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246A -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246A
KR20190113246A KR1020180035670A KR20180035670A KR20190113246A KR 20190113246 A KR20190113246 A KR 20190113246A KR 1020180035670 A KR1020180035670 A KR 1020180035670A KR 20180035670 A KR20180035670 A KR 20180035670A KR 20190113246 A KR20190113246 A KR 2019011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worker
loc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권
김태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Priority to KR102018003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3246A/ko
Publication of KR2019011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장소의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환경 정보에 의해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착용한 눈 보호구에 광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위험을 표시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및 발생 가능성을 알리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Visual alert system and method using eye shield}
본 발명은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장소의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환경 정보에 의해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착용한 눈 보호구에 광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위험을 표시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및 발생 가능성을 알리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생계유지를 위해 위험한 장소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직업들이 있다. 이러한 직업들로는 화재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해야 하는 소방관, 위험한 범죄자와 추적 및 격투를 벌여야 하는 경찰관, 다양한 위험 장비 및 작업으로 인한 자재의 낙하 등과 같은 위험이 있는 건설 현장에서 근무하는 노동 근로자 등이 있을 것이다.
소방관, 건설현장 작업자 등과 같은 위험한 장소에서 근무하는 위험 근로자인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작업자 본인 스스로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되는 자가 위험과, 작업 현장의 시설, 장비, 상황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현장 위험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자가 위험은 작업자 본인 스스로가 주의하는 방법 밖에는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 것이다.
현장 위험 또한 작업자가 지속적인 현장의 상황을 파악한다면 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라나 작업에 열중하고 있는 작업자들이 현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일에 열중하면서도 자신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위험상황의 발생 시 해당 작업자들에게 위험을 알려줄 수 있는 위험 알림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38007호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이하 "선행특허"라 함)는 위험 지역에 설치되어 위험지역으로 진입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고, 작업자의 감지 시 경보를 발생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위험 장소마다 고정된 작업자 감지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고정된 위험 장소에 대해서만 경고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요소(시설, 장비, 현장 상황(예: 화재의 번짐 등) 등)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선행특허 및 일반적인 경보 시스템은 위험 발생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므로 위험 위치에 있지 않은 작업자에게까지 영향을 주어 전체 작업을 지연시키거나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38007호(1999.10.12.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장소의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작업환경 정보에 의해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착용한 눈 보호구에 광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위험을 표시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 및 발생 가능성을 알리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은: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 작업자의 위치정보인 작업자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들로부터 작업 환경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작업 환경 정보에 대한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및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경우 위험위치를 결정하고, 위험위치에 대응하는 작업자를 상기 작업자 위치정보에 의해 검색한 후, 검색된 작업자에 대한 위험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관리 서버; 및 눈 보호렌즈, 및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른 작업자별 작업자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추적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위험여부를 상기 눈 보호렌즈에 표시하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의 눈에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눈 보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 보호구는, 상기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헬멧; 상기 눈 보호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눈 보호렌즈에 의해 눈을 보호하도록 상기 안전헬멧에 연결되어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에 따른 위험 여부를 상기 눈 보호렌즈에 표시하는 시각 위험 표시부; 및 상기 안전헬멧의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는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헬멧은, 양 측면에 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는,
상기 안전헬멧의 수 연결부재에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전헬멧의 수 연결 부재 및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의 암 연결부재는 전기적으로 슬립링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각 위험 표시부는, 상기 눈 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양측 눈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눈 보호 프레임; 상기 눈 보호 프레임에 결속되어 상기 작업자의 양측 눈을 보호하는 상기 눈 보호 렌즈; 및 상기 눈 보호 프레임의 양측 끝부에 구성되는 상기 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눈 보호 렌즈에 위험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는, 상기 눈 보호 프레임의 상기 눈 보호 렌즈가 결속되는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눈 보호 렌즈의 내부를 따라 위험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른 작업자별 작업자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추적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위험여부를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에 표시시키는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시 적색의 광을 출력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되,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황색의 광을 출력하는 RGB 컬러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안전 상태이면 파란색의 광을 출력하는 그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시 적색의 광을 출력하고,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되,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황색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안전 상태이면 파란색의 광을 출력하는 RGB 컬러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는,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 각각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GPS 모듈;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광원부로 상기 위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및 주기적으로 상기 GPS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위치데이터에 의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주변의 상기 통신부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에 따른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와이파이망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한 와아파이망에 기반한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은: 위험 관리 서버가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들로부터 작업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있는 작업자의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 위험 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과정; 및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는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부터의 위험 통지 정보 수신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착용한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에 위험 여부를 표시하는 위험 여부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과정은,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가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 작업환경 모니터링부가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의 발생에 따른 작업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위험 작업환경정보 전송단계; 위험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부터 각 작업자의 작업자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 상기 위험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환경 모니터링부로부터 작업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단계: 상기 위험 관리 서버가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위치를 판단하고, 추적되는 작업자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된 위험위치의 일정 범위 내의 위치에 있는 작업자를 추출하는 위험 작업자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험 작업자들의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 위험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GPS 모듈을 통해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수신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 각각의 위치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현재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 및 위기상황 알림부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자 위치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셋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가각의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신호 수신단계;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적어도 셋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 및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현재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 및 위기상황 알림부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작업자 위치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환경정보 전송단계의 작업환경 모니터링부가 작업환경 정보를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 여부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 위기 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 단계;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현재 작업 상황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의 측면에 구성되는 광원을 통해 상기 보호렌즈에 안전을 의미하는 색의 광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안전 표시 단계; 및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현재 작업 상황이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위험레벨을 판단한 후,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의 측면에 구성되는 광원을 통해 상기 보호렌즈에 위험 레벨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위험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험 요소들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장 상황 정보에 따른 위험 위치를 판단하며 판단된 위험위치에 있는 작업자들에게 사전에 위험을 통지하므로, 위험위치의 작업자들이 빠르게 위험위치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들이 쓰고 있는 눈 보호구를 통해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므로 즉각적으로 위험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눈 보호구에 위험을 표시하므로 눈 보호구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눈 보호구의 렌즈 영역 중 시야가 방해되지 않는 위치를 횡단하는 도파관이 형성되므로 광원부에서 도파관으로 조사되는 위험여부를 표시하는 빛이 작업자의 시선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자가 정확하게 위험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에 적용되는 눈 보호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 보호구의 위험 지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중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에서의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에 적용되는 눈 보호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 보호구의 위험 지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은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가 구성되는 눈 보호구(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 및 위험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눈 보호구(1)의 작업자 위기 상황 알림부(100),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 위험 관리 서버(5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수시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망일 것이다.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위험 요소는 화재현장의 불, 강의 물, 건설현장의 크레인, 크레인에 의한 자재, 트럭 등의 각종 장비, 시설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작업 환경 정보는 불의 이동(번짐 경로-위치정보), 물의 수위, 물의 범람 위치, 크레인의 이동방향(위치 포함), 트럭의 이동방향, 지게차의 이동방향, 자재의 이동방향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상기 위험 요소의 관리자들이 소유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장비 및 시설에 구비되어 주기적으로 장비 및 시설의 위치, 이동 방향, 회전방향 등의 작업 환경 정보를 자동 획득하여 전송하는 전용의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눈 보호구(1)에 포함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면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되는 작업자 위치에 대한 작업자 위치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위험 관리 서버(500)로부터의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위험 여부를 눈 보호구(1)의 눈 보호렌즈(23)에 표시한다.
눈 보호구(1)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안전헬멧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안경 형태(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눈 보호구(1)는 상기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헬멧(10), 상기 눈 보호렌즈(23)를 포함하고 상기 눈 보호렌즈에 의해 눈을 보호하도록 상기 안전헬멧에 연결되어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에 따른 위험 여부를 상기 눈 보호렌즈(23)에 표시하는 시각 위험 표시부(20) 및 상기 안전헬멧(10)의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는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헬멧(10)은 양 측면에 수 연결 부재(11)를 구비하고,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20)는 상기 안전헬멧(10)의 수 연결부재(11)에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암 연결부재(21)를 구비한다.
상기 안전헬멧(10)에 구성되는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 및 시각 위험 표시부(20)에 구성되는 광원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안전헬멧(10)의 수 연결 부재(11) 및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20)의 암 연결부재(21)는 슬립링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눈 보호구(1)를 착용한 작업자의 양측 눈이 포함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눈 보호 프레임(22), 상기 눈 보호 프레임(22)에 결속되어 상기 작업자의 양측 눈을 보호하는 상기 눈 보호렌즈(23) 및 상기 눈 보호 프레임(22)의 양측 끝부에 구성되는 상기 암 연결부재(21)를 포함하여, 상기 눈 보호 프레임(22) 및 눈 보호렌즈(23)의 경계에 구성되는 광원부(300)에 의해 상기 눈 보호렌즈(23)에 위험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눈 보호렌즈(23)는 내부에 상기 서로 다른 색의 광이 일정 경로를 따라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광 도파로(미도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 및 광원부(300)를 포함한다.
광원부(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컬러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R(적색-위험) 발광다이오드, 컬러 발광다이오드(황색-다소 위험을 표시), 및 G(녹색-안전) 발광다이오드 및 B(청색-안전) 발광다이오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눈 보호렌즈(23) 및 눈 보호 프레임(22)이 접하는 경계부분의 눈 보호렌즈(23)에 구성되되, 양 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시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광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경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눈 보호렌즈(23)에 세 개의 광 표시 라인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는 안전헬멧(10)의 위치, 즉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미리 저장하고 있는 고유의 식별정보와 상기 측정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고, 위험 관리 서버(500)로부터 위험 통지 정보를 수신받고, 광원부(300)를 제어하여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 및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한 작업 상황 정보를 눈 보호렌즈(23)에 표시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100)은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 및 광원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는 제어부(210), 저장부(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 구동부(240) 및 GPS 모듈(25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의 다른 구성들을 먼저 설명한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작업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인 위치추적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23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의 와이파이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231)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600)에 접속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2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하나의 컬러 발광다이오드(적석, 황색, 녹색) 또는 적색(위험), 황색(다소 위험), 녹색(안전) 세 개의 색을 각각 조사하기 위한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레드 발광다이오드, 컬러 발광다이오드, 녹색 및 청색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광원부(300)로 공급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위치확인시스템) 모듈(25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입력부(260)는 작업자가 눈 보호렌즈(23)에 표시되는 광을 오프시키기 위한 위험 표시 광 오프버튼 등을 포함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위치 추적부(211), 위치 통지부(212), 위험 판단부(213), 위험 경보부(214)를 포함하여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추적부(211)는 GPS 모듈(250)로부터 위치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여 GPS 위성들로부터의 GPS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GPS 신호의 수신 시 GPS 모듈(250)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위치데이터에 의해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며 통신부(230)의 근거리 통신부(231) 및 원거리 통신부(2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231) 및 원거리 통신부(232)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한 현재 위치 계산 방법 자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통지부(212)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 및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
위험판단부(213)는 상기 위치 통지부(212)를 통한 위치 통지 정보의 송신 후 통신부(230)를 통해 위험 관리 서버(500)로부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현재 위치에 대한 작업 상황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위험 통지 정보에 포함된 위험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줄 레벨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높으면 위험으로 결정하고, 위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다소 위험으로 결정한다.
위험 경보부(214)는 위험판단부(213)에서 결정된 위험 발생 여부 및 위험 발생 가능성 정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위험 발생 여부 및 위험 발생 레벨에 따른 색의 광을 눈 보호구(1)의 시각 위험 표시부(20)의 눈 보호렌즈(23)로 조사한다. 이때의 광은 눈 보호렌즈(23)의 내부를 통해 전파될 것이다.
위험 경보부(214)는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 및 위험 통지 정보에 포함된 위험 레벨에 따른 광의 조사 중 위험 입력부(260)로부터 표시 광 오프버튼이 눌리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40)를 오프하여 광의 조사를 오프시킨다.
그러나 위험 경보부(214)는 표시 광 오프버튼이 눌렸을 때 현재 작업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작업자가 위험위치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 위험위치를 벗어났으면 눈 보호렌즈에 표시되는 광을 오프시키고, 위험위치를 벗어나지 못했으면 표시 광 오프버튼의 눌림을 무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안전한 경우에도 위험 경보부(214)가 녹색 또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조사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안전한 경우에는 광을 조사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는 해당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위험 요소 자체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의 지게차의 운전자일 수 있으며, 상기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이 될 수 있고, 지게차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환경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작업개시를 요청하는 경우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가 지게차에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지게차의 시동이 감지되는 경우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면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작업환경 정보를 획득한(S113) 후,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115). 상기 작업환경 정보는 해당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위험 요소 자체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예의 경우, 지게차 운전자가 작업환경 정보인 직접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 경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의 경우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는 시동 후 지게차의 위치추적에 의한 이동방향을 정보를 작업환경 정보로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 관리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400)로부터 작업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이전의 정보를 갱신한다(S117).
그리고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작업자가 눈 보호구(1)를 착용하면 위치추적을 개시하고(S119), 추적되는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121).
위치 통지 정보를 수신한 위험 관리 서버(500)는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작업자의 위치에 대해 상기 저장된 작업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위험 작업 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23).
위험 작업 요소가 있으면 위험 관리 서버(500)는 위험 통지 정보를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로 전송한다(S125).
상기 위험 통지 정보를 수신한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위험 통지 정보에 대응하는 색의 광을 눈 보호렌즈(23)에 표시한다(S127).
위험 관리 서버(500)는 위험 통지 정보의 전송 후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작업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가 있던 위치에 대한 위험 작업 요소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29), 위험 요소가 해제되면 위험 해제 통지 정보를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로 전송한다(S131).
위험 해제 통지 정보를 수신한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광원부(300)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하여 위험 표시를 오프시킨다(S133).
만일, 작업자가 입력부(260)를 조작하여 위험 표시를 사전에 오프시킨 경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는 안전을 표시하는 색(녹색 또는 청색)을 눈 보호렌즈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중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에서의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100)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200)의 제어부(210)는 위기상황 알림 유닛인 눈 보호구(1)가 착용되는지를 검사한다(S211). 상기 눈 보호구(1)의 착용 여부는 별도의 센서 구성하여 감지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착용 시 입력부(260)의 버튼을 누르도록 하여 눈 보호구(1)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눈 보호구(1)의 착용이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GPS 모듈(250) 및 통신부(2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기 시작한다(S213).
작업자의 위치가 추적되기 시작하면 제어부(210)는 추적되는 위치정보 및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215).
상기 위치 통지 정보의 전송 후 제어부(210)는 통신부(230)를 통해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217).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10)는 녹색 광을 눈 보호렌즈(23)에 표시한다(S219).
반면,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을 추출하고(S221), 추출된 위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23).
판단결과 위험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하면 제어부(210)는 적색의 광을 눈 보로렌즈(23)에 표시하고(S227), 위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면 황색의 광을 눈 보호렌즈(23)에 표시한다(S229). 여기서는 하나의 기준레벨과 비교하였으나, 복수의 기준레벨을 두어 위험정도를 더 세분화시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최고 위험 레벨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적색, 황색, 청색을 번갈아 표시하여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험 레벨에 따른 색의 광이 표시되면 제어부(210)는 입력부(260)를 통해 광 표시의 해제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31).
표시 해제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부(210)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참조하여 작업자가 위험 위치를 벗어났는지, 이니면 위험 관리 서버(500)로부터 위험 해제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른 위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S233).
위험이 해제되었으면 제어부(210)는 광 표시를 오프하거나 청색의 광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였다가 오프시킨다(S23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눈 보호구 2: 광(빛)
10: 안전헬멧 11: 수 연결부재
20: 시각 위험 표시부 21: 암 연결부재
22: 눈 보호 프레임 23: 눈 보호렌즈
100: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 200: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
210: 제어부 211: 위치 추적부
212: 위치 통지부 213: 위험 판단부
214: 위험 경보부 220: 저장부
230: 통신부 231: 근거리 통신부
232: 원거리 통신부 240: 디스플레이 구동부
250: GPS 모듈 260: 입력부
300: 광원부 400: 작업 환경 모니터링부
500: 위험 관리 서버 600: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Claims (15)

  1. 위험 요소에 대한 작업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
    작업자의 위치정보인 작업자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작업 환경 모니터링 단말부들로부터 작업 환경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작업 환경 정보에 대한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및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을 경우 위험위치를 결정하고, 위험위치에 대응하는 작업자를 상기 작업자 위치정보에 의해 검색한 후, 검색된 작업자에 대한 위험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관리 서버; 및
    눈 보호렌즈, 및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른 작업자별 작업자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추적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위험여부를 상기 눈 보호렌즈에 표시하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자의 눈에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눈 보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 보호구는,
    상기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헬멧;
    상기 눈 보호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눈 보호렌즈에 의해 눈을 보호하도록 상기 안전헬멧에 연결되어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에 따른 위험 여부를 상기 눈 보호렌즈에 표시하는 시각 위험 표시부; 및
    상기 안전헬멧의 임의의 위치에 구성되는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안전헬멧은,
    양 측면에 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는,
    상기 안전헬멧의 수 연결부재에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전헬멧의 수 연결 부재 및 상기 시각 위험 표시부의 암 연결부재는 전기적으로 슬립링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시각 위험 표시부는,
    상기 눈 보호구를 착용한 작업자의 양측 눈이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눈 보호 프레임;
    상기 눈 보호 프레임에 결속되어 상기 작업자의 양측 눈을 보호하는 상기 눈 보호 렌즈; 및
    상기 눈 보호 프레임의 양측 끝부에 구성되는 상기 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눈 보호 렌즈에 위험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는,
    상기 눈 보호 프레임의 상기 눈 보호 렌즈가 결속되는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눈 보호 렌즈의 내부를 따라 위험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른 작업자별 작업자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추적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험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위험여부를 상기 광원부를 통해 상기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에 표시시키는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시 적색의 광을 출력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되,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황색의 광을 출력하는 RGB 컬러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안전 상태이면 파란색의 광을 출력하는 그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시 적색의 광을 출력하고,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되, 상기 위험 통지 정보의 위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황색의 광을 출력하며, 상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안전 상태이면 파란색의 광을 출력하는 RGB 컬러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는,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 각각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GPS 모듈;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광원부로 상기 위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른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 및
    주기적으로 상기 GPS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위치데이터에 의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주변의 상기 통신부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에 따른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원거리 통신부를 통해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와이파이망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한 와아파이망에 기반한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10. 위험 관리 서버가 작업환경 모니터링 단말부들로부터 작업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있는 작업자의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 위험 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과정; 및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는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부터의 위험 통지 정보 수신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착용한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에 위험 여부를 표시하는 위험 여부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과정은,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가 작업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
    작업환경 모니터링부가 위험 작업 개시 이벤트의 발생에 따른 작업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위험 작업환경정보 전송단계;
    위험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부터 각 작업자의 작업자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단계;
    상기 위험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환경 모니터링부로부터 작업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위험 요소에 의한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위험 발생 가능성 판단 단계:
    상기 위험 관리 서버가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위험위치를 판단하고, 추적되는 작업자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된 위험위치의 일정 범위 내의 위치에 있는 작업자를 추출하는 위험 작업자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험 작업자들의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로 위험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위험 통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GPS 모듈을 통해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수신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 각각의 위치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현재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 및 위기상황 알림부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작업자 위치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위치 통지 단계는,
    작업자 위기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셋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가각의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신호 수신단계;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적어도 셋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 및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현재 위치 계산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현재 위치 및 위기상황 알림부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위치정보를 위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자 위치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환경정보 전송단계의 작업환경 모니터링부가 작업환경 정보를 위험 요소를 관리하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여부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 위기 상황 알림부의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상기 위험 관리 서버로부터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 단계;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현재 작업 상황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여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의 측면에 구성되는 광원을 통해 상기 보호렌즈에 안전을 의미하는 색의 광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안전 표시 단계; 및
    위험 통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기상황 관리 단말부가 현재 작업 상황이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위험레벨을 판단한 후, 눈 보호구의 눈 보호렌즈의 측면에 구성되는 광원을 통해 상기 보호렌즈에 위험 레벨에 따른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여 표시하는 위험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방법.
KR1020180035670A 2018-03-28 2018-03-28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3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70A KR20190113246A (ko) 2018-03-28 2018-03-28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70A KR20190113246A (ko) 2018-03-28 2018-03-28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46A true KR20190113246A (ko) 2019-10-08

Family

ID=6820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70A KR20190113246A (ko) 2018-03-28 2018-03-28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32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07B1 (ko) 1997-12-03 2000-01-15 김헌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007B1 (ko) 1997-12-03 2000-01-15 김헌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0582A4 (en) A computerised tracking and proximit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personnel, plant and equipment operating both above and below the ground or their movement therebetween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948151B1 (ko)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1976954B1 (ko)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20170055370A (ko)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KR101984302B1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CN109828514A (zh) 一种移动风险源监控系统
CN102092640B (zh) 起重机的安全监控装置、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起重机
KR20170115937A (ko) 건설안전 시스템
CA2851066A1 (en) Improving safety on sites with movable objects
GB2578751A (en) Railway trackside worker safety system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US9214076B2 (en) Firefighter'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CN11194896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工地危险源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10133071A (ko)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CN109791720B (zh) 可穿戴设备及包括其的监控系统
CN112729229B (zh) 一种电力作业人员登高监测方法和系统
KR20210155243A (ko)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KR20190113246A (ko)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101448809B1 (ko)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CN111243227A (zh)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