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404A -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404A
KR20190112404A KR1020180034351A KR20180034351A KR20190112404A KR 20190112404 A KR20190112404 A KR 20190112404A KR 1020180034351 A KR1020180034351 A KR 1020180034351A KR 20180034351 A KR20180034351 A KR 20180034351A KR 20190112404 A KR20190112404 A KR 2019011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tient
driving
bed
fun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161B1 (ko
Inventor
최문수
최영
장일환
김창영
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벨
Priority to KR102018003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1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0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tegral, body-bearing projections or protube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증 또는 의식불명 환자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고, 의복 교체 및 침대 시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각 구동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원형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바 모듈을 갖는 매트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용 침대{The bed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중증 또는 의식불명 환자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고, 의복 교체 및 침대 시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보통 자신의 생각대로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거나 사고 등의 이유로 몸을 다쳐서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중환자 및 1급 환자들은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거나, 또는 양로원이나 요양원 같은 시설에서 간병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어떤 경우에는 환자가 자신의 집에서 가족들의 간병을 받으면서 정기적인 주치의와 간호사의 왕진에 의해 치료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중환자 및 1급 환자들은 보통 환자용 침대에 누워서 생활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자용 침대의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761706호는 환자의 체위와 접촉되는 부분에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좌우로의 스윙작동에 의해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침대프레임에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으로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좌우로 일정한 회전 반경으로 스윙작동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회동축과, 복수의 회동축 외측면에 통기성과 쿠션력을 가지도록 결합 고정되어 회동축과 동일한 회전 반경으로 스윙작동 되는 다공성 발포수지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67026호는 침대의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 장착되는 고정매트부와, 고정매트부와 동일수평선상에 나란히 배치되고, 절첩가능하면서도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매트부(40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중환자 및 1급 환자들은 몸을 전혀 움직이지 못하고 또 이동시 조그만 외부 자극에도 몸에 큰 충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치료 및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침대의 시트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부축하여 일으켜 세운 후 침대밖으로 안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적지않은 신체적 불편이나 고통을 주게 된다. 따라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가 누운 침대 시트의 교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간호사나 보호자 여러 명이 동원되어도 심리적 부담으로 인해 교체를 꺼릴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침대 시트를 교환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게 되어 청결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또한, 환자의 환의를 갈아 입혀야 하는 경우에도, 환자를 일으켜 세우고 팔과 다리를 들어서 환의를 갈아입히는 작업 역시 간병인이나 보호자는 물론 환자에게도 매우 불편하고 힘들 일이어서 교체를 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청결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또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는 일 등은 간병인 2~3인의 노동력이 요구되고, 일을 수행함에 있어 환자와 간병인 모두 육체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761706호
(특허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066702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의 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를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의 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를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와 매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하고 환자의 등을 마사지 할 수 있으며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의복 교체 및 침대 시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각 구동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원형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바 모듈을 갖는 매트부와,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는 경우 타단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반지름을 갖는 원형궤도를 따라 회전하도록 소정길이를 가지며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바 모듈은 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는 매트바와 상기 매트바의 일측 및 타측 하방에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블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는 홀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지지부와,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종지지부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횡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종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상체지지부와, 중간부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와, 후방에 형성되는 제1하체지지부 및 제2하체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상체지지부 및 제1하체지지부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하체지지부 및 제2하체지지부는 서로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기동시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의 무릅이 상방으로 올라올 수 있도록 제1하체지지부의 일측이 상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제2하체지지부의 일측이 상방으로 연동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키는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동작 메뉴얼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동작 메뉴얼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기능선택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동작 메뉴얼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는 침대 시트 교체 기능키, 환의 교체 기능키, 마사지 기능키, 환자 이동 기능키, 환자 자세 변경 기능키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자 이동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모든 구동유닛이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매트부의 각 바 모듈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연동 구동시키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된 구동유닛들과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된 구동유닛들이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의 침대 시트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침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상기 매트부의 바 유닛을 하강시켜 환자의 신체와 바 모듈 사이에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의 마사지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각 바 모듈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되는 구동유닛들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되는 구동유닛들은 일 방향으로 360도 회전한 후 다시 타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의 교체 기능키는 상의 교체 기능키와 하의교체 기능키로 구분되고, 상기 하의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발부분에서부터 허리부분을 향해 또는 환자의 허리부분에서부터 발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을 하강시켜 환자의 하체와 바 모듈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의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머리부분에서부터 허리부분을 향해 또는 환자의 허리부분에서부터 머리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을 하강시켜 환자의 상체와 바 모듈 사이의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자 자세 변경 기능키는 상체 자세 변경 기능키와 하체 자세 변경 기능키로 구분되고, 상기 상체 자세 변경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실린더가 기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를 회동시켜 환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1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체 자세 변경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실린더가 기동하여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켜 환자의 무릅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2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의하면, 침대의 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를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의하면, 침대의 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를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와 매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하고 환자의 등을 마사지 할 수 있으며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의복 교체 및 침대 시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요부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5a 내지 5c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구동부의 요부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바 모듈의 사시도 및 결합관계도.
도 7a 내지 7e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바 모듈의 작동상태도.
도 8a 내지 8d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환자이동기능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9a 내지 9f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침대시트교체기능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10a 내지 10d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마사지기능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제어부의 작동구성도.
도 12a 내지 12d는 도 1에 도시된 환자용 침대의 환의교체기능에 대한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부(100), 구동부(200), 매트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몸체를 이루며 바닥에 안착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종지지부(120), 횡지지부(130)를 포함하며, 제1실린더(140), 제2실린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스틸 등으로 이루어진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 형태가 육각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바닥에 안착되며, 상측에 후술할 매트부(300)가 안착할 수 있는 지지수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다른 부재들, 종지지부(120), 횡지지부(130)와 제1실린더(140), 제2실린더(150)가 장착될 수 있는 몸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제1실린더(140) 또는 제2실린더(150) 또는 구동부(200)등이 동작할 경우 최대한 안정적으로 환자를 이송하거나 시트를 교체하거나 할 수 있도록 견고하고 흔들림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도록 하며, 후술할 방향에 대한 기준은 여기서 정한 기준으로 해석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은 a-b 방향으로 정하며, 폭 방향은 c-d방향으로 정한다. 한편, 전방은 a방향으로 정하고, 후방은 b방향으로 정하며, 일측은 c방향측으로 정하며, 타측은 d방향측으로 정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길이 방향(a-b방향)으로 길게 눕게 되며, 전방측에 머리를 두고 후방측에 발을 두게 된다.
종지지부(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종지지부(120)는 횡지지부(130)를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필요시 각 부분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해당 부분의 후술할 매트부(300)의 바 모듈(310)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받침대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종지지부(120)는 상체지지부(121), 고정지지부(122), 제1하체지지부(123), 제2하체지지부(124), 링크(125)를 가진다.
상체지지부(121)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다. 다시말해, 베이스 프레임부(100)에서 a방향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체지지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지지부(120)가 관통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머시닝 등에 의해 가공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체지지부(121)의 하측에는 후술할 제1실린더(140)가 결합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1실린더(140)가 작동되어 상체지지부(121)의 일측이 회동됨으로써 그 위에 결합되는 매트부(300)에 안착된 사용자의 상체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고정지지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되며, 종지지부(120)가 관통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지지부(122) 또한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가 머시닝 등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체지지부(123) 및 제2하체지지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1하체지지부(123) 및 제2하체지지부(124)에는 종지지부(120)가 관통 결합된다. 다시말해, 베이스 프레임부(100)에서 b방향에 위치하며, 이러한 제1하체지지부(123) 및 제2하체지지부(124)에는 종지지부(120)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인다. 이러한 제1하체지지부(123) 및 제2하체지지부(124)는 서로 링크(125)결합되어 있으며, 제1하체지지부(123)의 하측에는 후술할 제2실린더(15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하체를 들어올리고 싶은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2실린더(150)가 작동되어 제1하체지지부(123)의 일측이 회동됨으로써 그 위에 결합되는 매트부(300)에 안착된 사용자의 하체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또한, 제2하체지지부(124)가 제1하체지지부(123)와 링크(125)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무릅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횡지지부(130)는 종지지부(120)에 관통 결합되어 고정되며, 매트부(300) 및 구동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횡지지부(130)는, 도 5a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구동부(200)의 구동유닛이 결합된다.
횡지지부(130)는 종지지부(1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종지지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이러한 횡지지부(130)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볍고 견고한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제1실린더(140)는 하측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의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상체지지부(12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140)의 작동에 따라 상체지지부(121)의 일측이 회동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시 상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제2실린더(150)는 하측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의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제1하체지지부(123)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150)의 작동에 따라 제1하체지지부(123)의 일측에 회동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시 하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구동부(200)는 후술할 매트부(3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구동부(200)는 구동유닛(210), 연결부재(220)를 포함한다.
구동유닛(210)은,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횡지지부(1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유닛(210)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동작되며, 후술할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구동유닛(210)은 일반적인 DC모터 또는 AC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태핑모터나 서보모터와 같이 정밀 제어를 위한 특수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220)는 일측이 구동유닛(210)의 구동축(211)에 연결되고 타측에 매트부(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20)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며, 따라서 구동유닛(210)의 구동축(211)이 기동하는 경우 연결부재(220)의 단부에 결합된 매트부(300)는 구동유닛(2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원형 궤도를 따라 이동되게 된다.
매트부(300)는 환자가 직접 눕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이를 위해 매트부(300)는 a-b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열 형성되는 바 모듈(310)을 포함한다.
바 모듈(31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 모듈(310)은 직접 사용자의 신체가 닿는 부위인 매트바(311)와 이러한 매트바(311)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12)으로 이루어진다.
바 모듈(31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접 환자가 눕게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메모리폼이나 라텍스 또는 천연고무 등 사용자에게 부드러움과 안락함을 주고 청결함이 유지되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 모듈(310)은 진드기 방지 및 청결 유지를 위해 은나노 성분이 함유될 수 있으며, 기타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다양한 소재 및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블록(312)은 바 모듈(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 모듈(310)을 지지하며, 또한 바 모듈(310)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200)의 연결부재(220)와의 결합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지블록(312)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홀(312a)과 장공(312b)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312a)과 장공(312b)에 각각의 구동유닛(210)의 연결부재(220)가 결합된다.
이때, 홀(312a)과 장공(312b) 모두 연결부재(2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또는 b방향에서 보는 경우 바 모듈(310)이 원형 궤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에 따른 동작을 보면, 초기에 도 7a의 위치에 바 모듈(310)이 위치하게 되었다가, 구동유닛(21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모듈(310)이 전체적으로 원형궤도를 따라 우측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구동유닛(210)이 초기위치 대비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모듈(310)이 원형궤도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를 도 7b과 비교하면 좌측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구동유닛(210)이 270도 회전하면 바 모듈(310)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c와 비교하여 좌측하방으로 이동되게 되며, 구동유닛(210)이 360도 회전하면 바 모듈(310)이, 도 7e와 같이, 바 모듈(310)이 도 7d와 비교하여 우측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초기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형태를 각각의 바 모듈(310)에 결합된 구동유닛(210)을 독립적으로 각각 제어함으로써 후술할 다양한 모드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구동부(200)의 각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정보저장부(410), 기능선택부(420)를 포함한다.
정보저장부(410)에는 구동부(200)의 구동유닛(210)을 동작시키는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동작 메뉴얼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저장부(4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선택부(4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해당 동작 메뉴얼에 맞도록 제어부(400)가 구동유닛(2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기능선택부(420)는 환자 또는 사용자가 제어부(400)가 어떻게 구동유닛(210)을 제어할지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기능선택부(420)는 침대시트교체기능키(도시되지 않음), 상/하의 환의교체기능키(도시되지 않음), 마사지기능키(도시되지 않음), 환자이동기능키(도시되지 않음), 상/하체 환자자세변경기능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침대시트교체기능키, 상/하의 환의교체기능키, 마사지기능키, 환자이동기능키, 상/하체 환자자세변경기능키를 선택함으로써 매트부(300)의 바 모듈(310)이 각각의 모드에 맞도록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기능선택부(420)의 환자이동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환자이동기능모드에 대한 동작메뉴얼 정보를 정보저장부(410)로부터 제공받아 구동부(200)의 모든 구동유닛(210)이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되, 매트부(300)의 각 바 모듈(3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각 구동유닛(210)을 연동구동시킨다. 이때, 각 구동유닛(210)은,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들과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들이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구동부(200)의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침대시트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침대시트교체기능에 대한 동작메뉴얼 정보를 정보저장부(410)로부터 제공받아 매트부(300) 상의 침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 즉 a방향 또는 b방향에서부터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매트부(300)의 바 모듈(310)이 하강되어 환자의 신체와 바 모듈(310) 사이에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구동부(200)의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마사지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마사지 기능에 대한 동작메뉴얼 정보를 정보저장부(410)로부터 제공받아 각 바 모듈(310)의 동작에 따라 매트부(300) 상의 환자의 신체와 각 바 모듈(310) 사이에 공간이 번갈아가면서 확보되도록 구동부(200)의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각 매트부(300)의 각 바 모듈(3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동부(200)의 각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데, 이때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a방향에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일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각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상의 또는 하의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의 교체기능 또는 하의 교체기능에 대한 동작메뉴얼 정보를 정보저장부(410)로부터 제공받아 각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데, 상의 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환자의 머리 부분에서부터 허리 부분을 향해 또는 허리 부분에서부터 머리 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310)을 하강시켜 환자의 상체와 바 모듈(310)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며, 하의 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환자의 발 부분에서부터 허리 부분을 향해 또는 환자의 허리 부분에서부터 발 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310)을 하강시켜 환자의 하체와 바 모듈(310) 사이의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상체 또는 하체 자세변경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상체 자세변경기능 또는 하체 자세변경기능에 대한 동작메뉴얼 정보를 정보저장부(410)로부터 제공받아 각 구동유닛(210)을 제어하는데, 상체 자세 변경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1실린더(140)가 기동하여 상체지지부(121)를 회동시켜 환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도록 제1실린더(140)의 구동을 제어하고, 하체 자세 변경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2실린더(150)가 기동하여 제1하체지지부(123)를 회동시켜 환자의 하체를 들어올리도록 제2실린더(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1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작동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평범한 환자용 침대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필요기능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대하여 각각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능선택부(420)에서 환자이동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구동유닛(210)를 제어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1)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초기위치에서 90도 회전,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2)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초기위치에서 270도 회전한 상태가 되도록 각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그렇게되면, 모든 바 모듈(310)은 서로 높이차가 없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구동유닛(210)의 위치는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모든 구동유닛(210)을 같은 속도와 같은 방향으로 제어하게 되면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와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되는 구동유닛(210)는 계속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를 도면으로 설명하면, 초기에 도 8a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모든 구동유닛(210)가 그 상태에서 90도 회전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a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상방으로 이동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우측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의 모습을 보면, c-d방향으로는 동일하되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상측에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8b의 상태에서 모든 구동유닛(210)가 다시 90도를 더 회전하게 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좌측 하방으로 이동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우측 상방으로 이동되어 초기 위치 대비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의 높이는 같되 위치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모습이 된다.
다음으로, 8c의 상태에서 모든 구동유닛(210)가 다시 90도를 더 회전하게 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우측 하방으로 이동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좌측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의 모습을 보면, c-d방향으로는 동일하되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하측에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다시 8d의 상태에서 모든 구동유닛(210)가 다시 90도를 회전하게 되면 처음의 8a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매트부(300) 위의 환자는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소폭 이동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에 의해 다시 일 방향으로 소폭 이동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침대 시트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도 9a 내지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를 향해 각 바 모듈(310)이 순차적으로 하강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우선 도 9a 및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배치된 두 개의 바 모듈(310-1, 310-2)이 하강되도록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그 다음, 도 9b 및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었던 바 모듈(310-1, 310-2)은 상승하도록 구동유닛(210)를 제어하고, 타단부에 배치된 다음의 두 바 모듈(310-3, 310-4)이 하강되도록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그 다음, 도 9c 및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하강된 바 모듈(310-3, 310-4)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그 다음 두 개의 바 모듈(310-5, 310-6)을 하강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순서대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순차적으로 바 모듈(310)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침대 시트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마사지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도 10a 내지 10d와 같이 매트부(300) 상의 환자의 신체와 각 바 모듈(310) 사이에 공간이 번갈아가면서 확보되도록 구동부(200)의 구동유닛(210)을 제어한다.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a방향에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초기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상태로 정지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가 결합된 구동유닛(210)은 그와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그 다음,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그 다음, 도 10c 및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을 일 방향으로 360도를 회전시킨 후 이와 반대로 다시 360도를 회전하도록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결합된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환자는, 도 10e 및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은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이 신체에 닿은 상태에서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신체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고 다음 한번은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이 신체에 닿은 상태에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310)과 신체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게 되어 등을 순차적으로 마사지받는 느낌을 느낄 수 있게 되며, 또한 욕창도 방지되게 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환의교체기능키 중에서 상의 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환자의 상의를 벗기거나 입힐 수 있도록 허리에서 머리로 또는 머리에서 허리로 순차적으로 공간이 확보되도록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환자의 상의를 벗기려고 하는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환자의 허리 부분에 배치되는 바 모듈(310)을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바 모듈(310)은 상승시키는 한편 머리 방향의 다음 두 개의 바 모듈(310)을 하강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환자의 상의를 벗기게 되며, 상의를 입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환의교체기능키 중에서 하의 교체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환자의 하의를 벗기거나 입힐 수 있도록 허리에서 발로 또는 발에서 허리로 순차적으로 공간이 확보되도록 구동유닛(21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환자의 하의를 벗기려고 하는 경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환자의 허리 부분에 배치되는 바 모듈(310)을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바 모듈(310)은 상승시키는 한편 발 방향의 다음 두 개의 바 모듈(310)을 하강시킨다.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환자의 하의를 벗기게 되며, 하의를 입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환자가 매트부(300)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의 또는 하의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선택부(420)의 환자자세변경기능키에서 상체 자세변경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1실린더(140)가 기동하여 상체지지부(121)를 회동시켜 환자의 상체를 들어올리게 되며, 하체 자세 변경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2실린더(150)가 기동하여 제1하체지지부(123)를 회동시켜 환자의 하체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필요시 상체 또는 하체를 또는 상하체를 동시에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시 침대의 매트부(3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 모듈(310)을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매트부(3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바 모듈(310)을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환자와 매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욕창을 방지하고 환자의 등을 마사지 할 수 있으며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의복 교체 및 침대 시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환자용 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베이스프레임부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종지지부 121 : 상체지지부
122 : 고정지지부 123 : 제1하체지지부
124 : 제2하체지지부 125 : 링크
130 : 횡지지부 140 : 제1실린더
150 : 제2실린더 200 : 구동부
210 : 구동유닛 211 : 구동축
220 : 연결부재 300 : 매트부
310 : 바 모듈 311 : 매트바
312 : 지지블록 312a : 홀
312b : 장공 400 : 제어부
410 : 정보저장부 420 : 기능선택부

Claims (13)

  1.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상기 구동부의 각 구동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각 구동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구동유닛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원형궤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바 모듈을 갖는 매트부;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구동축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는 경우 타단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소정 반지름을 갖는 원형궤도를 따라 회전하도록 소정길이를 가지며 단부가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바 모듈은 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는 매트바와 상기 매트바의 일측 및 타측 하방에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는 홀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지지부와,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종지지부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횡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상체지지부와, 중간부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부와, 후방에 형성되는 제1하체지지부 및 제2하체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상체지지부 및 제1하체지지부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체지지부 및 제2하체지지부는 서로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기동시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의 무릅이 상방으로 올라올 수 있도록 제1하체지지부의 일측이 상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제2하체지지부의 일측이 상방으로 연동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7. 제 1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키는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동작 메뉴얼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동작 메뉴얼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기능선택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동작 메뉴얼 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는 침대 시트 교체 기능키, 환의 교체 기능키, 마사지 기능키, 환자 이동 기능키, 환자 자세 변경 기능키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자 이동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모든 구동유닛이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매트부의 각 바 모듈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연동 구동시키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된 구동유닛들과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된 구동유닛들이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매트부 상의 환자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침대 시트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침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상기 매트부의 바 유닛을 하강시켜 환자의 신체와 바 모듈 사이에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마사지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트부의 각 바 모듈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홀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되는 구동유닛들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짝수 번째 배열되는 바 모듈과 결합되는 구동유닛들은 일 방향으로 360도 회전한 후 다시 타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의 교체 기능키는 상의 교체 기능키와 하의교체 기능키로 구분되고, 상기 하의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발부분에서부터 허리부분을 향해 또는 환자의 허리부분에서부터 발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을 하강시켜 환자의 하체와 바 모듈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의 교체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머리부분에서부터 허리부분을 향해 또는 환자의 허리부분에서부터 머리부분을 향해 순차적으로 바 모듈을 하강시켜 환자의 상체와 바 모듈 사이의 공간이 순차적으로 확보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부의 환자 자세 변경 기능키는 상체 자세 변경 기능키와 하체 자세 변경 기능키로 구분되고, 상기 상체 자세 변경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실린더가 기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를 회동시켜 환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1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체 자세 변경 기능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실린더가 기동하여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켜 환자의 무릅을 들어올리도록 상기 제2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KR1020180034351A 2018-03-26 2018-03-26 환자용 침대 KR10207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51A KR102076161B1 (ko) 2018-03-26 2018-03-26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51A KR102076161B1 (ko) 2018-03-26 2018-03-26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04A true KR20190112404A (ko) 2019-10-07
KR102076161B1 KR102076161B1 (ko) 2020-02-11

Family

ID=6842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51A KR102076161B1 (ko) 2018-03-26 2018-03-26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7015A (zh) * 2019-10-15 2020-02-14 湖南粤科汇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换床垫机构
CN111035514A (zh) * 2020-01-07 2020-04-21 广州皓加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多功能带坐便池的医疗床
KR20210102625A (ko) * 2020-02-12 2021-08-20 주식회사 나인벨 의료용 전동 침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53A (ja) * 1998-07-07 2000-01-25 Kyoeki Kogyo Kk 医療用ベッド
JP2000166991A (ja) * 1998-11-30 2000-06-20 Polymer Kasei Kk 床擦れ防止ベッド
US20040098805A1 (en) * 2000-08-23 2004-05-27 Mario Piraino Support base for a bed mattress
KR100667026B1 (ko) 2005-12-15 2007-01-12 소종필 폭주근점 측정장치
JP4057006B2 (ja) * 2004-10-20 2008-03-05 清 加藤 床擦れ防止装置
KR101675227B1 (ko) * 2015-05-22 2016-11-10 최문수 환자용 침대
KR101761706B1 (ko)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1814093B1 (ko) * 2017-04-17 2018-01-30 (주)주일하드웨어 분할 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53A (ja) * 1998-07-07 2000-01-25 Kyoeki Kogyo Kk 医療用ベッド
JP2000166991A (ja) * 1998-11-30 2000-06-20 Polymer Kasei Kk 床擦れ防止ベッド
US20040098805A1 (en) * 2000-08-23 2004-05-27 Mario Piraino Support base for a bed mattress
JP4057006B2 (ja) * 2004-10-20 2008-03-05 清 加藤 床擦れ防止装置
KR100667026B1 (ko) 2005-12-15 2007-01-12 소종필 폭주근점 측정장치
KR101675227B1 (ko) * 2015-05-22 2016-11-10 최문수 환자용 침대
KR101761706B1 (ko)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KR101814093B1 (ko) * 2017-04-17 2018-01-30 (주)주일하드웨어 분할 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7015A (zh) * 2019-10-15 2020-02-14 湖南粤科汇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换床垫机构
CN110787015B (zh) * 2019-10-15 2024-06-07 佛山市南海区连丰盛寝饰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换床垫机构
CN111035514A (zh) * 2020-01-07 2020-04-21 广州皓加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多功能带坐便池的医疗床
KR20210102625A (ko) * 2020-02-12 2021-08-20 주식회사 나인벨 의료용 전동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161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0885B2 (ja) 可動ベッド用マット
KR102076161B1 (ko) 환자용 침대
US6360386B1 (en) Sickbed
TW200304802A (en) Movable bed
CN107624063B (zh) 机械手系统
US20130212807A1 (en) Bed chair
JP6711959B2 (ja) 低可動性の人用ストレッチャー
JP6755477B2 (ja) ベッド装置
KR101211743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JP5164095B2 (ja) 移動支援装置
KR102194000B1 (ko) 환자용 침대
JP4231363B2 (ja) 背上げ式ベッド装置
EP1718259B1 (en) Bed
JP4232181B2 (ja) 人体移送装置
JP4415149B2 (ja) 移乗支援機構、この移乗支援機構を備えた担架及びベッド
JP2004261435A (ja) 介護ベッド
KR20210043838A (ko) 침상 환자 이송장치
JP2004057217A (ja) 起床式ベッド装置及びマットレス
JP4184369B2 (ja) 清拭ベッド装置
TWI784891B (zh) 醫療用自動翻身床
JP2006212112A (ja) 介護用ベッド
JP4146682B2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2017158779A (ja) ベッド装置
JP2009297121A (ja) 移乗支援機器
JPH1199182A (ja) 介護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