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348B1 -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348B1
KR101994348B1 KR1020180040821A KR20180040821A KR101994348B1 KR 101994348 B1 KR101994348 B1 KR 101994348B1 KR 1020180040821 A KR1020180040821 A KR 1020180040821A KR 20180040821 A KR20180040821 A KR 20180040821A KR 101994348 B1 KR101994348 B1 KR 10199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branch pipe
casing
cha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숙
Original Assignee
(주)건지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지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건지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800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과,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과,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여, 상기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함으로써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CHAFF SPRAY SYSTEM}
본 발명은 축사의 바닥에 왕겨를 흩뿌려주기 위한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왕겨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왕겨 살포장치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저장조의 하부와 공급관의 한쪽 외주면을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가 돌출 형성된 로터를 포함하여, 상기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함으로써,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금류 사육장이나 축사에서는 분뇨를 처리하기 위해 톱밥, 왕겨, 코코넛 부산물 등의 수분조절제를 일정 두께로 깔고 사육하면서 수시로 수분조절제와 미생물을 추가 살포하여 교반하여 분뇨와 톱밥 왕겨 등을 혼합 발효시켜 퇴비화 하거나 사료화한다.
적절한 수분함량은 왕겨와 분뇨 혼합물의 이상적인 발효를 촉진하고, 가금을 위한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방한복 등에서 이용되는 양질의 오리다운을 얻기 위해서는 불가결한 관리작업으로서 부단히 행하여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수분조절제의 운반작업 및 살포작업은 손수레와 삽과 고무래 등 재래식 농기구를 사용하여 인력으로 번거롭게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541호에는 '왕겨 살포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가금류 사육장에서 가금의 분뇨로 인한 바닥의 과다한 수분을 적절히 조절히기 위해 시행되는 왕겨 및 톱밥 등의 살포작업을 트랙터 혹은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 보다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수용된 왕겨를 하부로 토출시키면서 트랙터 혹은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 이동하면서 살포하는 것으로, 축사의 내부 공간에서 활용될 여지가 적으며, 작업 반경에 따르면 축사의 모서리나 후미진 곳 등에는 살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방목장이거나 대단위 축사와 돈사 등 수분조절제의 대량 살포가 요구되는 사육장에서는 공지된 퇴비살포기, 스키드 로더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장소가 협소하고 사료 공급장치와 급수장치 등 설치물이 복잡한 가금류사육장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송풍수단과 공급관과 투입수단이 구비된 콤팩트한 구성으로, 영세한 농가에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왕겨를 살포할 수 있어 인력비용의 낭비를 줄이고, 살포 시간을 단축시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축사의 구석진 곳까지도 신속하고 고르게 살포할 수 있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축사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조로부터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된 왕겨를 공기를 불어넣어 이동시키되, 투입된 공기가 저장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투입수단을 구비한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왕겨 살포장치에 있어서,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저장조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과,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상기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과,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관은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과, 상기 제1지관과 제2지관이 합류되어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을 포함하는 분기관; 및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지관과 주관은 동일한 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지관을 통해 투입되는 왕겨가 상기 제1지관으로부터 주관으로 진행되는 공기에 딸려서 함께 주관에 투입되도록 상기 제1지관에 대하여 상기 제2지관은 사선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지관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는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수단은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2지관을 연통하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되, 내주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송풍수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지관을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그 단부가 케이싱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왕겨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공간부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왕겨가 제2지관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조의 상부에는 회동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고, 하측 외주면에는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보며 수용된 왕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관측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포관에는 사용자가 축사의 원하는 곳에 왕겨를 토출하도록 사용자가 굴절시켜 조절할 수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토출관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저장조의 하단부와 투입수단의 사이에 배치되어, 왕겨의 투입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와 케이싱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수동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송풍수단과 공급관과 투입수단이 구비된 콤팩트한 구성으로, 영세한 농가에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왕겨를 살포할 수 있어 인력비용의 낭비를 줄이고, 살포 시간을 단축시켜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축사의 구석진 곳까지도 신속하고 고르게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사의 외부에 설치된 저장조로부터 축사의 내부로 왕겨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고, 공급관의 내부로 투입된 왕겨를 공기를 불어넣어 이동시키되, 투입된 공기가 저장조로 역류되지 않도록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수단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의 회전에 의해 왕겨가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왕겨 살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조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수단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의 회전에 의해 왕겨가 투입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왕겨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겨 살포장치(100)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되는 저장조(10)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20)과,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30)과,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0)는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호퍼형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은 축사의 외부에서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프레임과 지주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호퍼의 형상으로 설치되는 저장조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부가 개방되고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저장조의 하단부에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저장조(10)는 상부에 회동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13)와, 하측 외주면에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보며 수용된 왕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관측창(1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3)는 저장조의 상부를 차폐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저장조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거나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측창(14)는 저장조의 하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의 양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저장조(10)의 내부에 수용된 왕겨가 결로현상으로 습기가 발생되거나 장기간 적체되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날개를 구비한 교반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수단(20)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중심부에 방사상의 날개가 부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311)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312)과,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313)을 포함하는 분기관(31)과,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을 포함하되,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며, 상기 제1지관(311)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급관(30)은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분기관(31)과, 상기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관(31)은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311)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312)과,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313)을 포함한다.
상기 살포관(32)은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단부에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토출관(33)이 연장되어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토출관을 굴절시켜 축사의 구석까지 원하는 곳에 왕겨가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제1지관(311)으로 유입되어 주관(313)으로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관(311)과 제2지관(312)이 하나의 주관(313)으로 합쳐지되, 상기 제1지관과 제2지관이 이루는 각도(θ)는 예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지관이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지관(311)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구(3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점차 좁아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관로를 상기 제1지관(31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수단(2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기관의 제1지관(311)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1지관의 내부에 구비된 유출구(314)를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수단(40)은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2지관을 연통하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되, 내주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42)와; 상기 로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송풍수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지관을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그 단부가 케이싱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싱(41)은 상기 저장조의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12)와, 상기 공급관(30)의 전방에 마련된 분기관의 제2지관(312)을 연통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중공부에는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며 방사상방향으로 블레이드(43)이 돌출 형성된 로터(42)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3)은 로터의 중심에서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이웃한 블레이드 사이에는 왕겨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4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의 수용공간부(431)에 상기 저장조(10)에 수용된 왕겨가 자중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며, 상기 로터(42)가 상기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부(431)가 로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하부로 위치하면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왕겨가 제2지관(312)를 통해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송풍수단(20)을 통해 분기관(31)으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제2지관(312)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블레이드(43)의 단부는 케이싱(4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기관(31)은 제1지관(311)과 주관(313)이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지관(312)가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제1지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주관을 통해 속도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지관을 통해 투입되는 왕겨가 제1지관으로부터 주관으로 진행되는 공기에 딸려 주관에 함께 투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50)는 송풍수단(20)과 투입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송풍수단(20)과 투입수단(40)을 제어함으로써 축사의 내부로 살포되는 왕겨의 양을 조절하되, 사용자가 왕겨가 토출되는 공급관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스위치부(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조(10)의 하단부와 투입수단(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왕겨의 투입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와 케이싱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차단판(61)과 상기 차단판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손잡이(62)를 포함하는 수동밸브(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수단이 양호한 에어 록(Air Lock)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공급관으로 투입함으로써,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왕겨 살포장치
10: 저장조 11: 고정프레임
12: 토출구 13: 덮개
14: 관측창 20: 송풍수단
30: 공급관 31: 분기관
311: 제1지관 312: 제2지관
313: 주관 314: 유출구
32: 살포관 33: 토출관
40: 투입수단 41: 케이싱
42: 로터 43: 블레이드
44: 외부 동력원 50: 제어장치
51: 스위치부 60: 수동밸브
61: 차단판 62: 손잡이

Claims (4)

  1. 축사의 내부에 왕겨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사의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왕겨 살포장치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1)에 의해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왕겨를 수용하여 저장하되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토출구(12)가 구비되는 저장조(10)와,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공급하는 송풍수단(20)과, 상기 송풍수단과 축사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급관(30)과,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왕겨를 상기 공급관의 일측 내부로 밀어넣는 투입수단(40)과, 상기 송풍수단과 투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지관(311)과,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왕겨가 투입되는 제2지관(312)과, 상기 제1지관과 제2지관이 합류되어 공기와 왕겨가 하나의 흐름으로 합쳐지는 주관(313)을 포함하는 분기관(31); 및 상기 주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축사의 내부로 유도되는 살포관(32);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1지관(311)과 주관(313)은 동일한 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지관을 통해 투입되는 왕겨가 상기 제1지관으로부터 주관으로 진행되는 공기에 딸려서 함께 주관에 투입되도록 상기 제1지관에 대하여 상기 제2지관은 사선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지관(311)으로부터 투입되는 공기가 분사되어 왕겨를 밀어내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제1지관의 내주면에는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출구(314)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수단(40)은 상기 토출구와 상기 제2지관을 연통하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되, 내주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원(44)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42)와; 상기 로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송풍수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지관을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그 단부가 케이싱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3);를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왕겨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431)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42)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공간부(431)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왕겨가 제2지관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10)의 상부에는 회동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13)가 구비되고, 하측 외주면에는 외부에서 저장조의 내부를 들여다보며 수용된 왕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관측창(1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관(32)에는 사용자가 축사의 원하는 곳에 왕겨를 토출하도록 사용자가 굴절시켜 조절할 수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토출관(33)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로부터 케이싱으로의 왕겨의 투입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와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 가능한 차단판(61)과, 상기 차단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62)를 포함하는 수동밸브(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KR1020180040821A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KR10199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21A KR101994348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21A KR101994348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48B1 true KR101994348B1 (ko) 2019-07-01

Family

ID=6725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21A KR101994348B1 (ko) 2018-04-09 2018-04-09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44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개량된 주행 안정성이 확보된 축산용 다목적 관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052B2 (ja) * 1996-09-26 2005-10-05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給餌装置
KR200442134Y1 (ko) * 2007-05-16 2008-10-10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기용 호퍼 개폐장치
JP3170780U (ja) * 2011-07-19 2011-09-29 株式会社 鐘川製作所 投餌機
KR101634358B1 (ko) * 2015-11-27 2016-06-30 대한민국 사료자동 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052B2 (ja) * 1996-09-26 2005-10-05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給餌装置
KR200442134Y1 (ko) * 2007-05-16 2008-10-10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기용 호퍼 개폐장치
JP3170780U (ja) * 2011-07-19 2011-09-29 株式会社 鐘川製作所 投餌機
KR101634358B1 (ko) * 2015-11-27 2016-06-30 대한민국 사료자동 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44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황소농기계 개량된 주행 안정성이 확보된 축산용 다목적 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0452A (en) Liquid manure spreader
KR102064667B1 (ko)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KR101667008B1 (ko) 슬러지 발효 감량장치
KR101994348B1 (ko)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
CN111825489A (zh) 一种生物有机肥混匀发酵罐
US6036406A (en) Mobile blower system for planting grass seed
KR102282606B1 (ko) 축사용 톱밥 및 왕겨 살포장치
KR10182756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발효사료 생산장치
CN110498694A (zh) 卧式滚筒搅拌发酵罐
KR200473011Y1 (ko) 사료 살포장치
US6357971B1 (en) Mobile blower system for depositing grass seed and organic material
KR102073320B1 (ko) 축사용 왕겨 살포장치를 이용한 왕겨 살포방법
CN108821805B (zh) 一种自动进出料转鼓式堆肥箱
CN208754675U (zh) 一种便于分料的颗粒肥撒料装置
KR20120003071U (ko) 가수 장치를 구비한 tmr 배합-운송 차량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US3396912A (en) Slurry handling apparatus
CN207754317U (zh) 牦牛冬季暖棚养殖用饲养槽
KR200278917Y1 (ko) 왕겨살포기
CN220369038U (zh) 一种肥料施撒装置
CN212188665U (zh) 一种苗木种植肥料搅拌装置
CN221044021U (zh) 家禽饲养装置
CN220310289U (zh) 一种肥料增效改良剂生产装置
CN215188205U (zh) 一种用于农业种植的小麦拌种装置
CN220023889U (zh) 一种水产养殖投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