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361A - 스터드 너트 - Google Patents

스터드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361A
KR20190114361A KR1020180036946A KR20180036946A KR20190114361A KR 20190114361 A KR20190114361 A KR 20190114361A KR 1020180036946 A KR1020180036946 A KR 1020180036946A KR 20180036946 A KR20180036946 A KR 20180036946A KR 20190114361 A KR20190114361 A KR 2019011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ud nut
base surface
gas discharge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432B1 (ko
Inventor
황원규
Original Assignee
황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규 filed Critical 황원규
Priority to KR102018003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88Welding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0Stud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문건은, 모재에 깔끔하고, 견고하게 부착 가능한 스터드 너트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는, 모재와 접촉하는 베이스면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면의 중앙에는 용융팁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융팁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및, 링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을 가두는 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터드 너트{STUD NUT}
본 문건이 개시(Disclosure)하는 기술은, 스터드 용접(Stud Welding)에 의해 모재에 융착되는 막대(스터드 너트, 스터드 볼트 등)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스터드 용접(Stud Welding)은, 막대(스터드 너트, 스터드 볼트 등)를 모재에 심는 일종의 아크 용접법으로, 막대를 모재에 접속시켜 전류를 흘린 다음 막대를 모재에서 조금 떼어 아크를 발생시켜 적당히 용융했을 때, 다시 용융지에 밀어붙여서 용착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터드 너트(OS, NS)의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종래의 스터드 너트(OS)는 일측에 베이스면(A)이 구비되고, 베이스면(A)의 중앙에는 용융팁(B)이 돌출된 형태이다.
스터드건(미도시)에 종래의 스터드 너트(OS)를 장입한 후, 용융팁(B)을 모재(M)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터드건(미도시) 가동시키면, 용융팁(130)은 녹아내리면서, 모재(M)에 스터드 너트를 융착시키는 매개[쇳물(S)]가 되는데, 종래의 스터드 너트(OS)의 경우, 쇳물(S)이 스터드 너트의 융착지점 주변으로 넓게 퍼져, 모재(M)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칸막이(미도시)가 사용되긴 하나, 이 경우, 작업 공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b)에는 개선된 종래의 스터드 너트(NS)를 도시한다.
도 (b)를 참조하면, 개선된 종래의 스터드 너트(NS)는 용융팁(B)의 둘레에 해당하는 베이스면(A)에 쇳물(S)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C)이 추가 형성된 형태이다.
그러나 개선된 종래의 스터드 너트(NS)의 경우, 용융팁(B)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가 수용홈(C)으로 유입됨에 따라, 쇳물(S)이 가스로 인해, 수용홈(C)의 일측으로 치우쳐 굳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가 쇳물(S)에 다량 혼입되어, 쇳물(S)에 기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쇳물(S)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개선된 종래의 스터드 너트(NS)의 경우에도, 그 구조상, 쇳물(S)이 스터드 너트의 융착지점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완전히 막진 못한다.
KR 10-1050239 B1 (2011.07.19. 공고) KR 10-1429642 B1 (2014.08.14. 공고)
별도의 칸막이 없이도, 모재에 깔끔하고, 견고하게 부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스터드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는, 모재와 접촉하는 베이스면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면의 중앙에는 용융팁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융팁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및, 링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을 가두는 링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모재와 마주하는 상기 링의 일측면에는, 제1 가스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가스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2 가스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면에는, 제3 가스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은, 세라믹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면은, 절연페인트로 도포되거나, 산화막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일부 양태(Aspect)에 불과하며, 다른 양태나 특징들은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는 종래의 스터드 너트에 비하여, 모재에 깔끔하고, 견고하게 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 3 가스배출홈 및 가스배출홀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는,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쇳물에 가스가 혼입될 우려가 낮다. 즉,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는 쇳물의 접착력이 종래의 스터드 너트에 비하여,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스터드 너트(OS, NS)의 문제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는 몸체(100) 및, 링유닛(2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일반적인 종래의 스터드 너트와 동일한 재질(강 또는 구리 등)로 이루어진다. 몸체(100)의 일측에는 모재(M)와 접촉하는 베이스면(11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볼트의 수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된다. * 본 명세서에서는 구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몸체(100)를 너트 형태로 한정한 것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몸체(100)를 너트 형태가 아닌 볼트 형태 또는 밋밋한 막대 형 태 등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면(110)의 중앙에는 소정 높이의 용융팁(130)이 돌출 형성된다. 용융팁(130)은 단부에 원뿔이 구비된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스터드 용접시, 원뿔 부분은 용융되어 몸체(100)를 모재(M)에 융착시키는 매개[쇳물(S)]가 된다.
용융팁(130)의 둘레에 해당하는 베이스면(110)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150)이 형성된다. 수용홈(150)은 소정 크기의 공간을 제공한다. 예컨데, 전술한 공간은 도넛 형태일 수 있다.
링유닛(200)은 링(210)과, 스프링(230)을 구비하고, 수용홈(150)에 설치된다. 링(210)은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S)을 가두는 기능을 하고, 스프링(230)은 용융팁(130)이 녹아내려도, 링(210)의 일측면이 모재(M)에 계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링(210)을 모재(M) 방향으로 미는 기능을 한다.
그에 따라, 스프링(23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스프링(230)이 압축되지 않은 최초 상태일 때], 모재(M)와 마주하는 링(210)의 일측면은 용융팁(130)의 단부와 수평을 이루거나, 용융팁(130)의 단부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최초 상태에서, 용융팁(130)의 단부 후방에 링(210)의 일측면이 위치될 경우, 쇳물(S)이 링(21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링(210)은 용융팁(130)의 지름에 대응되는 안지름을 갖는 제2 링몸체(214)와, 제2 링몸체(214)보다 바깥지름과 안지름이 조금 더 큰 제1 링몸체(214)로 구성될 수 있다.
용융팁(130)이 단부에 원뿔이 구비된 원기둥 형태일 때, 제2 링몸체(214)는 용융팁(130)의 원기둥 부분에 결합되며, 제1 링몸체(212)의 내부 영역은 용융팁(130)의 원뿔 부분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S)을 가두는 기능을 한다.
링(210)의 일측면[제1 링몸체(212)의 일측면]에는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G)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가스배출홈(2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링몸체(212)의 일측면에 제1 가스배출홈(212a)이 복수 개 형성될 때, 복수 개의 제1 가스배출홈(212a)은 제1 링몸체(212)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둘레에는 수용홈(150)과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홀(170)이 형성되고, 링(210)의 내측면[제2 링몸체(214)의 내측면]에는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G)가 전술한 가스배출홀(170)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스배출홈(2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00)의 베이스면(110)에는 제3 가스배출홈(112)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제3 가스배출홈(112)은 스프링(230)이 압축되어, 링(210)의 일측면[제1 링몸체(212)의 일측면]이 베이스면(110)과 수평을 이룰 때, 제1 가스배출홈(212a)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링(210)은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S)과 쉽게 융착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링(210)은 세라믹 재질 등일 수 있다.
또 한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를 스터드건(미도시)을 이용하여, 모재(M)에 융착하는 과정에서, 용융팁(130)이 일정 길이 녹아내려, 몸체(100)의 베이스면(110)이 모재(M)에 맞닿게 되면, 베이스면(110)으로 전류가 분산되어, 스터드건(미도시)의 전력 소모가 높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몸체(100)의 베이스면(11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베이스면(110)은 절연페인트로 도포되거나, 산화막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터드건(미도시)에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를 장입한 후, 용융팁(130)을 모재(M)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터드건(미도시) 가동시키면, 용융팁(130)이 녹아내리며, 쇳물(S)이 된다.
이때, 쇳물(S)은 링유닛(200)의 내부 영역에 수용되어, 모재(M)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또한,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발생하는 가스(G)는, 제1 가스배출홈(212a)과 제3 가스배출홈(112) 및, 제2 가스배출홈(214a)과 가스배출홀(170)을 통해 몸체(100)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어, 쇳물(S)이 링유닛(200)의 내부 영역 일측에 치우쳐 굳지 않고, 링유닛(200)의 내부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채워진 후 굳는다.
또한, 베이스면(110)에 형성된 절연층(114)[또는 산화막 코팅층]으로 인하여, 스터드건(미도시)의 전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는 종래의 스터드 너트(OS, NS)에 비하여, 모재(M)에 깔끔하고, 견고하게 부착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는, 용융팁(130)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G)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쇳물(S)에 가스(G)가 혼입될 우려가 낮다. 즉,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는 쇳물(S)의 접착력이 종래의 스터드 너트(OS, NS)에 비하여, 우수하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너트(10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스터드 너트
100 : 몸체
110 : 베이스면
112 : 제3 가스배출홈
114 : 절연페인트층
130 : 용융팁
150 : 수용홈
170 : 가스배출홀
200 : 링유닛
210 : 링
212 : 제1 링몸체
212a : 제1 가스배출홈
214 : 제2 링몸체
214a : 제2 가스배출홈
230 : 스프링
--
OS : 종래의 스터드 너트
NS : 개량된 종래의 스터드 너트
A : 베이스면 / B : 용융팁 / C : 수용공간
M : 모재 / S : 쇳물 / G : 가스

Claims (7)

  1. 모재와 접촉하는 베이스면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면의 중앙에는 용융팁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융팁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 및,
    링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쇳물을 가두는 링유닛;을 포함하는 스터드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모재와 마주하는 상기 링의 일측면에는, 제1 가스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가스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융팁이 녹아내릴 때 생성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배출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2 가스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면에는, 제3 가스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링의 일측면과 상기 베이스면이 수평을 이룰 때, 상기 제1 가스배출홈과 상기 제3 가스배출홈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면은,
    절연페인트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면은,
    산화막으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너트.
KR1020180036946A 2018-03-30 2018-03-30 스터드 너트 KR10207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46A KR102071432B1 (ko) 2018-03-30 2018-03-30 스터드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46A KR102071432B1 (ko) 2018-03-30 2018-03-30 스터드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61A true KR20190114361A (ko) 2019-10-10
KR102071432B1 KR102071432B1 (ko) 2020-01-30

Family

ID=6820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46A KR102071432B1 (ko) 2018-03-30 2018-03-30 스터드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685A (en) * 1953-11-20 1956-12-25 Gregory Ind Inc Concealed weld stud
JP2003225766A (ja) * 2002-02-04 2003-08-12 Nippon Stud Welding Co Ltd スタッド溶接用フェルール
KR101050239B1 (ko) 2006-05-30 2011-07-19 준이치 미조구치 스터드 용접 방법
KR101429642B1 (ko) 2012-12-27 2014-08-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터드 용접 장치
KR101592906B1 (ko) * 2014-12-18 2016-02-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터드건 결합형 차폐모듈
JP2016193448A (ja) * 2015-04-01 2016-11-17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スタッド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685A (en) * 1953-11-20 1956-12-25 Gregory Ind Inc Concealed weld stud
JP2003225766A (ja) * 2002-02-04 2003-08-12 Nippon Stud Welding Co Ltd スタッド溶接用フェルール
KR101050239B1 (ko) 2006-05-30 2011-07-19 준이치 미조구치 스터드 용접 방법
KR101429642B1 (ko) 2012-12-27 2014-08-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터드 용접 장치
KR101592906B1 (ko) * 2014-12-18 2016-02-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터드건 결합형 차폐모듈
JP2016193448A (ja) * 2015-04-01 2016-11-17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スタッド溶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432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2957B1 (en) Electrode for a plasma arc torch
US5105061A (en) Vented electrode for a plasma torch
EP0676791B1 (de) Magnetronzerstäubungsquelle und deren Verwendung
EP0111116B1 (de) Plasmabrenner mit einer konischen Elektrode und einer Düse mit zumindest teilweise konischen Innenmantel
CA2303546A1 (en) Tapered electrode for plasma arc cutting torches
EP1649962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Verschweissen eines eine kegelartige Stirnfläche aufweisenden Bolzens mit einem Träger, mit einem Abhubmass vom 1 bis 2.5 mm und einer Neigung der kegelartigen Stirnfläche von 4° +- 2.5°
KR102071432B1 (ko) 스터드 너트
CN114717440A (zh) 利用搅拌摩擦增材技术制备陶瓷颗粒增强金属基复合材料的方法
US4856949A (en) Rotative tool for repairing electrodes for spot welding
DE60222713T2 (de) Kathoden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Lichtbogenspritzvorrichtung
EP2855071A2 (de) BRENNER FÜR DAS WOLFRAM-INERTGAS-SCHWEIßEN
EP2667689B1 (de) Elektrode für Plasmaschneidbrenner sowie deren Verwendung
JP3582651B2 (ja) 放出要素に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及び電極を形成する方法
JP6963569B2 (ja) プラズマ溶射装置
US3976853A (en) Non-fusible electrode, in particular for tungsten inert gas welding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1202614A3 (en) Electrode with brazed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40291303A1 (en) Plasma electrode for a plasma arc torch with replaceable electrode tip
US4471208A (en) Electrodes for welding
FR3000866A1 (fr) Torche a plasma d'arc avec regulation selective du debit de gaz plasmagene
AU2003240381A1 (en) Electrode element for a plasma torch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CN201147865Y (zh) 一种焊枪的喷嘴装置
EP1323339B1 (de) Plasmabrenner, insbesondere plasmapluspolbrenner
CN207766631U (zh) 一种等离子体发生器及其阴极
US1835900A (en) Welding rod
JPS63102835A (ja) 放電加工用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