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037A - 의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037A
KR20190113037A KR1020180035168A KR20180035168A KR20190113037A KR 20190113037 A KR20190113037 A KR 20190113037A KR 1020180035168 A KR1020180035168 A KR 1020180035168A KR 20180035168 A KR20180035168 A KR 20180035168A KR 20190113037 A KR20190113037 A KR 20190113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hot air
steam
processing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911B1 (ko
Inventor
정찬수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 filed Critical 안현
Priority to KR102018003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처리로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와 먼지를 제거하고, 열풍으로 건조하여 의류를 물로 세탁하지 않고서도 새옷처럼 관리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개폐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함;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걸림봉;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걸림봉 흔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 장치{A APPARATUS FOR MANAGING THE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처리로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와 먼지를 제거하고, 열풍으로 건조하여 의류를 물로 세탁하지 않고서도 새옷처럼 관리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조회사에서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작업복은 매일 착용해야 하는 의류임에도 불구하고 매일 세탁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작업 중에 기름이나 먼지 등이 많이 묻거나 부착될 수 있는 작업 환경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구입한지 얼마 안되는 작업복을 관리 부실로 인하여 폐기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잦은 야외훈련을 수행하는 군대나 이와 유사한 직종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여 많은 비용과 예산을 낭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 관리 장치는 소량의 개인 의류에 대하여 단순하게 스팀 관리 등의 관리만을 장시간을 소비하면서 수행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여 전술한 제조회사나 군대 등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량의 의류에 대하여 스팀 처리로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와 먼지를 제거하고, 열풍으로 건조하여 의류를 물로 세탁하지 않고서도 새 옷처럼 관리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개폐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함;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걸림봉;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걸림봉 흔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분사부는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면을 이루며, 다수개의 스팀 분사공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스팀 분사판; 상기 스팀 분사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 분사판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봉 흔듬부는, 상기 걸림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을 관통한 상태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 상기 상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봉의 좌우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연결봉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 분사부는,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측 모서리들 중 하나의 모서리 전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측 사선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 노즐; 상기 열풍 분사 노즐의 전 영역에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류 처리함은, 전방이 개방된 금속제 사각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방된 전방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분사판은, 중앙 부분에는 상기 스팀 분사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 분사판은 장변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에서, 상기 스팀 분사판의 하측에는 중앙에 상기 스팀 발생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을 가지고 중앙 부분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반사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 배출부는, 상기 상판의 중앙 부분에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기체 흡입부; 상기 기체 흡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체 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의 기체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좌우 이동 구동부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되어 설치되는 캠부; 상기 캠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풍 공급부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 발생부; 상기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한 열풍을 상기 열풍 공급 노즐 보다 작은 폭으로 수렴하도록 전달하는 수렴 전달부; 상기 수렴 전달부의 말단과 상기 열풍 공급 노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렴 전달부에 의하여 수렴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켜 공급하는 확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렴 전달부는, 상기 확산 공급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기립판; 상기 기립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 상기 기립판과 경사판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류 관리 장치에 따르면 다량의 의류에 대하여 스팀 처리로 의류에 배어있는 냄새와 먼지를 제거하고, 열풍으로 건조하여 의류를 물로 세탁하지 않고서도 새옷처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봉 흔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 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 분사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에서의 열풍의 이동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함(100), 스팀 분사부(200), 걸림봉(300), 기체 배출부(400), 걸림봉 흔듬부(500) 및 열풍 분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의류 처리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통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외부에 차단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의류 처리함(100)에는 전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개방됨과 동시에 이를 개폐하는 도어(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도어(120)는 상기 의류 처리함(100)과 동일하게 금속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의류 처리함 내부에서 처리되는 의류들의 균일한 처리를 유도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 등을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후술하는 걸림봉(300)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 LE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면은 자외선을 전부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팀 분사부(2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스팀 분사부(200)는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에 걸리는 의류들에 스틈이 스며들게 하여, 의류에 배어 있는 냄새와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분사부(200)는 구체적으로 스팀 분사판(210), 스팀 분사부(220) 및 확산 반사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팀 분사판(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하면을 이루며, 다수개의 스팀 분사공(212)이 균일하게 형성되며, 최종적으로 스팀을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로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 분사판(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는 상기 스팀 분사공(212)이 형성되지 아니한 반사부(214)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 분사판(210)은 장변의 중앙 부분(216)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이 하측으로 접혀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부(214)는 상기 스팀 발생부(220)에 위하여 발생되는 스팀이 최초로 분사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최초로 분사되는 스팀을 하측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확산시킨다. 이때 상기 스팀 분사판(210)이 장변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더욱 균일한 확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팀 발생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 분사판(2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 분사판(210)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 발생부(2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222)와 이렇게 발생된 스팀을 상기 스팀 분사판 중앙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관(2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 발생부기에(222) 공급되는 물에 특정한 향료를 첨가하면 이 향료가 스팀에 첨가되어 특정한 향을 가지는 스팀을 만들어서 의류에 스미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 반사판(230)은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 분사판(2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스팀 발생부(220)가 설치되는 설치공(232)을 가지고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가장자리 부분(234)이 상측으로 형상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확산반사판(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214)에 의하여 1차 반사된 스팀이 다시 반사되어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되, 상기 스팀 분사판(210)과 함께 일정한 확산 공간을 만들어서 스팀이 더욱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봉(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봉(300)은 단순하게 원형봉이나 각형 봉 형상을 가져서 의류가 옷걸이에 걸린 상태에서 거치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다만, 다수개의 의류가 걸림봉(30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300)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흔드는 과정이 실행되므로, 이 과정에서 의류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봉(3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간격 유지홈(도면에 미도시)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배출부(4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판(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체 배출부(400)는 상기 스팀 분사부(200)에 분사되는 스팀이 의류를 통과하면서 함께 배출되는 냄새 유발 물질과 먼지 등을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과정에서 함께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체 배출부(400)는 구체적으로 기체 흡입부(410)와 배출 펌프(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체 흡입부(410)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0)의 중앙 부분에 상기 상판(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의류 처리함(100) 내부의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 펌프(420)는 상기 기체 흡입부(4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체 흡입부(410)를 통하여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의 기체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이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봉 흔듬부(5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300)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걸림봉 흔듬부(500)는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봉(300)을 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걸림봉(300)에 걸려있는 의류들 사이사이로 스팀이나 열풍이 균일하게 진입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봉 흔듬부(500)를 구체적으로 연결봉(510), 안내부(520) 및 좌우이동 구동부(5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봉(510)은 상기 걸림봉(3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판(110)을 관통한 상태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30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520)는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봉(510)의 좌우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안내부(520)도 상기 연결봉(510)과 마찬가지로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 구동부(540)는 상기 안내부(520)를 따라 상기 연결봉(51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좌우 반복 이동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 이동 구동부(54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42), 캠부(546) 및 크랭크부(548)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542)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회전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캠부(546)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544)에 편심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함께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크랭크부(5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546)에 일단이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모터(542)와 캠부(546)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좌우 왕복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물론 상기 크랭크부(548)의 타단은 상기 연결봉(51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봉(510)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 분사부(600)는 도 3,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상기 열풍 분사부(600)는 열풍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확산된 상태로 전영역에 걸쳐서 이동되도록 분사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풍 분사부(600)는 구체적으로 열풍 분사 노즐(610), 열풍 발생부(620), 수렴 전달부(630) 및 확산 공급부(6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열풍 분사 노즐(6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함(100)의 하측 모서리들 중 하나의 모서리 전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측 사선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열풍 분사 노즐(610)에 의하여 상측 사선 방향으로 분사되는 열풍은 다시 사선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의류 처리함(100) 내부의 모든 공간을 거쳐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 발생부(6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며, 상기 수렴 전달부(6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 발생부(620)에서 발생한 열풍을 작은 폭으로 수렴하도록 만들어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수렴 전달부(630)에 의하여 작은 폭으로 수렴되는 열풍은 연속되는 상기 확산 공급부(640)에 이르러서 강하게 확산되는 현상을 만든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렴 전달부(630)는 구체적으로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판(632), 경사판(634) 및 차단판(6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립판(632)은 상기 확산 공급부(640)와 동일한 방향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기립판(632)에 의하여 상기 확산 공급부(640) 방향으로 열풍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63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판(632)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열풍 발생부(620)에 발생한 열풍을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636)은 상기 기립판(632)과 경사판(634)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기립판(632)과 경사판(63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열풍의 외부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 공급부(640)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렴 전달부(630)의 말단과 상기 열풍 공급 노즐(6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렴 전달부(630)에 의하여 수렴되어 공급되는 열풍을 확산시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확산 공급부(640)는 좁은 폭은 가지는 상기 열풍 발생부(620)의하여 발생된 열풍을 그대로 넓은 폭은 가지는 열풍 분사 노즐(610)로 공급했을 경우에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렴 전달부(630)에 이어지는 확산 공급부(640) 구조에 의하여 상기 열풍 분사 노즐(610)의 전 영역으로 열풍이 강하게 확산되어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
100 : 의류 처리함 200 : 스팀 분사부
300 : 걸림봉 400 : 기체 배출부
500 : 걸림봉 흔듬부 600 : 열풍 분사부

Claims (5)

  1. 개폐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함;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의류가 걸리는 걸림봉;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 배출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걸림봉 흔듬부;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 처리함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부는,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면을 이루며, 다수개의 스팀 분사공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스팀 분사판;
    상기 스팀 분사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 분사판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 흔듬부는,
    상기 걸림봉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판을 관통한 상태로 기립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
    상기 상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봉의 좌우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상기 연결봉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분사부는,
    상기 의류 처리함의 하측 모서리들 중 하나의 모서리 전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측 사선 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 노즐;
    상기 열풍 분사 노즐의 전 영역에 균일하게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판은,
    중앙 부분에는 상기 스팀 분사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 분사판은 장변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 장치.
KR1020180035168A 2018-03-27 2018-03-27 의류 관리 장치 KR10205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68A KR102059911B1 (ko) 2018-03-27 2018-03-27 의류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68A KR102059911B1 (ko) 2018-03-27 2018-03-27 의류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37A true KR20190113037A (ko) 2019-10-08
KR102059911B1 KR102059911B1 (ko) 2019-12-27

Family

ID=6820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168A KR102059911B1 (ko) 2018-03-27 2018-03-27 의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389B2 (ja) * 1998-03-31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寝具類乾燥機
KR2008000185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EP2107148A1 (en) * 2008-04-01 2009-10-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608655B1 (ko) * 2009-09-29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8389B2 (ja) * 1998-03-31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寝具類乾燥機
KR2008000185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EP2107148A1 (en) * 2008-04-01 2009-10-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608655B1 (ko) * 2009-09-29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911B1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073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US3672188A (en) Washing machine
KR20100022800A (ko) 의류 처리 장치
US20200040504A1 (en)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49276Y1 (ko) 다기능 식품 세척기
KR101525569B1 (ko) 의류 처리 장치
EP1923499B1 (en) Nozzle and additive supply arrangement for a textiles treatment apparatus
KR102599880B1 (ko) 의류처리기기
KR2009011501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30987A (ko) 세탁물 처리방법
ATE343010T1 (d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behandlung einer textilen warenbahn mit dampf zum fixieren von reaktivfarbstoff auf nativen fasern
CN106540295A (zh) 一种毛绒玩具快速消毒干燥装置
KR20130026835A (ko) 휴대용 의류 처리 장치
KR102059911B1 (ko) 의류 관리 장치
KR20110091085A (ko) 축사용 자동 방역 장치
JP2004503689A5 (ko)
KR20110048343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9005260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83515B1 (ko) 식기세척기용 분사구조체
CN108049104A (zh) 新型蒸汽洗衣机
KR101833897B1 (ko) 의류 염색 장치
KR20180083740A (ko) 의류 처리 장치
CN110144687A (zh) 塔式智能衣物悬挂洁净护理烘干一体机
KR102370643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DE502004007171D1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sprühkanälen in geschir rspül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