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148A -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4148A KR20190114148A KR1020180036380A KR20180036380A KR20190114148A KR 20190114148 A KR20190114148 A KR 20190114148A KR 1020180036380 A KR1020180036380 A KR 1020180036380A KR 20180036380 A KR20180036380 A KR 20180036380A KR 20190114148 A KR20190114148 A KR 20190114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main cover
- indoor
- spac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력선이 배선되는 벽체내공간을 갖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내공간을 실내공간측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메인커버와;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며 메인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되되 실내공간을 향하며 상기 접속유니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은 메인콘센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더불어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벽체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내 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가구 등에 가려지지 않고, 또한, 천장에 배치되는 조명기구의 위치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내 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가구 등에 가려지지 않고, 또한, 천장에 배치되는 조명기구의 위치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여 전기공사를 용이하게 진행하게 할 수 있는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실내의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센트는 대개 2구의 구조를 갖는다. 플러그를 최대 두 개만 꼽을 수 있으므로, 3개 이상의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멀티탭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3개 이상의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립 콘센트 앞에 커다란 가구(家具)가 배치될 경우 콘센트가 가구에 가려져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멀티탭을 사용하여야 한다.
멀티탭은 다수의 플러그를 꼽을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콘센트로서, 매립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와, 플러그에 연결되며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된 전력선과, 전력선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는 콘센트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멀티탭은 전력선이 바닥에 놓이므로, 일단 미관상 지저분하고 경우에 따라 발에 채이거나 걸려 그 나름의 불편을 야기한다.
한편, 방의 천장에 배치되는 조명기구는 천장의 중앙부에 붙박이로 설치되어 그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조명기구는 천장 슬라브 내부에 배치되는 전력 공급장치에 접속 및 고정되는 것이므로, 내부 공사를 하기 전에는 위치조절을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명기구가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내 거주자는 경우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이를테면, 책상의 경우 대부분 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조명이 천장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책상 앞에 앉아있는 사람은 조명을 등지게 되고 책상 면에 그늘이 드리워져 항상 어두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 공급장치는, 그 설치 위치가 벽체이든 천장이든 고정식으로 설치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데,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벽이나 천장을 뜯는 공사를 할 수밖에 없어 일이 커지고 리모델링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 변경을 위한 공사가 매우 간단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 할 수 있는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전력선이 배선되는 벽체내공간을 갖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내공간을 실내공간측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메인커버와;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며 메인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되되 실내공간을 향하며 상기 접속유니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은 메인콘센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더불어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벽체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채움커버 중 일부 채움커버에는 실내공간을 향하는 보조콘센트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콘센트의 전력을 보조콘센트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에 꼽히는 플러그를 구비한 파워연장케이블을 더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전력선이 배선되는 슬라브내공간을 갖는 슬라브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 공간을 슬라브 하부의 실내공간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그 하부에 전등을 갖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선과 접속되고 전등에 전력을 인가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커버 및 채움커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걸쳐 지며, 고정프레임에 대한 메인커버 및 채움커버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홀더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전력선이 배선되는 벽체내공간을 갖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내공간을 실내공간측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메인커버와;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며 메인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되되 실내공간을 향하며 상기 접속유니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은 메인콘센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더불어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벽체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와, 전력선이 배선되는 슬라브내공간을 갖는 슬라브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 공간을 슬라브 하부의 실내공간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그 하부에 전등을 갖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선과 접속되고 전등에 전력을 인가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는, 그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전력 공급장치의 위치 변경을 위한 전기공사가 매우 간단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인테리어를 연출 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는, 가령 아파트의 각 방의 벽체나 천장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나, 천장에 매달려 있는 전등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전력공급장치(14)는 벽면이나 천장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이를테면 벽지를 도배했을 때 눈에 띄지 않는다. 즉, 눈에 거슬리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는, 고정프레임(16), 메인커버(20), 접속유니트(40), 메인콘센트(21), 다수의 채움커버(24), 보조콘센트(24c)를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장치(14)는 실내공간(10)을 구획하는 벽체(11)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벽체(11)의 내부에는 벽체내공간(11b)이 형성되어 있다. 벽체내공간(11b)은 건물의 시공시 확보되는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전력선(18)이 배선된다. 전력선(18)은 건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접속유니트(40)로 인가한다.
아울러 상기 벽체내공간(11b)의 내부에는 와이어케이스(22)가 구비된다. 와이어케이스(22)는 전력선(18)을 수용하는 케이싱으로서, 전력선이 움직일 때 벽체내공간(11b)의 내벽면에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선(18)은 메인커버(20)에 고정되므로, 메인커버(20)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당겨져 움직이기 때문에 와이어케이스(22)로 보호하는 것이다. 와이어케이스는 합성수지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6)은 가로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틀형 부재로서, 설치구(11a)에 고정되어 벽체내공간(11b)을 실내공간(10)측으로 개방한다. 설치구(11a)는 벽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통로이다.
고정프레임(16)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합성수지판넬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설치구(11a)의 내측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하나의 메인커버(20)와 다수의 채움커버(24)를 수용한다.
또한, 고정프레임(16)의 상하 내향면에는 출입홈(16a)과 슬라이딩홈(16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홈(16b)은 일정폭을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한다. 또한 출입홈(16a)은 슬라이딩홈(16b)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슬라이딩홈(16b)에 대해 직교한다.
이러한 슬라이딩홈(16b)과 출입홈(16a)은, 메인커버(20)와 채움커버(24)를 고정프레임(16)의 커버장착공간(16d)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커버(20)와 채움커버(24)는 속이 빈 블록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 및 저면에 다수의 돌기부(20a,24a)를 갖는다. 돌기부(24a)는 출입홈(16a)을 통해 슬라이딩홈(16b)으로 진입하며 슬라이딩홈(16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커버장착공간(16d)에 삽입된 메인커버(20)나 채움커버(24)는, 커버장착공간(16d) 내부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가령 채움커버(24)가 하나 이상 빠져 있는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마지막에 채워지는 채움커버(24)는 출입홈(16a)을 통해 진입만 하며 수평방향 슬라이딩 운동은 하지 못한다.
상기 메인커버(20)는, 육면체의 외부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 및 저면에 두 개씩의 돌기부(20a)를 갖는다. 메인커버(20)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커버(20)는 커버장착공간(16d)의 내부에 끼워지며 그 상태로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즉, 돌기부(20a)가 슬라이딩홈(16b)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홈(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말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서 두 번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옆으로 밀어 도 3과 같이 가장 우측에 배치할 수 도 있다.
또한, 메인커버(20)의 내부에는 접속유니트(40)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메인콘센트(21)가 고정되어 있다. 접속유니트(40)는 전력선(18)과 연결되며 전력선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메인콘센트(21)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선과 메인콘센트(21)를 연결할 수 있는 한 접속유니트(40)의 세부 구성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메인콘센트(21)는 일반적인 벽면형 콘센트로서 메인커버(20)의 전면에 고정되어 실내공간(10)을 향한다. 메인콘센트(21) 자체는 전력선(18)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외부로 인가하는 일반적인 전력 아웃렛이다. 도면부호 26은 메인콘센트(21)에 꼽히는 플러그이다.
아울러 메인커버(20)의 일측단부에는 조작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홈(20b)은 사용자가 손가락 끝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한 홈으로서, 가령 메인커버(20)를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거나 앞으로 빼내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채움커버(24)는 메인커버(2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의 외부 형상을 취하며 그 상면 및 저면에 두 개씩의 돌기부(24a)를 갖는다. 돌기부(24a)는 출입홈(16a)을 통해 슬라이딩홈(16b)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슬라이딩홈(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다.
또한 채움커버(24)의 일측단부에도 조작홈(24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홈(24b)은 채움커버(24)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앞으로 빼내기 위해 손가락 끝을 넣는 홈이다.
특히 다수의 채움커버(24) 중 일부 채움커버(24)의 전면에는 보조콘센트(24c)가 구비된다. 보조콘센트(24c)는 적어도 2구 이상을 갖는 콘센트로서, 파워연장케이블(34)을 통해 메인콘센트(21)와 접속된다.
파워연장케이블(34)은, 필요한 길이를 갖는 연장전력선(34b)과, 연장전력선(34b)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플러그(34a)를 갖는 부속으로서, 일단의 플러그(34a)는 메인콘센트(21)에 끼워지고, 반대편 플러그(34a)는 선택된 보조콘센트(24c)에 끼워져 접속된다. 메인콘센트(21)로 인가된 전력이 파워연장케이블(34)을 통해 보조콘센트(24c)로 연장 공급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는, 메인커버(20)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가령, 채움커버(24)를 분리한 후 메인커버(20)를 원하는 지점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메인커버(20)가 있었던 자리는 분리했던 채움커버(24)로 채워 메꾼다.
이에 따라 가령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10)내에 배치되는 가구(54)의 위치에 대응하여, 메인커버(20)를 이동시켜 메인콘센트(21)가 가려지지 않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커버(20)의 이동을 위한 실내 전기공사가 한결 간단하게 마무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타입의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14)는, 천장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8), 고정프레임(28) 내에 지지되는 메인커버(30) 및 다수의 채움커버(32), 메인커버(30) 내에 설치되는 접속유니트(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28)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고정프레임(16)과 같은 타입의 직사각형 틀로서, 슬라브(12)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구(12a) 내에 고정된 상태로 슬라브내공간(12c)을 하측의 실내공간(10)으로 개방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8)의 외측면에는 고정돌기(28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28a)는 설치구(12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2b)에 끼워지는 돌기이다. 고정홈(12b)에 고정돌기(28a)가 끼워짐으로써, 고정프레임(12)이 하부로 낙하할 염려가 없다.
상기 메인커버(30)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그 상단부 양측에 슬라이딩홀더(30a)를 갖는다. 슬라이딩홀더(30a)는 고정프레임(28)의 상단부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메인커버(30)가 고정프레임(28)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프레임(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커버(30)의 내부에는 접속유니트(40)가 구비된다. 접속유니트(40)는 전력선(18)과 접속되며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등(50)으로 인가한다. 전등(50)은 메인커버(30)의 하부에 고정된 조명장치로서 접속유니트(40)를 통해 인가된 전력에 의해 점등된다. 메인커버(30)를 이동시킬 때 전등(50)도 함께 이동함은 당연하다.
채움커버(32)는 메인커버(30)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다. 채움커버(32)는 다수 개가 고정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채워, 슬라브내공간(12c)과 실내공간(10)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각 채움커버(32)의 상단부에도 슬라이딩홀더(32a)가 구비된다. 슬라이딩홀더(32a)가 고정프레임(28)의 상단부에 걸쳐짐은 물론이다.
도면부호 33은 실링재이다. 실링재(33)는 스폰지나 연질고무 또는 합성수지로서, 채움커버(32)의 사이와, 채움커버(32)와 메인커버(30)이 사이를 차단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커버(30)와 채움커버(32)가 고정프레임(28)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이동 가능하므로, 상기한 전등(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10) 천장의 중앙부에 위치하던 전등(50)을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조절은 메인커버(30)와 채움커버(32)의 위치를 간단히 바꿈으로서 구현된다. 전력공급장치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실내 전기 공사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마무리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실내공간 11:벽체 11a:설치구
11b:벽체내공간 12:슬라브 12a:설치구
12b:고정홈 12c:슬라브내공간 14:전력 공급장치
16:고정프레임 16a:출입홈 16b:슬라이딩홈
16d:커버장착공간 18:전력선 20:메인커버
20a:돌기부 20b:조작홈 21:메인콘센트
22:와이어케이스 24:채움커버 24a:돌기부
24b:조작홈 24c:보조콘센트 26:플러그
28:고정프레임 28a:고정돌기 30:메인커버
30a:슬라이딩홀더 32:채움커버 32a:슬라이딩홀더
33:실링재 34:파워연장케이블 34a:플러그
34b:연장전력선 40:접속유니트 50:전등
52:책상 54:가구
11b:벽체내공간 12:슬라브 12a:설치구
12b:고정홈 12c:슬라브내공간 14:전력 공급장치
16:고정프레임 16a:출입홈 16b:슬라이딩홈
16d:커버장착공간 18:전력선 20:메인커버
20a:돌기부 20b:조작홈 21:메인콘센트
22:와이어케이스 24:채움커버 24a:돌기부
24b:조작홈 24c:보조콘센트 26:플러그
28:고정프레임 28a:고정돌기 30:메인커버
30a:슬라이딩홀더 32:채움커버 32a:슬라이딩홀더
33:실링재 34:파워연장케이블 34a:플러그
34b:연장전력선 40:접속유니트 50:전등
52:책상 54:가구
Claims (4)
- 전력선이 배선되는 벽체내공간을 갖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내공간을 실내공간측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메인커버와;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며 메인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에 고정되되 실내공간을 향하며 상기 접속유니트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은 메인콘센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더불어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벽체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포함하는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움커버 중 일부 채움커버에는 실내공간을 향하는 보조콘센트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콘센트의 전력을 보조콘센트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에 꼽히는 플러그를 갖는 파워연장케이블을 더 구비하는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전력선이 배선되는 슬라브내공간을 갖는 슬라브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 공간을 슬라브 하부의 실내공간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고정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그 하부에 전등을 갖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선과 접속되고 전등에 전력을 인가하는 접속유니트와;
상기 메인커버와 함께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브내공간과 실내공간을 차단하는 다수의 채움커버를 포함하는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 및 채움커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걸쳐 지며, 고정프레임에 대한 메인커버 및 채움커버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홀더가 형성된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380A KR102062977B1 (ko) | 2018-03-29 | 2018-03-29 |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380A KR102062977B1 (ko) | 2018-03-29 | 2018-03-29 |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4148A true KR20190114148A (ko) | 2019-10-10 |
KR102062977B1 KR102062977B1 (ko) | 2020-01-06 |
Family
ID=6820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380A KR102062977B1 (ko) | 2018-03-29 | 2018-03-29 |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297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280B1 (ko) | 2013-02-01 | 2014-05-07 | 주식회사 맥스포 | 이동식 콘센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18009A (ja) * | 2007-02-28 | 2008-09-18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コンセント設置構造及びコンセント設置工法 |
-
2018
- 2018-03-29 KR KR1020180036380A patent/KR102062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280B1 (ko) | 2013-02-01 | 2014-05-07 | 주식회사 맥스포 | 이동식 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2977B1 (ko) | 202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35174A (en) | Desk with hidden wiring | |
EP2769768A1 (en) | Modular laboratory workbench | |
ITMI20001359A1 (it) | Presa multipla volante. | |
US7364443B1 (en) | Retractable electrical power outlet device | |
KR101182565B1 (ko) | 어셈블리 키트 | |
KR100924603B1 (ko) |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 |
US2039982A (en) | Molding and movable base receptacle | |
CA3148560A1 (en) | Functional indoor electrical wall outlet cover | |
KR102062977B1 (ko) | 실내 전기공사용 이동식 전력 공급장치 | |
JP7502011B2 (ja) | 巾木構造 | |
JP6888189B2 (ja) | ミラーキャビネット | |
KR100876279B1 (ko) | 케이블 인출입 타입의 콘센트 장치 | |
US4745717A (en) | Adaptor for poke-thrus | |
JP2018063885A (ja) | 間接照明具、間接照明具の施工方法、及び間接照明具の取付け構造 | |
KR101728325B1 (ko) | 배관 및 전선 가이드 기구 | |
US3361904A (en) | Light fixture | |
KR200469309Y1 (ko) | 전기배선을 위한 라인배열모듈 | |
KR930000479Y1 (ko) | 마루용 조립패널 유니트 | |
JPH10208829A (ja) | 電気接続器 | |
JP6945961B2 (ja) | ミラーキャビネット | |
KR200182211Y1 (ko) | 배선덕트 | |
JPH08131353A (ja) | 洗面化粧台のミドルキャビネット | |
KR20030045431A (ko) |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 |
JP4591440B2 (ja) | 配線システム | |
ES2214201T3 (es) | Portaaparatos para canales de instalacion en rodap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7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122 Effective date: 20191010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