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943A -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943A
KR20190117943A KR1020180040912A KR20180040912A KR20190117943A KR 20190117943 A KR20190117943 A KR 20190117943A KR 1020180040912 A KR1020180040912 A KR 1020180040912A KR 20180040912 A KR20180040912 A KR 20180040912A KR 20190117943 A KR20190117943 A KR 20190117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aracter
input
input devic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충
Original Assignee
김학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충 filed Critical 김학충
Priority to KR102018004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943A/ko
Publication of KR2019011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자입력장치(키보드나 스마트폰에 있는 가상의 자판) 자판에는 상하로 2개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상단의 문자나 기호를 선택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다른 자판을 눌러주어야 해당 자판의 상단에 있는 문자나 기호가 입력된다. 본 발명은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도 자판상단의 문자나 기호가 자동으로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OMITTED}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서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도 자판 상단의 문자나 기호를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에 입력하는 문자의 수에 비하여 문자판의 숫자는 제한되어 있어서 영어에서는 대문자를 입력할 때나 기호를 입력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자판을 눌러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한글자판에서 쌍모음이나 쌍자음 또는 기호를 입력할 때도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자판을 눌러서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쌍자음을 입력할 경우에는 해당 자음을 두 번 눌러줘야 하는 불편이 있다.
문자입력장치가 타이프라이터처럼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자판 상단에 있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자판을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판 상단의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때마다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자판을 눌러줘야 하는 불편은 그대로 계속되고 있다. 한글을 입력할 때 쌍자음이나 쌍모음 또는 기호를 입력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해당 자판을 눌러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영어도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하기 때문에 대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때는 반드시 Shift자판을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기도 하고 입력속도도 느릴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불편이 없이 자판 상단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나 영어자판에서 대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때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도 키보드 자판의 상단의 문자나 기호나 영어의 경우에는 대문자가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한민국특허 10-2015-0104807 (2015년07월24일 박해준)는 자판을 길게 누르면 추가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한국어자판에는 한글 자모가 기본으로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영어알파벳이 상단에 인쇄되어 있다. 그래서 인용발명에서 추가문자란 영어알파벳을 가리킨다. 인용발명에서는 한글로 문서를 작성하다가 영어단어나 문장을 입력해야 할 경우에는 한영변환키를 누리지 않고 해당 알파벳이 인쇄되어 있는 자판을 길게 눌러주면 한글에서 영어자판으로 자동으로 변경되면서 영어알파벳이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인용발명에서 문제점은 자판 둘째와 셋째 줄은 한글자모 하나에 영어알파벳 하나가 추가되어 있다. 그러나 첫째 줄에는 한글자모와 쌍자음과 쌍모음과 영어 알파벳이 함께 인쇄되어 있다. 그래서 첫째 줄에 있는 문자판을 길게 누르면 추가문자 두 개 가운데 어느 것을 입력해야 할지 혼동이 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어는 대문자도 많이 사용하는데 대문자인 경우에는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자판을 길게 눌러줘야 대문자가 입력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그 후에 다시 한글로 돌아오려면 그 자판을 다시 오래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자판을 누르자마자 바로 한글이 입력이 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영어알파벳 [d]를 입력하려고 한글자판 [ㅇ] 자판을 길게 눌러 주면 [d]가 입력되기 전에 [ㅇ]이 먼저 입력되는 것을 피할 수는 없고, 자판을 길게 누르면 한영으로 변환되기 전에 그 자모가 연속해서 입력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사용하는 문자자판은 영어알파벳 한 가지만 자판에 인쇄되어 있다. 추가문자가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그 자판만 길게 누르면 대문자로 바뀔 수가 없다. 영어자판에서 대문자는 반드시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문자판을 쳐야 대문자가 입력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길게 누른다고 대문자가 입력될 수도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한글자판을 사용할 때는 쌍모음과 쌍자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 기본자음이나 모음을 길게 누르면 쌍자음이나 쌍모음 또는 기호가 입력되도록 하고, 영어자판일 경우에는 모든 알파벳 자판을 길게 누르면 대문자가 인쇄되게 하도록 한다. 길게 누를 때 자판에 있는 기본자모가 바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자모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것도 방지하고 손을 떼면 바로 기본자모가 입력되게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판을 약간 길게 눌러주는 것으로 Shift자판을 누르고 문자판을 누른 것처럼 자판의 상단에 있는 문자나 기호나 대문자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자판을 치는 순간 기본문자가 입력이 되는 것을 종래의 키보드나 입력장치에서는 피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영어에서 대문자, 한글에서 쌍자모를 입력하기 위하여 자판을 길게 눌러주어도 기본문자가 입력이 되지 않도록 입력신호를 지연시켜 다음 신호를 확인한 후에 문자가 입력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판을 눌렀을 때 자모가 입력되지 않게 하고 손가락을 자판에서 떼었을 때에 자모가 입력이 되도록 한다. 나아가서 자판의 입력신호의 길이를 측정하여 신호의 길이가 다른 때보다 길면 Shift자판을 누르고 그 자판을 누른 것처럼 쌍자모나 대문자로 입력되도록 한다.
한글이든 영문이든 다른 문자입력장치라도 Shift자판을 눌러 대소문자로 전환하거나, 쌍자모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한글이나 영문에서는 한 문장을 입력할 때 한 번 이상 Shift자판을 눌러줘야 할 때도 있어서 상당히 번거롭고 입력속도도 저하가 된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소문자자판을 약간 길게 눌러주는 것으로 해당 소문자가 대문자로 자동으로 변환되며, 한글에서는 기본자모를 길게 눌러주므로 쌍자모가 입력이 되기 때문에 문서를 작성하는 동안 Shift자판을 한 번도 눌러주지 않아도 될 정도가 되므로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다.
자판을 약간 길게 눌러주면 Shift자판을 누르고 자판을 누른 것처럼 쌍자음이나 쌍모음 또는 영어에서는 대문자가 입력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판을 누르는 순간 기본자모가 입력이 되므로 종래의 자판형식에서는 그것을 피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자판을 누르는 순간 그 신호를 받아 약 1초 정도 지연한 후에 바로 다른 자판의 신호가 들어올 경우에는 그 문자가 입력이 되도록 하고, 자판에서 발생한 신호가 1초 정도 지속되면 Shift자판을 누르고 그 자판을 누른 것처럼 상단에 있는 문자나 대문자로 입력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마다 타이핑속도가 다르므로 입력장치에 지연시간조절 장치를 부착하거나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신호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예를 든 지연시간이나 발생한 신호의 지속정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자판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같은 자모가 연속으로 입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자판의 신호가 1초 이상 계속될 경우에는 상단에 있는 자모나 기호를 한 번만 입력하고 더 이상 입력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판을 길게 눌렀다가 자판에서 손을 떼는 순간 바로 기본자모를 입력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즉 Shift자판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론 종래에는 자판을 터치하는 순간 바로 문자가 입력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터치할 때 바로 문자가 입력되지 않고 터치 후에 자판에서 손가락을 떼는 순간 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 때 자판을 터치하는 순간 그 자판에서 나오는 신호의 시간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른 자판과 동일하면 기본문자가 입력이 되고 터치시간이 다른 자판보다 길면 자판 상단에 인쇄되어 있는 자모나 기호를 입력되도록 한다.
영어자판 외에도 외국의 자판도 기본자판 외에 추가된 자판이 입력되도록 한다. 한글이나 영어문자입력장치 외에 다른 언어입력장치라도 동일하게 작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자판을 길게 눌러주는 것으로 Shift자판을 누른 것을 대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글자판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의 경우를 설명한다.
한글은 기본자모와 쌍자모가 있다. 쌍자모는 자판 첫째 줄에 배치되어 있다. 쌍자모는 기본자모와 같은 자판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ㅉ]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ㅈ]를 잠시 길게 누르기만 하면 [ㅉ]이 입력된다. 또한 쌍모음 [ㅖ]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ㅔ]를 약간 길게 눌러주면 자동으로 [ㅖ]자가 입력이 된다. 종래에는 [%]를 입력할 때도 Shift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판에 있는 [5]자판을 눌러주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숫자판의 [5]를 약간 길게 눌러주면 [%]자가 입력이 된다.
영어자판일 때는 예를 들어 The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Shift자판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t]자 자판을 약간 길게 눌러주면 [T]자로 자동입력이 된다. [T]자가 입력된 후에 차례로 [h][e]자판을 치면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도 The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Shift자판을 누르지 않고 영어에서는 소문자 자판을 길게 누르는 것으로, 대문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고, 한글에서는 기본자모를 길게 눌러주는 것으로 쌍자모가 입력이 되게 된다. 물론 자판 우측에 있는 기호나 숫자판 상단의 기호도 그 기호가 있는 자판을 길게 눌러주는 것으로 상단에 있는 기호가 입력되게 된다.
요즘은 기능자판에도 부가기능을 추가하여 Shift자판이나 FN자판을 누른 후에 기능키를 누르면 부가기능이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도 Shift자판이나 FN자판을 누르지 않고 단순히 그 자판을 길게 누르면 작동하게 된다.

Claims (5)

  1. 문자입력장치에서 자판을 길게 누르면 Shift자판을 누르고 해당 자판을 누른 것처럼 그 자판 상단에 있는 쌍자모나 기호나 대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청구 제 1항에서
    문자입력장치에서 입력신호를 지연시킨 후 다음 문자의 신호를 확인한 후에 이전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청구 제 1항에서
    문자입력장치에서 자판을 길게 눌러 자판 상단에 있는 쌍자모를 입력한 후에 그 자판에서 손가락을 떼는 순간 모든 자판이 문자판 하단의 문자를 입력할 준비를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청구 제 1항에서
    문자입력장치에서 자판을 약간 길게 눌렀을 때에 문자판 상단의 쌍자모나 기호가 단 한 번만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청구 제 1항에서
    문자입력장치에서 자판에서 흐르는 신호의 길이를 측정하여 입력할 문자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180040912A 2018-04-09 2018-04-09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20190117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12A KR20190117943A (ko) 2018-04-09 2018-04-09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12A KR20190117943A (ko) 2018-04-09 2018-04-09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43A true KR20190117943A (ko) 2019-10-17

Family

ID=6842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12A KR20190117943A (ko) 2018-04-09 2018-04-09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9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8083A1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DK168619B1 (da) Tastatur til en ordskrivemaskine
KR20060089621A (ko) 범용 x,y축 위치결정 입력방법
KR20190117943A (ko)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KR19990039862A (ko) 전화기 번호판 및 입력 키보드 활용 한글조합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KR20190116875A (ko) 문자판 상하단의 문자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문자입력장치.
JP2008102735A (ja) 入力装置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20160093508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100404339B1 (ko) 한글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JP6769631B2 (ja) オールインワン方式による情報通信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19411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JP4632035B2 (ja) 携帯電話機用キーボード
KR20060103234A (ko) 문자 입력 장치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960043680A (ko) 콤팩트 한글 키보드
JP2022124432A (ja) 九列五段キーボード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JPH10207608A (ja) 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7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811

Effective date: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