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16A -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 Google Patents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16A
KR20190118216A KR1020180040822A KR20180040822A KR20190118216A KR 20190118216 A KR20190118216 A KR 20190118216A KR 1020180040822 A KR1020180040822 A KR 1020180040822A KR 20180040822 A KR20180040822 A KR 20180040822A KR 20190118216 A KR20190118216 A KR 2019011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chaff
pipe
blowing
rice hu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320B1 (ko
Inventor
최영숙
Original Assignee
(주)건지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지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건지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8004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3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중공부에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는 투입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왕겨 살포장치를 구비하며,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단계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THE METHOD OF SCATTERING THE CHAFF}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에 왕겨를 흩뿌려주기 위한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중공부에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는 투입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왕겨 살포장치를 구비하며,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단계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가금류 사육장이나 축사에서는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톱밥, 왕겨, 코코넛 부산물 등의 수분조절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사육하면서 수시로 수분조절제와 미생물을 추가 살포하여 교반하여 분뇨와 톱밥 왕겨 등을 혼합 발효시켜 퇴비화 하거나 사료화한다.
적절한 수분함량은 왕겨와 분뇨 혼합물의 이상적인 발효를 촉진하고, 가금을 위한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방한복 등에서 이용되는 양질의 오리다운을 얻기 위해서는 불가결한 관리작업으로서 부단히 행하여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수분조절제의 운반작업 및 살포작업은 손수레와 삽과 고무래 등 재래식 농기구를 사용하여 인력으로 번거롭게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541호에는 '왕겨 살포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가금류 사육장에서 가금의 분뇨로 인한 바닥의 과다한 수분을 적절히 조절히기 위해 시행되는 왕겨 및 톱밥 등의 살포작업을 트랙터 혹은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 보다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수용된 왕겨를 하부로 토출시키면서 트랙터 혹은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것으로, 축사의 내부 공간에서 활용될 여지가 적으며, 작업 반경에 따르면 축사의 모서리나 후미진 곳 등에는 살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방목장이거나 대단위 축사와 돈사 등 수분조절제의 대량 살포가 요구되는 사육장에서는 공지된 퇴비살포기, 스키드 로더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장소가 협소하고 사료 공급장치와 급수장치 등 설치물이 복잡한 가금류사육장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송풍수단과 공급관과 투입수단이 구비된 콤팩트한 구성으로, 영세한 농가에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왕겨를 살포할 수 있어 인력비용의 낭비를 줄이고, 살포 시간을 단축시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축사의 구석진 곳까지도 신속하고 고르게 살포할 수 있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살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축사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조로부터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된 왕겨를 공기를 불어넣어 이동시키되, 투입된 공기가 저장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투입수단을 구비한 살포장치를 이용한 살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은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중공부에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는 투입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왕겨 살포장치를 구비하며,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단계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과, 상기 살포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단계는 상기 분기관과, 살포관과,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향하여 지향 설치되는 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는 공급관로 개방단계와, 상기 송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공급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기투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송풍단계는 상기 살포관이 축사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좌측과 우측 등으로 적어도 두개의 관로 이상으로 나누어 연결되는 경우, 축사 내부의 왕겨가 살포될 영역으로 유도되는 한쪽 관로만을 개방하고 다른쪽 관로는 밸브를 통해 차단하는 공급관로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단계는 상기 저장조에 구비된 토출구를 개방하는 투입관로 개방단계와, 상기 투입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하는 왕겨투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료단계는 상기 공급관 내부에 잔존하는 왕겨를 완전히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투입수단을 구동하는 전원을 차단하고 송풍수단을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공급관 완전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송풍수단과 공급관과 투입수단이 구비된 콤팩트한 구성으로, 영세한 농가에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왕겨를 살포할 수 있어 인력비용의 낭비를 줄이고, 살포 시간을 단축시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축사의 구석진 곳까지도 신속하고 고르게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사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조로부터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된 왕겨를 공기를 불어넣어 이동시키되, 투입된 공기가 저장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수단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의 회전에 의해 왕겨가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S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은 고정프레임(11)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되는 저장조(10);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20);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30);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중공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43)가 돌출 형성된 로터(42)를 포함하는 투입수단(40);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하는 왕겨 살포장치를 구비하며,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S10);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S20);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S30);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S40);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단계(S30)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겨 살포장치(100)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되는 저장조(10)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20)과,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30)과,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0)는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은 축사의 외부에서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호퍼의 형상으로 설치되는 저장조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저장조의 하단부에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10)는 상부에 회동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13)와, 하측 외주면에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보며 수용된 왕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1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3)는 저장조의 상부를 차폐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저장조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거나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측창(14)는 저장조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의 양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 수용된 왕겨가 결로현상으로 습기가 발생되거나 장기간 적체되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날개를 구비한 교반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수단(20)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중심부에 방사상의 날개가 부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311)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312)과,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313)을 포함하는 분기관(31)과,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을 포함하되,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며, 상기 제1지관(311)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급관(30)은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관(31)은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311)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312)과,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313)을 포함한다.
상기 살포관(32)은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단부에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토출관(33)이 연장되어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토출관을 굴절시켜 축사의 구석까지 원하는 곳에 왕겨가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제1지관(311)으로 유입되어 주관(313)으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관(311)과 제2지관(312)이 하나의 주관(313)으로 합쳐지되, 상기 제1지관과 제2지관이 이루는 각도(θ)는 예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지관이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지관(311)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구(3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점차 좁아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관로를 상기 제1지관(31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수단(2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기관의 제1지관(311)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1지관의 내부에 구비된 유출구(314)를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수단(40)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43)가 돌출 형성된 로터(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싱(41)은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12)와, 상기 공급관(30)의 전방에 마련된 분기관의 제2지관(312)을 연통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부에는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43)이 돌출 형성된 로터(42)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3)은 로터의 중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이웃한 블레이드 사이에는 왕겨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4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의 수용공간부(431)에 상기 저장조(10)에 수용된 왕겨가 자중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며, 상기 로터(42)가 상기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부(431)가 로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하부로 위치하면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왕겨가 제2지관(312)를 통해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송풍수단(20)을 통해 분기관(31)으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제2지관(312)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43)의 단부는 케이싱(4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지관(312)가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제1지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주관을 통해 속도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지관을 통해 투입되는 왕겨가 제1지관으로부터 주관으로 진행되는 공기에 딸려 주관에 함께 투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50)는 송풍수단(20)과 투입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수단(20)과 투입수단(40)을 제어함으로써 축사의 내부로 살포되는 왕겨의 양을 조절하되, 사용자가 왕겨가 토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스위치부(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0)의 하단부와 투입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왕겨의 투입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와 케이싱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차단판(61)과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손잡이(62)를 포함하는 수동밸브(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함으로써,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S100)은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S10);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S20);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S30);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S40);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S50);를 포함하여, 상기 투입단계(S30)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준비단계(S10)은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송풍단계(S20)는 사용자가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에 불어넣는 단계로서, 상기 공급관은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과, 상기 살포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토출관(33)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단계(S20)는 상기 분기관과, 살포관과,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향하여 지향 설치되는 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는 공급관로 개방단계(S21)와, 상기 송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공급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기투입단계(S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급관로 개방단계(S21)는 상기 분기관과, 살포관과,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향하여 지향 설치되는 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공기투입단계(S22)는 상기 송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공급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송풍단계(S20)는 상기 살포관(32)이 축사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좌측과 우측 등으로 적어도 두개의 관로 이상으로 나누어 연결되는 경우, 축사 내부의 왕겨가 살포될 영역으로 유도되는 한쪽 관로만을 개방하고 다른쪽 관로는 밸브(34)를 통해 차단하는 공급관로 선택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축사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급관이 적어도 두개의 관로 이상으로 구비되어 전방과 후방, 또는 좌측과 우측 등으로 나누어 배치되거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축사가 길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축사의 내부로 유입된 살포관(32)이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개로 분기된 살포관(32)으로부터 왕겨가 살포될 영역으로 유도하는 단일 공급관로를 선택하고 다른쪽 관로는 밸브(34)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단계(S30)는 상기 저장조(10)에 구비된 토출구(12)를 개방하는 투입관로 개방단계(S31)와, 상기 투입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하는 왕겨투입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관로 개방단계(S31)는 상기 저장조에 구비된 토출구를 개방하여 투입수단으로 하여금 왕겨를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왕겨투입단계(S32)는 상기 투입수단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함으로써 상기 로터(42)가 상기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부(431)가 로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하부로 위치하면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왕겨가 제2지관(312)를 통해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포단계(S40)는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단계이며,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20)과 투입수단(40)을 제어함으로써 축사의 내부로 살포되는 왕겨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왕겨가 토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50)는 사용자가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스위치부(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료단계(S50)는 상기 공급관 내부에 잔존하는 왕겨를 완전히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투입수단을 구동하는 전원을 차단하고 송풍수단을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공급관 완전배출단계(S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S100: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S10: 준비단계 S20: 송풍단계
S21: 공급관로 개방단계 S22: 공기투입단계
S23: 공급관로 선택단계 S30: 투입단계
S31: 투입관로 개방단계 S32: 왕겨투입단계
S40: 살포단계 S50: 종료단계
S51: 공급관 완전배출단계
100: 왕겨 살포장치
10: 저장조 11: 고정프레임
12: 토출구 13: 덮개
14: 관측창 20: 송풍수단
30: 공급관 31: 분기관
311: 제1지관 312: 제2지관
313: 주관 314: 유출구
32: 살포관 33: 토출관
34: 밸브
40: 투입수단 41: 케이싱
42: 로터 43: 블레이드
44: 외부 동력원 50: 제어장치
51: 스위치부 60: 수동밸브
61: 차단판 62: 손잡이

Claims (5)

  1. 고정프레임(11)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되는 저장조(10);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20);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30);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중공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43)가 돌출 형성된 로터(42)를 포함하는 투입수단(40);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하는 왕겨 살포장치를 구비하며,
    축사 내부에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청소하는 준비단계(S10); 사용자가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시켜 공기를 공급관으로 불어넣는 송풍단계(S20); 상기 공급관의 내부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투입시키는 투입단계(S30); 사용자가 공급관의 단부를 조절하여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살포하는 살포단계(S40);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통해 투입수단과 송풍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종료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단계(S30)에서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과, 상기 살포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토출관(33)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단계(S20)는 상기 분기관과, 살포관과, 왕겨가 살포될 영역을 향하여 지향 설치되는 토출관의 관로를 개방하는 공급관로 개방단계(S21)와, 상기 송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공급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공기투입단계(S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단계(S20)는 상기 살포관(32)이 축사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좌측과 우측 등으로 적어도 두개의 관로 이상으로 나누어 연결되는 경우, 축사 내부의 왕겨가 살포될 영역으로 유도되는 한쪽 관로만을 개방하고 다른쪽 관로는 밸브(34)를 통해 차단하는 공급관로 선택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단계(S30)는 상기 저장조(10)에 구비된 토출구(12)를 개방하는 투입관로 개방단계(S31)와, 상기 투입수단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하는 왕겨투입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단계(S50)는 상기 공급관 내부에 잔존하는 왕겨를 완전히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투입수단을 구동하는 전원을 차단하고 송풍수단을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공급관 완전배출단계(S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의 살포방법.
KR1020180040822A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KR10207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22A KR102073320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22A KR102073320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16A true KR20190118216A (ko) 2019-10-18
KR102073320B1 KR102073320B1 (ko) 2020-03-03

Family

ID=6846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22A KR102073320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40B1 (ko) * 2020-02-04 2020-06-01 김영용 블로워 방식 사료 이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825A (ja) * 1998-09-21 2000-04-04 Oomiya Seisakusho:Kk 籾殻粉砕機
JP4262585B2 (ja) * 2003-12-03 2009-05-13 日本海物流株式会社 籾殻用破砕装置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825A (ja) * 1998-09-21 2000-04-04 Oomiya Seisakusho:Kk 籾殻粉砕機
JP4262585B2 (ja) * 2003-12-03 2009-05-13 日本海物流株式会社 籾殻用破砕装置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40B1 (ko) * 2020-02-04 2020-06-01 김영용 블로워 방식 사료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320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2972B (zh) 一种水产养殖用饲料均匀喷撒装置
KR102064667B1 (ko)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KR102073320B1 (ko)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CN210409071U (zh) 一种基于生猪养殖的猪舍自动化消毒装置
KR101004611B1 (ko) 트랙터 탑재형 더블호퍼 살포기
KR200473011Y1 (ko) 사료 살포장치
KR102044812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1994348B1 (ko)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CN115769790B (zh) 一种自动化牛养殖防疫装置
JPH10174534A (ja) 家畜飼育設備および飼育方法
KR100783822B1 (ko) 송풍방식을 이용한 직파장치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CN211381136U (zh) 一种羊崽养殖用清洗装置
CN214758606U (zh) 一种养殖场饲料加料器
CN208676066U (zh) 一种新型畜牧业饲料供给装置
CN210076271U (zh) 一种养殖用新型自动喂料装置
CN210630200U (zh) 一种玉米雾化拌种机
KR200278917Y1 (ko) 왕겨살포기
CN219352370U (zh) 一种适用于明日叶的生物菌肥施肥装置
KR0164203B1 (ko) 가축 분뇨 발효 건조장치
CN219108429U (zh) 一种肉牛饲料分配装置
CN212035338U (zh) 一种畜牧养殖除粪装置
CN215049620U (zh) 一种畜牧业具有清洁功能的粪便烘干装置
KR100501077B1 (ko) 액비 살포시스템
CN220458228U (zh) 一种养殖场粪便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