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645A -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 Google Patents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645A
KR20190114645A KR1020180037661A KR20180037661A KR20190114645A KR 20190114645 A KR20190114645 A KR 20190114645A KR 1020180037661 A KR1020180037661 A KR 1020180037661A KR 20180037661 A KR20180037661 A KR 20180037661A KR 20190114645 A KR20190114645 A KR 2019011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ouch
cooling plate
electrode assembly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860B1 (ko
Inventor
김태일
정원석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60B1/ko
Priority to JP2019042951A priority patent/JP7347941B2/ja
Priority to EP19165178.5A priority patent/EP3550636A1/en
Priority to DE202019005993.8U priority patent/DE202019005993U1/de
Priority to US16/368,047 priority patent/US11056734B2/en
Priority to CN202211686828.8A priority patent/CN116190872A/zh
Priority to CN201910257927.6A priority patent/CN110323364B/zh
Publication of KR2019011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645A/ko
Priority to US17/337,542 priority patent/US11658358B2/en
Priority to US18/301,786 priority patent/US20230261276A1/en
Priority to KR1020230117553A priority patent/KR20230134103A/ko
Priority to JP2023144743A priority patent/JP202315812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실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은,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완벽한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냉각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우치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완벽한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냉각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모바일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적층이 쉽고 무게가 가벼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다수 개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적층시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에는, 다수의 이차 전지로부터 나오는 열이 합산되어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빠르게 올라갈 수 있으므로,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냉각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효율적인 냉각 성능이 확보되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냉각 방법으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냉각 플레이트에 직접 표면 접촉하여 냉각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파우치 외장재의 형상의 한계 때문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냉각 플레이트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를 수납하도록 수납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종래 기술의 파우치 외장재(10)는 한 쌍의 수납부가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수납부 각각은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20)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고 한 쌍의 수납부 각각의 깊이의 합의 대략 전극 조립체(20)의 두께에 대응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파우치 외장재(10)가 실링된 3개의 측면을 제외한 한 측면부는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의 측면부에 형성된 오목한 라인은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냉각 플레이트에 효과적으로 접촉시키기 어렵게 만들고 냉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파우치 외장재에 한 쌍의 수납부를 독립된 공간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더라도 전극 조립체를 패키징할 때에 외장재의 접힘이 용이하지 않고 냉각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276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완벽한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냉각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전지 용량에 대하여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는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여 패키징하는 파우치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실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탑부; 및 상기 탑부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탑부 및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탑부는 상기 실링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수납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은 제1 절곡선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납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은 제2 절곡선을 따라 연결되되,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선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상술한 파우치 외장재; 및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가 접혀 형성된 수납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여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상기 연결부는 패키징된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의 양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술한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 및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의 측면이 면접하는 상면을 구비한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는 패키징된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실링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의 양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연장부의 상기 소정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높이로 단차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연장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소정의 길이보다 깊거나 같은 깊이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은,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완벽한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일측면이 냉각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은, 이차 전지의 측면부를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전지 용량에 대하여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와 냉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차 전지팩을 구성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을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와 냉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차 전지팩을 구성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와 냉각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차 전지팩을 구성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을 확대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파우치 외장재(100) 및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우치 외장재(100)는,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하여 둘러싸고 서로 맞닿은 실링부(150)가 실링되어 패키징된다.
전극 조립체(200)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전극탭(220, 2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전극탭이 전극 조립체(2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이차 전지(300)는 전극탭의 구성을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실링부(150)의 어느 일측면에 제1 및 제2 전극탭(220, 230)을 같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는,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와,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를 둘러싸도록 파우치 외장재(10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150)와, 및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d)으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연결부(140)의 양단에는 실링부(150)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우치 외장재(100) 내에는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는 파우치 외장재(100) 내에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파우치 외장재(100)의 내부를 프레스하는 등의 방식으로 눌러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 각각은 전극 조립체(200)의 폭 및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 각각의 깊이의 합은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t)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d)으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의 바닥면을 연장하여 서로 연결한다. 여기에서 제1 수납부와 연결부(140)의 일측은 제1 절곡선을 따라 연결되고, 제2 수납부와 연결부(140)의 타측은 제2 절곡선을 따라 연결된다. 본 발명의 파우치 외장재(100)를 이용하여 이차 전지(300)를 구성할 때에 파우치 외장재(100)는 제1 및 제2 절곡선(101, 102)을 따라 절곡되어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40)는 이차 전지(300)가 조립된 후에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절곡선(101, 102)은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t)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되게 연결부(140)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연결부(140)의 폭은 제1 및 제2 절곡선(101, 102)이 이격된 소정의 간격(d)이고 소정의 간격(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t)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부(140)의 폭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보다 더 작게 또는 더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140)의 양단에는 실링부(150)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파우치 외장재(100)가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를 마주보도록 실링부(150)를 접을 때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의 양단이 왜곡되지 않고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연결부(14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탑부(131) 및 탑부(131)의 일단에서 연결부(140)의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돌출부(130)의 상세한 형상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30)는 실링부(150)와 동일한 높이에서 연장되는 탑부(131) 및 탑부(131)의 일단에서 연결부(140)의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32)는 탑부(131) 및 연결부(140)의 바닥면과 연결될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완만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부(130)가 실링부(150) 및 연결부(140)와 불연속적인 기울기를 갖지 않고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우치 외장재(100)가 폴딩될 때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에 위치한 돌출부(130)가 파손되거나 찢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30)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연결부(140)에 형성되고, 돌출부(130)의 폭은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가 이격된 소정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돌출부(130)의 탑부(131)가 실링부(150)와 동일한 높이 연장되고 돌출부(130)의 폭은 소정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탑부(131)의 높이와 돌출부(130)의 폭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t) 및 형상에 따라 또는 파우치 외장재(100)의 재질에 따라 돌출부(130)의 높이 또는 폭 등을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를 이용한 이차 전지(300)는, 본 발명의 파우치 외장재(100)와, 전극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파우치 외장재(100)는 제1 및 제2 수납부(110, 120)가 마주보도록 실링부(150)가 접혀 형성된 수납 공간에 전극 조립체(200)를 수납한 후에 실링부(150)를 따라 실링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100)의 연결부(140)는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를 균일하게 형성하고,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의 양단에는 돌출부(130)가 대응되는 위치에 이차 전지(300)의 내부로 오목한 딤플(320)이 형성될 수 있다.
딤플(320)은, 파우치 외장재(100)를 폴딩할 때 측면부(310)의 양끝단 쪽의 실링부(150)가 쉽게 접힐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며 그 크기 및 형상은 전극 조립체(200)의 두께(t) 및 형상에 따라 또는 파우치 외장재(100)의 재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 돌출부(130)의 높이 또는 폭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를 이용한 이차 전지(300)는 측면부(310)가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고 균일한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측면부(310)를 냉각 플레이트(500)에 접촉하여 냉각시킬 때 완전한 밀착이 가능하여 낮은 열저항으로 높은 방열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를 이용한 이차 전지(300)는 측면부(310)가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측면부(310)를 냉각 플레이트(500)에 접촉하여 냉각시킬 때 완전한 밀착이 가능하여 낮은 열저항으로 높은 방열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측면부(310)가 돌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부(310)에 바깥쪽으로 접힘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실링 부위를 가짐으로써 돌출되는 경우보다 동일한 전지 용량에 대하여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본 발명의 이차 전지(300)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의 양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한 실링부(150)는 패키징을 위하여 접히는 과정에서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51)의 돌출되는 길이만큼 연장부(151)와 측면부(31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장부(151)의 길이는 수 mm일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연장부(151)는, 본 발명의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를 결합하여 이차 전지팩을 제조할 때, 냉각 플레이트(500)의 측면에 연장부(151)을 수용할 수 있는 홈(520) 또는 단차(510)를 형성함으로써 냉각 플레이트(500)에 대하여 이차 전지(300)의 배치를 유지하거나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가 결합되어 이차 전지팩을 구성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의 제1 예시도 및 이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300)는 냉각 플레이트(500)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이차 전지팩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냉각 플레이트(500)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가 면접하는 상면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이차 전지팩의 제1 예시에 따르면, 냉각 플레이트(5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이차 전지(300)의 연결부(140)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이 경우에 냉각 플레이트(500)는 상면이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와 밀착될 때, 이차 전지(300)의 연장부(151)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차 전지(300)는 이차 전지(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냉각 플레이트(500)에 그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 사이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의 제2 예시도 및 이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이차 전지팩의 제2 예시에 따르면, 냉각 플레이트(5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이차 전지(300)의 연결부(14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냉각 플레이트(5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이차 전지(300)의 연장부(151)의 돌출된 소정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높이로 단차(5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냉각 플레이트(500)는 상면이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와 밀착될 때, 이차 전지(300)의 연장부(151)는 냉각 플레이트(500)에 형성된 단차부에 놓여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차 전지(300)는 이차 전지(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냉각 플레이트(500)에 그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 사이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덧붙여, 제2 예시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냉각 플레이트(500)의 폭이 제1 예시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500)의 폭보다 더 연장되어 냉각 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의 제3 예시도 및 이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이차 전지팩의 제3 예시에 따르면, 냉각 플레이트(5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이차 전지(300)의 연결부(14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냉각 플레이트(500)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이차 전지(300)의 연장부(1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장부(151)의 소정의 길이보다 깊거나 같은 깊이로 하나 이상의 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냉각 플레이트(500)는 상면이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와 밀착될 때, 이차 전지(300)의 연장부(151)는 냉각 플레이트(500)에 형성된 홈(520)에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이차 전지(300)는 이차 전지(300)의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서도 이동이 제한되어 냉각 플레이트(500)에 그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 사이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덧붙여, 제3 예시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냉각 플레이트(500)의 폭이 제1 예시에 따른 냉각 플레이트(500)의 폭보다 더 연장되어 냉각 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사항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팩은, 냉각 플레이트(50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이차 전지(300) 각각은 그 측면부(310)가 냉각 플레이트(500)에 밀착하도록 배치하여 이차 전지(300)의 방열을 수행할 수 있고, 이차 전지(300)의 측면부(310)에 대하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151)로 인하여, 이차 전지(300)는 냉각 플레이트(500)에 대하여 이차 전지(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냉각 플레이트(500)에 그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300)와 냉각 플레이트(500) 사이의 배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 파우치 외장재 20, 200: 전극 조립체
101: 제1 절곡선 102: 제2 절곡선
110, 120: 제1 및 제2 수납부 130: 돌출부
131: 탑부 132: 경사부
140: 연결부 150: 실링부
151: 연장부 220, 230: 제1 및 제2 전극탭
300: 이차 전지 310: 측면부
320: 딤플 500: 냉각 플레이트
510: 단차 520: 홈

Claims (14)

  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여 패키징하는 파우치 외장재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실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탑부; 및
    상기 탑부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탑부 및 상기 연결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는 상기 실링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은 제1 절곡선을 따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납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은 제2 절곡선을 따라 연결되되,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곡선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우치 외장재; 및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다수의 전극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가 마주보도록 상기 실링부가 접혀 형성된 수납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여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패키징된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의 양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7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 및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의 측면이 면접하는 상면을 구비한 냉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는 패키징된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실링부는,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의 양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이차 전지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의 폭은 상기 이차 전지의 연결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연장부의 상기 소정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높이로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에는, 상기 이차 전지의 연장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소정의 길이보다 깊거나 같은 깊이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팩.
KR1020180037661A 2018-03-30 2018-03-30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KR10257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61A KR102576860B1 (ko) 2018-03-30 2018-03-30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JP2019042951A JP7347941B2 (ja) 2018-03-30 2019-03-08 パウチ外装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と二次電池パック
DE202019005993.8U DE202019005993U1 (de) 2018-03-30 2019-03-26 Beutelgehäuse, und Sekundärbatterie und Sekundärbatteriepaket die dieses verwenden
EP19165178.5A EP3550636A1 (en) 2018-03-30 2019-03-26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16/368,047 US11056734B2 (en) 2018-03-30 2019-03-28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the same
CN202211686828.8A CN116190872A (zh) 2018-03-30 2019-04-01 袋状壳体、使用其的二次电池和二次电池组
CN201910257927.6A CN110323364B (zh) 2018-03-30 2019-04-01 袋状壳体、使用其的二次电池和二次电池组
US17/337,542 US11658358B2 (en) 2018-03-30 2021-06-03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18/301,786 US20230261276A1 (en) 2018-03-30 2023-04-17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20230117553A KR20230134103A (ko) 2018-03-30 2023-09-05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JP2023144743A JP2023158127A (ja) 2018-03-30 2023-09-06 パウチ外装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と二次電池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61A KR102576860B1 (ko) 2018-03-30 2018-03-30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553A Division KR20230134103A (ko) 2018-03-30 2023-09-05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645A true KR20190114645A (ko) 2019-10-10
KR102576860B1 KR102576860B1 (ko) 2023-09-11

Family

ID=659916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661A KR102576860B1 (ko) 2018-03-30 2018-03-30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KR1020230117553A KR20230134103A (ko) 2018-03-30 2023-09-05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553A KR20230134103A (ko) 2018-03-30 2023-09-05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056734B2 (ko)
EP (1) EP3550636A1 (ko)
JP (2) JP7347941B2 (ko)
KR (2) KR102576860B1 (ko)
CN (2) CN110323364B (ko)
DE (1) DE202019005993U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46A (ko) * 2018-04-03 2019-10-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10150865A (ko)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39536A1 (ko) * 2020-08-19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20022848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20055668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배터리팩의 냉각 구조
WO2023068615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5563B2 (ja) 2019-12-03 2024-03-26 株式会社Aescジャパン 電池、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20210069594A (ko)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전지 팩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방법
JP7362907B2 (ja) * 2019-12-17 2023-10-17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ケース及び二次電池
DE102020213561B3 (de) 2020-10-28 2022-04-21 Audi Aktiengesellschaft Zellmodu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768A (ko) 2006-04-17 2007-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20130014252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20160149604A (ko) * 2015-06-18 2016-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량화를 위한 냉각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제조방법
KR20170050444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80029856A (ko) * 2016-09-12 201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2258B2 (ja) * 2004-11-05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869377B1 (ko) 2006-05-08 2008-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병렬 연결 구조의 중첩식 이차전지
JP2013051099A (ja) * 2011-08-31 2013-03-14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温調用モジュール
KR102052588B1 (ko) * 2013-08-13 2019-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102280687B1 (ko) 2014-09-25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KR20160103253A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곡 구조의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92751B1 (ko) * 2015-05-13 2017-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1927262B1 (ko) 2015-11-03 2018-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KR102553312B1 (ko) 2016-01-18 2023-07-0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셀
KR102119183B1 (ko) * 2016-08-18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WO2018048133A1 (ko) 2016-09-12 2018-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9926B1 (ko) 2017-07-20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2768A (ko) 2006-04-17 2007-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20130014252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20160149604A (ko) * 2015-06-18 2016-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량화를 위한 냉각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제조방법
KR20170050444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80029856A (ko) * 2016-09-12 201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46A (ko) * 2018-04-03 2019-10-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10095839A (ko) * 2018-04-03 2021-08-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098099A (ko) * 2018-04-03 2022-07-1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210150865A (ko)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39536A1 (ko) * 2020-08-19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20022848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20055668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배터리팩의 냉각 구조
WO2023068615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5261A1 (en) 2019-10-03
JP2019186199A (ja) 2019-10-24
US20210288360A1 (en) 2021-09-16
KR102576860B1 (ko) 2023-09-11
US20230261276A1 (en) 2023-08-17
US11056734B2 (en) 2021-07-06
JP2023158127A (ja) 2023-10-26
CN116190872A (zh) 2023-05-30
EP3550636A1 (en) 2019-10-09
JP7347941B2 (ja) 2023-09-20
KR20230134103A (ko) 2023-09-20
CN110323364A (zh) 2019-10-11
CN110323364B (zh) 2023-01-10
US11658358B2 (en) 2023-05-23
DE202019005993U1 (de)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860B1 (ko)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KR102545521B1 (ko) 이차 전지 모듈
CN110062964B (zh) 二次电池的袋型外部材料、采用其的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N108431986B (zh) 用于二次电池的袋外部、使用该袋外部的袋型二次电池及制造该袋型二次电池的方法
EP1901365B1 (en) Battery cell with small groove at surfa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654935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5088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MX2013002545A (es) Bateria secundaria.
KR20200000321A (ko)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200043809A (ko) 이차전지
JP2024021083A (ja) パウチ外装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EP3671946B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20210114670A (ko) 배터리 모듈
KR10267254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6583B1 (ko) 배터리 셀
EP3940876A1 (en)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20240049241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7761B1 (ko) 배터리 셀
KR101359382B1 (ko) 배터리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