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694A -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 Google Patents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694A
KR20190112694A KR1020190117871A KR20190117871A KR20190112694A KR 20190112694 A KR20190112694 A KR 20190112694A KR 1020190117871 A KR1020190117871 A KR 1020190117871A KR 20190117871 A KR20190117871 A KR 20190117871A KR 20190112694 A KR20190112694 A KR 2019011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detector
air supply
unit
fluid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877B1 (ko
Inventor
임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1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이나 벽면 등 건물 구조물에 설치되는 연기식 화재감지기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또는 벽면 등의 구조에 부착되는 연기감지기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주부(200)와, 상기 헤드부의 내주측에서 연기감지기의 개구측으로 유체를 토출하는 급기부(220)와,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이물질을 함유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부(210)를 포함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CLEANING APPARATUS FOR SMOKE DETECTOR}
본 발명은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장이나 벽면 등 건물 구조에 설치되는 연기식 화재감지기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이나 벽면 등 건물 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감지기는, 방재 또는 소방 설비의 일종으로서, 화재 등의 발생시 이를 경광이나 경음 등으로 알릴 수 있도록 그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기 화재감지기는 제조시, 형식 승인시, 사용 및 설치시 대한민국 소방방재청고시의 규정을 만족해야 하는 것으로서, 화재감지기는 대표적으로 화재 발생시 화재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식과 화재의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기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감지기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는 연기를 감지하여 사고를 발견하는 장치로서 이온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정온식 화재감지기(Constant temperature type fire detector)는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여 경보하는 것으로서, 바이메탈의 열변형을 이용 접점을 움직여 발신하는 바이메탈식과 2개의 이격된 감지선이 소정 조건에 따라 접촉하여 발신하는 감지선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들은 반드시 일정 기준치 이상의 연기농도가 감지되거나 기준치 이상의 열이 감지되면 화재를 경보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만약 기준치 이하에서 오동작을 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실제 화재가 발생되어도 이를 오인하게 하여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기의 성능은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 특2002-0083111호는 종래기술의 연기식 화재 감지기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방의 천장 등의 구조에 설치하기 위한 서포트(10)과 커버(70) 및 가드(90)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내부의 베이스(20)에 지지되어 발광소자(51)과 수광소자(52) 및 서미스터(54)가 구비되어 있다.
발광소자(51)는 LED와 같은 광발생장치이며, 수광소자(52)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 인식장치로서 연기밀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화재검출회로가 작동되어 화재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연기식 화재감지기의 설치 시간이 경과될 수록 커버 내부에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들이 유입되어 누적되고 이 때문에 연기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의 달성이 점점 어려워진다. 따라서, 특히 연기식 화재감지기의 경우 연기가 유입되는 내부의 공간에 이물질의 지속적인 제거가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러한 연기감지기에 대해 내부의 청소를 위한 구조가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교체하거나 분해하여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 건축물이 대형화되고 소방안전설비가 필수적이 됨에 따라 다수의 연기감지기에 대해 개별적인 클리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건물의 노후화와 함께 재산과 인명의 손실의 위험이 잠재적으로 증가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동신뢰성과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장 또는 벽면 등의 구조에 부착되는 연기감지기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주부(200); 상기 헤드부의 내주측에서 연기감지기의 개구측으로 유체를 토출하는 급기부(220);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이물질을 함유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부(210); 상기 급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의 토출구가 연기감지기의 측면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지라인(221); 및 급기라인에 유체를 공급하여 급기부에서 양압을 제공하도록 하는 급기모듈(330), 흡기라인으로부터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를 흡입하여 흡기부에 음압을 제공하도록 하고 외기로 배출하는 흡기모듈(320), 급기모듈과 흡기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부(310)를 포함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분지라인의 토출구는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급기부와 분지라인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분지라인에 선택적으로 유체 압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부(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분지라인과 일체로서 회전되며 급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421)와 급기부로부터의 유체 흐름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부(422)를 구비하여 급기부의 유체 공급에 따라 토출구의 위치가 연기감지기에 대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다수의 연기감지기에 대해 분해나 탈거 작업 없이 현장에서 내부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연기감지기의 작동상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개구의 위치가 한정되고 좁은 크기를 가지는 연기감지기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유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물 제거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어 화재예방과 감시에 대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화재 감지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천장 또는 벽면 등의 구조에 부착되는 연기감지기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주부와, 상기 헤드부의 내주측에서 연기감지기의 개구측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진 클리닝 유체를 토출하는 급기부와,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이물질을 함유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부를 포함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제공한다.
연기감지기는 통상 천장면에 부착된 상태로서 외부 측면 등에 형성되는 개구측으로 연기가 유입되고 그 내부 공간에 유입되는 연기의 밀도에 따라 연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적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가스 센서나 직접적으로 질량이나 밀도를 측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기감지기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감지기를 기본적인 대상으로 하나, 화재감지에 사용되며 개구를 가지고 내부 공간에서 소정의 화재감지를 수행하는 다양한 화재감지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기감지기는 주로 건물의 천장 부위에 배치되나 벽면이나 바닥면 등의 배치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헤드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내지는 원추 또는 이들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에서 천장면 또는 벽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연기감지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00)는 소정의 밀폐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체의 급기가 연기감지기를 경유하여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00)의 상단은 천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100)는 외부에서 정확한 작동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헤드부(100)의 실시예는 후술한다.
지주부(200)는 상측에 헤드부(100)를 결합하며 중공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200)에 의하여 사용자는 하측을 파지하여 천장과 같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연기감지기에 헤드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부(200)는 경우에 따라 신축이 가능한 폴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급기와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유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헤드부(100)에는 소정의 토출구와 흡기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기 토출구와 흡기구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주부(200)가 내부의 공간에서 흡기부(210)를 구성하고 상기 흡기부(210)와는 독립된 유로로서 급기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급기부(220)는 지주부(200) 보다 직경이 작은 관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부(220)의 말단은 흡기부(210)의 상단보다 상측, 즉 지주부(200)와 헤드부(100)의 연결 부위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210)의 대략 중심측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어 토출구가 연기감지기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부(22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연기감지기의 개구로 유입되어 내부 공간의 이물질을 함유한 상태로 다른 개구로 배출되고 흡기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기감지기를 클리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기감지기는 내부의 감지소자들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고 이물질의 유입 및 누적에 따라 연기감지의 성능이 떨어지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유체의 급기와 배기를 통하여 내부를 클리닝하게 되면 연기감지기의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유체의 급기 및 흡기를 위하여 소정의 라인부(301)가 지주부(200)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라인부(301)는 흡기부(210) 및 급기부(220)에 연결된다. 상기 급기부(220)는 유체에 대해 양압을 제공하고 흡기부(210)는 음압을 제공하므로 각각 별도의 급기라인과 흡기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라인부(301)는 급기라인과 흡기라인을 포함하되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상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인부(301)의 말단에는 작동부(300)가 연결되고 소정의 제어입력에 따른 급기와 배기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급기 또는 흡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급기 압력 또는 흡기 압력을 경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인부(301)의 흡기라인에는 흡기모듈(320)이 연결되어 음압을 형성하며, 이러한 흡기라인은 헤드부(100)에서 이물질을 함유한 유체가 지주부(200)를 따라 흡기모듈(32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기모듈(320)은 송풍기 또는 에어펌프와 같은 헤드부(100) 측에 음압을 제공하는 유체제어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흡기된 유체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외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모듈(320)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라인에는 급기모듈(330)이 연결되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를 급기부(220)의 말단에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듈(330)은 흡기모듈(320)과 유사하게 송풍기 또는 에어펌프와 같은 유체제어장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기를 연기감지기의 클리닝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구조적으로 간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연기감지기의 특성상 내부의 확실하고 안정적인 클리닝을 위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기체인 유체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질소(N2) 또는 이산화탄소(CO2)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기모듈(330)은 압축가스의 저장용기일 수 있으며 밸브와 같은 소정의 개폐부재가 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300)는 외부전력을 공급하여 작동될 수 있으나, 건물 내에 다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기감지기에 적용시 이동성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부(3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이동성의 보장을 위하여 상기 제어기부(310), 흡기모듈(320), 급기모듈(330) 및 배터리부(340)는 하나의 박스 형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동성 향상을 위해 복수의 롤러가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손잡이가 구비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휴대성을 고려하여, 상기 헤드부(100), 지주부(200) 또는 라인부(301)는 각각 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300)는 헤드부(100), 지주부(200) 또는 라인부(301)가 수납될 수 있는 거치부재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연기감지기는 연기 감지의 효율성을 위하여 하방이 폐색되고 측방에 연기 유입을 위한 개구가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급기부(220)의 토출구가 상방을 지향하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 와류의 형성으로 인하여 연기감지기의 내부로 급기가 유입될 수 있을 것이나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경유하지 못하고 흡기부(210)로 배출되는 유체의 비율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급기부(220)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분지라인(221)이 형성되고 분지라인(221)의 말단인 토출구(222)가 연기감지기의 측면을 지향하도록 구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분지라인(221)이 급기부(220)와 연결되는 위치는 선택적이나, 헤드부(100)와 지주부(200)의 연결부위에 인접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지라인(221)은 하측에서 급기부(220)와 연결되고 헤드부(100) 내부 공간의 외곽측을 따라 배치되어 중심측에 연기감지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분지라인(221)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대향적으로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의 제3실시예를 참고하면 복수의 분지라인(221)이 헤드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경우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토출구(222)인 말단 부위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토출구(222)를 통하여 배출되는 급기유체(a)는 헤드부(100)의 내부 공간의 외곽측에서 중심 방향을 지향하여 토출되고 연기감지기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이후 하측에 배치되는 흡기부(210)의 입구로 유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복수의 분지라인(221)의 토출구(222)가 헤드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경우 유체의 배출에 저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두 개가 측방에서 배치되는 경우는 전후방의 개구측에 배출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나 네 개 이상이 배치되는 경우 배기 저항이 발생되고 이는 급기의 유입의 효율성도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복수의 분지라인(221)이 배치되는 경우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급기부(220)와 분지라인(221)의 연결측에는 유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밸브부(410)를 더 배치하게 된다.
상기 밸브부(410)는 댐퍼나 체크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분지라인(221)을 다른 분지라인(221)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작동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댐퍼조작수단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거나, 제어기부(310)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어느 하나의 분지라인(221) 그룹과 다른 그룹이 교번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연기감지기 클리닝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지라인(221)이 대향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연기감지기의 측면에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의 원활함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토출구가 편심토출구(224)로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개념을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급기부(220)는 배기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지주부(200) 내벽에 밀착되거나 이에 결합되는 격벽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편심토출구(224)는 토출구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헤드부(100)의 내벽측에 인접되어 측면을 지향하되 헤드부(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배치된다. 상기 편심토출구(224) 및 토출구(222)는 원형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주방향으로 긴 형태의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토출구(224)는 반드시 단일로서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급기부(220)와 토출구(222) 또는 편심토출구(224)의 사이에서 급기 압력의 보장을 위하여 급기부(220)의 단면과 토출구(222) 또는 편심토출구(224)의 단면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버퍼공간(223)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공간(223)는 일시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를 저장하여 배출하도록 하며 토출구 측에 불안정안 압력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향적으로 배치되는 분지라인(221)의 토출구(222)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제2실시예의 설명에서 밸브부(410)의 선택적 작동을 통하여 작동되는 토출구(222)의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경우 구조적 복잡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내구성과 신뢰성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유체의 흐름 자체에 의하여 토출구(222)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기부(220)와 분지라인(221)의 결합부위에는 로테이팅결합부(4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팅결합부(420)는 급기부(220)를 구성하는 관로에 대해 유로를 형성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421)와, 분지라인(221)과 일체로 회전되며 급기부(220)로부터 급기되는 유체 흐름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부(42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지라인(221)이 어느 정해진 위치에서 유체의 토출이 시작되면서 임펠러부(422)에 유체가 흘러가는 과정에서 임펠러부(42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로테이팅결합부(420)와 분지라인(221)이 함께 회전되어 토출구(22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케이싱부(130)는 상측에 커버부(110)와 유체 유로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싱부(130)와 커버부(110)는 전체적으로 헤드부(100)의 외관을 구성하게 되며, 하측으로는 파지 및 제어가 가능한 소정의 지지 또는 연장부위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130)는 선택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구성과 강성의 보장을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부(13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입구가 개방되며 소정의 단차부위를 통하여 커버부(110)를 지지하게 된다.
커버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천장면 등에 밀착되고 내부에 연기감지기(101)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10)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이 유출되지 않고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토출구(222)와 연기감지기(101)의 정확한 위치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의 상단측은 측벽 부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탄성 밀착하여 실링성을 향상하도록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101)의 정확한 위치로의 안내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단측이 최소한 케이싱부(130)와 결합되는 측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부(130)와 결합되는 측에서는 직경이 작고 천장 부위에 인접되는 부위에서는 직경이 크도록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 커버부(110)가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조작시 토출구(222)와 연기감지기와의 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110)는 투명한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재가 고려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130)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지지부위와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부(142)와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부(130) 또는 헤드부(10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2)는 바람직하게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선택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142)의 하단측으로는 컨넥터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부(130)를 상하 및 내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서 분지라인(221)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급기부(220)의 말단이 직접 관통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분지라인(221)은 케이싱부(130) 및 커버부(110)에 의한 내부 공간의 외곽측을 따라 배치되어 토출구(222)가 연기감지기(101)의 측면 개구를 지향하도록 배치되며,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 중 편심 내지는 로테이팅 또는 토출구 가변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지주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의 연기감지기(101)에 대한 위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부(130)의 하단측으로는 흡기부(2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싱부(130)의 저면 중심측에 그 입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부(220), 흡기부(210) 및 지주부(200)가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상기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다수의 연기감지기에 대해 분해나 탈거 작업 없이 현장에서 내부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연기감지기의 작동상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개구의 위치가 한정되고 좁은 크기를 가지는 연기감지기에 유연하게 적응하여 유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물 제거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는 화재예방과 감시에 대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로 이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헤드부 101...연기감지기
110...커버부 130...케이싱부
141...힌지부 142...연장부
143...컨넥터부 200...지주부
210...흡기부 220...급기부
221...분지라인 222...토출구
223...버퍼공간 224...편심토출구
300...작동부 310...제어기부
320...흡기모듈 330...급기모듈
340...배터리부 410...밸브부
420...로테이팅결합부 421...연결부
422...임펠러부

Claims (4)

  1. 천장 또는 벽면 등의 구조에 부착되는 연기감지기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지주부(200);
    상기 헤드부의 내주측에서 연기감지기의 개구측으로 유체를 토출하는 급기부(220);
    연기감지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이물질을 함유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기부(210);
    상기 급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말단의 토출구가 연기감지기의 측면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지라인(221); 및
    급기라인에 유체를 공급하여 급기부에서 양압을 제공하도록 하는 급기모듈(330), 흡기라인으로부터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를 흡입하여 흡기부에 음압을 제공하도록 하고 외기로 배출하는 흡기모듈(320), 급기모듈과 흡기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부(310)를 포함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라인의 토출구는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와 분지라인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분지라인에 선택적으로 유체 압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부(410);를 더 구비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라인과 일체로서 회전되며 급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421)와 급기부로부터의 유체 흐름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부(422)를 구비하여 급기부의 유체 공급에 따라 토출구의 위치가 연기감지기에 대해 가변되는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KR1020190117871A 2019-09-25 2019-09-25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KR10203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71A KR102034877B1 (ko) 2019-09-25 2019-09-25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71A KR102034877B1 (ko) 2019-09-25 2019-09-25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16A Division KR20190001975A (ko) 2017-06-28 2017-06-28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694A true KR20190112694A (ko) 2019-10-07
KR102034877B1 KR102034877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71A KR102034877B1 (ko) 2019-09-25 2019-09-25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680A (ko) * 2008-06-30 2010-01-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JP5087458B2 (ja) * 2008-04-10 2012-12-05 ホーチキ株式会社 煙除去装置及び煙感知器用試験器
KR101401358B1 (ko) * 2013-05-31 2014-05-29 김영호 천정형 에어컨 세척장치
KR20160109560A (ko) * 2015-03-12 2016-09-21 최범 등기구 및 신호등 또는 방범 카메라용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7458B2 (ja) * 2008-04-10 2012-12-05 ホーチキ株式会社 煙除去装置及び煙感知器用試験器
KR20100002680A (ko) * 2008-06-30 2010-01-07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KR101401358B1 (ko) * 2013-05-31 2014-05-29 김영호 천정형 에어컨 세척장치
KR20160109560A (ko) * 2015-03-12 2016-09-21 최범 등기구 및 신호등 또는 방범 카메라용 이물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877B1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6011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AU737951B2 (en) Aspirated detector
US7034702B2 (en) Optical smoke detector and method of cleaning
JP5540085B2 (ja) ガス検出装置
DK2270762T3 (en) SMOKE ALARM AND METHOD OF CHECKING CONTAMINATION OF SMOKE FLOW OPENINGS
KR20190001975A (ko)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JP6291504B2 (ja) 粒子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116024A1 (zh)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JP2005052833A (ja) 周囲状態検出装置、周囲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周囲状態検出装置の使用方法
EP3058335A1 (en) Aspirated particle detection with various flow modifications
KR100988386B1 (ko)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CN104700548B (zh) 在吸气式烟雾检测器中的冗余输入管道网络
US20050245188A1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KR101845264B1 (ko)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KR10133393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KR102034877B1 (ko)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JP2019070992A (ja) 火災警報装置
KR102488342B1 (ko)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기
JP4235511B2 (ja) 校正用ガスの導入方法およびガス検知装置
RU200413627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возникновения пожаров
JP4927619B2 (ja) 煙感知システム及び煙感知方法
JP2019179330A (ja) 感知器および感知器の清掃方法
KR102583714B1 (ko)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KR100981849B1 (ko)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JP4927620B2 (ja) 煙感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