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222A - 오일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222A
KR20190114222A KR1020180036604A KR20180036604A KR20190114222A KR 20190114222 A KR20190114222 A KR 20190114222A KR 1020180036604 A KR1020180036604 A KR 1020180036604A KR 20180036604 A KR20180036604 A KR 20180036604A KR 20190114222 A KR20190114222 A KR 2019011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rap
disposed
indu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502B1 (ko
Inventor
임동훈
김광우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5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16N203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2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26Spinning 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회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와,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회수장치{Apparatus for recovery the oil}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와 같은 회전 기계에는 회전체나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 등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회전 기계의 작동 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기계에 공급되는 오일의 경우 회전 기계의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회전 기계의 작동에 따라 오일의 비산 등이 발생함으로써 회전 기계에는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 기계는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함과 동시에 회전 기계의 사용 시 비산하는 오일을 다시 모와 회전 기계로 공급하는 오일회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회수장치는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회전 기계의 사용 시 비산하는 오일을 수납한 후 지속적으로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오일회수장치와 회전 기계는 오일이 이동하는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기계의 작동, 오일회수장치로부터 회전 기계로 오일을 공급할 때 등 오일 내부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포는 오일회수장치 뿐만 아니라 회전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7209호(발명의 명칭: 압축기용 오일회수장치, 출원인: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72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회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와,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를 포함하는 오일 회수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속도를 저감시키는 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홈 및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 중 일부가 상기 오일의 흐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트랩부와, 상기 제1 트랩부와 다른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2 트랩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트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 회수 시 오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 회수 시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오일에 기포가 포함되어 오일의 순환 시 배관의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 유도 스텝부, 유도 스랜트 및 트랩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트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오일회수장치(100)는 다양한 유체 기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회수장치(100)는 압축기, 터빈 등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일회수장치(100)는 압축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탱크(110),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유도 스랜트(140) 및 트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탱크(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는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외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1)는 외부의 기어박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는 상기 기어박스 또는 상기 기어박스 내부의 회전축(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일탱크(110)는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는 공급된 오일을 다시 회수하여 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오일탱크(110)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항상 저장될 수 있으며, 압축기를 구동시킬 때 최소 필요한 운용오일라인(112) 이상의 오일이 수납될 수 있다.
받침부(120)는 유입구(111)와 대응되도록 오일탱크(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1)는 오일탱크(110)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오일을 오일탱크(110)의 저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유입구(111)는 하중 방향으로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받침부(120)는 받침플레이트(121), 연결플레이트(122)와 차단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중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하중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받침플레이트(121)는 하중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받침플레이트(121)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유입구(111)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하중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방향은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특히 제1 방향은 오일의 흐름 방향일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122)는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은 하중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은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오일탱크(110)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일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플레이트(123)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의 양 측면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123)는 받침플레이트(121) 및 연결플레이트(122)를 이동하는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의 측면 및 연결플레이트(122)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도 스텝부(130)는 받침부(120)와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스텝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유도 스텝부(13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유도 스텝부(130)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 스텝부(130)가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도 스텝부(130)는 서로 연결되는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제2 유도 스텝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유도 스텝부(131)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유도 스텝부(131)는 제1 방향으로 평평하게 배치되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부터 제2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플레이트(131b) 및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연결플레이트(1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이동플레이트(131a)는 받침플레이트(121)와 상이한 면에 배치되어 받침플레이트(121)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곡플레이트(131b)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31c)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와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31c)의 상면은 제1 이동플레이트(131a)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플레이트(131b)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제1 유도 스텝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받침부(120), 제1 유도 스텝부(131) 및 제2 유도 스텝부(132)는 서로 연결되어 계단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은 받침부(120), 제1 유도 스텝부(131) 및 제2 유도 스텝부(1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유도 스랜트(140)는 유도 스텝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스랜트(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 유도 스랜트(140)는 유도 스텝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유도 스랜트(140)는 오일탱크(11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플레이트(141)와 경사플레이트(141) 측면에 배치된 경사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도 스랜트(140)가 경사플레이트(141)와 경사가이드(142)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경사플레이트(141)는 평평하게 배치되어 오일탱크(110)의 저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플레이트(141)의 일단은 유도 스텝부(130)와 연결되며,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경사플레이트(141)의 일단보다 오일탱크(110)의 저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운용오일라인(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사플레이트(141)의 타단은 오일에 잠긴 상태일 수 있다. 경사가이드(142)는 경사플레이트(141)의 측면에 배치되어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가이드(142)는 제2 가이드(132c)와 연결될 수 있다.
트랩부(150)는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및 유도 스랜트(1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트랩부(150)는 받침부(120), 유도 스텝부(130) 및 유도 스랜트(140)를 이동하는 오일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랩부(150)가 유도 스텝부(130)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트랩부(15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트랩부(150)는 일렬로 배열되는 제1 트랩부(151)와 제1 트랩부(151)와 서로 다른 열에 배열되는 제2 트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와 제2 트랩부(152)는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트랩부(150)는 제1 트랩부(151) 및 제2 트랩부(152)와 각각 다른 열에 배치되는 제3 트랩부(1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복수개의 트랩부(15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열에 배치되는 트랩부(15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트랩부(150)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6 트랩부(156)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및 제3 트랩부(153)는 제1 유도 스텝부(13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트랩부(154), 제5 트랩부(155) 및 제6 트랩부(156)는 제2 유도 스텝부(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랩부(151) 내지 제6 트랩부(156) 각각은 홈 또는 돌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제4 트랩부(154) 및 제5 트랩부(155)는 돌기이고, 제3 트랩부(153) 및 제6 트랩부(156)는 홈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는 복수개의 제1 돌기(151a)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151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돌기(151a)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51a)는 아치형이나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기(151a)는 일부분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제1 돌기(151a)의 양단이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인접함으로써 가장 낮게 형성된 부분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2 트랩부(152)는 복수개 구비되어 제1 트랩부(151)와 다른 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트랩부(151)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트랩부(152)는 제1 트랩부(151)에 비하여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트랩부(152)는 제2 돌기(15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트랩부(152)의 제2 돌기(151b)와 제1 트랩부(151)의 제1 돌기(151a)는 서로 형상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돌기(151b)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따라 제1 돌기(151a)와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돌기(151b)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돌기(151a)는 인접하는 제2 돌기(15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기(151a)에서 나눠진 오일은 제2 트랩부(152)를 바로 통과하지 못하고 제2 돌기(151b)에 충돌하여 다시 갈릴 수 있으며, 오일의 이동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151b)는 오일과 충돌함으로써 오일 내부의 기포를 압축하여 기포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제3 트랩부(153)는 제1 트랩부(151) 및 제2 트랩부(152)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트랩부(153)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하는 오일을 일부 저장함으로써 오일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오일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돌기(151b)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 및 인접하는 제2 돌기(151b) 사이 중 하나를 유동하는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오일 내부의 기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유도 스텝부(131)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제1 이동플레이트(131a)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는 오일의 흐름방향을 따라 제1 트랩부(151), 제3 트랩부(153) 및 제2 트랩부(152)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4 트랩부(154), 제5 트랩부(155) 및 제6 트랩부(156)는 각각 제1 트랩부(151), 제2 트랩부(152) 및 제3 트랩부(15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트랩부(154) 내지 제6 트랩부(156)는 제2 유도 스텝부(132)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트랩부(154), 제6 트랩부(156) 및 제5 트랩부(155)는 오일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제2 이동플레이트(132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오일회수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축기가 작동하는 경우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을 압축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배관(미도시)에 설치된 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압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
압축기에 공급된 오일은 사용 후 일부가 오일회수장치(100)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때, 오일은 유입구(111)를 통하여 오일탱크(1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에는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서 기포를 내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 압축 기체가 오일에 힘을 가하면 오일은 이동하면서 뭉치게 되고 이러한 경우 오일 내부에 기체가 포함되어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오일탱크(110) 내부로 진입한 후에도 오일 내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기포가 많아지는 경우 오일이 압축기로 다시 순환할 때 기포로 인하여 배관 등에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포가 내포된 오일은 유입구(111)를 통하여 받침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21)는 오일탱크(110)의 저면과 평행하므로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이 받침플레이트(121)에 일정 정도 쌓이게 되면, 오일은 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제1 유도 스텝부(13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오일은 연결플레이트(122)를 통하여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받침플레이트(121)로부터 낙하하여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함으로써 오일이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에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의 오일은 받침플레이트(121) 상의 오일과 같이 제1 이동플레이트(131a) 상에 일정 정도 쌓이면서 제1 절곡플레이트(131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일이 이동하는 경우 오일은 제1 트랩부(151)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일은 제1 돌기(151a)에 충돌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1 돌기(151a)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오일은 제1 돌기(151a)에 충돌하면서 압축될 수 있으며, 오일이 압축되면서 오일 내부의 기포는 파괴되거나 여러 개로 나뉠 수 있고, 일부는 기포 내부의 기체가 오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트랩부(151)를 통과한 오일은 제2 트랩부(15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51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의 공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를 통과한 오일이 제2 돌기(151b)에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51b)의 가장 높은 부분은 인접하는 제1 돌기(151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제2 돌기(151b)에 충돌한 오일은 제2 돌기(151b)의 양단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오일은 제2 돌기(151b)에 충돌하여 제3 트랩부(153)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트랩부(153)는 인접하는 제2 돌기(151b)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트랩부(15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오일을 일시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오일은 상기와 같이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일부가 홈 내부로 진입하여 속도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홈 내부로 진입하면서 홈에서 오일이 혼합됨으로써 오일 내부의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트랩부(153)로 이동한 오일은 제2 돌기(151b) 사이로 진입하여 제2 트랩부(15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일이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오일의 이동 속도는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오일은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하면서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오일은 제1 이동플레이트(131a)로부터 제1 절곡플레이트(131b)를 따라 제2 이동플레이트(132a)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3 트랩부(153) 내지 제6 트랩부(156)를 통과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1 트랩부(151) 내지 제3 트랩부(153)를 통과할 때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오일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도 스텝부(130)를 통과한 오일은 제2 절곡플레이트(132b)를 따라 유도 스랜트(140)으로 이동하고 유도 스랜트(140)를 통하여 오일탱크(11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스랜트(140)의 끝단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용오일라인(112)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오일이 오일탱크(110) 내의 오일표면으로 낙하하지 않음으로써 오일탱크(110) 내에 저장된 오일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을 회수하여 공급할 때 오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어 오일로 인한 배관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오일회수장치(100)는 오일탱크(110) 내에서 오일을 오일 표면으로 낙하시키지 않음으로써 오일탱크(110) 내부의 오일에 기포가 발생시키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오일회수장치(100)는 유입구(111)에서 공급되는 오일의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오일의 유동속도를 최소화하여 오일탱크(110) 내의 오일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오일회수장치 140: 유도 스랜트
110: 오일탱크 141: 경사플레이트
111: 유입구 142: 경사가이드
112: 운용오일라인 150: 트랩부
120: 받침부 151: 제1 트랩부
121: 받침플레이트 152: 제2 트랩부
122: 연결플레이트 153: 제3 트랩부
123: 차단플레이트 154: 제4 트랩부
130: 유도 스텝부 155: 제5 트랩부
131: 제1 유도 스텝부 156: 제6 트랩부
132: 제2 유도 스텝부

Claims (6)

  1. 오일이 회수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유입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의 저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탱크에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일부와 연결되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스텝부의 다른 일부에서 연장되는 유도 슬랜트;를 포함하는 오일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의 흐름속도를 저감시키는 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오일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홈 및 상기 받침부, 상기 유도 스텝부 및 상기 유도 슬랜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일회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 중 일부가 상기 오일의 흐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오일회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트랩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트랩부; 및
    상기 제1 트랩부와 다른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트랩부;를 포함하는 오일회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트랩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트랩부 사이에 배치되는 오일회수장치.
KR1020180036604A 2018-03-29 2018-03-29 오일회수장치 KR10255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04A KR102556502B1 (ko) 2018-03-29 2018-03-29 오일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04A KR102556502B1 (ko) 2018-03-29 2018-03-29 오일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22A true KR20190114222A (ko) 2019-10-10
KR102556502B1 KR102556502B1 (ko) 2023-07-17

Family

ID=6820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04A KR102556502B1 (ko) 2018-03-29 2018-03-29 오일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70U (ko) * 1998-05-15 1999-12-15 이구택 베어링 공급용 순환윤활유의 기포 발생 방지장치
US20060056958A1 (en) * 2004-06-29 2006-03-16 Gaines Louie T Accessory lubrication system for a turbine plant
KR20150107209A (ko) 2014-03-13 2015-09-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압축기용 오일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70U (ko) * 1998-05-15 1999-12-15 이구택 베어링 공급용 순환윤활유의 기포 발생 방지장치
US20060056958A1 (en) * 2004-06-29 2006-03-16 Gaines Louie T Accessory lubrication system for a turbine plant
KR20150107209A (ko) 2014-03-13 2015-09-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압축기용 오일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502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106B1 (ko) 습분 분리 장치
CN102472381B (zh) 润滑油收集引导器具
US9878414B2 (en) Cutting fluid tank
EP2620228A3 (de) Hochdruckreinigungsgerät
US20150192199A1 (en) Epicyclic reduction gear, notably for turbomachine
KR101869176B1 (ko) 데미스터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egr시스템
KR20190114222A (ko) 오일회수장치
CN104995437A (zh) 齿轮装置
JP6191364B2 (ja) 液冷却装置用フィルタ装置および液冷却装置
WO2012073725A1 (ja) エンジンのオイル回収構造
TWI799060B (zh) 過濾裝置
CN211449025U (zh) 流体压缩机
CN111108333B (zh) 油分离器以及具备油分离器的空调机
CN113402100A (zh) 废水处理设备
KR100946153B1 (ko) 퇴적물 제거 장치
CN217176836U (zh) 一种空压机润滑油恒温系统
JP2015020086A (ja) 発電所の浮上油回収設備および浮上油回収方法
RU28379U1 (ru) Масляный бак системы смазки турбоагрегатов
JP2011189326A (ja) ミスト集塵装置
KR101883482B1 (ko) 압축기용 오일회수장치
US11859641B2 (en) Noise abatement for air blowers
RU119823U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CN111456961A (zh) 泵托架及包括该泵托架的工程机械
JP5067298B2 (ja) 密閉型圧縮機
KR101897035B1 (ko) 분진 포집 성능을 향상시키는 고형연료 저장고 실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