the main board is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to implement a seal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메인힌지접촉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메인보드가 밀폐상태 구현시 메인보드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uggage side trim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main hinge contact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rt contacting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when the main board is sealed.

상기 가이드힌지는 단면이 원형인 돌기로서 메인보드의 전방단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힌지는 단면이 트랙형상인 돌기로서 가이드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hinge is form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ard as a projec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main hinge is a projection having a track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guide hinge.

상기 가이드홈은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접촉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메인힌지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후방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메인힌지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roove includes a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a guide hinge contact portion;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main hinge is seated;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surface to restrain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ain hinge.

상기 가이드힌지접촉부는 안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전방원호면; 및 상기 전방원호면의 상단 끝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전방힌지의 상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가 안착면에 안착시 가이드힌지는 전방원호면과 돌출부가 연결된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메인보드는 수납공간의 밀폐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has a front arc surface formed convex forwar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a protrusion configured to protrude rea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ront arc surface to restrain upward movement of the front hinge; When the main hinge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the guide hinge is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front arc surface and the protrusion are connected, and the main board implements a seal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가이드홈은 안착면의 전방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방경사면; 상기 후방경사면의 끝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후방원호면; 상기 후방원호면의 하단 끝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전방 끝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전방원호면과 연결된 전방경사면; 및 상기 전방경사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오목한 홈으로서 형성된 중간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roove has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surface to the front lower side; A rear arc surface extending convexly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rear slope surface;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arc surface; A front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rear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front arc surface; And an intermediate fixing groove formed as a groove concave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inclined surface.

상기 메인보드가 밀폐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인보드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안착되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과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ain hinge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as the main board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upward in the situation where the main board implements the sealed state, the guide hinge is aligned in line with the middle fixing groove.

상기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보드에 가해주던 외력을 제거하면 메인보드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 하측 이동에 의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속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힌지가 중간고정홈속에 삽입시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지지됨에 따라 메인보드는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ard is moved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board is removed while the main hinge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The guide h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by the front down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When the guide h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as the main hinge is suppor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the main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state is inclined open in a self-standing state.

상기 메인보드가 거치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인보드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보드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 하측 이동 후 후방단이 아래로 회전할 때에 메인힌지는 후방원호부속에서 후방원호부와 간섭됨이 없도록 회전하고; 상기 메인보드의 회전 후 메인보드가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밀착되면 수납공간이 개방된 개방상태가 구현되고 서포트보드는 메인보드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main board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upwar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main board is in a mounted state, the guide hinge is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and the main board moves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the rear end rotates downward after the front lower side movement of the main board, the main hinge rotat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r arc portion in the rear arc portion; When the main bo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fter the rotation of the main board is realized that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is open and the support board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It features.

상기 메인보드가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밀착되어서 수납공간의 개방상태를 구현하고 있을 때 메인힌지의 후방은 후방원호면과 접촉하고 가이드힌지의 전방은 전방경사면과 접촉해서 메인보드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ain bo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realize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the rear of the main hing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arc surface and the front of the guide hing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inclined surface to move the main board forward and back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nded to restrai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 보드를 구성하는 메인보드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없이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로 인해 러기지 룸의 하측 수납공간으로 화물의 적재 및 인출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ard constituting the luggage board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ounting state that is inclined open in a self-standing state without a separate fixed structure, this is because of the cargo storage to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luggage roo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during loading and withdraw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 보드의 개방동작을 통해서 수납공간의 개방상태시 서포트보드가 메인보드로부터 전방쪽으로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구조로, 이를 통해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oard extends in a line from the main board to the front in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uggage boar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falling out.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가 러기지 룸의 하측 수납공간을 밀폐시키고 있는 밀폐상태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3은 밀폐상태시 가이드홈에 위치한 메인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밀폐상태에서 거치상태까지 메인보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거치상태시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거치상태에서 개방상태까지 메인보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메인보드의 개방상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closed state in which the luggag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ls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luggage room;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board located in the guide groove in a sealed state,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ard from the sealed state to the mounted state,
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ate,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ard from the mounted state to the open state,
12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n state of the main boar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단의 좌우측면에서 메인힌지(10)와 가이드힌지(20)가 각각 돌출 형성된 러기지 보드(30); 및 상기 러기지 보드(30)의 개폐동작시 메인힌지(10)와 가이드힌지(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40)이 형성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50)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30)는 메인힌지(10)와 가이드힌지(20)가 가이드홈(40)을 따라 이동할 때에 러기지 룸(60)의 하측 수납공간(70)을 밀폐시키는 밀폐상태(도 1 내지 도 3의 상태),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도 7 내지 도 8의 상태), 수납공간(70)의 바닥면(71)에 밀착됨에 따라 수납공간(70)을 개방시키는 개방상태(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he luggage board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uggage board 30 in which the main hinge 10 and the guide hinge 20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as shown in FIGS. 1 to 13; And a luggage side trim 50 formed with a guide groove 40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ain hinge 10 and the guide hinge 20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uggage board 30; The luggage board 30 is hermetically sealed to seal the lower storage space 70 of the luggage room 60 when the main hinge 10 and the guide hinge 20 move along the guide groove 40 (FIG. 1). 3 to 3), a mounting state (a state of FIGS. 7 to 8) inclined to a self standing state, and an opening for opening the storage space 70 according to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storage space 70. The state (states of FIGS. 12 to 13)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 보드(30)는 메인힌지(10)와 가이드힌지(20)가 형성된 메인보드(31), 및 상기 메인보드(31)의 전방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서포트보드(32)를 포함한다.The luggage board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31 in which a main hinge 10 and a guide hinge 20 are formed, and a support board 32 connected to be rotatable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ard 31. It includes.

상기 서포트보드(32)는 메인보드(31)가 개방상태(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를 구현할 때에 메인보드(31)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board 32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31 when the main board 31 realizes an open state (the state of FIGS. 12 to 13), and thus,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As the space is fill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beauty,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object falls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상기 가이드홈(40)은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단보다 하단이 전방쪽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비스듬하게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측에 메인힌지접촉부(110) 및 가이드힌지접촉부(120)가 구비된다.The guide groove 4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in an obliquely inclined shape as the lower end is moved further toward the front than the upper end,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110 and the guide hinge on the upper side The contact portion 120 is provided.

한편, 메인힌지(10)와 가이드힌지(20)가 메인힌지접촉부(110) 및 가이드힌지접촉부(120)에 접촉시 메인보드(31)는 수납공간(70)의 상측에 위치해서 수납공간(70)의 밀폐상태를 구현하게 된다.(도 1 내지 도 3의 상태)Meanwhile, when the main hinge 10 and the guide hinge 20 are in contact with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110 and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120, the main board 31 is positioned above the storage space 70 to accommodate the storage space 70. ) To realize a sealed state. (States of FIGS. 1 to 3)

메인보드(31)가 수납공간(70)의 밀폐상태를 구현한다는 의미는 메인보드(31)에 의해 러기지 룸(60)과 메인보드(31)의 하측 수납공간(70)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Meaning that the main board 31 implements a seal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70 means that the luggage room 60 and the lower storage space 70 of the main board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main board 31. Means.

그리고, 메인힌지접촉부(110)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50)에는 메인보드(31)가 밀폐상태 구현시 메인보드(31)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지지부(9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uggage side trim 50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90 which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when the main board 31 is in a sealed state. .

메인보드(31)의 무게중심은 메인힌지(10)와 메인보드(31)의 후방단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이 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ard 31 is approximately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main hinge 1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따라서, 메인보드(31)가 밀폐상태 구현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지지하지 않으면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이 아래로 쳐져서 수납공간(70)의 밀폐상태를 원활히 구현할 수 없게 되는 바, 이를 위해 러기지 사이드 트림(50)에 지지부(90)를 구비시켜서 메인보드(31)가 밀폐상태 구현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main board 31 does not support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when the main board 31 is implemented in a sealed state,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struck down so that the clos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70 cannot be smoothly implemented.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side 90 is provided in the luggage side trim 50 so that the main board 31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when the sealed state is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힌지(20)는 단면이 원형인 돌기로서 메인보드(31)의 전방단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메인힌지(10)는 단면이 트랙형상인 돌기로서 가이드힌지(2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hinges 20 ar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ard 31 as protrusion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main hinges 10 are guide hinges as protrusions having a track cross section. 2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each other.

상기 가이드홈(40)은 메인힌지접촉부(110) 및 가이드힌지접촉부(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메인힌지접촉부(1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메인힌지(10)가 안착되는 안착면(41), 및 상기 안착면(41)의 후방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메인힌지(10)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수직면(42)을 포함한다.The guide groove 40 includes a main hinge contact portion 110 and a guide hinge contact portion 120.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11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main hinge 1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41. And a vertical surface 42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surface 41 to restrain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ain hinge 10.

그리고, 가이드힌지접촉부(120)는 안착면(41)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전방원호면(43), 및 상기 전방원호면(43)의 상단 끝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전방힌지(10)의 상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4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120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arc surface 43 and the front arc surface 43 which are formed convexly forwar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41. And a protrusion 44 for restraining upward movement of the front hinge 10.

메인힌지(10)가 안착면(41)에 안착시 가이드힌지(20)는 전방원호면(43)과 돌출부(44)가 연결된 모서리부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때 메인보드(31)는 수납공간(70)의 밀폐상태를 구현하게 된다.(도 1 내지 도 3의 상태)When the main hinge 1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41, the guide hinge 20 is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front arc surface 43 and the protrusion 44 are connected, and the main board 31 is a storage space. A sealed state of 70 is realized. (States of FIGS. 1 to 3)

또한, 가이드홈(40)은 안착면(41)의 전방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방경사면(45), 상기 후방경사면(45)의 끝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후방원호면(46), 상기 후방원호면(46)의 하단 끝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면(47), 상기 바닥면(47)의 전방 끝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전방원호면(43)과 연결된 전방경사면(48), 및 상기 전방경사면(48)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오목한 홈으로서 형성된 중간고정홈(49)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40 is a rear inclined surface 45 inclined forwardly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surface 41, the rear arc surface 46 convex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A bottom surface 47 exten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arc surface 46, a front inclined surface 48 connected to the front arc surface 43 after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47 to the rear upper side; And an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formed as a groove concave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inclined surface 48.

후방경사면(45)과 전방경사면(48)은 바닥면(47)에 대한 경사각이 서로 동일하지 않고, 후방경사면(45)의 경사각보다 전방경사면(48)의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된 구조로, 이와 같이 경사각이 다르게 형성된 이유는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보드(31)가 자중에 의해 하강시 가이드힌지(20)가 중간고정홈(49)속으로 원활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r inclination surface 45 and the front inclination surface 48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47 are not equal to each other,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ront inclination surface 48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inclination surface 45. The reason why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differently is that when the main board 31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while the main hinge 10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the guide hinge 20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메인보드(31)가 밀폐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1 내지 도 3의 상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안착되면 가이드힌지(20)는 중간고정홈(49)과 일직선상으로 일치하게 된다.(도 6의 상태)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main board 31 implements a sealed state (states of FIGS. 1 to 3), the main hinge 10 a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lifted upward. When the seat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the guide hinge 20 is in line with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in a straight line (state of Figure 6).

그리고,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보드(31)에 가해주던 외력을 제거하면 메인보드(31)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보드(31)의 전방 하측 이동에 의해 가이드힌지(10)는 중간고정홈(49)속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힌지(20)가 중간고정홈(49)속에 삽입시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지지됨에 따라 메인보드(31)는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하게 된다.(도 7 내지 도 8의 상태)In addition, when the main hinge 10 is removed from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board 31 in a state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the main board 31 moves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the main board ( 31, the guide hinge 1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49 by the front lower movement, and the main hinge 10 is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when the guide hinge 2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49. The main board 31 implements a mounting state which is inclinedly open in a self-standing state as supported on the state of FIG. 7.

또한, 메인보드(31)가 거치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가이드힌지(20)는 중간고정홈(49)으로부터 이탈되고(도 9의 상태), 메인보드(31)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보드(31)의 전방 하측 이동 후 후방단이 아래로 회전할 때에 메인힌지(10)는 후방원호부(46)속에서 후방원호부(46)와 간섭됨이 없도록 회전하고, 상기 메인보드(31)의 회전 후 메인보드(31)가 수납공간(70)의 바닥면(71)과 밀착되면 수납공간(70)이 개방된 개방상태가 구현되고, 서포트보드(20)는 메인보드(10)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된다.(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Further, when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lifted upward in a situation where the main board 31 implements the mounting state, the guide hinge 20 is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state of FIG. 9). The main board 31 is moved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the main hinge 10 is rearward in the rear arc portion 46 when the rear end rotates downward after the for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When the main board 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storage space 70 after the rotation of the main board 31, the storage space 70 is opened. The open state is implemented, and the support board 20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10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states of FIGS. 12 to 13).

한편, 메인보드(31)가 수납공간(70)의 바닥면(71)과 밀착되어서 수납공간(70)의 개방상태를 구현하고 있을 때 메인힌지(10)의 후방은 후방원호면(46)과 접촉하고 가이드힌지(20)의 전방은 전방경사면(48)과 접촉하게 되는 바, 즉 메인힌지(10)의 후방과 가이드힌지(20)의 전방사이의 거리는 후방원호면(46)의 하단과 전방경사면(48)의 하단사이의 거리와 비례하는 구조인 바, 이로 인해 메인보드(31)의 전후방향 이동이 구속된다.(도 13의 상태)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ard 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storage space 70 to implement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70, the rear of the main hinge 10 is the rear arc surface 46 and The front of the guide hinge 2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inclined surface 48,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of the main hinge 10 and the front of the guide hinge 20 is the bottom and front of the rear arc surface 46 The structure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inclined surface 48, thereby restra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state of FIG. 13)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은 메인보드(31)가 러기지 룸(60)의 하측 수납공간(70)을 밀폐시키고 있는 밀폐상태로서, 메인힌지(10)는 안착면(41)에 안착된 상태이고, 가이드힌지(20)는 전방원호면(43)과 돌출부(44)가 연결된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때 메인보드(31)의 후방 이동은 메인힌지(10)와 수직면(42)에 의해 구속되고, 메인보드(31)의 전방 이동은 가이드힌지(20)와 전방원호면(43)에 의해 구속되며, 메인보드(31)의 상방향 이동은 돌출부(44)에 의해 구속된다.1 to 3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board 31 seals the lower storage space 70 of the luggage room 60, the main hinge 1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41, The guide hinge 20 is located at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front arc surface 43 and the protrusion 44 are connected, and the rear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is constrained by the main hinge 10 and the vertical surface 42. The front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is constrained by the guide hinge 20 and the front arc surface 43,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is constrained by the protrusion 44.

상기와 같은 밀폐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작업자가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서 올려주게 되면(화살표 M1), 메인힌지(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힌지(20)는 전방원호면(43)을 벗어나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worker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upward as shown in FIG. 4 in the sealed state (arrow M1), the guide hinge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hinge 10, and the front arc surface. It moves out of 43 and moves downward.

도 4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도 5와 같이 더 들어 올려주게 되면(화살표 M2), 메인힌지(10)는 돌출부(44)와 접촉하고, 가이드힌지(20)는 후방원호면(46)과 전방경사면(48)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operator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further in the state of FIG. 4 as shown in FIG. 5 (arrow M2), the main hinge 1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4, and the guide hinge 20 is The space moves between the rear arc surface 46 and the front slope surface 48.

이때, 바닥면(47)에 대한 메인보드(31)의 경사각은 최대 65도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와 같이 메인보드(31)의 경사각에 제한을 두는 이유는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보드(31)가 자중에 의해 하강시 가이드힌지(20)가 중간고정홈(49)속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ard 3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47 is preferably not more than 65 degrees, the reason for limi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board 31 in this way is that the main hinge 10 is the rear inclined surface This is to allow the guide hinge 20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when the main board 31 descends by its own weight in a state seated on the 45.

도 5의 상태에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아래로 회전시켜서 도 6과 같이 메인힌지(10)를 후방경사면(45)상에 안착시키면, 가이드힌지(20)는 중간고정홈(49)과 일직선상으로 일치하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5, when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rotated downward and the main hinge 10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as shown in FIG. 6, the guide hinge 20 has an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In line with.

도 6의 상태에서 메인보드(31)를 놓아주면 메인보드(31)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고(화살표 M3), 상기 메인보드(31)의 전방 하측 이동에 의해 가이드힌지(10)는 중간고정홈(49)속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힌지(20)가 중간고정홈(49)속에 삽입시 메인힌지(10)가 후방경사면(45)상에 지지됨에 따라 메인보드(31)는 셀프 스탠딩(self standing)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하게 된다.(도 7 내지 도 8의 상태)When the main board 31 is released in the state of FIG. 6, the main board 31 is moved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rrow M3), and the guide hinge 10 is moved by the for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31. The main board 31 is self-standing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and the main hinge 10 is suppor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45 when the guide hinge 2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self standing) to implement the mounting state inclined open inclined state (states of Figs. 7 to 8).

그리고, 도 8과 같이 메인보드(31)가 셀프 스탠딩 상태로 거치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 9와 같이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을 더 상측으로 들어 올려주면(화살표 M4), 도 9와 같이 가이드힌지(20)는 중간고정홈(49)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의 상태에서 메인보드(31)가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더 이동하면(화살표 M5) 메인보드(31)의 전방단은 수납공간(70)의 바닥면(71)과 접촉해서 전방 하측으로의 이동이 종료된다.(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Then, in a situation where the main board 31 is in a self-standing state as shown in FIG. 8, when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lifted upward as shown in FIG. 9 (arrow M4), FIG. 9. 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hinge 20 is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49, and in this state, when the main board 31 moves further downward by its own weight (arrow M5), the front end of the main board 31 is stor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space 70, the movement to the front lower side is finished. (States of Figs. 10 to 11)

그리고, 도 11의 상태에서 메인보드(31)의 후방단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메인보드(31)를 회전시켜 주면(화살표 M6) 메인힌지(10)는 후방원호부(46)속에서 후방원호부(46)와 간섭됨이 없이 회전하고, 또한 회전이 종료된 메인보드(31)는 수납공간(70)의 바닥면(71)과 밀착되는 바, 이때에 수납공간(70)은 개방상태가 구현된다.(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Then, when the main board 31 is rotat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31 is lowered in the state of FIG. 11 (arrow M6), the main hinge 10 has a rear circular arc in the rear circular arc 46. The main board 31 is rotat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46 and the rotation is completed, and the main board 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storage space 70. 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70 is open. (States of Figs. 12 to 13)

또한, 수납공간(70)의 개방상태시 서포트보드(20)는 메인보드(10)로부터 전방쪽으로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70, the support board 20 extends in a row from the main board 10 to the front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which is Through this,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 보드(30)를 구성하는 메인보드(31)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없이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로 인해 러기지 룸(60)의 하측 수납공간(70)으로 화물의 적재 및 인출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ard 31 constituting the luggage board 3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implementing a mounting state in which the main board 31 is inclinedly open in a self-standing st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structure, and thus The lower storage space 70 of the luggage room 60 has an advantag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during loading and withdrawal of carg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 보드(30)의 개방동작을 통해서 수납공간(70)의 개방상태시 서포트보드(20)가 메인보드(10)로부터 전방쪽으로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구조로, 이를 통해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리어시트백(80)과 메인보드(31)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70 throug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luggage board 30, the support board 20 extends in a row from the main board 10 toward the rear seat back ( 80)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ard 31,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beauty,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80) and the main board (31). There are advantages to i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elf-evident for those of ordinary knowledge.

10 - 메인힌지 20 - 가이드힌지
30 - 러기지 보드 31 - 메인보드
32 - 서포트보드 40 - 가이드홈
50 - 러기지 사이드 트림 60 - 러기지 룸
70 - 수납공간 80 - 리어시트백
90 - 지지부
10-Main hinge 20-Guide hinge
30-Luggage Board 31-Main Board
32-Support Board 40-Guide Groove
50-Luggage Side Trim 60-Luggage Room
70-Storage 80-Rear Seat Bag
90-support

Claims (12)

전방단의 좌우측면에서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각각 돌출 형성된 러기지 보드; 및
상기 러기지 보드의 개폐동작시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 보드는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때에 러기지 룸의 하측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상태,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수납공간을 개방시키는 개방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A luggage board in which main hinges and guide hinges protrude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respectively; And
And a luggage side trim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uggage board;
The luggage board is accommodated as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are sealed in a closed state to seal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luggage room when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mounting state is inclined to the self-standing state, an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n state to open th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보드는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형성된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서포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보드는 메인보드가 개방상태를 구현할 때에 메인보드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uggage board includes a main board on which a main hinge and a guide hinge are formed; And
A support board rotatably connect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ard;
And the support board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when the main board implements an open state, thereb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단보다 하단이 전방쪽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비스듬하게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측에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힌지와 가이드힌지가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에 접촉시 메인보드는 수납공간의 상측에 위치해서 수납공간의 밀폐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n obliquely inclined shape as the lower end is moved further toward the front than the upper end,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main hinge and the guide hinge is in contact with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the main boar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space vehicle luggage boar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mplement a seal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힌지접촉부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메인보드가 밀폐상태 구현시 메인보드의 후방단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uggage side trim of the luggage side trim in the rear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luggage boar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ard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when the sealing st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힌지는 단면이 원형인 돌기로서 메인보드의 전방단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힌지는 단면이 트랙형상인 돌기로서 가이드힌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hinge is form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ard as a projec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main hinge is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guide hinge as a projection having a track shape in cross s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메인힌지접촉부 및 가이드힌지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접촉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메인힌지가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의 후방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메인힌지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groove includes a main hinge contact portion and a guide hinge contact portion;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main hinge contact portion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main hinge is seated; And
And a vertical plane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surface to restrain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ain hin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힌지접촉부는 안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전방원호면; 및
상기 전방원호면의 상단 끝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것으로 전방힌지의 상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힌지가 안착면에 안착시 가이드힌지는 전방원호면과 돌출부가 연결된 모서리부에 위치하고 메인보드는 수납공간의 밀폐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hinge contact portion has a front arc surface formed convex forwar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A projection which protrudes rea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ront arc surface to restrain upward movement of the front hinge;
When the main hinge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the guide hinge is located in the corner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arc surface and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ard implements a seal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안착면의 전방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방경사면;
상기 후방경사면의 끝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후방원호면;
상기 후방원호면의 하단 끝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전방 끝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전방원호면과 연결된 전방경사면; 및
상기 전방경사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오목한 홈으로서 형성된 중간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guide groove has a rear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surface to the front lower side;
A rear arc surface extending convexly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rear slope surface;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arc surface;
A front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rear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front arc surface; And
And a middle fixing groove formed as a groove concave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inclined surfa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가 밀폐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인보드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림에 따라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안착되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과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main board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as the main board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upward in the situation where the main board implements the sealed state, the guide hinge is aligned with the middle fixing groove in a straight line. Luggage board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보드에 가해주던 외력을 제거하면 메인보드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 하측 이동에 의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속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힌지가 중간고정홈속에 삽입시 메인힌지가 후방경사면상에 지지됨에 따라 메인보드는 셀프 스탠딩 상태로 경사지게 개방된 거치상태를 구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main board is moved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ain board is removed while the main hinge is seated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The guide h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by the front downward movement of the main board;
When the guide hing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fixing groove, the main board is supported on the rear slope surface, the main board is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state is implemented inclined in a self-standing sta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가 거치상태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메인보드의 후방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가이드힌지는 중간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보드는 자중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보드의 전방 하측 이동 후 후방단이 아래로 회전할 때에 메인힌지는 후방원호부속에서 후방원호부와 간섭됨이 없도록 회전하고;
상기 메인보드의 회전 후 메인보드가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밀착되면 수납공간이 개방된 개방상태가 구현되고 서포트보드는 메인보드와 일렬로 연장되어서 리어시트백과 메인보드사이의 공간을 메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f the main board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ard upwar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main board is in a mounted state, the guide hinge is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fixing groove, and the main board moves forward and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the rear end rotates downward after the front lower side movement of the main board, the main hinge rotat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r arc portion in the rear arc portion;
When the main bo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after the rotation of the main board is realized that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is open and the support board extends in line with the main boar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 back and the main board A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가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밀착되어서 수납공간의 개방상태를 구현하고 있을 때 메인힌지의 후방은 후방원호면과 접촉하고 가이드힌지의 전방은 전방경사면과 접촉해서 메인보드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 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main boar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o realize the open state of the storage space, the rear of the main hing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arc surface and the front of the guide hinge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inclined surface to move the main board forward and backward. Luggage board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t.
KR1020180042544A 2018-04-12 2018-04-12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KR102588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44A KR102588931B1 (en) 2018-04-12 2018-04-12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44A KR102588931B1 (en) 2018-04-12 2018-04-12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92A true KR20190119292A (en) 2019-10-22
KR102588931B1 KR102588931B1 (en) 2023-10-16

Family

ID=6842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44A KR102588931B1 (en) 2018-04-12 2018-04-12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3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49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28651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28650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09A (en) 2000-12-26 2002-07-04 이계안 Luggage board of vehicle
JP2005145117A (en) * 2003-11-11 2005-06-09 Kasai Kogyo Co Ltd Luggage room structure of automobile
JP2011207324A (en) * 2010-03-30 2011-10-20 Kasai Kogyo Co Ltd Luggage room structure
US20160039474A1 (en) * 2014-08-07 2016-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09A (en) 2000-12-26 2002-07-04 이계안 Luggage board of vehicle
JP2005145117A (en) * 2003-11-11 2005-06-09 Kasai Kogyo Co Ltd Luggage room structure of automobile
JP2011207324A (en) * 2010-03-30 2011-10-20 Kasai Kogyo Co Ltd Luggage room structure
US20160039474A1 (en) * 2014-08-07 2016-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49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28651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20028650A (en) 2020-08-31 2022-03-08 (주)대한솔루션 Luggage board rotation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31B1 (en)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9292A (en)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JP4441285B2 (en) Vehicle partition plate support mechanism
US9376038B2 (en) Seat lock apparatus
US9359020B2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2006290353A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in rear part of automobile
JP4645226B2 (en) Jack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CN114379437A (en) Device for preventing forward dive of folding and dive seat of vehicle
KR102468608B1 (en) Covering shelf apparatus for vehicles
JP4626402B2 (en) Rear cargo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s
KR100285863B1 (en) Cover Structure of Car Seat Device
JP2011116224A (en) Seat device of vehicle
JP2008273331A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JP2008150003A (e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automobile
JP5099443B2 (en) Deck board moving mechanism
JP6947680B2 (en) Body floor structure
JP2005075247A (en) Shielding plate mechanism of cargo loading chamber of automobile
JP2020059487A (en) Vehicular seat
JP4505496B2 (en) Tonneau cover device for vehicle
JP2016168866A (en) Support structure of package tray
JP2006335164A (en) Vehicular rear part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7383345B2 (en) vehicle structure
JP4626396B2 (en) Rear cargo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s
JPH10217856A (en) Console box for car
JP6878480B2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JP6878479B2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