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283A - 스티어링 칼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283A
KR20190113283A KR1020180035767A KR20180035767A KR20190113283A KR 20190113283 A KR20190113283 A KR 20190113283A KR 1020180035767 A KR1020180035767 A KR 1020180035767A KR 20180035767 A KR20180035767 A KR 20180035767A KR 20190113283 A KR20190113283 A KR 2019011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er tube
shaft
stopper
telesc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780B1 (ko
Inventor
홍성종
임정문
김진우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튜브의 텔레스코핑 또는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와 연계되며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상기 아우터 튜브가 상기 하우징에 인입될 시 상기 아우터 튜브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단속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 작동을 통해 텔레스코핑 단속장치를 작동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향휠(Steering Wheel)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조향력은 조향축을 통해 랙 피니언 기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양쪽 바퀴의 방향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의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자세에 맞게 조향휠의 높이 및 전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프(Telescope) 또는 틸트(Tilt) 기능을 추가된다. 이러한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 조향장치로 나누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과 틸트식이 동시에 구현되는 조향장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또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조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칼럼은 위치 고정식 스토퍼를 사용하여 칼럼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위치 고정식 스토퍼를 사용하는 종래의 칼럼은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9187호(2013.0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단속장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칼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속장치를 통해 안전성 및 상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튜브의 텔레스코핑 또는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와 연계되며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상기 아우터 튜브가 상기 하우징에 인입될 시 상기 아우터 튜브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단속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속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삽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제1삽입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범퍼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고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면에 구비되어 텔레스코핑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회동부재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아우터 튜브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대향하는 내주면이 상호 평행되는 두 개의 내측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수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삽입부의 굴곡 각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일단과 맞대어지는 맞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텔레스코핑 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스티어링 칼럼에 의하면, 레버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단속장치를 통해 용이하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 및 상품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10)은 조향축(110)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100), 아우터 튜브(100)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마운팅브라켓(210)이 구비되는 하우징(200) 및 마운팅브라켓(2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아우터 튜브(100)의 텔레스코핑 또는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레버(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아우터 튜브(100)와 하우징(200)은 조작레버(300)의 회전에 따라 조임 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조작레버(300)의 회전에 따라 조임이 해제되면 텔레스코핑 기능과 틸팅 기능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스티어링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10)은 조작레버(300)와 연계되어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에 인입될 시 아우터 튜브(100)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단속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단속장치(4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10)은 조작레버(300)와 연계되며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에 인입될 시 아우터 튜브(100)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단속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단속장치(400)는 조작레버(300)와 연계되어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에 인입될 시 아우터 튜브(100)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기 위해, 샤프트(410), 회동부재(420), 범퍼(430), 스프링(440), 스토퍼(450), 댐퍼(460) 및 체결부재(4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샤프트(4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조작레버(300)를 관통할 수 있다. 조작레버(300)를 관통한 샤프트(410)는 마운팅브라켓(210)에 체결되어 틸트 작동되며, 회동부재(42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의 회동부재(420)는 샤프트(410)와 결합하여 조작레버(300)에 의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00)에는 조작레버(300)에 의해 회동부재(420)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1삽입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부재(420)는 샤프트(410)와 결합하는 결합부(421)와 결합부(421)에서 연장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1삽입홀(22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부(4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421)는 샤프트(410)와 대향하는 내주면이 상호 평행되는 두 개 의 내측 평면으로 형성되며, 샤프트(410)는 상기와 같은 결합부(42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수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21)와 샤프트(410)가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회동부재(420)가 샤프트(410)와 일체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의 범퍼(430)는 하우징(200)의 제1삽입홀(220)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범퍼(430)는 회동부재(420)가 제1삽입홀(22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삽입부(4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회동부재(420)와 하우징(200)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스프링(440)은 샤프트(410)와 결합하고 회동부재(4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재(420)는 스프링(440)에 의해 샤프트(410)를 축으로 하여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의 스토퍼(4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아우터 튜브(100)의 좌우측 외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450)는 텔레스코핑 시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00)에는 텔레스코핑 시 스토퍼(450)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2삽입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50)는 제2삽입홀(230)을 통해 텔레스코핑 시 하우징(2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의 댐퍼(460)는 스토퍼(450)의 일측 즉, 하우징(200)의 제2삽입홀(230)과 마주보는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450)의 일측에 구비되는 댐퍼(460)는 텔레스코핑에 의해 스토퍼(450)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되었을 시 제1삽입홀(22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회동부재(420)의 삽입부(422)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460)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삽입부(422)의 굴곡 각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422)의 일단과 맞대어지는 맞댐부(461)를 구비할 수 있다. 댐퍼(460)가 삽입부(422)와 동일 각으로 형성되는 맞댐부(461)를 구비함으로써 동작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체결부재(470)는 스토퍼(45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스토퍼(450)를 아우터 튜브(1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450)가 체결부재(470)를 통해 아우터 튜브(100)에 고정됨에 따라 스토퍼(450) 또는 댐퍼(460)가 손상되었을 시 스토퍼(450)를 아우터 튜브(100)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어 스토퍼(450) 또는 댐퍼(46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단속장치(400)를 통해 아우터 튜브(100)가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하우징(200)에 인입될 시 아우터 튜브(100)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10)은 조향축(110)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100), 아우터 튜브(100)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마운팅브라켓(210)이 구비되는 하우징(200), 마운팅브라켓(2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아우터 튜브(100)의 텔레스코핑 또는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레버(300) 및 조작레버(300)와 연계되며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에 인입될 시 아우터 튜브(100)의 인입 길이를 제어하는 단속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속장치(4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300)를 관통하는 샤프트(410), 샤프트(410)와 결합하여 조작레버(300)에 의해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1삽입홀(22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회동부재(420), 제1삽입홀(220)에 구비되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회동부재(420)와 하우징(200)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범퍼(430), 샤프트(410)와 결합하고 회동부재(420)와 연결되어 회동부재(420)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스프링(440), 아우터 튜브(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텔레스코핑 시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스토퍼(450), 스토퍼(4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토퍼(450)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회동부재(420)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460) 및 스토퍼(450)를 아우터 튜브(10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70)를 구비할 수 있다.
단속장치(400)를 통한 아우터 튜브(100)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레버(300)를 회전시켜 조임이 해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아우터 튜브(100)를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다시 조작레버(300)를 회전시켜 조인다. 이때, 조작레버(300)와 연계된 회동부재(420)가 제1삽입홀(220)을 통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인입된 회동부재(420)의 삽입부(422)가 댐퍼(460)의 맞댐부(461)와 맞대어짐과 동시에 맞댐부(461)를 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아우터 튜브(1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우터 튜브(100)를 제어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0)의 안전성능과 상품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스티어링 칼럼
100: 아우터 튜브 110: 조향축
200: 하우징 210: 마운팅브라켓
220: 제1삽입홀 230: 제2삽입홀
300: 조작레버 400: 단속장치
410: 샤프트 420: 회동부재
421: 결합부 422: 삽입부
430: 범퍼 440: 스프링
450: 스토퍼 460: 댐퍼
461: 맞댐부 470: 체결부재

Claims (6)

  1.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에 틸팅 기능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튜브의 텔레스코핑 또는 틸팅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와 연계되며 텔레스코핑 기능으로 상기 아우터 튜브가 상기 하우징에 인입될 시 상기 아우터 튜브의 인입 거리를 제어하는 단속장치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삽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제1삽입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범퍼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고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면에 구비되어 텔레스코핑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된 회동부재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아우터 튜브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고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대향하는 내주면이 상호 평행되는 두 개의 내측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수직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삽입부의 굴곡 각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일단과 맞대어지는 맞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텔레스코핑 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KR1020180035767A 2018-03-28 2018-03-28 스티어링 칼럼 KR102398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67A KR102398780B1 (ko) 2018-03-28 2018-03-28 스티어링 칼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767A KR102398780B1 (ko) 2018-03-28 2018-03-28 스티어링 칼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83A true KR20190113283A (ko) 2019-10-08
KR102398780B1 KR102398780B1 (ko) 2022-05-17

Family

ID=6820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767A KR102398780B1 (ko) 2018-03-28 2018-03-28 스티어링 칼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78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665A (ko) *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만도 틸트 링볼트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219187B1 (ko) 2006-07-20 2013-01-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파인 틸트 칼럼의 틸트 고정 장치
DE102011056351A1 (de) * 2011-12-13 2013-06-13 Zf Lenksysteme Gmbh Anschlag für verstellbare Lenksäule
KR20150066141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593592B1 (ko) * 2014-10-27 2016-02-12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20160094093A (ko) * 2015-01-30 2016-08-0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JP5975199B1 (ja) * 2015-01-14 2016-08-23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124389A (ko) * 2015-04-17 2016-10-27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DE102015216536B3 (de) * 2015-08-28 2017-02-16 Thyssenkrupp Ag Klemmvorrichtung einer verstellbaren Lenksäule für Kraftfahrzeuge
US20170247046A1 (en) * 2014-11-10 2017-08-31 Thyssenkrupp Presta Ag Steering column with longitudinal stop having an adjustable release function in the event of a crash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87B1 (ko) 2006-07-20 2013-01-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파인 틸트 칼럼의 틸트 고정 장치
KR20090121665A (ko) *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만도 틸트 링볼트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장치
DE102011056351A1 (de) * 2011-12-13 2013-06-13 Zf Lenksysteme Gmbh Anschlag für verstellbare Lenksäule
KR20150066141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593592B1 (ko) * 2014-10-27 2016-02-12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US20170247046A1 (en) * 2014-11-10 2017-08-31 Thyssenkrupp Presta Ag Steering column with longitudinal stop having an adjustable release function in the event of a crash
JP5975199B1 (ja) * 2015-01-14 2016-08-23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094093A (ko) * 2015-01-30 2016-08-09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20160124389A (ko) * 2015-04-17 2016-10-27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DE102015216536B3 (de) * 2015-08-28 2017-02-16 Thyssenkrupp Ag Klemmvorrichtung einer verstellbaren Lenksäule fü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780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268B2 (en) Telescoping-til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6065940B2 (ja) アウタコラムおよび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9283982B2 (en) Steering column
US20170008547A1 (en) Steering System
US10202139B2 (en) Steering system
JP2007168708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7125047B2 (en) Shock absorbing steering column of low tilt type
JP468345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20263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80096227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90113283A (ko) 스티어링 칼럼
JP2015098256A (ja) ランプの取付構造
KR102093228B1 (ko) 스티어링 컬럼
JP500752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4577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2538797B1 (ko) 스티어링 칼럼
JP201715455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30340563A1 (en) Neutral position locking apparatus and rear wheel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524753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3788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46755B1 (ko) 조향 컬럼
JP640602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102464179B1 (ko) 스티어링 칼럼
KR20100020600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10005019A (ko) 차량 조향 장치용 스티어링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