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880B1 - 의류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의류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880B1
KR102599880B1 KR1020160101980A KR20160101980A KR102599880B1 KR 102599880 B1 KR102599880 B1 KR 102599880B1 KR 1020160101980 A KR1020160101980 A KR 1020160101980A KR 20160101980 A KR20160101980 A KR 20160101980A KR 102599880 B1 KR102599880 B1 KR 102599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nit
spray
suc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716A (ko
Inventor
조황묵
서응렬
이건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880B1/ko
Priority to PCT/KR2017/008226 priority patent/WO2018030692A1/ko
Priority to CN201780049166.4A priority patent/CN109563668B/zh
Priority to EP17839710.5A priority patent/EP3473762B1/en
Priority to US16/324,363 priority patent/US11168426B2/en
Publication of KR2018001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처리기기는 캐비닛,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며, 캐비닛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닛,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구성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의류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효과적으로 리프레쉬할 수 있는 의류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기기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세탁을 완료한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의류의 탈취나 구김제거등을 위한 의류관리기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에는 공기, 열풍 또는 스팀을 의류에 분사하여 의류의 주름을 피거나, 탈취를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관리기로부터 이탈된 오염물들이 그 내부에서 순환되어 다시 의류로 흡착하게 되어, 의류의 리프레쉬라는 관점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류관리장치의 구조가 개선된 의류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류의 전 범위에 대해 오염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류처리기기 내부가 오염되지 않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기기는 캐비닛;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구성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의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호간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2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1 흡입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과 대칭되게 배치되되 제 2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2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사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은, 상기 제 2 분사유닛과,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분사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유닛은,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되, 하방으로 치우치게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의류를 거친 후 흡입될 수 있도록, 의류를 향하되 상방으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그 내부에 상기 필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나는 흡입유로를 갖고, 상기 필터부가 배치되는 흡입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그 내부에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분사유로를 갖고,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되는 분사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형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프리필터(pre Filter), 헤파필터(Hepa Filter),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 Filter), 광촉매필터(Photo-catalyst Fil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하고, 상기 필터부로 흡입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β라 할 때, 상기 α와 β는 모두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 상기 분사유닛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공기순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 사이에서,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로를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의 길이방향에 대한 일단과, 상기 일단의 타측인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레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관리장치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오염물을 흡입하도록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기기는 캐비닛;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타격하고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분사유닛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키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 사이에 마련되는 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 공기순환장치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파지가능하도록 핸들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관리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의류에 대해 리프레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관리장치를 이동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어서, 의류의 전 범위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처리기기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서 의류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에서의 의류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의류처리기기(1)는 캐비닛(10)과 의류관리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그 내부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캐비닛(10)의 일측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해 개구(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14)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6)는 캐비닛(1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16)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도어암(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암(18)은 캐비닛(10)의 내측면과 사이에 슬라이딩유닛이 구비되어, 도어(16)가 캐비닛(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암(18)에는 의류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의류거치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6)의 일측에는 도어(16)를 동작시키기 위해 파지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손잡이(17)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에 대해 도어(16)가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일례로 도어(16)는 캐비닛(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개구(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의류거치대(20)는 캐비닛(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에 형성되는 개구(14)와 도어(16)는, 의류를 캐비닛(1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거나, 의류에 발생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의 단면도이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에 공기, 열풍 또는 스팀등을 분사하여, 의류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설명의 편의상 의류관리장치(100)로부터 분사되는 것은 공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의류관리장치(100)에 히터 또는 스팀발생기를 추가하여 의류관리장치(100)로부터 공기 뿐만 아니라 열풍 또는 스팀등도 분사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110)은 의류(102)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의류를 타격하여, 의류에 흡착된 오염물 또는 먼지등을 털어내며, 의류의 주름을 펴도록 마련된다.
흡입유닛(120)은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흡입유닛(120)은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유닛(120)은 분사유닛(110)과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102)에 부딪친 후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과,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의류에 대해 반사각을 형성하도록 의류관리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어 의류를 타격하여 오염물 또는 먼지가 섞이게 된 공기가 바로 흡입유닛(120)으로 흡입 될 수 있어서, 캐비닛(10)의 내부를 재차 더럽히지 않을 수 있다.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의류관리장치(100)가 제 1 방향(W1)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때, 의류관리장치(100)의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은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의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은 각각 한 쌍이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 사이에는 의류가 위치하도록 처리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사유닛(110)과 한 쌍의 흡입유닛(120)은, 처리공간(140)을 사이에 두고, 처리공간(140)의 양측에서 상호간에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의류의 일면과,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대해 동시에 오염처리 또는 주름을 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의 일측에만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이 위치하도록 의류관리장치(100)는 하나의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관리장치(100)는 복수개의 분사유닛(110)과, 복수의 분사유닛(11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흡입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분사유닛(110)들과, 흡입유닛(120)들 사이에 형성하는 복수의 처리공간(140)에서 복수의 의류를 동시에 작업을 할 수 있다.
분사유닛(110)은 분사프레임(112)과 분사노즐(116)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프레임(112)은 그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분사유로(114)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사노즐(116)은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116)은 분사프레임(112)에 형성되어, 분사유로(114)를 유동하는 공기가 분사노즐(116)을 통해 분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116)은 분사방향이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116)로부터의 분사방향은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되되, 하방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분사유닛(110)의 하부에 위치한 흡입유닛(120)으로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분사노즐(116)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할 때, α는 예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116)은 분사프레임(11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분사노즐(116)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사노즐(116)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분사노즐(116) 구성의 목적을 만족한다.
흡입유닛(120)은 흡입프레임(122)과 필터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프레임(122)은 그 내부에 흡입프레임(12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124)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프레임(122)과 분사프레임(112)은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흡입프레임(122)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해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개방된 일측이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필터부(128)로의 흡입방향은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되되, 상방으로 치우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유닛(120)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의류를 거쳐 효율적으로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필터부(128)로 흡입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β라 할 때, β는 예각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흡입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는 프레임개구(126)에 삽입될 수 있다. 필터부(128)는 교체 장착을 위해 흡입프레임(122)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128)는 흡입프레임(12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부(128)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일례로 프리필터(pre Filter), 헤파필터(Hepa Filter),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 Filter), 광촉매필터(Photo-catalyst Fil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흡입유닛(120)은 분사유닛(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유닛(120)은 분사유닛(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분사노즐(116)로부터의 분사방향은 의류를 향하되, 상방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되고, 필터부(128)로의 흡입방향은 의류를 향하되, 하방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이후 설명하는 이동유닛(160)에 의해 제 1 방향(W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데, 이 때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 또한 함께 이동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이 상호간에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한 쌍의 분사유닛(110) 또는 한 쌍의 흡입유닛(120) 사이에는, 양 구성의 거리 또는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양 구성을 연결하는 지지부재(118, 도 4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18)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한 쌍의 분사유닛(110)의 일측 단부에서, 양 구성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흡입유닛(120)을 연결하거나, 한 쌍의 분사유닛(110), 한 쌍의 흡입유닛(120) 모두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연결마운트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마운트부재(130)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연결마운트부재(130)는 분사유닛(110)의 분사프레임(112)과, 흡입유닛(120)의 흡입프레임(122)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이 상호간에 상대 이동되지 않고 설정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 구성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연결마운트부재(1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자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공기순환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50)는 흡입유닛(1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사유닛(110)을 통해 분사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공기순환장치(150)는 흡입유닛(120)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분사유닛(110)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킨다. 공기순환장치(150)는 이를 위해 흡입프레임(122)의 흡입유로(124)와, 분사프레임(112)의 분사유로(114)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공기순환장치(150)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50)는 흡입유닛(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124)와, 분사유닛(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114) 사이에서, 흡입유로(124)와 분사유로(114)를 연결하는 순환유로(158)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로(124)로 흡입된 공기는 순환유로(158)를 통해 분사유로(114)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공기순환장치(150)는 본체(152)와, 연결프레임(154)과, 팬모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2)의 내부에는 팬모터(156)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팬모터(156)는 흡입유닛(120)에서의 흡입력과 분사유닛(110)에서의 분사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연결프레임(154)은 본체(152)로부터 흡입유닛(120)과, 분사유닛(110)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50)는 연결프레임(154)과 본체(15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유로(158)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유로(158)는 흡입유로(124)와 분사유로(114)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연결프레임(154)은 본체(152)와 분사유닛(110)을 연결하는 제 1 연결프레임(154a)과, 본체(152)와 흡입유닛(12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프레임(154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150)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순환장치(15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순환장치(150)가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에 연결되어, 각각에 분사력과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면, 공기순환장치(150) 구성의 목적을 만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의류관리장치(100)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되나, 이동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00)의 길이는 의류의 폭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의 길이는 의류의 폭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류관리장치(100)는 제 2 방향(W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을 갖고, 의류를 스캔하듯이 제 1 방향(W1)으로 왕복이동함으로서, 의류의 전범위에 대해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의 영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이동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160)은 이동장치(22)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장치(22)는 외관을 형성하는 레일브라켓(26)과 레일브라켓(26)내부에서 마련되는 제 1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24)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레일(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유닛(160)은 의류관리장치(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160)과 이동레일(24)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관리장치(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하는 상기 설명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비닛(10)의 도어(16)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의류를 거치시킨 후, 도어(16)를 폐쇄한다.
이후 의류관리장치(100)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의류관리장치(100)의 이동과정에서, 공기순환장치(150)에 의해 분사유닛(110)의 분사노즐(116)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의류를 타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의류에 흡착된 오염물이나 먼지가 제거되거나, 의류의 주름을 펼 수 있게 된다.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어 의류에 타격된 공기는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되게 된다. 분사유닛(110)으로부터 분사되고, 의류에 타격되어 오염된 공기는 직접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됨으로서, 오염된 공기가 캐비닛(10)의 내부를 재차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유닛(120)으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필터부(128)에 의해 오염물 또는 먼지가 걸러지게 되고, 정화된 공기가 공기순환장치(150)에 의해 재차 분사유닛(110)을 통해 분사되어 의류를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의류는 전 범위에 대해 리프레쉬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분사유닛(210)은 분사프레임(112)과 분사노즐(216)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216)은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216)은 노즐의 분사방향이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216)은 의류를 향하도록 마련되되, 하방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유닛(210)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분사유닛(210)의 하부에 위치한 흡입유닛(120)으로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분사노즐(216)은 분사프레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형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형상의 홀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가 상호 간에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분사노즐(216)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분사노즐(216) 구성의 목적을 만족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내부에서의 의류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의류관리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300)의 길이는 의류의 상하길이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분사유닛(310)과 흡입유닛(320)의 길이는 의류의 상하길이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분사유닛(310)과 흡입유닛(320)의 단부에는 공기순환장치(3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류관리장치(100)는 제 1 방향(W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유닛(310)과 흡입유닛(320)을 갖고, 의류를 스캔하듯이 제 2 방향(W2)으로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의류의 전범위에 대해 분사유닛(310)과 흡입유닛(320)의 영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300)는 이동유닛(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360)은 이동장치(22)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장치(22)는 외관을 형성하는 레일브라켓(26)과 레일브라켓(26)내부에서 마련되는 제 2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레일(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360)은 캐비닛(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레일(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유닛(360)은 의류관리장치(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360)과 이동레일(24)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의류관리장치(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1)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의류관리장치(400)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400)는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400)의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이, 의류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거나 처리공간(140)에 의류를 위치시켜, 의류의 오염물 또는 먼지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펼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400)의 공기순환장치(150)로의 전력공급은 별도의 충전가능한 전원(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전선을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의류관리장치(500)는 분사유닛(510)과 흡입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510)은 의류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유닛(510)은 분사프레임(112)과 분사노즐(116)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프레임(112)은 그 내부에 분사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분사유로(114)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유닛(520)은 흡입프레임(122)과 필터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프레임(122)은 그 내부에 흡입프레임(12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124)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사유닛(510)과 흡입유닛(520)은 공기순환장치(1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분사유닛(510)은 제 1, 2 분사유닛(510a, 510b)을 포함하고, 흡입유닛(520)은 제 1, 2 분사유닛(510a, 510b)에 대응하는 제 1, 2 흡입유닛(520a, 520b)을 포함하도록 설명한다.
제 1 분사유닛(510a)과 제 1 흡입유닛(520a)은 제 1 모듈을 형성하며, 공기순환장치(150)를 지나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분사유닛(510b)과 제 2 흡입유닛(520b)도 제 2 모듈을 형성하며, 공기순환장치(150)를 지나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은 회전축(C)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대칭되게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제 1, 2 모듈 사이에 형성되는 처리공간(140)에 위치하는 의류의 두께, 종류등에 따라 제 1, 2 모듈과 의류 사이의 거리 또는 의류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모듈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일례로 의류관리장치(500)는 제 1, 2 모듈사이의 거리를 넓히거나, 좁히도록 진퇴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모듈을 형성하는 제 1 분사유닛(510a)과 제 1 흡입유닛(520a)은 서로 구속되어 함께 이동하고, 제 2 모듈을 형성하는 제 2 분사유닛(510b)과 제 2 흡입유닛(520b)도 서로 구속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분사유닛(510a)과 제 1 흡입유닛(520a)은 별도의 이동구조를 가지고,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분사유닛(510b)과 제 2 흡입유닛(520b)도 별도의 이동구조를 가지고,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의류관리장치(500)는 의류의 두께나 종류에 따라 분사유닛(510)들과 흡입유닛(520)들 사이의 거리, 각도등을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의류처리기기(1)는 캐비닛(10)과 의류관리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그 내부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캐비닛(10)의 일측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해 개구(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14)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6)는 캐비닛(1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의류관리장치(100)는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거나, 의류에 발생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그 내부에 내부공간(12)에 유동하는 오염물이나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고정흡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를 유동하는 오염물이나 먼지등은 의류관리장치(100)의 흡입유닛(120)으로도 흡입될 수 있으나, 흡입유닛(120)으로 흡입되지 않은 오염물이나 먼지는 캐비닛(10)의 고정흡입부(30)를 통해 배출되어 걸러짐으로서, 캐비닛(10)의 내부공간(12)이 오염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기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의류관리장치(600)는 공기순환장치(6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650)는 흡입유닛(1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사유닛(110)을 통해 분사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된다. 즉, 공기순환장치(650)는 흡입유닛(120)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분사유닛(110)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킨다.
공기순환장치(650)는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의 양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의류관리장치(600)는 한 쌍의 공기순환장치(6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공기순환장치(650)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순환장치(65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유닛(110)과 흡입유닛(120)의 전 영역에 대해 분사력과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의류처리기기 10 : 캐비닛
12 : 내부공간 14 : 개구
16 : 도어 17 : 도어손잡이
18 : 도어암 20 : 의류거치대
100 : 의류관리장치 110 : 분사유닛
112 : 분사프레임 114 : 분사유로
116 : 분사노즐 118 : 지지부재
120 : 흡입유닛 122 : 흡입프레임
124 : 흡입유로 126 : 프레임개구
128 : 필터부 130 : 연결마운트부재
140 : 처리공간 150 : 공기순환장치
152 : 본체 154 : 연결프레임
156 : 팬모터 158 : 순환유로

Claims (20)

  1. 캐비닛;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며,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의류의 하방으로 치우치게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의 하부에 상기 분사유닛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구성되고, 의류를 향하되 상방으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2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1 흡입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과 대칭되게 배치되되 제 2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2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사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은,
    상기 제 2 분사유닛과,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의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호간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기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그 내부에 상기 필터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나는 흡입유로를 갖고, 상기 필터부가 배치되는 흡입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그 내부에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분사유로를 갖고, 상기 분사노즐이 배치되는 분사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형상의 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프리필터(pre Filter), 헤파필터(Hepa Filter),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 Filter), 광촉매필터(Photo-catalyst Fil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의류처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α라 하고, 상기 필터부로 흡입되는 공기흐름과,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류가 이루는 각도를 β라 할 때,
    상기 α와 β는 모두 예각으로 형성되는 의류처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 상기 분사유닛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공기순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 사이에서,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로를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의 길이방향에 대한 일단과, 상기 일단의 타측인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의류처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관리장치의 일측에 마련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오염물을 흡입하도록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흡입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16. 캐비닛;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의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의류의 하방으로 치우치게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의 하부에 상기 분사유닛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타격하고 흡입되도록 마련되고, 의류를 향하되 상방으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입유닛;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유닛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분사유닛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력을 발생시키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2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1 흡입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과 대칭되게 배치되되 제 2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2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사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은,
    상기 제 2 분사유닛과,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는,
    상기 흡입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분사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 사이에 마련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 흡입유닛, 공기순환장치는 일체로 형성되는 의류처리기기.
  20. 파지가능하도록 핸들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의류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의류의 하방으로 치우치게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분사유닛;
    상기 분사유닛의 하부에 상기 분사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도록 상기 분사유닛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고, 의류를 향하되 상방으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1, 2 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제 1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1 흡입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과 대칭되게 배치되되 제 2 분사유닛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의류를 거쳐 흡입되는 제 2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사유닛과, 상기 제 1 흡입유닛은,
    상기 제 2 분사유닛과,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KR1020160101980A 2016-08-10 2016-08-10 의류처리기기 KR102599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80A KR102599880B1 (ko) 2016-08-10 2016-08-10 의류처리기기
PCT/KR2017/008226 WO2018030692A1 (ko) 2016-08-10 2017-07-31 의류처리기기
CN201780049166.4A CN109563668B (zh) 2016-08-10 2017-07-31 衣物处理设备
EP17839710.5A EP3473762B1 (en) 2016-08-10 2017-07-31 Clothes treatment device
US16/324,363 US11168426B2 (en) 2016-08-10 2017-07-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80A KR102599880B1 (ko) 2016-08-10 2016-08-10 의류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16A KR20180017716A (ko) 2018-02-21
KR102599880B1 true KR102599880B1 (ko) 2023-11-09

Family

ID=6116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980A KR102599880B1 (ko) 2016-08-10 2016-08-10 의류처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8426B2 (ko)
EP (1) EP3473762B1 (ko)
KR (1) KR102599880B1 (ko)
CN (1) CN109563668B (ko)
WO (1) WO2018030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7238A1 (de) 2018-10-31 2020-04-30 Miele & Cie. Kg Elektrisches Gerät
KR102106601B1 (ko) * 2019-04-22 2020-05-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FR3103832B1 (fr) * 2019-11-29 2021-10-29 Seb Sa Procédé de défroissage d’un vêtement
FR3103831B1 (fr) * 2019-11-29 2021-10-29 Seb Sa Armoire de défroissage équipée de deux buses d’émission de vapeur
FR3103833B1 (fr) * 2019-11-29 2022-01-21 Seb Sa Procédé de défroissage d’un vêtement
CN114945719A (zh) * 2020-01-15 2022-08-2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40038B1 (ko) * 2020-02-26 2021-12-1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N116490650A (zh) * 2020-09-14 2023-07-25 拉巴内有限责任公司 用于清洗织物的系统和方法
KR20230105500A (ko) * 2022-01-04 202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장치
BE1030897B1 (de) 2022-09-20 2024-04-15 Miele & C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Einzeltextil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080A (ja) * 1999-04-16 2000-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ークリーナユニット
CN2439455Y (zh) * 2000-08-25 2001-07-18 无锡市三星实业总公司 热风干衣机
US6973740B2 (en) * 2003-01-14 2005-12-13 Whirlpool Corporation Stationary clothes drying apparatus
CN2623228Y (zh) * 2003-05-15 2004-07-07 石国剑 净化消毒装置
KR101448630B1 (ko) * 2008-01-16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의류처리장치
EP2213779B1 (en) * 2009-02-02 2012-03-1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121201A (ko) *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CA2761482C (en) * 2009-06-01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comprising a passive heat management system
KR20110048343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710390B1 (ko) * 2009-12-1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JP5540725B2 (ja) * 2010-01-25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風装置
RU2512079C1 (ru) * 2010-03-03 2014-04-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20120074557A (ko)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532526B (zh) 2014-12-23 2017-02-22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烘干装置
CN205420853U (zh) * 2015-10-21 2016-08-03 殷杰 一种家用杀菌清香烘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9789A1 (en) 2019-06-06
CN109563668A (zh) 2019-04-02
EP3473762A1 (en) 2019-04-24
EP3473762B1 (en) 2020-08-26
KR20180017716A (ko) 2018-02-21
CN109563668B (zh) 2021-09-10
WO2018030692A1 (ko) 2018-02-15
US11168426B2 (en) 2021-11-09
EP3473762A4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880B1 (ko) 의류처리기기
KR10249652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05033618B3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temschutzmasken
US2018023639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639598B1 (ko) 공기순환식 에어샤워기
ITBS20070168A1 (it) Macchina per lavare, asciugare e stirare panni e indumenti
EP2586899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9527183B1 (en) System for confining particulate residue in a machining operation
KR20120004161A (ko) 플럭스 오염물 세척장치
JP2012076025A (ja) カプセル型の洗浄機
TR201815379T4 (tr) Duşlar, kombi̇ne edi̇lmi̇ş küvet - duş ve benzeri̇ gi̇bi̇ sihhi̇ tesi̇sat aksesuarlarinda gi̇ysi̇leri̇ yikamak i̇çi̇n si̇stem
JP2023541431A (ja) 布地を洗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13093A (ko) 복합형 장난감 소독기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132401B1 (ko) 의류관리기
KR101483676B1 (ko) 드럼세탁장치
KR101457899B1 (ko) Pcb 세정장비
KR20190091113A (ko) 걸레자국 방지 걸레 로봇 청소기
CN114761147A (zh) 在输送清洗机中清洗具有至少一个空腔的待清洁物品
JP2007068954A5 (ko)
KR20210063693A (ko) 의류관리장치
KR1025653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407992Y1 (ko) 기둥덕트 분사형 에어샤워장치
KR20150028159A (ko) 식기 세척기
DE2324518A1 (de)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kleidungsstuecken oder der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