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838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838A
KR20190114838A KR1020190035187A KR20190035187A KR20190114838A KR 20190114838 A KR20190114838 A KR 20190114838A KR 1020190035187 A KR1020190035187 A KR 1020190035187A KR 20190035187 A KR20190035187 A KR 20190035187A KR 20190114838 A KR20190114838 A KR 2019011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astening
housing
recess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004B1 (ko
Inventor
타쿠로 야마시타
신지 츠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9011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스크롤형 압축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수용된 압축 기구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환 형상의 격벽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를 갖는다. 격벽은, 둘레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체결부를 갖는다. 압축 기구는, 고정 스크롤 부재와 선회 스크롤 부재를 갖는다. 고정 스크롤 부재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벽과, 고정 소용돌이벽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갖는다. 외주벽은, 체결부와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지름 방향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는 오목부 형성 부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49572호에는, 고정 스크롤 부재 및 선회 스크롤 부재를 구비하는 스크롤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 및 선회 스크롤 부재는, 모두, 소용돌이 형상의 벽을 갖는다. 압축기는, 이 2개의 소용돌이 형상의 벽이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 부재가 공전 운동함으로써, 소용돌이 형상의 2개의 벽의 사이에 있어서 유체가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부재 및 선회 스크롤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은, 서로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압축 기구 하우징 블록 및 전동 모터 하우징 블록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 부재인 볼트가, 압축 기구 하우징 블록이 갖는 볼트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태로, 전동 모터 하우징 블록이 갖는 나사 구멍에 나사 맞춤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49572호
볼트 통과 구멍을 갖는 체결부를 하우징 내의 공간으로 돌출시키는 것은, 스크롤형 압축기의 소형화에 공헌한다. 그러나, 고정 스크롤 부재의 외주벽과,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의 사이가 좁아지면, 하우징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압축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 기구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환(環) 형상의 격벽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체결부로서, 둘레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체결부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압축 기구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 고정 스크롤 부재와, 상기 공간에 수용된 선회 스크롤 부재를 갖는다.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는,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와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벽과, 상기 고정 소용돌이벽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갖는다. 상기 외주벽은, 지름 방향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는 오목부 형성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주벽 중, 상기 체결부와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도 1은 도 2에 나타내는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크롤형 압축기가 구비하는 고정 스크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크롤형 압축기가 구비하는 고정 스크롤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스크롤형 압축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맨 처음에, 스크롤형 압축기(1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10)는, 차량(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어, 차량 탑재 공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이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간단히 「압축기」라고 나타내는 경우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의미한다. 압축기(10)가 압축하는 대상의 유체는, 예를 들면 냉매이다. 냉매에는, 오일이 포함된다.
압축기(10)는, 하우징(11)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중공의(hollow)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하우징(11)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a)와,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1b)를 갖는다.
압축기(10)는, 압축 기구(20)와, 전동 모터(30)를 구비한다. 압축 기구(20)는, 흡입구(11a)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구(11b)로부터 토출한다. 전동 모터(30)는, 압축 기구(2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의 일 예이다. 압축 기구(20) 및 전동 모터(30)는, 하우징(11)에 수용되어 있다.
압축 기구(20)는, 고정 소용돌이벽(24)을 갖는 고정 스크롤 부재(21)와, 선회 소용돌이벽(27)을 갖는 선회 스크롤 부재(25)를 구비한다. 압축 기구(20)는, 고정 소용돌이벽(24)과 선회 소용돌이벽(27)이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 부재(25)가 공전 운동함으로써, 고정 소용돌이벽(24)과 선회 소용돌이벽(27)의 사이에 있어서 유체가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 기구(20)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재(extending)하는 선회 소용돌이벽(27)의 중심선(M)을 따르는 방향이 축방향(A)이다. 압축기(10) 또는 그의 각 구성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축방향(A)을 따르는 한쪽의 측(도 1의 좌측)이 제1 측(A1)이고, 축방향(A)을 따르는 다른 한쪽의 측(도 1의 우측)이 제2 측(A2)이다. 중심선(M)과 직교하는 방향은 지름 방향(D)이다. 압축기(10) 및 그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 제1 측(A1)에 있어서의 단을 제1 단, 제2 측(A2)에 있어서의 단을 제2 단이라고 한다.
이하, 압축기(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1)은, 제2 단이 폐색된 환 형상의 제1 하우징 부재(40)와, 원형판 형상의 제2 하우징 부재(50)와, 제1 단이 폐색된 환 형상의 제3 하우징 부재(60)를 갖는다. 제1 하우징 부재(40)와 제3 하우징 부재(60)는, 각각의 개구단이 제2 하우징 부재(50)의 양면에 각각 붙어 합쳐진 상태로, 체결 부재인 복수의 볼트(12)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재(40)는, 축방향(A)과 교차하는 원형판 형상의 제1 단판(41)과, 제1 단판(41)의 주연부로부터 제1 측(A1)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주벽(周壁; 42)을 갖는다. 제1 주벽(42)은, 환 형상의 격벽의 일 예이다. 제1 하우징 부재(40)는, 오일 세퍼레이터(43)를 갖는다. 오일 세퍼레이터(43)는, 제1 단판(41)의 제2 측(A2)에 있는 외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1 하우징 부재(40)의 폐색된 제2 단과 제1 단판(4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단판(41)은, 제1 단판(41)을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토출 통로(41b)를 갖는다. 제1 단판(41)보다도 제1 측(A1)에 위치하는 공간과, 오일 세퍼레이터(43)의 내부의 공간은, 토출 통로(41b)를 통해, 서로 연통(communication)하고 있다. 토출구(11b)는, 오일 세퍼레이터(43)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벽(42)은, 제1 측(A1)에 위치하는 제1 단면(42a)과, 제1 단면(42a)에 연결되는 내주면(42b)을 갖는다. 제1 주벽(42)은, 지름 방향(D)의 길이 치수로서 제1 두께를 갖는 복수의 후육부(45)와, 지름 방향(D)의 길이 치수로서 제1 두께보다도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복수의 박육부(46)를 갖는다. 즉, 후육부(45)는, 둘레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후육부(45)는, 제1 후육부(45a), 제2 후육부(45b), 제3 후육부(45c), 제4 후육부(45d), 제5 후육부(45e) 및 제6 후육부(45f)를 포함한다. 제1에서 제6까지의 후육부(45a∼45f)는, 제1 측(A1)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시계 회전 방향으로 이 순서로, 제1 주벽(4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1 후육부(45a)와 제4 후육부(45d)는,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2 후육부(45b)와 제5 후육부(45e)는,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3 후육부(45c)와 제6 후육부(45f)는,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1 주벽(42)의 내주면(42b)은,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후육부(45)의 사이에 있는 박육부(46)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후육부(45)에 있어서 지름 방향(D)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주벽(42)의 외주면은,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후육부(45)의 사이에 있는 박육부(46)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후육부(45)에 있어서 지름 방향(D)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후육부(45)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내주면(42b)의 돌출 길이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의 외주면의 돌출 길이보다도 길다.
제1 하우징 부재(40)는, 각 후육부(45)를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볼트 통과 구멍(47)을 갖는다. 제1 하우징 부재(40)는, 6개의 후육부(45)에 대응하는 6개의 볼트 통과 구멍(47)을 갖는다. 각 볼트 통과 구멍(47)에는, 볼트(12)의 축이 삽입 통과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재(50)는, 제1 하우징 부재(40)와 제3 하우징 부재(60)의 사이에 끼여 있다. 제2 하우징 부재(50)는, 원환판 형상의 격벽(51)과, 격벽(51)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내주연으로부터 제1 측(A1)으로 돌출되는 지지부(52)를 갖는다. 지지부(52)는, 원판 형상의 돌출단과, 돌출단과 격벽(51)의 사이로 연장되는 연설벽(延設壁)을 갖는다. 지지부(52)는, 돌출단의 중심을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축공(53)을 갖는다. 제2 하우징 부재(50)는 자전 규제부(57)를 갖는다. 자전 규제부(57)는,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공전 운동을 허용하면서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자전을 규제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51)은, 제2 측(A2)에 위치하는 단면인 제1 격벽면(51a)과, 제1 측(A1)에 위치하는 단면인 제2 격벽면(51b)을 갖는다. 제2 하우징 부재(50)는, 격벽(51)의 주연부를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 통과 구멍(55)을 갖는다. 제2 하우징 부재(50)는, 볼트 통과 구멍(47)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볼트 통과 구멍(55)을 갖는다. 볼트 통과 구멍(55)은, 격벽(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격벽(51)은, 그의 주연부를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흡입 통로(56)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격벽(51)은, 복수의 흡입 통로(56)를 갖는다. 흡입 통로(56)는,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볼트 통과 구멍(55)의 사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長孔)이다. 격벽(51)을 사이에 두고 축방향(A)으로 나열되는 2개의 공간은, 흡입 통로(56)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부재(60)는, 축방향(A)과 교차하는 원형판 형상의 제2 단판(61)과, 제2 단판(61)의 주연부로부터 제2 측(A2)으로 연장되는 제2 주벽(62)을 갖는다. 제2 주벽(62)은, 제2 측(A2)에 위치하는 제2 단면(62a)을 갖는다. 제2 주벽(62)은, 흡입구(11a)를 갖는다.
제2 주벽(62)은, 볼트(12)가 나사 맞춤되는 나사 구멍인 볼트 구멍(66)을 갖는다. 볼트 구멍(66)은, 제2 주벽(62)의 제2 단면(62a)에 개구되고, 축방향(A)으로 연장된다. 제3 하우징 부재(60)는, 볼트 통과 구멍(47)의 수와 동일한 수의 볼트 구멍(66)을 갖는다. 볼트 구멍(66)은, 제2 주벽(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에 있어서, 볼트(12)는, 제1 하우징 부재(40)의 볼트 통과 구멍(47) 및 제2 하우징 부재(50)의 볼트 통과 구멍(55)에 삽입 통과된 상태로, 제3 하우징 부재(60)의 볼트 구멍(66)에 나사 맞춤되어 있다. 전술과 같이, 제1 하우징 부재(40) 및 제3 하우징 부재(60)는, 사이에 제2 하우징 부재(50)를 끼워 넣은 상태로, 6개의 볼트(12)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부재(40)의 제1 단면(42a)은, 제2 하우징 부재(50)의 제1 격벽면(51a)에 맞닿는다. 제3 하우징 부재(60)의 제2 단면(62a)은, 제2 하우징 부재(50)의 제2 격벽면(51b)에 맞닿는다. 본 실시 형태의 후육부(45)는, 볼트(12)가 삽입 통과됨과 함께 둘레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체결부에 상당한다.
제1 하우징 부재(40) 및 제2 하우징 부재(50)는, 하우징(11) 내에 제1 수용 공간(70)을 구획하고 있다. 제1 수용 공간(70)에는, 압축 기구(20)가 수용되어 있다. 즉, 제1 수용 공간(70)은, 압축 기구(20)의 수용실이다.
제2 하우징 부재(50) 및 제3 하우징 부재(60)는, 하우징(11) 내에 제2 수용 공간(75)을 구획하고 있다. 제2 수용 공간(75)에는, 전동 모터(30)가 수용되어 있다. 즉, 제2 수용 공간(75)은, 전동 모터(30)의 수용실이다.
전동 모터(30)는, 회전축(31)과, 로터(32)와, 스테이터(33)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축(31)의 축선 방향은, 축방향(A)과 일치하고, 회전축(31)의 지름 방향은, 지름 방향(D)과 일치한다. 회전축(31)은, 제1 레이디얼 베어링(34)과 제2 레이디얼 베어링(35)에 의해, 제2 수용 공간(75)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레이디얼 베어링(34)은, 제3 하우징 부재(60)의 제2 단판(6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레이디얼 베어링(34)은, 회전축(31)의 제1 단부(31a)를 지지한다. 제2 레이디얼 베어링(35)은, 제2 하우징 부재(50)에 형성된 축공(53)을 둘러싸도록, 지지부(52)의 돌출단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레이디얼 베어링(35)은, 회전축(31)의 제2 단부(31b)를 지지한다. 회전축(31)의 제2 단부(31b)는, 축공(53)을 관통하여, 제1 수용 공간(70)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31)은, 제2 단부(31b)로부터 제2 측(A2)으로 연장되는 편심축(36)을 갖는다. 편심축(36)은, 회전축(31)의 축선으로부터 지름 방향(D)으로 어긋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즉, 편심축(36)은, 회전축(31)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로터(32)는, 회전축(31)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32)는, 회전축(31)과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스테이터(33)는, 로터(32)를 지름 방향(D)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제3 하우징 부재(6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33)는, 로터(32)와 지름 방향(D)에 있어서 대향하는 스테이터 코어(33a)와, 스테이터 코어(33a)에 권회된 코일(33b)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기구(20)는, 고정 스크롤 부재(21)와, 선회 스크롤 부재(25)를 갖는다. 고정 스크롤 부재(21) 및 선회 스크롤 부재(25)는 제1 수용 공간(70)에 수용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제1 하우징 부재(40)에 고정되어 있다. 선회 스크롤 부재(25)는, 고정 스크롤 부재(21)에 대하여 공전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회전축(31)의 축선 상에 배치된 원형판 형상의 고정 기판(22)과, 고정 기판(22)의 주연부로부터 제1 측(A1)으로 연장되는 외주벽(23)과, 고정 기판(22)으로부터 제1 측(A1)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벽(24)을 갖는다. 외주벽(23)은, 고정 소용돌이벽(24)을 지름 방향(D)에 있어서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고정 소용돌이벽(24)은, 고정 기판(22)의 외주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된다.
고정 기판(22)은, 고정 기판(22)을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토출 포트(22a)를 갖는다. 예를 들면, 토출 포트(22a)는, 고정 기판(22)의 중앙에 위치한다. 고정 기판(22)은, 복수의 토출 포트를 가져도 좋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토출 포트(22a)를 덮는 토출 밸브(28)를 갖는다. 토출 밸브(28)는, 고정 스크롤 부재(21) 중, 고정 기판(22)의 제2 측(A2)에 있어서의 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토출 밸브(28)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 기판(22)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부재(25)는, 회전축(31)의 축선 상에 배치된 원형판 형상의 선회 기판(26)과, 선회 기판(26)으로부터 제2 측(A2)으로 연장되는 선회 소용돌이벽(27)을 갖는다. 선회 기판(26)은,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고정 기판(22)과 대향한다. 선회 소용돌이벽(27)은, 선회 기판(26)의 외주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된다. 선회 스크롤 부재(25)는, 선회 기판(26) 및 선회 소용돌이벽(27)을 축방향(A)으로 관통하는 배압 조정 구멍(29)을 갖는다.
고정 소용돌이벽(24)과 선회 소용돌이벽(27)은, 서로 맞물려 있다. 선회 소용돌이벽(27)의 선단면(27a)은,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고정 기판(22)에 접촉 또는 대향하고 있다. 고정 소용돌이벽(24)의 선단면(24a)은,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선회 기판(26)에 접촉 또는 대향하고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고정 기판(22) 및 고정 소용돌이벽(24)과,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선회 기판(26) 및 선회 소용돌이벽(27)에 의해, 압축실(S1)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 하우징 부재(40)의 제1 단판(41)과,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고정 기판(22)에 의해, 토출실(S2)이 구획되어 있다. 압축실(S1)은, 토출 포트(22a)를 통해 토출실(S2)과 연통하고 있다. 토출실(S2)은, 토출 통로(41b)를 통해 오일 세퍼레이터(43)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선회 기판(26)과, 제2 하우징 부재(50)는, 하우징(11) 내에 배압실(背壓室; S3)을 구획하고 있다. 배압실(S3)은,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선회 기판(26)을 사이에 두고 고정 기판(22)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배압실(S3)에는, 배압 조정 구멍(29)이 개구되어 있고, 당해 배압 조정 구멍(29)을 통해, 선회 스크롤 부재(25)를 고정 기판(22)을 향하여 압압하는 유체가 도입된다.
배압실(S3)에는, 회전축(31)의 제2 단부(31b) 및 편심축(36)과, 제2 레이디얼 베어링(35) 외에, 부시(37)와, 베어링(38)이 설치되어 있다. 부시(37)는, 편심축(36)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38)은, 선회 스크롤 부재(25)의 선회 기판(26) 중, 제1 측(A1)에 있어서의 단면에 고정되어 있다. 부시(37)는, 베어링(38)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부재(40)의 제1 단판(41) 및 제1 주벽(42)과,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외주벽(23)과, 제2 하우징 부재(50)는, 하우징(11) 내에 도입실(S4)을 구획하고 있다. 제2 수용 공간(75)은, 제2 하우징 부재(50)의 흡입 통로(56)를 통해 도입실(S4)과 연통하고 있다.
이하,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외주벽(23)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실(S4)은, 축방향(A)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40)의 제1 단판(41)과, 제2 하우징 부재(50)의 격벽(5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또한, 도입실(S4)은,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40)의 제1 주벽(42)과,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외주벽(2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즉, 도입실(S4)은,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외주벽(23)을 둘러싸는 공간이다.
제1 주벽(42)의 내주면(42b)은, 제1 주벽(42) 중 박육부(46)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후육부(45)에 있어서, 지름 방향(D)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즉, 후육부(45)는,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외주벽(23)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입실(S4)은, 당해 도입실(S4)로 돌출되는 복수의 후육부(45)에 의해 복수의 도입 분실(導入分室; S5)로 구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도입실(S4)은, 제1에서 제6까지의 후육부(45a∼45f)에 의해,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로 구분되어 있다.
도 2에 이점쇄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의 각각에는, 제2 하우징 부재(50)에 형성된 흡입 통로(56)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후육부(45)를 사이에 두고 제1 주벽(42)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도입 분실(S5)은, 접속 공간(S6)을 통해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 중,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제1 후육부(45a)와 대향하는 부분과, 제4 후육부(45d)와 대향하는 부분에, 지름 방향(D)의 내측으로 패인 제1 오목부(81)를 갖는다. 각 제1 오목부(81)는, 외주벽(23)의 제1 측(A1)에 있어서의 단(선단)에서 제2 측(A2)에 있어서의 단(기단)까지 연재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81)는, 대향하는 후육부(45)를 따라 만곡되어 있다. 각 제1 오목부(81)에 있어서, 외주벽(23)의 외주면(23a)과, 제1 주벽(42)의 내주면(42b)의 거리를 제1 거리라고 한다.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 중,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제2 후육부(45b)와 대향하는 부분과, 제3 후육부(45c)와 대향하는 부분과, 제5 후육부(45e)와 대향하는 부분과, 제6 후육부(45f)와 대향하는 부분에, 지름 방향(D)의 내측으로 패인 제2 오목부(82)를 갖는다. 즉, 제2 오목부(82)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에 있어서, 후육부(45)와 대향하는 6개의 부분 중, 4개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오목부(82)는, 외주벽(23)의 제1 측(A1)의 단(선단)에서 제2 측(A2)의 단(기단)까지 연재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2 오목부(82)는, 외주벽(23)의 제2 측(A2)에 위치하는 기단측 오목부(82a)와, 외주벽(23)의 제1 측(A1)에 위치하는 선단측 오목부(82b)를 갖는다. 기단측 오목부(82a)는, 당해 기단측 오목부(82a)가 대향하는 후육부(45)를 따라 만곡되어 있다. 각 기단측 오목부(82a)에 있어서, 외주벽(23)의 외주면(23a)과, 제1 주벽(42)의 내주면(42b)의 거리를 제2 거리라고 한다.
선단측 오목부(82b)는, 당해 선단측 오목부(82b)가 대향하는 후육부(45)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만곡되어 있어, 후육부(45)의 외형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각 선단측 오목부(82b)에 있어서, 외주벽(23)의 외주면(23a)과, 제1 주벽(42)의 내주면(42b)의 거리를 제3 거리라고 한다.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동일하고, 제3 거리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보다도 길다. 즉, 선단측 오목부(82b)는, 제1 오목부(81) 및 기단측 오목부(82a)보다도, 지름 방향(D)의 내측으로 패여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2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82b)의 길이는, 기단측 오목부(82a)보다도 길다. 외주벽(2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 오목부(82b)의 길이는, 후육부(45) 중 도입실(S4)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길다. 또한, 선단측 오목부(82b)의 축방향(A)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단측 오목부(82a)의 축방향(A)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다.
따라서, 접속 공간(S6) 중, 제2 오목부(82)와 후육부(45)의 사이는, 제1 오목부(81)와 후육부(45)의 사이보다도, 넓다. 즉, 접속 공간(S6) 중, 제1 오목부(81)와 후육부(45)의 사이는, 다른 접속 공간(S6)보다도 좁다.
제2 오목부(8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도입 분실, 즉, 제1 도입 분실(S5a)과 제2 도입 분실(S5b), 제2 도입 분실(S5b)과 제3 도입 분실(S5c), 제4 도입 분실(S5d)과 제5 도입 분실(S5e) 및, 제5 도입 분실(S5e)과 제6 도입 분실(S5f)은, 각각, 제2 오목부(82)가 형성하는 접속 공간(S6)을 통해 상호 연통하고 있다. 제1 오목부(8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도입 분실, 즉, 제3 도입 분실(S5c)과 제4 도입 분실(S5d) 및, 제6 도입 분실(S5f)과 제1 도입 분실(S5a)은, 각각, 제1 오목부(81)가 형성하는 접속 공간(S6)을 통해 상호 연통한다.
외주벽(23)은 연통로인 도입 통로(85)를 복수 갖고, 당해 외주벽(23)의 외주측에 있는 도입실(S4)은, 이들 도입 통로(85)를 통해, 당해 외주벽(23)의 내주측에 있는 압축실(S1)과 연통하고 있다. 각 도입 통로(85)는, 대응하는 제2 오목부(8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즉, 각 도입 통로(85)는, 대응하는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외주벽(23)의 외주면(23a)에 있어서, 후육부(45)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는, 도입 통로(85)가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입실(S4)은, 압축실(S1)에 있어서의 최외주 부분과 연통하고 있다.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도입 분실(S5a)과 제2 도입 분실(S5b)의 사이, 제2 도입 분실(S5b)과 제3 도입 분실(S5c)의 사이, 제4 도입 분실(S5d)과 제5 도입 분실(S5e)의 사이 및, 제5 도입 분실(S5e)과 제6 도입 분실(S5f)의 사이에는, 도입 통로(85)가 배치된다. 이들 도입 통로(85)는, 축방향(A)과 직교하는 하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복수의 도입 통로(85)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후육부(45e)와 대향하는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은, 제2 후육부(45b), 제3 후육부(45c), 또는 제6 후육부(45f)와 대향하는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다. 즉, 제5 후육부(45e)를 항하여 개구되는 도입 통로(85)는, 제2 후육부(45b), 제3 후육부(45c), 또는 제6 후육부(45f)를 향하여 개구되는 도입 통로(85)보다도 좁다.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고정 소용돌이벽(24)은, 제4 후육부(45d)의 지름 방향 내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제1 측(A1)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고정 기판(22)의 지름 방향(D)의 중심을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고 있다. 즉, 외주벽(23) 중 제4 후육부(45d)와 대향하는 부분의, 바로 내주측에는, 고정 소용돌이벽(24)이 있다.
외주벽(23) 중 제5 후육부(45e)와 대향하는 부분의, 바로 내주측에는, 압축실(S1)이 되는 공간(S1a)이 존재한다. 공간(S1a)은, 고정 소용돌이벽(24)이 지름 방향(D)에 있어서 외주벽(23)으로부터 이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공간(S1a)은, 외주벽(23) 중 제6 및 제1에서 제3까지의 후육부(45f, 45a∼45c)와 대향하는 부분의, 바로 내주측에 있는 공간(S1b)보다도 좁다.
따라서, 공간(S1a)에 연통하는 도입 통로(85)는, 공간(S1b)에 연통하는 도입 통로(85)보다도 개구 면적이 작고, 또한 좁다. 즉, 고정 소용돌이벽(24)까지의 거리가 긴 외주벽(23)의 부분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은, 고정 소용돌이벽(24)까지의 거리가 짧은 외주벽(23)의 부분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축기(10)에 있어서, 회전축(31)이 회전하면, 그의 구동력이 편심축(36) 및 부시(37)를 통하여 선회 스크롤 부재(25)에 전달되고, 선회 스크롤 부재(25)가 공전 운동한다. 즉, 선회 스크롤 부재(25)는, 회전축(31)의 축선의 주위로 공전한다. 이에 따라, 압축실(S1)의 용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압축실(S1)에 흡입된 유체가 압축된다.
즉, 압축실(S1) 내의 유체는, 압축되면서, 고정 소용돌이벽(24) 및 선회 소용돌이벽(27)의 외주측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보내진다. 이때, 유체의 압력은, 선회 소용돌이벽(27)의 지름 방향(D)의 외측보다도 지름 방향(D)의 내측의 쪽이, 높아지기 쉽다. 그리고, 압축된 유체는, 토출 포트(22a)로부터 토출실(S2)로 토출된다. 토출실(S2)의 유체는, 오일 세퍼레이터(43)에 유입된 후, 토출구(11b)를 통하여 토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11a)로부터 흡입되어, 제1 수용 공간(70)에 유입된 유체는, 복수의 흡입 통로(56)를 통과하여,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에 유입된다. 도 4에 있어서 화살표(F)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에 유입된 유체는, 제2 오목부(82)와 후육부(45)의 사이에 있는 접속 공간(S6)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 오목부(82)에 형성된 도입 통로(85)에 유입되고, 압축실(S1)에 도입된다.
예를 들면, 제1 도입 분실(S5a)에 유입된 유체 및, 제2 도입 분실(S5b)에 유입된 유체는, 제2 후육부(45b)와 제2 오목부(82)의 사이에 있는 접속 공간(S6)에 유입되고,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에 유입된다. 제2 도입 분실(S5b)에 유입된 유체 및, 제3 도입 분실(S5c)에 유입된 유체는, 제3 후육부(45c)와 제2 오목부(82)의 사이에 있는 접속 공간(S6)에 유입되고,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에 유입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10)에 있어서, 후육부(45)는, 제1 수용 공간(70)에 있어서 지름 방향(D)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에 따라, 후육부(45)의 전체를 하우징(11)의 지름 방향(D)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압축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반면, 후육부(45)가 지름 방향(D)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분만큼, 도입실(S4) 중, 제1 주벽(42)과 외주벽(23)의 사이가 좁아진다. 그 결과,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의 상호 간에 있어서, 유체의 유통이 곤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10)에서는, 외주벽(23)의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이, 지름 방향(D)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패인 제2 오목부(82)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의 상호 간에 있어서, 유체의 유통이 용이하게 된다.
압축기(10)에서는, 전동 모터(30)의 정지 중에 유체의 온도가 저하하면, 유체가 기체로부터 액체로 상(相)변화하는 것도 고려된다. 유체의 일부가 액체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체의 전부가 기체일 때에 비해, 유체의 유동 저항이 크다. 또한, 도입실(S4)에는, 오일이 체류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상황이라도,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10)에 의하면, 도입실(S4)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의 각각을, 외주벽(23)을 지름 방향(D)으로 관통하는 도입 통로(85)와 연통시키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이 가상(假想)한 구성에 의하면,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로부터, 압축실(S1)로의 유체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외주벽(23)에 다수의 도입 통로(85)가 형성되는 결과,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강성이 저하하면, 압축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고정 기판(22)이 뒤집히는 등 하여, 압축실(S1)의 기밀성이 저하하고, 그 결과로서 압축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10)에서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 중,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에 도입 통로(85)를 개구시켰다. 즉, 2개의 도입 분실(S5)에 대하여 1개의 도입 통로(85)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a∼S5f)에 대응하는 6개의 도입 통로(85)를 형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도입 통로(85)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압축기(10)에 의하면, 하우징(11)의 후육부(45)의 외방으로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압축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 부재(21)에 있어서, 외주벽(23)의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은, 지름 방향(D)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패인 제2 오목부(82)를 갖는다. 이 때문에, 후육부(45)와,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외주벽(23)의 사이에, 유체가 유통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둘레 방향에 있어서 후육부(45)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도입 분실(S5)의 사이에, 도입 통로(85)가 개구된다. 이 때문에, 유체는, 도입 통로(85)의 개구를 통해, 2개의 도입 분실(S5)로부터 고정 소용돌이벽(24) 및 선회 소용돌이벽(27)이 존재하는 공간에 유입된다. 따라서, 후육부(45)에 의해 구분되는 도입 분실(S5)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도입 통로(85)를 형성하는 구성보다도, 도입 통로(85)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강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변형에 수반하는 압축 중의 유체 누출을 막을 수 있다. 유체가 액체(예를 들면, 액 냉매)인 경우, 후육부(45)와 외주벽(23)의 사이의 좁은 접속 공간(S6)을 액체가 통과하려면 저항이 크지만, 당해 접속 공간(S6)에 도입 통로(85)가 개구되어 있으면, 적은 저항으로 압축실(S1)을 경유하면서 외부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4) 복수(6개)의 후육부(45) 중의 일부(4개)의 후육부(45)의 각각에 대하여, 제2 오목부(82)가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도입실(S4)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5) 외주벽(2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선단측 오목부(82b)의 길이는, 후육부(45) 중 도입실(S4)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길다. 이에 따라, 외주벽(23)의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접속 공간(S6)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6) 고정 소용돌이벽(24)까지의 거리가 긴 외주벽(23)의 부분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은, 고정 소용돌이벽(24)까지의 거리가 짧은 외주벽(23)의 부분에 개구되는 도입 통로(85)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다. 따라서, 도입 통로(85)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하여,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7) 복수의 도입 통로(85)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 부재(21)를 가공하여 도입 통로(8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8) 외주벽(23)의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은, 제2 오목부(82)와 도입 통로(85)의 양쪽을 갖는다. 따라서, 도입실(S4)에 있어서의 유체의 유통을 용이하게 하는 것, 압축실(S1)로의 유체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 및, 고정 스크롤 부재(21)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균형 좋게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이하의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 후육부(45)를 갖는 격벽, 즉 제1 주벽(42)을 갖는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40)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하우징 부재(50)가 제1 주벽(42)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주벽(42)을 제1 하우징 부재(40)와 제2 하우징 부재(50)로 분할하여 형성해도 좋다.
○ 하우징(11)은, 체결부인 후육부(45)의 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육부(45)의 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라도 좋고, 7 이상이라도 좋다.
○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외주벽(23) 중 후육부(45)와 대향하는 6개의 부분의 모두에 제2 오목부(82)를 가져도 좋고, 1개에서 5개까지의 임의의 수의 부분에 제2 오목부(82)를 가져도 좋다. 즉, 외주벽(23)의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은 제2 오목부(82)를 갖지 않고, 1 이상의 상기 부분은 제2 오목부(82)를 갖도록 해도 좋다.
○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외주벽(23) 중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의 모두에, 제1 오목부(81) 또는 제2 오목부(82)가 형성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스크롤 부재(21)는, 외주벽(23) 중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의 일부에 대해서는, 제1 오목부(81) 및 제2 오목부(82)를 갖지 않고, 제1 주벽(42)의 후육부(45)와 접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외주벽(23)의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복수의 부분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은 오목부를 갖지 않고, 1 이상의 상기 부분은 제2 오목부(82)를 갖도록 해도 좋다.
○ 외주벽(23) 중, 제1 후육부(45a) 또는 제4 후육부(45d)와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외주벽(23)과 후육부(45)가 접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 제2 오목부(82)가 기단측 오목부(82a)를 갖지 않고, 전체가 선단측 오목부(82b)라도 좋다. 또한, 제2 오목부(82)는, 기단측 오목부(82a) 및 선단측 오목부(82b)에 더하여, 이들 오목부(82a, 82b)와 둘레 방향의 길이 또는 지름 방향(D)의 깊이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다른 1 이상의 오목부를 가져도 좋다.
○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의 관계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상이한 거리라도 좋고, 제2 거리가 제3 거리보다 커도 좋고, 어느 거리도 동일 거리라도 좋다.
○ 복수의 도입 통로(85)는, 상호 평행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도입 통로(85)는, 지름 방향(D)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 도입 통로(85)는, 모든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지 않아도 좋다. 도입 통로(85)는, 복수의 제2 오목부(82) 중 일부인 1 이상의 제2 오목부(82)에 개구되어도 좋다.
○ 외주벽(23)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도입 분실(S5)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도입 통로(8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이면, 6개의 도입 분실(S5)에 대하여, 적어도 3개의 도입 통로(85)가 형성되면 바람직하지만, 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입 통로(85)는, 제1에서 제3까지의 도입 분실(S5a∼S5c)의 조(組) 및, 제4에서 제6까지의 도입 분실(S5d∼S5f)의 조에 대하여 1개씩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 제1 하우징 부재(40)와 제2 하우징 부재(50)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는, 볼트(1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는, 리벳이라도 좋다. 볼트 통과 구멍(47, 55)은, 지름 방향(D)의 외측에 연통하는 홈 형상의 부분이라도 좋다.
○ 제1 하우징 부재(40)와 제2 하우징 부재(50)는, 상호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오목부나 볼록부를 가져도 좋다.
○ 도입 통로(85)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 중, 후육부(45)와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되지 않아도 된다. 일부 또는 전부의 도입 통로(85)는, 외주벽(23)의 외주면(23a) 중, 후육부(45)와 대향하고 있지 않는 부분에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 하우징(11)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하우징(11)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제1 하우징 부재(40), 제2 하우징 부재(50) 및, 제3 하우징 부재(60)의 형상은, 변경해도 좋다.
○ 압축기(10)는, 구동 기구의 일 예인 전동 모터(30)를 구비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축기(10)는, 구동 기구의 일 예인 엔진에 의해 회전축(31)을 회전시켜도 좋다.
○ 압축기(10)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압축 기구(20)가 구동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압축기(10)는, 제3 하우징 부재(60)를 갖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 압축기(10)는, 차량 탑재 공조 장치에 이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기(10)는, 차량이 연료 전지 차량인 경우, 압축기(10)는 연료 전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에 이용되어도 좋다. 즉, 압축 대상의 유체는, 냉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기 등,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는, 차량에 탑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압축 기구로서,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환 형상의 격벽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체결부로서, 둘레 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체결부를 갖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압축 기구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 고정 스크롤 부재와, 상기 공간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와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 부재를 갖고,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소용돌이벽과, 상기 고정 소용돌이벽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갖고,
    상기 외주벽은, 상기 체결부와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에, 지름 방향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는 오목부 형성 부분을 구비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 부분은, 상기 외주벽의 외주측과 내주측을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갖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기 외주벽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체결부 중의 1개이고,
    상기 오목부 형성 부분은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적어도 1개의 체결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기 외주벽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체결부 중의 1개이고,
    상기 오목부 형성 부분은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적어도 2개의 체결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 형성 부분 중의 1개이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형성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오목부 형성 부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연통로 중의 1개인, 스크롤형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형성 부분에서 상기 고정 소용돌이벽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고정 소용돌이벽까지의 거리가 짧은 상기 오목부 형성 부분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의 개구 면적은, 상기 고정 소용돌이벽까지의 거리가 긴 상기 오목부 형성 부분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스크롤형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가 갖는 복수의 체결부 중의 1개이고,
    상기 외주벽의 상기 체결부와 대향하는 상기 부분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부분은 상기 오목부를 갖고 있지 않는, 스크롤형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 중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90035187A 2018-03-30 2019-03-27 스크롤형 압축기 KR102330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0074A JP6947106B2 (ja) 2018-03-30 2018-03-30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JP-P-2018-070074 201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38A true KR20190114838A (ko) 2019-10-10
KR102330004B1 KR102330004B1 (ko) 2021-11-22

Family

ID=6791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187A KR102330004B1 (ko) 2018-03-30 2019-03-27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86930B2 (ko)
JP (1) JP6947106B2 (ko)
KR (1) KR102330004B1 (ko)
CN (1) CN110319015B (ko)
DE (1) DE10201910775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46B1 (ko) 2019-01-21 2023-05-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DE102019204866A1 (de) * 2019-04-05 2020-10-0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crollverdichter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US11365733B2 (en) * 2020-02-04 2022-06-21 Hanon Systems Scroll compressor having internal fixed scroll with pillar design
DE102020206692A1 (de) 2020-02-04 2021-08-05 Hanon Systems Spiralverdichter mit innerer fester Spirale mit Säulengestaltung
JP7400600B2 (ja) * 2020-03-31 2023-1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22149824A (ja) * 2021-03-25 2022-10-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102630535B1 (ko) * 2022-03-03 202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83B1 (ko) * 2006-06-23 2007-01-24 학교법인 두원학원 자전방지기구를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
JP2012149572A (ja) 2011-01-19 2012-08-09 Valeo Japan Co Ltd 電動コンプレッサ
KR20140061254A (ko) * 2012-11-13 2014-05-2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스크롤 압축기
WO2017108572A1 (de) * 2015-12-23 2017-06-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r kältemittel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174A (ja) 1995-07-27 1997-0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4273807B2 (ja) 2003-03-31 2009-06-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N100476358C (zh) 2007-08-06 2009-04-0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mems陀螺仪的精密安装基准体组件及其安装方法
JP4992822B2 (ja) * 2008-05-16 2012-08-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5612411B2 (ja) * 2010-09-21 2014-10-2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135126B2 (ja) 2012-12-26 2017-05-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5817760B2 (ja) * 2013-03-04 2015-11-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267441B2 (ja) 2013-05-28 2018-01-24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5001175A (ja) * 2013-06-14 2015-01-05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US9856874B2 (en) 2014-09-26 2018-01-02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Holding plate for piloted scroll compressor
JP6553968B2 (ja) * 2015-07-17 2019-07-31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729158B2 (ja) * 2016-08-10 2020-07-22 三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83B1 (ko) * 2006-06-23 2007-01-24 학교법인 두원학원 자전방지기구를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
JP2012149572A (ja) 2011-01-19 2012-08-09 Valeo Japan Co Ltd 電動コンプレッサ
KR20140061254A (ko) * 2012-11-13 2014-05-2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스크롤 압축기
WO2017108572A1 (de) * 2015-12-23 2017-06-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ischer kältemittel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6930B2 (en) 2022-03-29
JP2019178674A (ja) 2019-10-17
JP6947106B2 (ja) 2021-10-13
KR102330004B1 (ko) 2021-11-22
DE102019107752B4 (de) 2023-12-07
US20190301461A1 (en) 2019-10-03
DE102019107752A1 (de) 2019-10-02
CN110319015B (zh) 2020-11-06
CN110319015A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4838A (ko) 스크롤형 압축기
US9651044B2 (en) Electric compressor
JP6178309B2 (ja) 電動圧縮機
JP5963436B2 (ja) 電動圧縮機
US11506201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intermediate pressure chamber to supply fluid to compression chambers via two supply passages and two injection ports to limit reduction in compression efficiency
JP728072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201008B1 (ko) 전동 압축기
JP5199863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US9885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19178676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WO2022137923A1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21161945A (ja) 電動圧縮機
JPWO2016111048A1 (ja) 多気筒密閉型圧縮機
US11965508B2 (en) Scroll compressor
WO2024079947A1 (ja) 両回転式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11988206B2 (en) Scroll compressor with grooves and auxiliary discharge ports
WO2020179652A1 (ja) 圧縮機
JP7143450B2 (ja) 両回転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12012959B2 (en) Scroll compressor
WO2023090081A1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5190418A (ja) 圧縮機
KR20200095995A (ko) 스크롤 압축기
JP202406088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WO2019207839A1 (ja) ポンプ装置
JP2020122451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