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685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685A
KR20190112685A KR1020190113624A KR20190113624A KR20190112685A KR 20190112685 A KR20190112685 A KR 20190112685A KR 1020190113624 A KR1020190113624 A KR 1020190113624A KR 20190113624 A KR20190113624 A KR 20190113624A KR 20190112685 A KR20190112685 A KR 20190112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r
light transmissive
transmissive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196B1 (ko
Inventor
최수인
박상태
배명욱
홍대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19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필름;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된 전극층;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광원들;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원들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는 바;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바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베젤키트;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그리고,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주가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등에 활용하고 고객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툴로서, 공항, 호텔, 병원 등의 공공 장소에서 통사적인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광고주가 의도한 광고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이다.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을뿐만아니라 이동이 자유롭고 다양한 컨텐츠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백화점, 지하철, 버스 정류장 등에서 홍보용, 고객 서비스용, 안내용 매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반드시 광고 컨텐츠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고, 광고 이외의 다른 목적을 가지는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LED가 사용되고 있다. LED는 긴 수명과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의 형광등 및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원과 비교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조명장치로 더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고화소 광원들의 피치에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필름과 베젤키트의 결합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필름;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된 전극층;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광원들;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원들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는 바;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바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베젤키트;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그리고,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필름과 접촉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필름에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1 필름;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1 광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제1 필름 상에 고정되는 제1 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2 필름;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광원; 상기 제2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2 광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제2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바와 마주하는 제2 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바 또는 상기 제2 바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베젤키트;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FPCB;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F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PCB와 상기 제2 FPCB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를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젤키트의 폭은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필름과 접촉하는 제1 실링부재; 그리고,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필름과 접촉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제1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1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 필름에 고정되는 제1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2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2 필름에 고정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스페이서와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화소 광원들의 피치에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구비한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름과 베젤키트의 결합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x축 방향은 오른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왼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위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아래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앞쪽 방향 또는 전방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뒤쪽 방향 또는 후방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필름(100)은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기판이라 칭할 수도 있다. 또는, 베이스(110)는 플레이트라 칭할 수도 있다. 베이스(110)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는, 베이스(110)는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의 두께는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베이스(110)의 두께는 250μm일 수 있다.
베이스(110)는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필름(100)에 공급되는 전력은 베이스(1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필름(100)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베이스(110)에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지면, 디스플레이 필름(100)의 생산 과정에서, 베이스(110)에 200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110)가 열 변형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 상에 전극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층(120)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전극층(120)은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달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전극층(120)은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층(120)은 베이스(110)에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전극층(120)은 매우 얇은 두께로 베이스(110)에 코팅될 수 있다. 전극층(120)은 얇은 두께로 인해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10)에 전극층(120)이 코팅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필름(100)은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전극층(120)은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120)은 은나노와이어(Ag Nano Wire)를 포함할 수 있다. 은나노와이어는 높은 전도성을 가지며 광 투과성이 뛰어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층(120)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층(120)의 패턴은 배선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층(120)의 패턴은 베이스(110)에 전극층(120)이 코팅된 후 추가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120)의 패턴은 베이스(110)에 코팅된 전극층(120)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극층(120)의 패턴은 베이스(110)에 코팅된 전극층(120)을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필름(100)은 광원 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40)는 베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 어셈블리(140)는 전극층(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층(120)은 양전극(122)과 음전극(124)을 포함할 수 있다. 양전극(122)은 양극, 산화전극 또는 애노드라 칭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음극, 환원전극 또는 캐소드라 칭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40)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베이스(110)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일 행(row)을 형성할 수 있다. 행은 로우라 칭할 수도 있다. 일 행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일 행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가 형성하는 행(R1, R2, R3, R4, R5, R6)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베이스(110)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서로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양전극(122)은 일 행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양전극(122)은 일 행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양전극(122)은 일 행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일 행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일 행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일 행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일 행은 양전극(122)와 음전극(1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행에 연결되는 양전극(122)은 하나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행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하나의 양전극(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행에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일행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양전극(122)은 제1 행(R1)과 제2 행(R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양전극(122)은 제3 행(R3)과 제4 행(R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양전극(122)은 제5 행(R5)과 제6 행(R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양전극(122)은 제7 행(R7)과 제8 행(R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행(R1)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은 제1 행(R1)과 제2 행(R2)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양전극(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행(R2)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은 제1 행(R1)과 제2 행(R2)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양전극(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행(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제1 행(R1)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제1 행(R1)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행(R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제2 행(R2)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음전극(124)은 제2 행(R2)의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행(R3), 제4 행(R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전극(122), 제3 행(R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 제4 행(R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전극(122) 및 제4 행(R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의 연결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 행(R1), 제2 행(R2), 양전극(122) 및 음전극(124)의 연결구조와 동일한 연결구조일 수 있다. 제5 행(R5)과 제6 행(R6)의 연결구조 및 제7 행(R7)과 제8 행(R8)의 연결구조 또한 제1 행(R1)과 제2 행(R2)의 연결구조와 동일한 연결구조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원 어셈블리(140)는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어셈블리(140)는 레드 LED 칩(140a), 그린 LED 칩(140b), 및 블루 LED 칩(140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하나의 양전극(12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광원 어셈블리(140)에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세 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세 개의 전극은 각각 레드 LED 칩(140a), 그린 LED 칩(140b), 및 블루LED 칩(14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광원 어셈블리(140)의 LED 칩(140a, 140b, 140c)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광원 어셈블리(140)는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과 IC 칩(14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20)은 양전극(122), 음전극(124) 및 제어전극(125)을 포함할 수 있다. 양전극(122)은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음전극(124)는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제어전극(125)은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제어전극(125)은 개폐전극(switching electrode)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제어전극(125)은 서로 이웃하는 광원 어셈블리(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전극(125)은 서로 이웃하는 광원 어셈블리(140)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제어전극(125)은 광원 어셈블리(140)의 IC 칩(140d)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40)는 하나의 양전극(12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광원 어셈블리(140)에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원 어셈블리(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전극(124)은 하나의 전극일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40)에 포함되는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마다 음전극(124)이 연결되지 않더라도, IC 칩(140d)을 통해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원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양전극(122),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 IC 칩(140d) 및 음전극(124) 순서로 흐를 수 있다. 또는, 전원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양전극(122), IC 칩(140d), 복수의 LED 칩(140a, 140b, 140c) 및 음전극(124) 순서로 흐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필름(100)은 플레이트(250)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50)는 광 투과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50)은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50)는 유리창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250)는 유리창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50)는 피부착면 또는 광 투과성 플레이트로 칭할 수 있다.
플레이트(250)는 복수의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 홀(251)은 플레이트(250)의 후면과 연결될 수 있다. 홀(251)은 플레이트(250)의 전면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40)은 홀(251)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층(135)은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35)은 디스플레이 필름(100)을 플레이트(2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금속패드(130)는 전극층(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원(140)은 금속패드(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10)로부터 홀(251)까지의 높이(H1)는 베이스(110)로부터 광원(140)까지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홀(251)의 너비(W2)는 광원(140)의 너비(W1)보다 클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과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은 플레이트(2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35a)과 제2 접착층(135b)은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은 제1 접착층(135a)을 통해 제1 플레이트(250a)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은 제2 접착층(135b)을 통해 제2 플레이트(250b)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0a)는 제2 플레이트(250b)와 이웃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0a)의 측면은 제2 플레이트(250b)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플레이트들(250a,250b)은 유리면에 점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250a,250b)은 유리면에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플레이트들(250a,250b)을 유리면으로부터 탈거할 수도 있다.
제1 FPCB(141a)는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의 제1 광원(140a) 또는 제1 베이스(110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141b)는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의 제2 광원(140b) 또는 제2 베이스(110b)와 연결될 수 있다.
바(261)는 베이스(1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261)는 내부가 빈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261a)는 제1 베이스(110a)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제2 바(261b)는 제2 베이스(110b)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1 바(261a)의 측면은 제2 바(261b)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FPCB(141a)와 제2 FPCB(141b)는 제1 바(261a)와 제2 바(261b)의 사이로 배선될 수 있다.
바텀(262)은 바(261)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62a)는, 체결부재(f11)를 통해 제1 바(261a)에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재(f12)를 통해 제2 바(261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파트(262b)는 체결부재(f2)를 통해 커버(264)와 체결될 수 있다. 제3 파트(262c)는 체결부재(f3)를 통해 커버(264)와 체결될 수 있다. 제4 파트(262d)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어보드(263)와 체결될 수 있다. 제4 파트(262d)는 제2 파트(262b)와 제3 파트(26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보드(263)는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의 제1 FPCB(14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FPCB(141a)는 제1 파트(262a)의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제어보드(263)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보드(263)는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의 제2 FPCB(14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141b)는 제1 파트(262a)의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제어보드(263)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264)는 바텀(262)과 체결될 수 있다. 커버(264)는 내부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264)는 바텀(262), 제어보드(263), 제1 FPCB(141a), 제2 FPCB(141b)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264)와 바텀(262)을 포함하여 베젤키트(262,264)라 칭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ST1)는 제1 바(261a)의 외면에 인접하거나 접하여 바텀(26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ST1)는 제1 베이스(110a)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제1 베이스(110a)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ST2)는 제2 바(261b)의 외면에 인접하거나 접하여 바텀(26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ST2)는 제2 베이스(110b)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제2 베이스(110b)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화소에 대응하는 광원들(140a,140b)의 피치가 짧아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1, 12 및 1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과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은 플레이트(2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35a)과 제2 접착층(135b)은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은 제1 접착층(135a)을 통해 제1 플레이트(250a)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은 제2 접착층(135b)을 통해 제2 플레이트(250b)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0a)는 제2 플레이트(250b)와 이웃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0a)의 측면은 제2 플레이트(250b)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플레이트들(250a,250b)은 유리면에 점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250a,250b)은 유리면에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플레이트들(250a,250b)을 유리면으로부터 탈거할 수도 있다.
제1 FPCB(141a)는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의 제1 광원(140a) 또는 제1 베이스(110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141b)는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의 제2 광원(140b) 또는 제2 베이스(110b)와 연결될 수 있다.
바(261)는 베이스(1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261)는 내부가 빈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261a)는 제1 베이스(110a)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제2 바(261b)는 제2 베이스(110b)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1 바(261a)의 측면은 제2 바(261b)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FPCB(141a)와 제2 FPCB(141b)는 제1 바(261a)와 제2 바(261b)의 사이로 배선될 수 있다.
바텀(262)은 바(261)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파트(262a)는, 체결부재(f11)를 통해 제1 바(261a)에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재(f12)를 통해 제2 바(261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파트(262b)는 체결부재(f2)를 통해 커버(264)와 체결될 수 있다. 제3 파트(262c)는 체결부재(f3)를 통해 커버(264)와 체결될 수 있다. 제4 파트(262d)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어보드(263)와 체결될 수 있다. 제4 파트(262d)는 제2 파트(262b)와 제3 파트(26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보드(263)는 제1 디스플레이 필름(100a)의 제1 FPCB(14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FPCB(141a)는 제1 파트(262a)의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제어보드(263)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보드(263)는 제2 디스플레이 필름(100b)의 제2 FPCB(14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FPCB(141b)는 제1 파트(262a)의 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제어보드(263)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264)는 바텀(262)과 체결될 수 있다. 커버(264)는 내부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264)는 바텀(262), 제어보드(263), 제1 FPCB(141a), 제2 FPCB(141b)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ST1)는 제1 바(261a)의 외면에 인접하거나 접하여 바텀(26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ST1)는 제1 베이스(110a)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제1 베이스(110a)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ST2)는 제2 바(261b)의 외면에 인접하거나 접하여 바텀(26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ST2)는 제2 베이스(110b)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제2 베이스(110b)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1)는 제1 플레이트(250a)의 측면과 마주하거나 접하고, 제1 베이스(110a)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SP2)는 제2 플레이트(250b)의 측면과 마주하거나 접하고, 제2 베이스(110b)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1)는 제2 스페이서(SP2)와 마주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1)의 높이는 제1 플레이트(250a) 및 제1 접착층(135a)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SP2)의 높이는 제2 플레이트(250b) 및 제2 접착층(135b)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SP1, SP2)은 바(261), 바텀(262), 커버(264)의 구조체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들(SP1, SP2)은 고접착력 양면테잎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가 유리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화소에 대응하는 광원들(140a,140b)의 피치가 짧아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0)

  1.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필름;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된 전극층;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광원들;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원들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필름 상에 고정되는 바;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바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베젤키트;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그리고,
    상기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필름과 접촉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필름에 고정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1 필름;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광원;
    상기 제1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1 광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제1 필름 상에 고정되는 제1 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2 필름;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층;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광원;
    상기 제2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2 광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와 나란하게 인접하며, 상기 제2 필름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바와 마주하는 제2 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바 또는 상기 제2 바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베젤키트;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제어보드;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FPCB;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로부터 상기 베젤키트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F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FPCB와 상기 제2 FPCB는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를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키트의 폭은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의 거리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필름과 접촉하는 제1 실링부재; 그리고,
    상기 베젤키트와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 바와 이웃하며, 상기 베젤키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필름과 접촉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제1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1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1 필름에 고정되는 제1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1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는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단 보다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제2 바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필름의 일 엣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제2 필름에 고정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2 광 투과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스페이서와 마주하거나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2 스페이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90113624A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5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24A KR102252196B1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24A KR102252196B1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685A true KR20190112685A (ko) 2019-10-07
KR102252196B1 KR102252196B1 (ko) 2021-05-13

Family

ID=6842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24A KR102252196B1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489A (ko)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용 광원 및 백라이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KR101569969B1 (ko) * 2013-11-14 2015-11-18 박순주 비디오 월이 가능한 블록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KR101792882B1 (ko) * 2011-06-23 2017-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47759A (ko) * 2016-11-0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489A (ko)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용 광원 및 백라이트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KR101792882B1 (ko) * 2011-06-23 2017-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69969B1 (ko) * 2013-11-14 2015-11-18 박순주 비디오 월이 가능한 블록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KR20180047759A (ko) * 2016-11-0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196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9534B (zh) 显示装置
US20170192289A1 (en) Display device
CN101539258B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件
KR102646656B1 (ko)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US20170192290A1 (en) Display device
CN101929639A (zh) 背光单元和具有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设备
CN109892013B (zh) 透明发光二极管膜
JP2007294137A (ja) 照明装置
JP2006127798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201400940A (zh) 背光模組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10225219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690523A1 (en) Display device
KR20170139924A (ko)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KR2019009297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20082A (ko) 조명 장치
KR10241534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6662B1 (ko) 투명 발광다이오드 필름
CN102386205A (zh) 发光模块
US11024612B2 (en) Display device
US10631439B2 (en) Display device
CN211702464U (zh) 一种led透明显示屏
WO2014163321A1 (ko) 전광판용 엘이디 조명 유닛
CN110958745A (zh) 一种制造led透明显示屏的方法及led透明显示屏
CN218481739U (zh) 直下式背光模组
CN213241815U (zh) 一种加油站油品显示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