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718A - 구동력 전달 구조체 - Google Patents

구동력 전달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718A
KR20190115718A KR1020180038742A KR20180038742A KR20190115718A KR 20190115718 A KR20190115718 A KR 20190115718A KR 1020180038742 A KR1020180038742 A KR 1020180038742A KR 20180038742 A KR20180038742 A KR 20180038742A KR 20190115718 A KR20190115718 A KR 2019011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ortion
elastic
movement
elastic part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468B1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3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468B1/ko
Priority to PCT/KR2019/003915 priority patent/WO2019194559A1/ko
Publication of KR2019011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18A/ko
Priority to KR1020200084091A priority patent/KR102416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대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일 방향 및 그와 반대의 일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구동력 전달 구조체{Driving force transmit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구동력 전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 및 산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계, 기구, 소자, 장치 등이 생활 및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술 발달과 사용자의 요구 수준 향상에 따라 더 복잡하고 다양한 용도의 기구 들이 기계, 기구, 소자, 장치 등에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기계, 기구, 소자, 장치 등에는 하나 이상의 운동을 제공하는 운동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의 운동을 위해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가 필요한데, 이러한 구동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기나 전자 등의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동력 전달 시 상기 외부의 전원이 없이 또는 외부의 전원과 함께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비교적 소형의 기구 또는 사용하기 편리한 기구가 그 예이다.
이러한 구동력 전달 시 공간 활용을 향상하면서 정밀하고 효율적인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간 활용을 향상하고 정밀하고 효율적인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대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일 방향 및 그와 반대의 일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탄성부가 인장시에 상기 제2 탄성부는 압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힘을 가할 때, 상기 제1 탄성부, 상기 제2 탄성부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힘을 가한 후, 상기 힘을 제거 시 상기 고정점의 유지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가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중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의 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탄성부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상기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탄성부의 영역 중 상기 제2 탄성부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거나 상기 제1 탄성부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탄성부의 영역 중 상기 제1 탄성부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탄성부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거나 상기 제2 탄성부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는 공간 활용을 향상하고 정밀하고 효율적인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K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L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K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L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100)는 제1 탄성부(110) 및 제2 탄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도 1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장 시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는 단부(111), 연결부(112) 및 본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2)는 제2 탄성부(120)와 연결되는 영역이고, 단부(111)는 제1 탄성부(110)의 영역 중 연결부(112)와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3)는 단부(111)와 연결부(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제1 탄성부(110)의 변형이 일어나는 주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110)가 인장 시 인장이 주로 발생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의 본체부(113)는 후술할 제2 탄성부(12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폭을 상이하게 하여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폭에 대응하는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미도시)의 내에 구동력 전달 구조체(100)를 수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는 본체부(113)보다 큰 폭을 갖도록 연결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탄성부(110)의 본체부(113)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탄성부(120)가 제1 탄성부(110)에 연결 시 폭의 변동이 심하지 않도록 하고, 연결부(112)에서의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예로서 본체부(113)와 연결부(112)의 사이에 본체부(113)의 폭과 연결부(112)의 폭의 사이의 크기의 폭을 갖는 연결 중간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는 본체부(113)보다 큰 폭을 갖도록 단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부(111)에 다양한 부재(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예로서 본체부(113)와 단부(111)의 사이에 본체부(113)의 폭과 단부(111)의 폭의 사이의 크기의 폭을 갖는 단부 중간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도 1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1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축 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사이에 연결 부재, 체결 부재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는 별도로 제조후 접합한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력 전달 구조체(100)는 하나의 스프링 형태로서, 인장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을 모두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110)는 D1방향으로 인장되어 인장 상태의 제1 탄성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고정점(ST)을 기준으로 제1 탄성부(110')는 인장된 것으로서, 제2 탄성부(120)는 변형되거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점(ST)은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연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탄성부(110)의 연결부(112)에 대응될 수 있다.
인장된 상태의 제1 탄성부(110')에 인장력을 가한 후 제거 시 고정점(ST)을 유지하여 제1 탄성부(110')의 단부(111)가 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의 고정점(ST)을 기준으로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에 별도로 힘을 줄 수 있는 바, 제2 탄성부(120)에 압축력을 가하여 제2 탄성부(120)가 D2 방향으로 운동 시 제1 탄성부(110)는 운동하거나 변형이 없이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독립적인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제어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다르게 고정점(ST)을 위치한 후 제1 탄성부(110)를 인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110)는 D2방향으로 인장되어 인장 상태의 제1 탄성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고정점(ST)은 제1 탄성부(110)의 단부(111)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2 탄성부(120)의 영역 중 제1 탄성부(110)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쪽의 단부 영역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고정점(ST)을 기준으로 제1 탄성부(110')는 인장된 것일 수 있다. 제2 탄성부(120')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인장된 상태의 제1 탄성부(110')에 인장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예를들면 제1 탄성부(110')의 단부(111)에 대응되는 고정점(ST)을 해제하고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사이의 영역을 고정하면 제1 탄성부(110')의 단부(111)가 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120')에 압축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예를들면 제2 탄성부(120')의 단부에 대응되는 고정점(ST)을 해제하면 제2 탄성부(120')의 단부가 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120')에 압축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예를들면 제2 탄성부(120')의 단부에 대응되는 고정점(ST)을 유지한 상태에서 압축력 제거 시 또는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사이의 영역을 고정하지 않고 해제하면 압축된 제2 탄성부(120')가 D1방향으로 늘어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탄성부(110)는 D2방향으로 인장되어 인장 상태의 제1 탄성부(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고정점(ST)을 기준으로 제1 탄성부(110')는 인장된 것으로서, 제2 탄성부(120)는 변형되거나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점(ST)은 제1 탄성부(110)의 단부(111)에 대응될 수 있다.
인장된 상태의 제1 탄성부(110')에 인장력을 가한 후 제거 시 고정점(ST)을 유지하여 제1 탄성부(110')의 본체부(113)가 D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점(ST)을 위치한 후 제2 탄성부(120)를 압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120)는 D1방향으로 압축되어 압축 상태의 제2 탄성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고정점(ST)은 제1 탄성부(110)와 제2 탄성부(120)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고정점(ST)을 기준으로 제2 탄성부(120')는 인장된 것일 수 있고, 제1 탄성부(110)는 변형되지 않거나 운동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120')에 압축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예를들면 고정점(ST)을 해제하면 제2 탄성부(120')가 D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120')에 압축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예를들면 제2 탄성부(1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고정한 후 압축력을 제거 시 제2 탄성부(120')가 D1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탄성부(110)도 D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는 적어도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제1 탄성부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고, 제2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가 제2 탄성부와 연결된 형태로서,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의 중간의 연결 영역, 제1 탄성부의 단부 또는 제2 탄성부의 단부등의 영역에 고정점을 선택적으로 위치 후 제1 탄성부에 인장력 및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고, 인장력 및 압축력을 제거 시 고정점을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다양한 방향, 즉 D1 또는 D2 방향으로의 다양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다양한 기계적 운동 부재, 특히 구동이 필요한 구동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한번의 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에 인장력 및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고정점의 배치 및 해제를 통하여 추가적인 인장력 및 압축력의 제공이 없이 D 방향 및 D2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 정밀하고 효율적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다양한 공구, 장난감, 실험 장비, 측정 장비 등과 같이 운동이 필요한 부재의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사 장비, 생검 장비, 시술 장비와 같이 인체에 대한 동작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되어 인체에 대한 동작에 필수적인 안전성 및 정밀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의 직접적인 연결, 예를들면 일체화되어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 구조를 통하여 구동력 전달 구조체가 배치되는 공간을 감소하여 협소하게 적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200)는 제1 탄성부(210), 제2 탄성부(220), 제1 지지부(260), 제2 지지부(250) 및 중간 지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1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도 8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2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장 시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210)는 단부, 연결부 및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의 폭을 상이하게 하여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의 폭에 대응하는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미도시)의 내에 구동력 전달 구조체(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탄성부(2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2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도 8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2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축 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의 사이에 연결 부재, 체결 부재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는 별도로 제조후 접합한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력 전달 구조체(200)는 하나의 스프링 형태로서, 인장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을 모두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지지부(260)는 제1 탄성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60)는 제1 탄성부(21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210)에 힘이 가해질 때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260)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부(26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지지부(260)는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50) 제2 탄성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50)는 제2 탄성부(220)를 지지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탄성부(220)에 힘이 가해질 때 제2 지지부(250)는 고정점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탄성부(220)는 압축력이 가해진 후에 D1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270)는 제1 탄성부(210)와 제2 탄성부(220)의 연결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지지부(270)는 제1 탄성부(210)의 영역 중 제2 탄성부(220)와 연결되는 영역 및 제2 탄성부(220)의 영역 중 제1 탄성부(210)와 연결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지지부(270)는 제1 탄성부(210) 및 제2 탄성부(22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지부(27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210) 또는 제2 탄성부(220)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힘이 가해진 후에 중간 지지부(270)에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중간 지지부(270)의 운동 및 고정점을 통하여 제1 지지부(260)가 D1 또는 D2로의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걸쳐서 제2 지지부(250)는 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점(ST)을 제1 지지부(260)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후, 즉 제1 지지부(2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제1 탄성부(210)를 인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지지부(270)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지지부(270)가 D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지지부(270)에 연결된 제1 탄성부(210)는 D2방향으로 인장되어 인장 상태의 제1 탄성부(210')로 도시되어 있고, 중간 지지부(270)에 연결된 제2 탄성부(220)는 D2방향으로 압축되어 압축 상태의 제2 탄성부(220')로 도시되어 있다.
중간 지지부(270)의 D2 방향으로의 운동 시, 전술한 대로 제2 지지부(250)는 고정되어 있고, 제1 지지부(260)는 제1 고정점(ST1)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중간 지지부(270)에 제2 고정점(ST2)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제1 지지부(260) 및 제2 지지부(25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레버 형태로서 한번 누르면 고정, 한번 더 누르면 해제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돌출부 형태로서 돌출부를 밀어넣으면 고정, 돌출부를 인출하면 해제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고정점(ST1)을 해제하고, 제2 고정점(ST2)은 유지하여 인장된 상태의 제1 탄성부(210')에 인장력을 제거 시, 제1 탄성부(210')가 후방 반동 운동(화살표 R 방향의 운동)을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탄성부(210')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되어 원래 상태의 제1 탄성부(210)가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후방 반동 운동, 도면상의 D2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제1 지지부(260)가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2 고정점(ST2)은 유지하고, 제2 지지부(250)도 고정되어 있어 제2 탄성부(220')는 압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고정점(ST2)을 해제하여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220')에 압축력을 제거 시, 제2 탄성부(220')가 전방 반동 운동(화살표 F 방향의 운동)을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탄성부(220')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되어 원래 상태의 제2 탄성부(220)가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전방 반동 운동, 도면상의 D1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지지부(270)가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연결된 제1 탄성부(210) 및 제1 지지부(260)도 전방 반동 운동, 도면상의 D1 방향으로의 운동을 진행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2 고정점(ST2)은 유지하고, 제2 지지부(250)도 고정되어 있어 제2 탄성부(220')는 압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술한 후방 반동 운동(R방향으로의 운동) 및 전방 반동 운동(F방향으로의 운동)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운동하는 부재인 제1 지지부(260)의 운동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전방" 및 "후방"을 상호 교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부(250)가 고정되고 제1 지지부(260)가 순차적으로 반동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제1 지지부(260)가 고정되고 제2 지지부(250)가 순차적으로 반동 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반대로 중간 지지부(270)를 먼저 D2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제2 지지부(250)에 대응된 고정점을 해제하여 제2 지지부(250)가 D2 방향으로 반동 운동하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중간 지지부(270)에 대응된 고정점을 해제하여 중간 지지부(270)가 D1 방향으로 반동 운동하도록 하여 중간 지지부(270)에 연결된 제2 탄성부(220) 및 제2 지지부(250)도 D1 방향으로 반동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는 적어도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제1 탄성부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고, 제2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가 제2 탄성부와 연결된 형태로서, 제1 탄성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 제2 탄성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 및 그 사이의 중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의 한번의 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에 인장력을 가하고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지지부 및 중간 지지부에 대응되는 고정점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중간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운동하도록 하고, 예를들면 제1 지지부가 후방 반동 운동 및 전방 반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 즉 D1 또는 D2 방향으로의 다양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다양한 기계적 운동 부재, 특히 구동이 필요한 구동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후방 반동을 통한 1차 발사, 전방 반동을 통한 2차 발상 등의 운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300)는 하우징(301), 제1 탄성부(310) 및 제2 탄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31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3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장 시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31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탄성부(3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3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3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축 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32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탄성부(310)와 제2 탄성부(32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310)와 제2 탄성부(320)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탄성부(310)와 제2 탄성부(3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310)와 제2 탄성부(320)의 사이에 연결 부재, 체결 부재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310)와 제2 탄성부(320)는 별도로 제조후 접합한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력 전달 구조체(300)는 하나의 스프링 형태로서, 인장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을 모두 갖는 구조일 수 있다.
하우징(301)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 공간에 제1 탄성부(310) 및 제2 탄성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310) 또는 제2 탄성부(320)의 일 영역은 하우징(301)의 일 영역, 예를들면 하우징(301)의 내측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 예를들면 제2 탄성부(320)의 단부가 하우징(301)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들면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250)가 하우징(301)의 내벽에 고정되거나 하우징(301)의 내벽이 제2 지지부(250)를 대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301)의 내측의 수용 공간은 제1 탄성부(310)의 폭에 대응하는 폭 및 제2 탄성부(32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상이한 폭을 갖는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301)의 내측의 수용 공간이 고정점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400)는 하우징(401), 제1 탄성부(410), 제2 탄성부(420), 제1 지지부(460), 제2 지지부(450) 및 중간 지지부(470)를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1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4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4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장 시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1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탄성부(4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4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4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축 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42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의 사이에 연결 부재, 체결 부재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는 별도로 제조후 접합한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력 전달 구조체(400)는 하나의 스프링 형태로서, 인장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을 모두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지지부(460)는 제1 탄성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460)는 제1 탄성부(41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410)에 힘이 가해질 때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460)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부(46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지지부(460)는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지지부(450) 제2 탄성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50)는 제2 탄성부(420)를 지지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탄성부(420)에 힘이 가해질 때 제2 지지부(450)는 고정점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탄성부(420)는 압축력이 가해진 후에 D1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470)는 제1 탄성부(410)와 제2 탄성부(420)의 연결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지지부(470)는 제1 탄성부(410)의 영역 중 제2 탄성부(420)와 연결되는 영역 및 제2 탄성부(420)의 영역 중 제1 탄성부(410)와 연결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지지부(470)는 제1 탄성부(410) 및 제2 탄성부(42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지부(47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410) 또는 제2 탄성부(420)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힘이 가해진 후에 중간 지지부(470)에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중간 지지부(470)의 운동 및 고정점을 통하여 제1 지지부(460)가 D1 또는 D2로의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401)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수용 공간에 제1 탄성부(410) 및 제2 탄성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410) 또는 제2 탄성부(420)의 일 영역은 하우징(401)의 일 영역, 예를들면 하우징(401)의 내측의 벽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 예를들면 제2 지지부(450)가 하우징(401)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우징(401)의 내벽이 제2 지지부(450)를 대신할 수도 있다.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각각 제1 지지부(460) 및 중간 지지부(47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지지부(460) 및 중간 지지부(470)에 대한 고정 및 해제를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제1 지지부(460) 및 중간 지지부(470)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레버 형태로서 한번 누르면 고정, 한번 더 누르면 해제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돌출부 형태로서 돌출부를 밀어넣으면 고정, 돌출부를 인출하면 해제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하우징(401)의 벽에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 예로서 하우징(401)의 외부에 적어도 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노출된 영역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500)는 제1 탄성부(510), 제2 탄성부(520), 제1 지지부(560), 제2 지지부(550) 및 중간 지지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51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5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도 14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5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장 시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510)는 단부, 연결부 및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의 폭을 상이하게 하여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의 폭에 대응하는 내측 공간을 갖는 하우징(미도시)의 내에 구동력 전달 구조체(5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탄성부(520)는 탄성을 갖는 구조를 갖고 예를들면 코일 형태를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5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도 8의 D1, D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탄성부(5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축 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는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의 사이에 연결 부재, 체결 부재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는 별도로 제조후 접합한 것이 아닌 일체로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력 전달 구조체(500)는 하나의 스프링 형태로서, 인장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을 모두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지지부(560)는 제1 탄성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60)는 제1 탄성부(51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510)에 힘이 가해질 때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560)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부(56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지지부(560)는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50) 제2 탄성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520)에 힘이 가해질 때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550)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제2 지지부(550)의 운동을 통하여 제2 지지부(550)는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570)는 제1 탄성부(510)와 제2 탄성부(520)의 연결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지지부(570)는 제1 탄성부(510)의 영역 중 제2 탄성부(520)와 연결되는 영역 및 제2 탄성부(520)의 영역 중 제1 탄성부(510)와 연결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지지부(570)는 제1 탄성부(510) 및 제2 탄성부(520)를 지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지부(570)의 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510) 또는 제2 탄성부(520)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힘이 가해진 후에 중간 지지부(570)에 고정점이 선택적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중간 지지부(570)의 운동 및 고정점을 통하여 제1 지지부(560)가 D1 또는 D2로의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고정점(ST1)을 제1 지지부(560)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후, 즉 제1 지지부(5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제1 탄성부(510)를 인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지지부(570)의 운동을 통하여 중간 지지부(570)가 D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지지부(570)에 연결된 제1 탄성부(510)는 D2방향으로 인장되어 인장 상태의 제1 탄성부(510')로 도시되어 있고, 중간 지지부(570)에 연결된 제2 탄성부(520)는 D2방향으로 압축되어 압축 상태의 제2 탄성부(520')로 도시되어 있다.
중간 지지부(570)의 D2 방향으로의 운동 시, 제2 고정점(ST2)이 제2 지지부(550)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후, 즉 제2 지지부(550)를 고정한 후에 중간 지지부(570)가 D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탄성부(520)가 압축되어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52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중간 지지부(570)에 고정점(미도시)이 대응될 수도 있다.
제1 고정점(ST1) 및 제2 고정점(ST2)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제1 지지부(560) 및 제2 지지부(55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7을 참조하면 인장된 상태의 제1 탄성부(510')에 인가된 인장력을 제거 또는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520')에 인가된 압축력을 제거 시, 예를들면 중간 지지부(570)의 고정을 해제하여 제1 탄성부(510')가 전방 반동 운동 (화살표 F 방향의 운동) 또는 제2 탄성부(520')가 전방 반동 운동을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탄성부(510')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되어 원래 상태의 제1 탄성부(510)가 도시되어 있고, 중간 지지부(570)도 도면상의 D1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제2 고정점(ST2)은 유지하고, 제2 지지부(550)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부(510) 및 제2 탄성부(520)의 전방 반동 운동(화살표 F 방향의 운동)으로 인하여 D1 방향으로의 힘이 제1 지지부(560)에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힘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부(560)에 연결되는 구동 부재(미도시)에 이러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탄성부(510) 및 제2 탄성부(520)의 전방 반동 운동(화살표 F 방향의 운동)으로 인하여 D1 방향으로의 힘이 제1 지지부(560)에 전달될 때, 제1 고정점(ST1)을 해제하거나, 제1 탄성부(510) 및 제2 탄성부(520)의 전방 반동 운동(화살표 F 방향의 운동)으로 인하여 D1 방향으로의 힘이 제1 고정점(ST1)을 해제할 수 있을 정도로 클 경우 제1 지지부(560)는 D1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부(560)가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과 다르게 제2 고정점(ST2)을 해제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2 고정점(ST2)을 해제하여 압축된 상태의 제2 탄성부(520')에 압축력을 제거 시, 제2 탄성부(520')가 후방 반동 운동(화살표 R 방향의 운동)을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탄성부(520')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되어 원래 상태의 제2 탄성부(520)가 도시되어 있고, 그에 따라 후방 반동 운동, 도면상의 D2 방향으로의 운동을 통하여 제2 지지부(550)가 이동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중간 지지부(570)에는 제3 고정점(SD3)이 대응되어 중간 지지부(57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후방 반동 운동(R방향으로의 운동) 및 전방 반동 운동(F방향으로의 운동)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운동하는 부재인 제1 지지부(560)의 운동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전방" 및 "후방"을 상호 교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는 적어도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제1 탄성부는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고, 제2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가 제2 탄성부와 연결된 형태로서, 제1 탄성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 제2 탄성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 및 그 사이의 중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의 이동을 통하여 제1 탄성부에 인장력을 가하고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지지부 및 중간 지지부에 대응되는 고정점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중간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운동하도록 하고, 예를들면 제1 지지부가 후방 반동 운동 및 전방 반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 즉 D1 또는 D2 방향으로의 다양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다양한 기계적 운동 부재, 특히 구동이 필요한 구동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후방 반동을 통한 1차 발사, 전방 반동을 통한 2차 발사 등의 운동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구동력 전달 구조체
110, 210, 310, 410, 510: 제1 탄성부
120, 220, 320, 420, 520: 제2 탄성부
ST, ST1, ST2: 고정점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인장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압축 스프링 형태를 포함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대한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일 방향 및 그와 반대의 일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 탄성부가 인장시에 상기 제2 탄성부는 압축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힘을 가할 때, 상기 제1 탄성부, 상기 제2 탄성부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의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점을 더 포함하는 구동력 전달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에 힘을 가한 후, 상기 힘을 제거 시 상기 고정점의 유지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탄성부가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중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의 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탄성부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상기 제2 탄성부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력 전달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탄성부의 영역 중 상기 제2 탄성부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거나 상기 제1 탄성부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
  7.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탄성부의 영역 중 상기 제1 탄성부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탄성부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거나 상기 제2 탄성부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구동력 전달 구조체.
KR1020180038742A 2018-04-03 2018-04-03 구동력 전달 구조체 KR10213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42A KR102134468B1 (ko) 2018-04-03 2018-04-03 구동력 전달 구조체
PCT/KR2019/003915 WO2019194559A1 (ko) 2018-04-03 2019-04-03 구동력 전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절단 생검기구
KR1020200084091A KR102416555B1 (ko) 2018-04-03 2020-07-08 구동력 전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42A KR102134468B1 (ko) 2018-04-03 2018-04-03 구동력 전달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91A Division KR102416555B1 (ko) 2018-04-03 2020-07-08 구동력 전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18A true KR20190115718A (ko) 2019-10-14
KR102134468B1 KR102134468B1 (ko) 2020-07-16

Family

ID=6817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42A KR102134468B1 (ko) 2018-04-03 2018-04-03 구동력 전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06A (ko) * 2019-11-22 2022-02-07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457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인장스프링
KR19980041460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인장스프링
JP2016133512A (ja) * 2015-01-20 2016-07-25 晉禾企業股▲ふん▼有限公司 自己前置引張したフルスプリングを被覆する光ファイバ感知スプリング構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457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인장스프링
KR19980041460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인장스프링
JP2016133512A (ja) * 2015-01-20 2016-07-25 晉禾企業股▲ふん▼有限公司 自己前置引張したフルスプリングを被覆する光ファイバ感知スプリング構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06A (ko) * 2019-11-22 2022-02-07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468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728B2 (en) Treatment-tool driving device
EP2628435B1 (en) Insertion apparatus
US8276957B2 (en) Robot hand and finger mechanism
CN107342703B (zh) 马达和包括马达的电子设备
CN104065298A (zh) 线性超声波马达及包括该线性超声波马达的光学设备
JP6238681B2 (ja) 2個のロングストロークジョーを具えるクランプ
KR20190115718A (ko) 구동력 전달 구조체
JP2014172116A (ja) ロボットハンド用の把持部材、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ハンド用の把持部材の製造方法及びロボット装置
KR102416555B1 (ko) 구동력 전달 구조체
JP2009017614A5 (ko)
CN106471439A (zh) 用于增强的触觉效果的复杂质量轨迹
JP5547971B2 (ja) 外科器具
US20180287513A1 (en) Vibration wave motor and imaging device having vibration wave motor
CN213226245U (zh) 缓冲式夹爪机构
KR20190028958A (ko) 강성 조절이 가능한 조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시경 장치
WO2021234930A1 (ja) 術具退避機構
CN209373229U (zh) 压电式及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装置及电子设备
JP7207949B2 (ja) 振動波モータ及び振動波モータを備えた駆動装置
JP2019002411A (ja) ベルト取付用の治具、および、ベルト取付用の治具を含むベルト取付装置
JP2021065411A (ja) ワイヤ送出装置
KR101866349B1 (ko) 대상물 홀딩 시스템
KR101776818B1 (ko) 리스트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핸드 어셈블리
JP2019039997A (ja) 振動波モータおよび駆動装置
KR102576537B1 (ko) 텐던-쉬스 구동 장치
KR102314168B1 (ko) 텐던-쉬스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