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65A -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65A
KR20190118265A KR1020180041408A KR20180041408A KR20190118265A KR 20190118265 A KR20190118265 A KR 20190118265A KR 1020180041408 A KR1020180041408 A KR 1020180041408A KR 20180041408 A KR20180041408 A KR 20180041408A KR 20190118265 A KR20190118265 A KR 2019011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ensor
walking
foot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원영
백동재
김은규
송재호
Original Assignee
제갈원영
김은규
송재호
백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원영, 김은규, 송재호, 백동재 filed Critical 제갈원영
Priority to KR102018004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265A/ko
Publication of KR2019011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ome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보행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솔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보행자의 양 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MONITERING WALKING}
아래의 실시예들은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 보행자가 걸어 다니는 동안 보행자의 두 다리에 작용하는 충격은 성인남여 기준으로 평균 약 400톤 정도이며, 이와 같은 충격은 보행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데, 잘못된 자세로 보행하는 경우 보행 시의 충격이 발바닥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조금만 걸어도 피로감이 쌓이거나 티눈, 굳은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잘못된 보행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경우 무지외반증이나 족저근막염 등의 질병을 발생시켜 건강을 해치게 되며, 나아가서 다리와 척추계에 관절염이나 디스크 등의 질병을 발생시켜 다리나 척추계의 건강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보행 시 보행자의 보행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인솔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를 측정하고 자세의 교정을 도와준다. 상기 방법의 문제점은 하중 센서만을 이용하여서는 사용자의 걸음 횟수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경우는 디바이스의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2262호에는 보행자의 보행시 족저압 분포를 측정 및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사용자별 맞춤형 인솔을 제작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이로 센서를 대체하여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 PCB형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양 발의 방위각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 측정 및 교정 판단을 수행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족압 분포별 압력 크기에 따른 하중 센서를 이용하고 3축 가속도 센서의 x축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보행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솔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보행자의 양 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는 하중 센서이며, 상기 하중 센서는 발의 표준 압력 분포에 기준하여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중 센서는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는 지자기 센서이며,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보행자의 신발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에 배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고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족하중 편향도, 보행자의 걸음 수 및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정 여부의 정보를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대체하여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 PCB형 보행 자세 측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양 발의 방위각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 측정 및 교정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족압 분포별 압력 크기에 따른 하중 센서를 이용하고 3축 가속도 센서의 x축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족압 측정 순서에 따른 걸음 판단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의 틀어짐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족압 측정 순서에 따른 걸음 판단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며,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의 틀어짐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UI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장치(10)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100),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보행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미도시) 및 상기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를 분석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때, 인솔부(100)는 PCB회로를 사용해 만든 깔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솔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210),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220) 및 보행자의 양 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23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센서(210)는 하중 센서이며, 상기 하중 센서는 발의 표준 압력 분포에 기준하여 상기 인솔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보행자 발의 별 압력을 분석하여 7개의 하중 센서가 족압이 집중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판단함에 있어 하중 센서의 위치 별 가해지는 순서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하중 센서는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220)는 3축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할 수 있다. 즉, 3축 가속도 센서의 x축만을 이용해 보행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230)는 지자기 센서이며,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자기 센서는 인솔부의 최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행자의 발가락 중심부에 지자기 센서가 배치되고 지자기를 중심으로 하여 각 값을 도출하여 지정한 범위 안에서 보행자의 양 발의 방위각 차이를 비교해 발의 틀어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보행자의 발가락 중심부에 위치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자기를 중심으로 보행자의 발의 각도 값을 도출하여 지정한 범위 안에서 양 발의 방위각 차이를 비교해 발의 틀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 자세 측정 장치(10)는 내장형 베터리(미도시)를 인솔부(100)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베터리가 배치된 부분은 타 부위에 비하여 족압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아울러, 인솔부의 중간 부분에 갈라진 틈을 형성하여 각기 다른 신발의 크기에 장착될 수 있으며, PCB 기판의 변형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 소자의 배치 시 센서 소자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양쪽 발가락 중심에 위치시킨 지자기 센서를 이용해 방위각을 획득하여 보행자의 발의 틀어짐을 측정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족압 측정 순서에 따른 걸음 판단의 실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도2의 (a)에 따라 보행자의 걸음 판단 시 초기 단계에서 보행자의 뒤꿈치 부분의 활성도를 측정하며, 도2의 (b), (c)에 따라 중간 단계에서 뒤꿈치와 족 전면의 활성화를 측정한다. 도2의 (d), (e)에 따라 말기 단계에서는 족 전면의 활성화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족압의 측정을 통하여 보행자의 걸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보행 자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발의 틀어짐 측정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3의 (a)와 같은 경우 제어부는 이상적인 발의 각도로 판단하게 되며, 도3의 (b)와 같은 경우 발의 각도가 외치중 된 것으로 제어부는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도3의 (c)와 같은 경우 발의 각도가 내치중 된 것으로 제어부는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제어부는 보행자의 발의 틀어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보행자의 신발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에 배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고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족하중 편향도, 보행자의 걸음 수 및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정 여부의 정보를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자가 보행을 시작하면, PCB 인솔부의 하중 센서는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가 도출되며,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고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하고, 2축 가속도 센서는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한다. 각종 센서에서 도출된 정보는 보행자의 단말기로 송신되고, 보행자의 보행이 올바른 경우 올바른 도보 플래그가 on 상태로 변화하며, 보행자의 보행이 불안정한 경우 불안정 도보 플래그가 on 상태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플래그 데이터가 보행자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취합되며, 이를 기초로 보행자의 양발 각도, 걸음 수, 이동 거리, 소모 칼로리, 압력 분포도 등이 계산된다.
도5를 참조하면, 보행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UI를 통하여, 하중 센서의 하중 분포 정도(1)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압력이 가해질 때 하중 센서의 색깔이 변화(2)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표시(3)를 통하여 보행자의 왼발과 오른발이 연결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리셋 버튼(4)을 통하여 설정된 값을 초기화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양 발 사이의 벌어진 각도(5)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걸음 수(6), 이동 거리(6) 및 소모 칼로리(8)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보행 자세 측정 장치는 자이로 센서를 대체하여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 PCB형 보행 자세 측정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양 발의 방위각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 측정 및 교정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족압 분포별 압력 크기에 따른 하중 센서를 이용하고 3축 가속도 센서의 x축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은 보행자의 보행 자세의 틀어짐을 측정, 개선함에 있어 기형 다리와 골반의 틀어짐, 척추와 경추의 틀어짐을 예방해 사용자에게 삶의 질 개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장치에 비하여 제작 비용의 절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니며, 족압 분포와 방위각을 이용해 보행 자세의 판단을 개선할 수 있고, 보행자의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측정 된 값을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보행 자세 측정 장치
100 : 인솔부
210 : 제1 센서
220 : 제2 센서
230 : 제3 센서

Claims (5)

  1.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어 보행자의 보행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보행자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를 분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인솔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보행자의 양 발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
    를 포함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하중 센서이며, 상기 하중 센서는 발의 표준 압력 분포에 기준하여 상기 인솔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중 센서는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3축의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지자기 센서이며,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하는, 보행 자세 측정 장치.
  5. 보행자의 신발 내측에 장착되는 인솔부에 배치된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의 후단부터 전단까지 차례로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 값을 근거로 족하중 편향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x축 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하고 보행자의 걸음 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인솔부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자기장의 N극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양 발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측정하고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족하중 편향도, 보행자의 걸음 수 및 보행자의 걸음 자세의 유형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 자세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정 여부의 정보를 보행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자세 측정 방법.
KR1020180041408A 2018-04-10 2018-04-10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KR2019011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08A KR20190118265A (ko) 2018-04-10 2018-04-10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08A KR20190118265A (ko) 2018-04-10 2018-04-10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65A true KR20190118265A (ko) 2019-10-18

Family

ID=6846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08A KR20190118265A (ko) 2018-04-10 2018-04-10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2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45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착용형 보행 시작 의도 판단 장치
KR20220163080A (ko) * 2021-06-02 2022-12-09 서울대학교병원 보행 분석 방법 및 보행 분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45A (ko) * 2019-11-27 2021-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착용형 보행 시작 의도 판단 장치
KR20220163080A (ko) * 2021-06-02 2022-12-09 서울대학교병원 보행 분석 방법 및 보행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52B1 (ko) 신발 인솔,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걸음걸이 형태 교정 시스템
US20110054358A1 (en) Gait and posture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corrected foot pressure
US2015023073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 gait
US10533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enter of gravity of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N106714914B (zh) 运动姿势分析装置以及运动姿势分析信息生成方法
CN106714915A (zh) 运动姿势分析装置以及运动姿势分析信息生成方法
KR101975585B1 (ko) 신축성 센서를 이용한 보행 분석 시스템 및 보행 코칭 방법
JP2013192721A (ja) 足圧分布計測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80088241A (ko)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23145448A (ja) マルチモーダルセンサフュージ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9106375A (ja) 歩容判別システム
KR20170019984A (ko) 걸음유형분석장치 및 걸음유형분석방법
KR20190118265A (ko) 보행 자세 측정 장치 및 보행 자세 측정 방법
CN110573075B (zh) 行走教导系统、行走教导方法
JPH0614803A (ja) 運動情報を収集する運動靴
KR102214513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인솔 시스템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CN108697205A (zh) 用于控制鞋子零件生产机器的系统和方法
KR102285315B1 (ko) 족압 측정 장치
KR20180047083A (ko) 컴퓨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발 시스템 및 이의 구현방법
KR102177647B1 (ko) 개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보행패턴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210014232A (ko) 족압 분석을 통한 재활치료 방법
US20170303826A1 (en) Gait evalu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079934A (ko) 걸음 교정 시스템
KR20200102162A (ko) 착용형 보행 분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