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241A -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241A
KR20240049241A KR1020240043617A KR20240043617A KR20240049241A KR 20240049241 A KR20240049241 A KR 20240049241A KR 1020240043617 A KR1020240043617 A KR 1020240043617A KR 20240043617 A KR20240043617 A KR 20240043617A KR 20240049241 A KR20240049241 A KR 2024004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exterior material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543B1 (ko
Inventor
김태일
김동주
김성엽
김진고
이승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759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4935B1/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탭이 인출된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네 측의 둘레 중 세 측에 형성되는 실링부 및 나머지 일 측에 형성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 중 상기 밀착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밀착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이 전 세계의 글로벌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그린에너지 산업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화석 연료 고갈, 이산화탄소 감소 목적으로 전기자동차 또는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발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엔진 없이 배터리를 통한 전기에너지를 주 동력원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배출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기에너지를 이렇게 배터리만으로 자동차를 구동하므로 배터리가 차지하는 부피/무게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아야 한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들어가는 이차 전지의 높은 밀도의 에너지를 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이차 전지의 수명을 늘이는 것에 대한 요구가 강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전지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인,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외장재로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외장재의 최외곽 부분을 실링하여 실링부가 형성된다. 실링부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차 전지 모듈을 조립하게 되면, 실링부에 의해 이차 전지 모듈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이차 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0153호(2015.05.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의 실링부를 감소되도록 형성하여 이차 전지 모듈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장재가 이차 전지 모듈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실링부의 부피 증가를 감소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탭이 인출된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네 측의 둘레 중 세 측에 형성되는 실링부 및 나머지 일 측에 형성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 중 상기 밀착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밀착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밀착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가 그 내부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전에, 상기 외장재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 및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간의 간격에 위치하는 위로 볼록한 형상의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라운딩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장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극 탭과 연결된 전극 조립체가 마련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 간의 간격에 위로 볼록한 형상의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외장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의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중 하나에 상기 전극 탭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외장재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외장재가 접합되어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 중 상기 밀착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밀착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외장재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 간의 간격에 위로 볼록한 형상의 라운딩 파트가 형성되는 프레스를 이용하되, 상기 외장재는 시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스가 위치한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전극 조립체 상을 덮을 때, 상기 라운딩부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라운딩부가 펼쳐져 상기 전극 조립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의 실링부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형성하여 이차 전지 모듈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장재가 이차 전지 모듈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실링부의 부피 증가를 감소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차 전지 모듈이 배열되는 배열 방향 측에 냉각판이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도 이차 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판이 배치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및 프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의 수용 공간에 전극 조립체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따라서 접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전기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전기 장치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파우치형 전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차 전지라고 지칭한다.
도 1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는 전극 탭(12a, 12b)이 인출된 전극 조립체(11, 도 4 참조)를 수용하는 외장재(15)를 포함하고, 외장재(15)는 전극 조립체(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는 밀착부(153) 및 밀착부(153) 이외의 부분에 외장재(15)가 접합되어 형성하는 실링부(151)를 포함하고, 실링부(151)는 그중 밀착부(153)에 인접하는 부분에 밀착부(153)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 결정된 길이(L)로 돌출되는 연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지(10)는 전극 조립체(11) 및 전극 조립체(11)에서 외장재(15)의 외부로 돌출되는 양극 탭(12a) 및 음극 탭(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는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롤 형태의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젤리-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스택킹 형태일 수도 있다. 양극 탭(12a) 및 음극 탭(12b)은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11)의 양 단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극 탭(12a) 및 음극 탭(12b)은 전극 조립체(11)의 일단에서 상호 이격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극 탭(12)이 전극 조립체(11)의 양단에서 돌출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장재(15)는 전극 탭(12a, 12b)이 인출된 전극 조립체(11)를 수용할 수 있다. 외장재(15)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15)에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를 하는 동시에, 혹독한 열적 환경과 기계적 충격을 견디기 위함일 수 있다. 외장재(15) 내에 움푹 들어간 형상의 복수의 수용 공간(155a, 도 4 참조)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155a)에 전극 조립체(11)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를 배치 시킨 후, 전극 조립체(11)의 외곽을 따라 외장재(15)를 접합할 수 있다.
실링부(151)는 전극 조립체(11)의 외곽을 따라 외장재(15)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51)는 외장재(15)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외장재(15)의 측면 둘레의 4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조립체(11)의 양 단에는 전극 탭(12a, 12b)이 실링부(151)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탭(12a, 12b)은 전극 조립체(11)의 길이 방향(즉, 도 2에서 수직 방향)으로 양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 탭(12a, 12b)이 전극 조립체(11)의 일단에서 상호 이격하여 돌출될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11)의 일단에서 전극 탭(12a, 12b)이 실링부(151)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151)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이차 전지 모듈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 (10)는 전극 조립체(11)의 측면 둘레의 4면을 따라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는 외장재(15)가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이차 전지 모듈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외장재(15)는 전극 조립체(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장재(15)가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는 부분을 밀착부(153)라고 설명하도록 한다. 밀착부(153)는 전극 조립체(11)에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모듈을 조립할 때, 실링부(151)의 잉여 부분이 감소되어, 인접한 이차 전지 간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외장재(15)가 전극 탭(12a, 12b)이 형성되지 않는 전극 조립체(11)의 측면 중 하나의 면에 밀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이차 전지 간에 공간이 생기지 않고 서로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10) 조립 시에, 체적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151)는 전극 탭(12a, 12b)에 인접하게 기 결정된 길이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52)는 밀착부(153)에 인접하는 부분에 밀착부(153)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 결정된 길이(L)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52)의 길이는 수 mm 미만일 수 있다. 2개의 연장부(152)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전극 탭(12)이 돌출된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2)가 돌출되는 위치는 전극 탭(12a, 12b)이 형성되지 않는 전극 조립체(1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이차 전지(10)의 한면에 밀착부(153)가 형성됨으로써, 이차 전지(1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밀착부(153)는 이차 전지(10)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플레이트(미도시됨) 등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차 전지(10)의 밀착부(153)가 아래로 위치하도록 나란하게 적층되고, 복수의 이차 전지(10)의 밀착부(153)와 접하도록 복수의 이치 전지(10)의 하측에 이차 전지(10)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편평한 형상의 냉각 플레이트가 밀착부(153)에 밀착되는데, 밀착부(153)의 양 단에 연장부(152)가 밀착부(15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152)는 냉각 플레이트에 대해서 이차 전지(10)의 배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플레이트에 연장부(152)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일정 간격(이차 전지(10)가 배치되는 간격)으로 형성하고, 연장부(152)를 홈에 수용함으로써 북수의 이차 전지(10)가 냉각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153)의 중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154,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54)에서는 전극 조립체(11)와 외장재(15) 사이가 밀착부(153)의 다른 부분보다 밀착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1)와 외장재(15)간의 열전달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54)가 형성되는 것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냉각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15) 및 프레스 틀(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장재(15)는 프레스 틀(200)에 의해 프레스되어 그 형상이 성형될 수 있다.
프레스 틀(200)은 제 1 수용 공간(260a) 및 제 2 수용 공간(260b)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260) 및 제 1 수용 공간(260a) 및 제 2 수용 공간(260b) 간의 간격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딩 파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틀(200)은 외장재(15)의 실링부(151)를 형성하기 위해 실링 파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260)은 전극 조립체(11)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틀(200)은 외장재(15)의 형상을 위하여 2개의 수용 공간(260a, 260b)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장재(15)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용 공간은 적정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 파트(240)는 각각의 수용 공간(260a, 260b) 간의 간격에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 파트(240)는 수용 공간(260)의 움푹 들어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 파트(240)가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운딩 파트(240)의 단면은 반원 형상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운딩 파트(24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라운딩 파트(240)의 단면이 반원 형상일 경우, 라운딩 파트(240)의 단면의 둘레는 도 4에 도시된 A에서 B까지의 반원 형상의 둘레(d)일 수 있다. 여기서, A측은 제1 수용 공간(260a)의 인접한 측이며, B측은 제2 수용 공간(260b)의 인접한 측을 의미한다. 라운딩 파트(240)의 최상단은 실링 파트(2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라운딩 파트(240)는 외장재(15)를 프레스 공정시에, 외장재(15)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라운딩 파트(240)가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라운딩 파트(240)가 받게 되는 응력 집중을 라운딩 파트(240)의 형상으로 인해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15)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장재(1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시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스 틀(200)이 위치한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15)가 프레스 틀(200)의 형상으로 프레스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15)의 수용 공간(155)에 전극 조립체(11)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15)가 전극 조립체(11)의 외곽을 따라서 접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스 틀(200)에 의해 외장재(15)가 프레스되면, 외장재(15)의 수용 공간(155)에 전극 조립체(11)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장재(15)의 수용 공간(155) 중 전극 조립체(11)가 배치된 공간을 제1 수용 공간(155a)이고, 전극 조립체(11)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을 제2 수용 공간(155b)이라고 한다.
외장재(15)의 형상이 형성되고, 외장재(15)의 제1 수용 공간(155a)에 전극 조립체(11)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가 배치되면, 라운딩부(15a)는 전극 조립체(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펼쳐질 수 있다.
라운딩부(15a)는 위로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운딩부(15a)의 단면은 반원 형상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는 라운딩부(15a)가 전극 조립체(11)의 일측면을 따라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라운딩부(15a)가 밀착되는 면은 전극 탭(12a, 12b)이 형성되지 않은 면일 수 있다. 즉, 라운딩부(15a)가 펼쳐져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는 밀착부(153)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라운딩부(15a)가 전극 조립체(11)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밀착부(153) 중에 라운딩부(15a)의 중앙에 해당하는 오목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라운딩부(15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라운딩부(15a)의 단면이 반원 형상일 경우에는, 라운딩부(15a)에 대한 수직 단면에서 라운딩부(15a)의 둘레의 길이는 반원의 둘레(d)일 수 있다. 즉, 라운딩부(15a)의 둘레는 도 4에 도시된 A에서 B까지의 반원 형상의 둘레(d)일 수 있다. 여기서, A측은 제1 수용 공간(155a)의 인접한 측이며, B측은 제2 수용 공간(155b)의 인접한 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라운딩부(15a)는 A에서 B까지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일 수 있다. 외장재(15)의 라운딩부(15a) 중에서 밀착부(153)로 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은 연장부(152)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라운딩부(15a)의 형상이 곡면에 해당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15)를 접었을 때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지 않은 부분(연장부(152) 중에서 밀착부(153)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라운딩부(15a)가 전극 조립체(11)에 밀착되면, 제2 수용 공간(155b)이 전극 조립체(11)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1)는 외장재(20)에 밀봉 수납되어, 파우치형 이차 전지 (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파우치형 이차 전지
11 : 전극 조립체
12 : 전극 탭
15 : 외장재
15a : 라운딩부
151 : 실링부
152 : 연장부
153 : 밀착부
154 : 오목부
155 : 수용공간

Claims (17)

  1.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탭이 인출된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
    상기 외장재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네 측의 둘레 중 세 측에 형성되는 실링부;
    상기 외장재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네 측의 둘레 중 나머지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에 밀착되는 밀착부; 그리고
    상기 밀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돌출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밀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두개의 수용 공간 및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한 것인,
    파우치형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세 측에서 상기 외장재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전면(front face)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일단에서 연장되어 타단에 이어지며,
    상기 오목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측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마주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볼록하고,
    상기 오목부의 외측면은 오목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11.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극 탭에 연결된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두개의 수용 공간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외장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장재의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 중 하나에 상기 전극 탭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돌출된 오목부가 상기 외장재에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 이외의 부분에 상기 외장재가 접합되어 실링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면이 오목한 두개의 수용 공간 파트 및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 파트 사이에 배치되고 위로 볼록한 라운드 파트가 형성된 프레스 틀의 위에 시트 형태의 상기 외장재를 배치하고, 상기 외장재의 위에서 상기 외장재를 가압하여,
    상기 외장재의 형상이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전극 조립체 상을 덮으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펼쳐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펼쳐져 상기 밀착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 중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전극 조립체 상을 덮으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전면(front face)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의 양단에서 서로 분리되어 각각 배치되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시트 형태로 마련되어 가압되면,
    위로 개방된 상기 두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위로 볼록한 형상의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240043617A 2016-12-20 2024-03-29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7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4846 2016-12-20
KR1020160174846 2016-12-20
KR1020170175973A KR102654935B1 (ko) 2016-12-20 2017-12-20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73A Division KR102654935B1 (ko) 2016-12-20 2017-12-20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241A true KR20240049241A (ko) 2024-04-16
KR102672543B1 KR102672543B1 (ko) 2024-06-05

Family

ID=6262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3617A KR102672543B1 (ko) 2016-12-20 2024-03-29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276893B2 (ko)
KR (1) KR102672543B1 (ko)
WO (1) WO2018117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586B1 (ko) * 2019-05-31 2023-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10006712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및 전지 모듈
KR20210011639A (ko) * 2019-07-23 2021-02-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4600303B (zh) * 2019-12-03 2024-05-17 株式会社Lg新能源 袋型二次电池、电池组及制造袋型二次电池的方法
JP7455563B2 (ja) * 2019-12-03 2024-03-26 株式会社Aescジャパン 電池、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301A (ja) * 2002-08-05 2004-03-04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KR20060037827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5202B1 (ko) * 2006-04-17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100998845B1 (ko) * 2007-11-09 201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특성의 전지모듈, 열교환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520153B1 (ko) 2012-09-11 2015-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8031T2 (de) 1990-06-29 1996-09-05 Canon Kk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Halbleiteranordnung mit einer Ausrichtungsmarke
JPH11213964A (ja) 1998-01-21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薄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0452A (ja) 1999-08-20 2001-03-06 Toshiba Battery Co Ltd フィルム外装型電池の製造方法
ATE502407T1 (de) * 2006-08-21 2011-04-15 Lg Chemical Ltd Sekundärbatterie des beuteltyps mit verbesserter sicherheit und ausgezeichneter herstellungsprozesseigenschaft
KR100891383B1 (ko) 2007-05-21 2009-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042766B1 (ko) 2009-02-05 2011-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5822936B2 (ja) 2010-10-29 2015-11-25 デーナ、カナダ、コーパレイシャン 熱伝導性バッテリを冷却する熱交換器およびバッテリユニット構造
KR101765769B1 (ko) 2010-12-29 2017-08-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초음파 용접 방법
KR101816813B1 (ko) 2010-12-30 2018-01-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셀 케이스
US9324981B2 (en) 2012-01-20 2016-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ell frame fo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
KR101175057B1 (ko) 2012-05-30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KR20140123007A (ko)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07192B1 (ko) * 2013-11-28 2017-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란트로 실링되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60045468A (ko)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3703B1 (ko) 2014-10-20 2018-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995B1 (ko) 2015-03-27 2018-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2318043B1 (ko) 2015-04-22 2021-10-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6690654B2 (ja) * 2016-01-06 2020-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の製造方法
KR102064460B1 (ko) 2016-09-12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208045659U (zh) 2016-12-06 2018-11-02 Sk新技术株式会社 二次电池模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301A (ja) * 2002-08-05 2004-03-04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KR20060037827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5202B1 (ko) * 2006-04-17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100998845B1 (ko) * 2007-11-09 201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특성의 전지모듈, 열교환 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520153B1 (ko) 2012-09-11 2015-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파우치 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6893B2 (en) 2022-03-15
WO2018117654A1 (ko) 2018-06-28
US20220158276A1 (en) 2022-05-19
US20190305260A1 (en) 2019-10-03
KR102672543B1 (ko)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254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829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654935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32687B2 (ja) ポーチ型ケース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803958B1 (ko) 효율적인 냉각 구조의 전지팩 케이스
KR101348366B1 (ko)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347941B2 (ja) パウチ外装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と二次電池パック
JP5160425B2 (ja) 電池モジュールの製作に適した電池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170092906A1 (en) Battery cell having asymmetric and indented structure
KR101609232B1 (ko) 냉매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102455B2 (ja) 組電池
US11114712B2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101814106B1 (ko)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38177B1 (ko) 전지셀 및 전극 리드 제조방법
CN219759912U (zh) 电池装置
KR20240021689A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배터리 팩
KR101327761B1 (ko) 배터리 셀
JP2023511098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