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855A -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855A
KR20190117855A KR1020180036008A KR20180036008A KR20190117855A KR 20190117855 A KR20190117855 A KR 20190117855A KR 1020180036008 A KR1020180036008 A KR 1020180036008A KR 20180036008 A KR20180036008 A KR 20180036008A KR 20190117855 A KR20190117855 A KR 2019011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occupant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045B1 (ko
Inventor
신윤재
장동현
이연복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8003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래시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 공간을 줄임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며,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간을 감소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 적용시 과다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이나 데쉬보드, 시트, 측벽 등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전면이나 측면을 향해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즉, 자동차에는 운전석 및 동승석 전방에서 전개되는 정면에어백, 승객의 측방에서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커튼에어백 및 사이드에어백,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에어백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체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첨단 센서와 성능 높은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 및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주행한다.
상기 첨단 센서는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사각지대없이 모든 지역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분석해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차량에는 라이더(LiDAR) 장비, 음파 장비, 3D 카메라, 레이더 장비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운전석을 포함한 전체 시트가 자유롭게 회전하고, 틸팅 조작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가 수평 상태까지 조절된다.
탑승자는 등받이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트를 회전시켜 뒷좌석의 탑승자와 마주보고 회의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전방을 향해서 착석한 자세를 기준으로 설계된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차량용 승객 보호 시스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시트백의 각도 또는 시트의 전후위치를 감지하는 시트자세센싱부, 차량의 충돌신호 또는 충돌예측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센싱부 및 차량의 충돌신호 입력시, 충돌이 발생한 방향을 판단하고, 충돌 발생 방향 및 시트자세센싱부에서 입력된 시트 자세에 따라 승객 주변에 마련된 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충돌예측신호 입력시, 시트백이 수직인 상태를 기준으로 후방으로의 시트백 각도가 기준각도 이상인 경우에 시트백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시트의 회전자세를 입력받는 자세센싱부, 차량의 충돌신호 또는 충돌예측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센싱부 및 차량의 충돌신호 입력시, 충돌이 발생한 방향을 판단하고, 충돌 발생 방향 및 시트의 회전자세에 따라 승객 주변에 마련된 에어백을 선택적으로 전개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판단시 측면 도어에 가까운 사이드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5569호(2016년 9월 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1087호(2016년 4월 11일 공고)
한편, 자율주행 자동차에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의 두께를 줄인 슬림형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방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용된 자동차에서 전방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인스트루먼트 패널(1)을 도 2에 도시된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2)로 대체하는 경우, 탑승자와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2) 사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방 에어백 쿠션(3)에 비해 전방 에어백 쿠션(4)의 볼륨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로 인해 전방 에어백 쿠션(4)의 전개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체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방 에어백 쿠션(4)만으로 탑승자의 하체를 완전하게 구속하체 못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를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무릎 에어백(도면 미도시)을 적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효율적으로 구속해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 적용으로 인해 확보된 공간을 줄여서 에어백 쿠션의 볼륨 및 팽창 전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크래시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크래시 패드 하부에 설치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 측으로 이동시켜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직선 이동시키거나,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 이동시켜 탑승자의 하체와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적용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충돌시,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 공간을 줄임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며,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간을 감소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방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용된 자동차에서 전방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시 팽창 전개된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시 팽창 전개된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구분이 없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에어백 장치를 이용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자율주행 자동차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자동차의 조수석 또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전방 에어백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자동차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와 함께,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시 팽창 전개된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를 슬림화한 디자인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적용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충돌시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켜 에어백 쿠션(21)의 전개 볼륨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해서 별도의 무릎 에어백을 추가하지 않고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0)는 크래시 패드(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21)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20),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모듈(30) 및 이동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크래시 패드(12)는 자동차의 윈드실드 글라스(11) 저면에 고정되어 엔진룸과 실내 공간을 구분하는 기능하며, 크래시 패드(12)에는 계기판과 함께 여러 부품들이 장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됨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크래시 패드(12)의 저면에 고정되고, 탑승자와의 공간 확보를 위해, 슬림형 디자인으로 설계된 상태이다.
크래시 패드(12)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조수석뿐만 아니라, 운전석에도 글로브 박스(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글로브 박스(13)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백 모듈(20)의 하우징(23) 하부에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백 모듈(13)의 이동시 함께 탑승자를 향해 이동해서 탑승자의 하체, 즉 무릎과 무릎 아래 부분을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탑승자의 하체와 접촉하는 글로브 박스(13)의 전면과 하면에는 탑승자의 하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나 니 볼스터(knee bolster) 브래킷과 패널같은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20)은 크래시 패드(12)의 하부에 탑승자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23), 하우징(20) 내부에 수납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향해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1) 및 제어부(40)의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되어 가스를 발생하고 발생한 가스를 에어백 쿠션(22)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3)은 크래시 패드(12)의 하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크래시 패드(12) 하부 공간에 대응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에어백 쿠션(21) 및 인플레이터(22)가 설치된다.
하우징(23)의 상면에는 하우징(23)이 탑승자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21)이 팽창 전개되는 개구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의 양측면에는 에어백 모듈(20)의 이동시 크래시 패드(12)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와 같은 가이드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23)은 탑승자를 향하는 전면패널과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는 후면패널의 재봉 또는 원 피스 우븐 방식에 의해 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 쿠션(21)은 하우징(23) 내부에 접힘 또는 감김 상태로 내장되고, 에어백 쿠션(21)의 높이는 탑승자의 머리에서 복부 위치, 즉 탑승자의 상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백 쿠션(21)을 탑승자의 머리에서 무릎 위치에 대응되는 길이 등 자동차의 내부 공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해서 탑승자의 상체뿐만 아니라, 무릎까지 하나의 에어백을 이용해서 보호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동모듈(30)은 자동차의 충돌시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를 향해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31)과 구동유닛(3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에어백 모듈(20)로 전달하는 전달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31)은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실린더로부터 신장 동작하는 피스톤으로 마련되고, 전달유닛(32)은 상기 피스톤의 신장 동작에 의해 에어백 모듈(20)의 하우징(23)을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로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일단, 즉 도 4에서 보았을 때 좌측은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의 로드는 탑승자, 즉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우측단에는 가압로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크래시 패드 하부에 설치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 측으로 이동시켜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 공간을 줄임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모듈에 실린저와 피스톤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래치 구조나 에어백을 이용한 이동모듈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 구조가 적용된 이동모듈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탄성부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잭이 적용된 이동모듈은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 전단부에 추가 인플레이터와 상기 추가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추가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충돌감지센서(도면 미도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차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인플레이터(22)를 점화시키도록 점화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이동모듈(30)을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는 에어백 장치(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컨트롤 유닛(airbag control unit)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여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40)는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이동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인플레이터(22)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이동모듈(30)의 구동유닛(31)에 마련된 피스톤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탑승자를 향해 신장 동작하고, 전달유닛(32)은 구동유닛(3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하우징(23)에 전달해서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인플레이터(22)는 상기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되어 가스를 발생하고 발생한 가스를 에어백 쿠션(21)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21)은 하우징(23)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4)를 통해 하우징(23)의 외측, 즉 상방으로 돌출되고, 탑승자의 전면을 향해 팽창 전개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 전면은 에어백 쿠션(21)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때, 하우징(23)의 하부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13)는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탑승자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 특히 무릎은 글로브 박스(13)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를 슬림화한 디자인의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적용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충돌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켜 에어백 쿠션의 전개 볼륨을 최소화하고, 글로브 박스를 이용해서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해서 별도의 무릎 에어백을 추가하지 않고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의 전면을 향해 수평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가 자동차의 충돌시 팽창 전개된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20)을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 이동시켜 에어백 모듈(20)과 탑승자의 하체 사이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모듈(30)의 구동유닛(31)은 전단부, 즉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이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33), 실린더(33)에서 신축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34) 및 좌측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우측단이 피스톤 로드(34)의 우측단과 연결되는 연결로드(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전달유닛(32)은 좌측단이 피스톤 로드(33)와 고정로드(35)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연결되어 하우징(23)을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 이동시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글로브 박스(13)는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하단부를 차체에 축 결합하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20)과 글로브 박스(13)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고, 에어백 모듈(20)과 글로브 박스(13)의 후면, 즉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면은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하체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전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 이동시켜 탑승자의 하체와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체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를 슬림화한 디자인의 슬림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적용된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충돌시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켜 에어백 쿠션의 전개 볼륨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하체를 효과적으로 구속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11: 윈드 실드 글라스 12: 크래시 패드
13: 글로브 박스 14: 회전축
20: 에어백 모듈 21: 에어백 쿠션
22: 인플레이터 23: 하우징
24: 개구부
30: 이동모듈 31: 구동유닛
32: 전달유닛 33: 실린더
34: 피스톤 로드 35: 연결로드
40: 제어부

Claims (7)

  1. 크래시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자동차의 충돌시 상기 에어백 모듈과 탑승자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크래시 패드의 하부에 탑승자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를 향해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및
    제어부의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되어 가스를 발생하고 발생한 가스를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크래시 패드의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방으로 돌출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글로브 박스가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글로브 박스는 상기 에어백 모듈과 함께 이동해서 탑승자의 하체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에어백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하우징에 전달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피스톤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글로브 박스의 하단부를 차체에 고정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과 글로브 박스를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회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에어백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하우징에 전달하는 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전단부가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서 신축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 및
    전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후단과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피스톤 로드와 고정로드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모듈을 탑승자의 무릎을 향해 경사지게 회전 이동시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장치는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슬림화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적용된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180036008A 2018-03-28 2018-03-28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4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08A KR102043045B1 (ko) 2018-03-28 2018-03-28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008A KR102043045B1 (ko) 2018-03-28 2018-03-28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855A true KR20190117855A (ko) 2019-10-17
KR102043045B1 KR102043045B1 (ko) 2019-11-12

Family

ID=6842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008A KR102043045B1 (ko) 2018-03-28 2018-03-28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5921A1 (en) * 2021-10-29 2023-05-04 Hyundai Mobis Co., Ltd. Knee airba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761A (ja) * 2003-11-27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2008265376A (ja) * 2007-04-16 2008-11-06 Fujikura Ltd 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2013141964A (ja) * 2012-01-12 2013-07-22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611087B1 (ko) 2014-10-23 201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KR101655569B1 (ko) 2014-11-12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761A (ja) * 2003-11-27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2008265376A (ja) * 2007-04-16 2008-11-06 Fujikura Ltd 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2013141964A (ja) * 2012-01-12 2013-07-22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611087B1 (ko) 2014-10-23 201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KR101655569B1 (ko) 2014-11-12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35921A1 (en) * 2021-10-29 2023-05-04 Hyundai Mobis Co., Ltd. Knee airbag
US11661024B2 (en) * 2021-10-29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Knee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045B1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821B2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KR102005746B1 (ko) 자율주행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0272865B2 (en) Arm rest
US9487177B2 (en) Airbag assemblies for vehicles with generous leg room
KR101611087B1 (ko)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US11292420B2 (en)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for a utility component-equipped vehicle seating position
US20220080917A1 (en) Roof airbag system and vehicle
KR20200069429A (ko) 차량의 승객보호 시스템
US20220097644A1 (en) Side airbag assembly
US9469267B2 (en) Airbag device
KR10215419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6629984B2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0770073A (zh) 车辆座椅
KR20220026388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06387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4304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64843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9684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167457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10119161A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4371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124142B2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JP2005212504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100510362B1 (ko) 자동차 탑승객의 측면이동 구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