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702A - 전고체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고체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702A
KR20190114702A KR1020180081300A KR20180081300A KR20190114702A KR 20190114702 A KR20190114702 A KR 20190114702A KR 1020180081300 A KR1020180081300 A KR 1020180081300A KR 20180081300 A KR20180081300 A KR 20180081300A KR 20190114702 A KR20190114702 A KR 2019011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electrode
electrolyte layer
recesses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민
이영기
김광만
김주미
김주영
신동옥
이명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11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전고체 이자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의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일면(a surface)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전해질층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일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리세스들을 채울 수 있다.

Description

전고체 이차 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본 발명은 전고체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전지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에 있어 핵심이 되는 부품에 해당한다. 리튬 전지는 구성품으로서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튬 전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인 ESS(Energy Storage System), HEV(Hybrid Electrical Vehicle), EV(Electrical Vehicle), 휴대용 IT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앞으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자율 주행 기술, AI 기술의 발전함으로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센서 네트워크가 더 많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고성능 및 고안정성이 더욱더 요구될 것이다.
현재 리튬 전지에서는 유기계 액체 전해질을 고성능, 고에너지 저장장치의 구동요소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계 액체 전해질의 경우 높은 가연성, 휘발성, 및 누액으로 인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는 휴대 및 이동수단으로 이용되는 기기에서는 약점에 해당하면 개선되어야 할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고체 전지(All solid state battery)가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기존의 유기계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고 리튬 이온 전도성이 있는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여 셀을 구성할 수 있다. 현재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함께 발화 위험이 극소화된 전고체 전지를 만들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하나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의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일면(a surface)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전해질층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일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리세스들을 채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 이차 전지는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함으로써 전극과 고체전해질층 사이의 계면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고체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리세스가 형성되기 전의 전극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극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전극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 상에 고체전해질층이 형성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고체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고체 이차전지(1000)는 전극들(100,200)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들(100,200)은 양극(100) 및 음극(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100) 및 상기 음극(200)은 활물질,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은 리튬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은 양극(100)에 사용되느냐, 음극(200)에 사용되느냐에 따라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 옥사이드(LiCoO2), 리튬니켈옥사이드(LiNiO2), 리튬망간옥사이드(LiMnO4), 올리빈(LiFePO4), 이들의 혼합체, 또는 이들의 고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그라파이트, 하드카본, 소프트 카본 등의 탄소계 물질, 주석, 실리콘, 리튬티타늄옥사이드(LixTiO2), 스페닐 리튬티타늄옥사이드(Li4Ti5O12) 등의 비탄소계 물질, 리튬 금속 및 실리콘- 그라파이트복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은 전극 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은 크게 옥시나이트라이드계 고체전해질, 인산염계 고체전해질,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시나이트라이드계 고체전해질은 리튬포스포러스옥시나이트라이드(LiPON)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계 고체전해질은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ATP), 리튬알루미늄게르마늄포스페이트(LAGP) 또는 리튬실리콘티타늄포스페이트(LSTP)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가넷(Garnet) 구조의 리튬란타늄지르코늄옥사이드(LLZO),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의 리튬란타늄티타늄옥사이드(LL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은 0차원, 1차원, 2차원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은 전극 내 리튬 이동도를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LCO(Lithium Cobalt Oxide) 등이 표면에 코팅된 상태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전자 전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이 있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그라파이트, 하드/소프트 카본, 탄소 섬유, 카본 나노튜브, 선형 카본,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 블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이 있는 재료들은 0차원, 1차원, 및 2차원 등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전극을 얇은 필름 형태로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를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불소계 폴리머 바인더(일 예로 폴리비닐리덴 플로우라이드) 또는 수계 바인더(카르복시메틸 셀루소오스/ 스틸렌, 부타딘 러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고체 이차전지(1000)는 상기 양극(100) 및 상기 음극(200) 사이의 고체전해질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층(300)은 리튬 이온 전도성 특성과 전자 절연성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층(300)은 리튬염, 용매, 리튬 이온 전도성 특성을 가진 유기 고체 전해질, 리튬 이온 전도성 특성을 가진 무기고체 전해질, 혹은 이를 혼합한 유무기 고체전해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체 전해질층(300)은 제1 고체전해질층 및 제2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고체 이차전지(1000)는 차례로 음극(200), 제1 고체전해질층, 제2 고체전해질층, 양극(100)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체전해질층 및 제2 고체전해질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양극(100) 및 상기 음극(20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일면(a surface, SS) 상에서 이격되어 배열되는 리세스들(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은 상기 양극(100, 또는 상기 음극(200))의 상기 일면(SS) 상에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양극(100, 또는 상기 음극(200))의 상기 일면(SS)에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에 따른 제1 폭(△W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따른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폭(△W1) 및 상기 제2 폭(△W2)의 각각은 약 50-150㎛ 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의 각각은 상기 양극(100, 또는 상기 음극(200))의 상기 일면(SS)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깊이(△DP)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의 각각의 상기 깊이(△DP)는 약 50-150㎛ 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 각각의 깊이(△DP), 제1 폭(△W1) 및 제2 폭(△W2)은 모두 같을 수도, 또는 모두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리세스들(R)의 각각은, 상기 깊이(△DP), 상기 제1 폭(△W1), 및 상기 제2 폭(△W2)이 서로 동일한, 정육면체 형태에 대응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들(R)의 각각의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R)의 표면적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전극들(100,200)과 상기 고체전해질층(300) 사이에 리튬 이온이 이동하기 쉬울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R)의 각각은 원뿔, 삼각형 등의 형태에 대응하는 공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리세스들(R)은 상기 제1 방향(D1)에 따른 제1 거리(△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따른 제2 거리(△D2)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리(△D1) 및 상기 제2 거리(△D2)는 50-150㎛ 일 수 있다.
도 3은 리세스가 형성되기 전의 전극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리세스들(R)을 형성하기 전의 전극들(100,2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활물질,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액상에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는 집전체(미도시)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전극들(100,200)과의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전자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극(100)은 알루미늄 호일 상에, 음극(200)은 구리 호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러리를 건조시킨 후에 압력을 주어 막화 처리 하여 전극들(100,2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전극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전극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들(100,200)에 핸드 프레서 또는 프레싱 롤로 리세스들(R)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러리를 건조시킨 후에 막화처리 한 전극들(100,200) 상에 리세스들(R)을 형성하기 위한 압력이 가해 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드프레서(PM1)의 경우, 전극들(100,200)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핸드프레서(PM1)가 전극들(100,200)에 닿는 패턴 타입(PT1)의 형상에 따라서 리세스들(R)의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 프래싱 롤(PM2)의 경우, 전극들(100,200) 상면에 제1 방향(D1)을 따라서 일정한 선압(line pressure)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 프래싱 롤(PM2)이 전극들(100,200)에 닿는 패턴 타입(PT2)에 따라서 리세스들(R)의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바인더의 함량, 전극들(100,200) 각각의 두께, 양극 활물질, 음극 활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리세스들(R)을 형성할 때 필요한 에너지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전극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 및 압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세스(R)가 미세할수록 누르는 시간은 대체로 늘어날 수 있다.
도 6은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3과 비교할 때 전극들(100,200) 각각과 고체전해질 층(300)의 접촉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접촉 면적이 커질수록 리튬이온의 전달경로가 더 증가하고 리튬이온이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리튬 이온의 이동이 균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서, 전극과 고체전해질 사이의 계면의 압력이 높은 부분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계면 저항이 감소할 수 있고, 싸이클 구동에 따른 계면 저항으로 인한 전지 내 크랙(Crack) 생성의 억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리세스가 형성된 전극 상에 고체전해질층이 형성된 개념도이다.
상기 고체전해질층(300)은 상기 양극(100) 및 상기 음극(2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일면(SS) 상에 제공되어 상기 리세스들(R)을 채울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 층(300)은 직접 코팅, 이베포레이션법, 전기 스피닝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층(300)의 두께는 20-100㎛ 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층(300)의 형태에 따라 추가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층(300)은 형태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시트 고정 타입과 자유자재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습식 변형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 타입의 경우 고체전해질층(300)이 일정 두께를 가진 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세스들(R)이 형성된 전극 포면은 울퉁불퉁 하기 때문에 전극과 평평한 시트 고정타입의 고체전해질층(300)과의 접촉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전고체 전지(1000)를 구성한 후에 별도로 압력 및 열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 타입의 고체전해질 층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전극과 상기 시트 고정 타입의 고체전해질 층 사이에 리튬이온 전도완충층(Buffer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완충층은 이온전도성이 있고, 전자전도성은 없는 폴리머 계열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일 수 있다. 상기 전도완충층은 시트 고정 타입의 고체전해질층과 리세스들(R)이 형성된 전극들(100,200) 각각과 호환성을 높여 주고, 접촉 면적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습식 변형 타입의 경우 리세스들(R)이 형성된 전극들(100,200)에 고체전해질층(300)이 잘 침투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전도 완충층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전극의 리세스에 따른 전극과 고체전해질층 사이의 계면저항 변화
전체 저항 Ohm
실험예1 (양극: 리세스 없음, 음극:리세스1) 38
비교예1 (양극: 리세스 없음, 음극: 리세스 없음) 42
실험예2 (양극: 리세스 1, 음극: 리세스 1) 2
(실험예1)
상기 양극(100)을 형성하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LCO), 고체전해질로 LSTP, 도전재로 카본 블랙, 바인더로 PVdF를 이용하였다. 상기 LiCoO2(LCO), LSTP, 카본 블랙, 및 PVdF의 중량비는 85.5:12:0.5:2 이었다.
상기 음극(200)을 형성하는 음극 활물질로 Natural graphite(NG), 고체전해질로 LSTP, 도전재로 카본블랙, 바인더로 PVdF를 이용하였다. 상기 Natural graphite(NG), LSTP, 카본블랙 및 PVdF의 중량비는 85.5:12:0.5:2이었다.
전해질은 1M LiPF6 EC/EmC 1:1 (v/v)의 액체 전해액 400uL, 분리막은 PE 분리막을 이용하였다.
상기 양극(100)에는 리세스들(R)을 형성하지 않고, 음극(200)에만 리세스1들(R1)을 형성하였다. 상기 리세스1(R1)은 직육면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이다. 상기 리세스1들(R1) 각각의 제1 폭(△W1) 및, 제2 폭(△W2)은 모두 150㎛이고, 깊이(△DP)는 50㎛이다. 상기 리세스1들(R1)의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모두 150㎛이다.
상기 조건을 가진 전지의 전극과 고체전해질층 사이의 계면저항을 측정해 본 결과 38 Ohm의 값이 나왔다.
(비교예1)
실험예1과 동일한, 리세스 형성 전의 양극(100) 및 음극(200)이 제공되었다. 상기 양극(100) 및 음극(200) 에는 리세스들(R)을 형성시키지 않고 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조건을 가진 전지의 전극과 고체전해질층 사이의 계면저항을 측정해 본 결과 42 Ohm 의 저항값이 나왔다.
(실험예2)
실험예1과 동일한 리세스 형성 전의 양극(100) 및 음극(200)이 제공되었다. 상기 양극(100) 및 상기 음극(200)에는 실험예1과 같은 리세스1들(R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가진 전지의 전극과 고체전해질 층 사이의 계면저항을 측정해본 결과 2 Ohm의 저항값이 나왔다.
실험예 1 및 비교예 1을 비교해 보면 음극(200)에 리세스(R)가 형성된 경우에 양극(100) 및 음극(200) 모두 리세스(R)가 없는 경우보다 저항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를 비교해 보면 양극(100) 및 음극(200)에 리세스(R)가 모두 형성된 경우에 음극(200)에만 리세스(R)가 형성된 경우보다 저항값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전고체 이차 전지
100: 양극
200: 음극
300: 고체 전해질 층
R: 리세스
PM1: 핸드 프레서
PM2: 패턴 프레싱 롤

Claims (1)

  1.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의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일면(a surface)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리세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전해질층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일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리세스들을 채우는 전고체 이차전지.
KR1020180081300A 2018-03-29 2018-07-12 전고체 이차 전지 KR20190114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30 2018-03-29
KR20180036330 2018-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702A true KR20190114702A (ko) 2019-10-10

Family

ID=6820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00A KR20190114702A (ko) 2018-03-29 2018-07-12 전고체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7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090A (ko) * 2019-10-16 2021-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고체 전지
CN116581247A (zh) * 2023-07-12 2023-08-11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电极片及其制备方法、锂电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090A (ko) * 2019-10-16 2021-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고체 전지
US11469444B2 (en) 2019-10-16 2022-10-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ll solid battery
US11848415B2 (en) 2019-10-16 2023-12-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ll solid battery
CN116581247A (zh) * 2023-07-12 2023-08-11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电极片及其制备方法、锂电池
CN116581247B (zh) * 2023-07-12 2023-09-22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电极片及其制备方法、锂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81B1 (ko) 바이폴라 전고체 전지
KR20190017834A (ko) 축전 소자
US8900746B2 (en) Aqueous secondary battery
US11430994B2 (en) Protective coatings for lithium metal electrodes
KR20190017661A (ko) 리튬 고체 전지
KR101664244B1 (ko) 전극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이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전극 및 이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653228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の電極の製造方法
KR20190079171A (ko) 복합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N110707287A (zh) 一种金属锂负极及其制备方法和锂电池
JP2015050153A (ja) 全固体電池用積層体
KR20180036410A (ko) 전고체 전지
EP4071875A1 (en) Solid-state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related device thereof
JP2014137892A (ja) 電極、全固体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40122814A (ko) 면적이 서로 다른 전극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40020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664629B1 (ko) 바이폴라 전고체 전지의 제조방법
KR20190114702A (ko) 전고체 이차 전지
US20200343560A1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US10153097B2 (en) Electrolyte additive for hybrid supercapacitors to reduce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hybrid supercapacitor including the same
KR20170022465A (ko) 복합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20160049651A1 (en)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2178188B1 (ko) 낮은 마찰성의 펀치 헤드를 구비한 전지케이스 성형 장치
KR20150055186A (ko)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구비하는 전지
US20200220171A1 (en)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752530B1 (ko) 양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